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논어문의」를 통해 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 : 전통적 해석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해석 지평 마련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논어문의」를 분석하여 홍대용이 조선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핀다. 홍대용은 유가에서 받드는 인물들의 권위와 이들에 관한 주석의 권위에서 벗어나 『논어』를 이해했고, 그 권위에 균열을 내는 도구로 상식과 유가 이념을 취했다. 그동안 문제 삼을 수 없었던 대상을 문제 삼으면서 경문의 본래 뜻과 상관성이 약한 불필요한 논의에 경종을 울리고, 공자를 현실을 살아간 한 인간으로 되살려 내고, 유가의 성인을 높인다면서 오히려 유가 이념에 배치되는 논의로 귀결되는 폐단을 드러냈다. 이러한 홍대용의 비판 작업은 유학에 대한 반발이 아닌 오히려 유학이 그간 간과했던 유학의 본래 정신 즉, 현실에 근거해 마땅함을 평가해야 하고, 군신과 부자의 도리에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정신을 환기시키는 작업이었다. 새로운 비판점에 선 시도였던 만큼 그 깊이는 부족했으나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위치에서 깊이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논어문의」를 통해 살펴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는 유가적 권위로부터 자유로운 입장에서 경험적 상식과 유가 이념에 근거해 경문과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경학 흐름을 만들어 갈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ssesses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in Joseon by analyzing his “Noneo muni” (Inquiry on the Analects). Hong Dae-yong understands the Analects deviating from the authority of renowned Confucian figures and commentaries on them; he takes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as a tool to crack the authority. By addressing issues about th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taken as a problem, Hong raises the alarm about unnecessary discussions that has little to do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sentences in Confucian classics. In addition, he describes Confucius more vividly as a human being who lived in reality, and reveals the harmful effect of speaking too highly of Confucian sages that in the end runs counter to the spirit of Confucianism. Hong Dae-yong’s criticism is not an opposition to Confucianism, but on the contrary a reminder of the Confucian spirit: evaluation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there should be no violation of the principles of ruler and subject, father and son. As his criticism is directed to new subjects, its depth is insufficient; however, it would be unjust to demand depth considering his historical position. In sum,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can be found in that he prepared a bridgehead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y critically examining Confucian classics and commentaries on them,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while not restricted by the authority of Confucianism.
김명환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서경질서』는 몇 가지 필사본이 있는데, 그 중 동양문고 소장본(이하 동양문고본) 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한국학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여강출판사본 『성호전서』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양문고본은 또한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의 경학자료집성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저본 으로 사용하였다. 최근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성호전서정본화사업’의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서경질서』에는 ‘동양문고 본’ 이외에, 국립중앙도서관소장본 2책(이하 국중본),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본 1책(이하 규장각본), 국민대 학교 성곡도서관소장본 1책(이하 국민대본), 화경당소장본 1책(이하 화경당본), 성호기념관소장본 1책(이하 성호기념관본) 등 6종이 있다. 각 이본을 대상으로 하여 표점, 교감 작업을 거친 결과, 규장각본을 제외한 다 른 필사본은 내용이 대동소이하여, 하나의 계열로 묶을 수 있으며, 이중 국중본 『서경질서』가 선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편 규장각본은 다른 필사본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다른 필사본과 비견되는 규장각 본의 특징과, 자료적 특성과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규장각본의 특징으로는, 첫째 『서경질서의 서문이 있고, 둘째 ‘附’가 첨가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성호사설』등의 다른 저술에도 실려 있으며, 셋째 단락의 수와 편차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분량 면에서는 다소 많 고, 넷째 한 단락 안에서 교정·첨가·삭제 등의 편집 내용이 비교적 많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문헌적 특성으로 볼 때 규장각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후대 문하에 의해 필사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다른 필사본에 비해 비교적 후대에 필사되었다. 셋째는 성호의 『서경』과 관련 된 다른 저술 및 자료들을 참고하여 첨삭하는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이를 통해 여러 『서경질서』의 필사본 과 『성호사설』등 성호의 『서경』관련 저서들의 저술 경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규장각본의 자료적 가치로는 첫째 『서경질서』의 초기 원고를 복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고, 둘째 『 질서』와 『사설』등 성호의 『서경』과 관련된 다른 저술과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으며, 셋째 『서경질서』에 대한 연구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것 등이다. Several manuscipts of Seongho’s Seogyeong Jilseo(書經疾書), a.k.a. Seongho(星湖) Yi Ik(李瀷)’s Memorandum on Shujing(書經), a.k.a. The Book of Histrorical Documents are known nowadays. Among those manuscripts one held at Toyo Bunko(東洋文庫) library is most widely known because it is included in the Seongho Jeonseo(星湖全書) published by Yeogang Publishing Company that has been used by most scholars of Korean studies. This manuscript is also used as the text of online DB of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of Jongyeonggak Library of SungKyunkwan University. Taedong Institute of Eastern Classics of Hallym University is now carrying out Seongho Yi Ik Standard Edition Project that of course includes Seongho’s Memorandum of Shujing. The manuscrips of Seongho’ s Seogyeong Jilseo that this project team has collected and used in the course of textual analysis are now held by institutions as below: Toyo Bunko library in Japa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Kyujanggak( 奎章閣)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ok library of Kookmin University, Hwagyeongdang(和敬堂 ) in Andong, and Seongho Memorial Hall in Ansan. These six manuscrip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the Kyujanggak manuscript. It is unique and worthy of attention. The Kyujanggak manuscript of Seogyeong Jilseo has textual characteristics as below. Firstly, it has the preface of Seongho Yi Ik. Secondly, it has many appendices that are not contained in the other manuscripts, but that are found in Yi Ik’s other works like Seongho Saseol(星湖僿說), a.k.a. Seongho’s Miscellaneous Explanations. Thirdly,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chapters and paragraphs are different from other manuscripts, and it has larger volume than the others. Fourthly, it has a lot of signs of corretion and insertions of words or sentences. From the textual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 manuscription process of the Kyujanggak manuscript can be inferred as below. Firstly, it is written by a later pupil of Seongho group. Secondly, it is made later than the other manuscripts. Thirdly, it has parts edited and quotated from Yi Ik’s other works on Shujing. From the points listed above, the order of making of six manuscripts of Seogyeong Jilseo and the other works on Shujing of Yi Ik can be inferred. The value of the Kyujanggak manuscript of Seogyeong Jilseo lies in three points: firstly, it can give some critical clues to restore Yi Ik’s original manuscript; secondly, it plays a key role in investigating relation among Yi Ik’s works on Shujing contained in Memoranda, Explanations or the other works; thirdly, it provides much material to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eogyeong Jilseo.
김명환(Kim Myeong-hwa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Several manuscipts of Seongho’s Seogyeong Jilseo(書經疾書), a.k.a. Seongho(星湖) Yi Ik(李瀷)’s Memorandum on Shujing(書經), a.k.a. The Book of Histrorical Documents are known nowadays. Among those manuscripts one held at Toyo Bunko(東洋文庫) library is most widely known because it is included in the Seongho Jeonseo(星湖全書) published by Yeogang Publishing Company that has been used by most scholars of Korean studies. This manuscript is also used as the text of online DB of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of Jongyeonggak Library of SungKyunkwan University. Taedong Institute of Eastern Classics of Hallym University is now carrying out Seongho Yi Ik Standard Edition Project that of course includes Seongho’s Memorandum of Shujing. The manuscrips of Seongho’s Seogyeong Jilseo that this project team has collected and used in the course of textual analysis are now held by institutions as below: Toyo Bunko library in Japa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Kyujanggak(奎章閣)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ok library of Kookmin University, Hwagyeongdang(和敬堂) in Andong, and Seongho Memorial Hall in Ansan. These six manuscrip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the Kyujanggak manuscript. It is unique and worthy of attention. The Kyujanggak manuscript of Seogyeong Jilseo has textual characteristics as below. Firstly, it has the preface of Seongho Yi Ik. Secondly, it has many appendices that are not contained in the other manuscripts, but that are found in Yi Ik’s other works like Seongho Saseol(星湖僿說), a.k.a. Seongho’s Miscellaneous Explanations. Thirdly,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chapters and paragraphs are different from other manuscripts, and it has larger volume than the others. Fourthly, it has a lot of signs of corretion and insertions of words or sentences. From the textual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 manuscription process of the Kyujanggak manuscript can be inferred as below. Firstly, it is written by a later pupil of Seongho group. Secondly, it is made later than the other manuscripts. Thirdly, it has parts edited and quotated from Yi Ik’s other works on Shujing. From the points listed above, the order of making of six manuscripts of Seogyeong Jilseo and the other works on Shujing of Yi Ik can be inferred. The value of the Kyujanggak manuscript of Seogyeong Jilseo lies in three points: firstly, it can give some critical clues to restore Yi Ik’s original manuscript; secondly, it plays a key role in investigating relation among Yi Ik’s works on Shujing contained in Memoranda, Explanations or the other works; thirdly, it provides much material to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eogyeong Jilseo.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서경질서는 몇 가지 필사본이 있는데, 그 중 동양문고 소장본(이하 동양문고본)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한국학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여강출판사본 성호전서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양문고본은 또한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의 경학자료집성 데이터베 이스에서도 저본으로 사용하였다. 최근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성호전서정본화사업’의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서경질서에는 ‘동양문고본’ 이외에, 국립중앙도서관소장본 2책(이하 국중본),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본 1책(이하 규장각본), 국민대학교 성곡도서 관소장본 1책(이하 국민대본), 화경당소장본 1책(이하 화경당본), 성호기념관 소장본 1책(이하 성호기념관본) 등 6종이 있다. 각 이본을 대상으로 하여 표점, 교감 작업을 거친 결과, 규장각본을 제외한 다른 필사본은 내용이 대동소 이하여, 하나의 계열로 묶을 수 있으며, 이중 국중본 서경질서가 선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편 규장각본은 다른 필사본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다른 필사본과 비견되는 규장각본의 특징과, 자료적 특성과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규장각본의 특징으로는, 첫째 서경질서의 서문이 있고, 둘째 ‘附’가 첨가 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성호사설 등의 다른 저술에도 실려 있으며, 셋째 단락의 수와 편차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분량 면에서는 다소 많고, 넷째 한 단락 안에서 교정·첨가·삭제 등의 편집 내용이 비교적 많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문헌적 특성으로 볼 때 규장각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을 알 수있다. 첫째 후대 문하에 의해 필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다른 필사본에 비해 비교적 후대에 필사되었다. 셋째는 성호의 서경과 관련된 다른 저술및 자료들을 참고하여 첨삭하는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이를 통해 여러 서경 질서의 필사본과 성호사설 등 성호의 서경 관련 저서들의 저술 경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규장각본의 자료적 가치로는 첫째 서경질서의 초기 원고를 복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고, 둘째 질서와 사설 등 성호의 서경과 관련된 다른 저술과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으며, 셋째 서경질서에 대한 연구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것 등이다.
한정길(HAN Jeonggil)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연구는 다산 『대학』관의 특징과 그 정치사상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그 연구 방법으로는 다산 『대학』관의 정치사상적 의미를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그것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를 통해 다산의 『대학』관이 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도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다산은 ‘대학’을 ‘태학’으로 풀이한다. 그리고 『대학』을 최고 통치자 집단을 양성하는 목민학의 기본 교재로 여긴다. 이것은 다산이 군주를 중심으로 한 관료정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산은 ‘명덕’을 효·제·자로 풀이하고, 천하에 명덕을 밝히는 방법을 ‘친민’에서 찾는다. 그는 ‘친민’을 천자가 태학에서 효·제·자의 예를 실천하여 모범을 보임으로써 ‘백성들이 그것을 본받아 서로 친하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다산이 유가의 인륜가치가 실현되는 세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산은 ‘격물치지’를 ‘물’의 본말을 헤아리고, ‘일’의 종시를 아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기존 주자나 왕양명의 ‘궁리’와 ‘치양지’의 정치사상을 부정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다산은 ‘성의장’을 하나의 독립된 장으로 봄으로써 ‘성의’를 ‘치국·평천하’를 실현하는 근본 공부로 설정할 수 있었다. 다산은 ‘평천하장’을 『대학』의 중심으로 여기고, 그로부터 정치이념과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 및 정사의 두 가지 강령을 도출해 낸다. 그는 입현공치와 안민정치를 통해 백성들의 원욕(願慾)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것들은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대학』관과 비교할 때 다산만의 독자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그 경학사상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and its significance as political thought. It examines Dasan’s political thought ref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in comparison with that of Zhuzi studies or Yangming studies. It also assesses the importance of Dasan’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Dasan interprets daxue 大學 as taixue 太學 (Imperial Academy) and regards the Great Learning as the basic textbook of ‘the study of governing the people’ (mumin xue 牧民學) that educates a group of supreme rulers-to-be. This shows that Dasan was pursuing a centralized bureaucracy with the king as its nucleus. Dasan understands mingde 明德 (illustrious virtue) as xiao 孝 (filial duty), ti 悌(politeness) and ci 慈 (benevolence), and find the way to manifest illustrious virtue in qinmin 親民, which, in his interpretation, means that people come to love each other by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monarch’s practicing xiao, ti and ci in the Imperial Academy. This reveals that Dasan aims for a world where Confucian morality is realized. Dasan interprets gewu zhizhi 格物致知 as discerning the root and branches of ‘the thing’ and know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k.’ This interpretation is worth noting since it shows that Dasan’s political thought follows neither Zhu Xi’s theory of ‘exploring the principles of things’ nor Wang Yangming’s theory of ‘extending innate knowledge.’ Dasan deems the “Chengyi” 誠意 (making the will sincere) chapter an independent chapter, which enables him to present ‘making the will sincere’ as a fundamental study for ‘rul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world at peace.’ Dasan regards the “Ping Tianxia” 平天下 (making the world at peace) chapter as the core of the Great Learning, and derives political thought and the method of realizing it from this chapter. He also formulates two political measures based on this chapter: employing talented and virtuous men and caring the people. By implementing these measures, he is intent on fulfilling the desires of the people. This political thought endows Dasan with scholarly originality in interpreting the Great Learning, distinguished from Zhuz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In this regard, Dasan’s political thought derived from the Great Learning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 서문」 해석과 인물성동이 논쟁 : 『증전추록(曾傳秋錄)』 분석을 중심으로
이원석(LEE Won-seo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증전추록(曾傳秋錄)』을 주요 분석 텍스트로 삼아, 18세기 조선의 사상적 담론과 정치 문화가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 해석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대학장구』의 해석에 있어 두 사람이 나눈 논의의 핵심 대상이 된 부분은 「대학장구 서문」에서 주희가 제시한 본성론이었다. 윤행임은 당대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에서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지지하기 위한 증거를 「대학장구 서문」에서 찾고자 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하늘이 처음부터 사람과 사물은 물론이요 각 사람에게 각기 다른 본성을 부여했다.’고 주장함으로써 인물성이론의 논리를 더욱 강화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윤행임의 이러한 강화된 ‘인물성이론’은 본성 사이의 동일성을 어디에서 확보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윤행임은 각기 다른 기질의 본성에 본연의 측면이 있다고 여겼는데, 이는 역설적으로 이간(李柬)의 인물성동론(同論)과 유사했다. 정조는 한원진의 설을 비교적 충실하게 이어받아, 하늘이 사람과 사물에게 동일한 본연의 본성을 고르게 나누어 주었으나, 사물의 기가 치우쳐서 그것을 온전히 받지 못했기 때문에 사람과 사물 사이에 본성적 차이가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정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의 측면에서 본성을 바라보아야 함을 강조하면서 리와 본성 사이에 존재론적 위계 차이를 두면서도, 기질의 본성을 보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로부터 기질의 본성과 리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정조는 주나라의 “오서(五瑞)” 제도를 비유로 활용하여, 다양한 본성의 척도이자 기준의 역할을 하는 ‘리’ 개념을 제시하고 그 대리자로서 군주인 자신의 역할을 부각했다. 이는 경서의 해석에 있어, 해석자가 놓여 있는 정치적 지평, 곧 정치적 문화가 경전 해석과 당대의 철학적 담론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흥미로운 사례이다. This paper, using Zengjeonchurok(曾傳秋錄) as the main analysis text, sought to examine how the 18th century Joseon s ideological discourses and political cultures influenced King Jeongjo(正祖) and Yoon Haeng-im(尹行恁) s interpretation of Daehakjanggu(大學章句). In the interpretation of Daehakjanggu, the core subject of the discussions between the two was the theory of nature presented by Zhu Xi in the preface of it. Yoon Haeng-im sought to find evidences in the preface to Daehakjanggu to support the claim that ‘human’s nature and object’s nature are different,’ and went a step further by claiming that ‘the Heaven had given different natures to human and things from the beginning.’ However, his arguments raises the question of where to secure the equality between nature. Therefore, Yoon Haeng-im considered that there was an original nature(本然之性) inherent in the each other s material natures(氣質之性), which resembled Lee Gan(李柬) s theory of human nature. King Jeongjo inherited Han Won-jin(韓元震) s theory and said that although heaven evenly distributed the same original nature to people and things, there was a differences between people’s and objects’ natures because they were not fully received due to their biased material forces(氣). Furthermore, King Jeongjo went a step further and regarded the original nature as material forces. He placed the existential hierarchy difference between Principle(理) and Nature(性), while showing the importance of the diversity of material natures(氣質之性) as it is. However, the question of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material natures can be raised. King Jeongjo used the Zhu Dynasty’s class system as a metaphor, presenting the concept of Li which serves as a measure of various nature and standard, and highlighting his role as the monarch and as Li’s agent. This is one interesting exampl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showing that the political horizon in which the interpreter lies, or political culture,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and the philosophical debate of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