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전망

        김종미(Kim Jong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이루어진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의 시금석을 삼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중국에서 중국어 교육은 중문과에 속하는 전통적인 중국어 교육 계열과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계열의 두 갈래로 양분된다. 중국에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대외한어교육,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혹은 국제 중국이 교육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1950년대 형성되어 1980년대 이후 크게 발전하였는데 이 시기의 특징은 하나의 새로운 학문 분과로 정착했다는 점과, ‘국가 대외한어교학 영도소조 판공실’이 결성되어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지도를 받았다는 점이다. 현재 중국 110여개 중점대학에 대외한어전공이 개설되어 있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교육기관은 북경대학과 북경언문화대학이다. 양교 모두 석ㆍ박사 과정이 있고 각각 HSK, BCT 국가고사를 개발하여 명성이 높다. 양교 석사학위 교과과정 및 2007년 새롭게 확정한 “국제중국어교사표준”의 분석을 통해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 교사가 되기 위해서 “제2언어 습득론”과 “문화 상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중시하며, 중국의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은 영어 TESOL의 방향을 따라 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도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이화여대에서 개발한 “EPTeCSOL(Ewha-Peking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과정이 효과적인 중국어 교육의 한 모델이 될 것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how China established Chines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how this education system was developing. Through this analysis,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can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education system and can use it as basis. In China,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s also called as Educating Chineseasa Second Language or The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for Foreigners.<BR>  As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this program initiated in 1950’s and after 1980’s it began to accelerate its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period was that this foreign language began to settle down as its own separate educational program and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Office of Chinese Language Council International’ and therefore, began to receive financial assistances from the government.<BR>  Currently, about 110 universities around China have created this program ‘Teaching Chinese to Foreigners’. Among these universities, the most influential universities are Beijing University and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Both Universities have bachelor and master programs and also they are wellknown for creating National Chinese Tests such as HSK and BCT.<BR>  These universities’ master programs and newly structured 2007’s “Standards for Teachers of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mphasizes how important it is for teachers who instruct Chinese to foreigners to understand and apply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Inter Cultural Communication”. As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 education is improving as it follows the footstep of English TESOL.<BR>  This trend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for Chinese education in Korea to follow this new education system. Recently, Ewha University established EPTeCSOL(Ewha-Peking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which visions the effective and standard teaching Chinese program in Korea in near future.

      • KCI등재

        对当前汉语国际教育人才规划与培养的反思

        위혜평,문대일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5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38

        In recent ten years, Confucius College has been leading the trend of Chinese learning in every country, but Chinese teaching and training pattern of current programis still in the exploration stage. People who enroll in the interview of selecting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teacher and are finally hired as oversea Chinese teaching staff, in recent years, are more diverse, concerning their professional background. The positive effect of this phenomena is the diversity of the knowledge fields, while on the other hand, its negative effect lies in the insufficiency of the language teaching ability and the relatively superficial understanding towards language and culture dissemination of Chinese language as well. In view of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n a rational overall program for international Chinese teachers, offering them furth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ability. Namely, to add optional courses and carry on different types of training program so as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met in the real process of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 orientation and career planning awareness. A series of effective measuresshould be taken in many aspects, such as the selection of personnel, training objectives, occupation development and so on. The brief measuresare the following: Firstly, to train teachers who have real international vision, and deep understanding of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Chinese culture. To establish a training mode with “行” as the guide, and having “理,知,行” merging and complementing each other. To referentially encourage and guide students and young teachers who major in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Chinese teaching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 and Chinese Culture, English or other foreign languages and Education to enter the area of international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Secondly, other specialized personnel should also be encouragedto enter this oversea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culture dissemination area, such as art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alligraphy, martial arts and so on. Generally,fixedcurriculum system andlarge-classroom teaching methodsare employed in the current training mode for teachers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This approach ignoresthe professional background differences, inevitably lacking inproper classification. The suggestion is that more optional courses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different professional backgrounds, different countries which the teachers are going to, different demandsand so on, so as toprovide a more reasonable curriculum and growth pathfor Chinese and foreign young peoplein this field. Then teachers training quality will be effectively promoted, achieving a more long-term career development of teachers.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사회의 언어 전환

        한성우 ( Han Sung-wo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본고는 최근에 중국 조선족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급격한 언어 전환 양상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족은 오랜 기간 동안 ‘조선어’를 모국어로 간직해 왔으나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이후 조선어가 점차 쇠퇴해 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의 언어 정체성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범 한국어’ 차원에서의 대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 조선족을 대상으로 언어 의식, 언어 능력, 언어 사용 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식, 능력, 사용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젊은 세대일수록 조선어 대신 중국어 쪽으로 기우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선족에 대한 언어 교육과 정책은 ‘민족어’가 아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recent language change of 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and to propose the measures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have long been cherished Joseoneo(a branch of Korean language spoken by 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as their mother tongue. However, Joseoneo has begun to decline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and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ing patterns of language identity and proposes schemes to solve this problem. Based on questionnaire this paper makes an analysis their language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language use. As a result, younger generation prefer Chinese than Joseoneo in language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language use. Thus the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for 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should focus on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an ‘Korean Language as a ethnic language’.

      • KCI등재

        한국의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중국의 <국제중문교육 중문수평등급표준>의 내용 체계와 숙달도 기준 비교 연구

        유나,강남욱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2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1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 exampl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framework and proficiency-criteria grading system were compared and studied in 'National Standard' documents. Around 2020, official documents for the standards and references of various maj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have been newly enacted or revised. Korea announced the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in 2020 and China announced the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2021 at the government level. It can be evalua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s have taken a step forward based on their growth.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the enactment of documents from both countries and the flow of development were examined, and then the content-framework, proficiency-criteria grading, and overall goal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docume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intended point in the policy of dissemination and spread of language promoted by both count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edu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roficiency scales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comparability and compatibility. On the one hand, it was suggested that a comparative study is needed to link with standardized general-purpose foreign language reference standards such as CEFR, ACTFL, and CSE in the future. 이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자국어 교육으로서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상으로 삼아 국가 표준 단위의 교육과정으로서 언어 교수의 내용 체계와 숙달도 등급 체계를 비교 연구하였다. 2020년을 전후하여 세계 여러 주요 외국어 교육의 기준과 참조를 위한 공식 문건들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개정되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20년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중국은 2021년 ‘국제중어중문 중문수평등급표준’을 정부 차원에서 고시하였으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중국어 교육이 그간의 성장을 발판으로 삼아 한 단계 더 도약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양국의 교육과정이 고시된 배경과 개발의 흐름을 살펴본 다음 이어서 양자의 내용 체계와 숙달도 등급 체계, 총괄 목표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자국어 보급과 확산 정책에 있어 의도하고 있는 지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통번역 교육의 도입, 비교가능성과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숙달 척도의 계량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 향후 CEFR, ACTFL, CSE와 같은 표준화된 범용 외국어 참조 기준과의 연계를 위한 비교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력 신장 연구(I) - 한국어 漢字 및 漢字語를 중심으로 -

        박덕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9 언어와 문화 Vol.5 No.1

        Park, Deokyu. 2009. A Study on the Extension of Vocabulary Skills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The Language and Culture 5-1: 85-103. Recently,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rowing more and more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now, it needs to seek an efficient education method.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education is on the rise because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to study Korean is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education method about those of more than 40% Chinese Characters in university Korean books being used in present will be urgently needed. I propose to teach non-chinese cultural learners(especially,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to educate them more efficiently. There is no doubt to teach Chinese Characters, but we need to think about how many words will teach and how to teach the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ituation of each principal nat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Chinese students consist of 76% foreign students to study Korean. They understand almost Chinese Characters words used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 following studies to make a list of Chinese Characters not in Chinese but in Korean. This study makes a 122 words list of Chinese Characters being only in Korean language books and classifies them. Furthermore, presents an education method for Chinese learners. So, this study present essential Chinese Characters after researching which words is used frequently in proper time. (Inha University)

      • KCI등재

        미국의 중국어 교육 발전 과정과 특징에 관한 소고 -정책과 현황을 중심으로-

        이은화 영남중국어문학회 2020 중국어문학 Vol.0 No.83

        The international status and power of a country’s language may change, so that this global age has witnessed many changes occur in the international language environment. It is about time to check and reapprais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amid these changes. As all countries have different national sentiments and development backgrounds, their foreign language policies differ from one another. Nevertheless, since the foreign language policy changes and develop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lans or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society, research on other countries’ Chinese language education policies can provide good references and criteria for revaluating Korea’s Chinese language policy.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ba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curr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the U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how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the U.S. has been provided under the foreign language policies towards China, which is in a trade war with the U.S., whose first language is the most influential global language.

      • KCI등재

        중국 동북3성 지역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방향성 - 민족어로서의 조선어교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지윤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8 No.-

        I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Chosonjok*, the ethnic group of Koreans living in China has begun to teach Chinese Choson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due to the frequent use of North Korean as a standard language after their migration and settlement. However, as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creased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the Korean language was introduced as a foreign language to Chosonjok.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Chinese Choson language is taught to spread the awareness of national identity of Chosonjok. In universitie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Korean language is taught to learners with great interest in South Korea that mostly comes from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or hope for either studying abroad or getting a job. As both Chinese Choso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re taught without learners kn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need of dire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is getting more stressed to appease the uncertainty. First, in order to spread the awareness of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further more specialized faculty members are needed to develop programs for learners who face difficulties in learning process. Textbooks should also be focused on contents that are featured in real life for learner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Choson language. Last but not least,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offer Korean courses as a second language in middle and high schools, revise the name of university department from ‘Choson Language Department’ to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expand job opportunities for foreigners in Korea for the progr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동북3성에서는 조선인들이 동북 지역으로 이주해서 정착한 이후 북한어의 규범을 기준으로 삼게 되면서 민족어로서의 조선어교육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교류하게 되면서 한국어가 유입되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도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에 현재는 조선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이 모두 공존하고 있다.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을 위한 조선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교와 비정규 교육 기관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학습자들이 한국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유학 및 취업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여 대부분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두 교육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지만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규범에 있어 서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지 못한다면 일상생활에서 한국어를 사용할 때 혼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교육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선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전문 지식을 갖춘 교수진을 활성화하여야 하며 조선어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이 한국과의 교류 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이와 관련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하고 조선어와 한국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중·고등학교에서의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과목 개설, 대학교 학과 명칭을 ‘조선어학과’에서 ‘한국어학과’로 변경, 한국어 학습자들의 취업 기회 확대화 등 지속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해 각각의 정부를 통한 지원이 필요한 부분도 제시하였다.

      •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장향실(Hyang sil Chang)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8 국제한국어교육 Vol.4 No.1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 중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국어 중 가장 중시된 언어가 중국어였기에, 중국어 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당시 외국어 교육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조선은 ‘사대교린’의 외교 정책을 폈기에 외국어를 통역할 통역관이 필요하였고, 이 때문에 사역원을 설치하여 외국어 교육 및 통역을 관장하게 하였다. 조선의 사역원에서 이루어진 외국어 교육은 특수 목적, 즉 통역을 전문으로 하는 역관(譯官) 양성이라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당시 외국어 교육의 모든 면모를 살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조선에서 공교육으로 실시된 대표적인 외국어 교육이었기에 사역원의 외국어 교육을 살피는 것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이루어진 중국어 교육을 통해 당시 중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역과 시험을 통해 당시 교육의 목표를 분석해 보았다. 역과의 평가 영역은 강서(講書), 사자(寫字), 역어(譯語)였는데, 이를 통해 사역원의 교육 목표를 세 가지로 도출해 낼 수 있다. 첫째는 고문(古文) 읽기능력과 유학의 기초 소양을 기르는 것, 둘째는 중국어 구어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셋째는 번역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당시 과시에 채택된 책, 그리고 실록에 가장 많이 언급된 역학 교재 중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교육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폈다. 『노걸대』, 『박통사』, 『직해소학』, 『오륜전비』가 대표적 회화 교재인데, 이 교재들을 통해 무역 업무 수행하기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하기, 유교의 내용이나 표현을 구어체로 이해하고 표현하기와 같은 기능을 학습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역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하기, 유교의 내용이나 표현을 구어체로 이해하고 표현하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역관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내용을 고려하여 교재를 채택한 것이다. (상지대학교)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Joseon dynasty. Chinese is the most important foreign language in Joseon dynasty. Research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could be the proper example for research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The principle of foreign policy is the submission to the stronger and good-neighbor relations(事大交隣) in Joseon dynasty. For this foreign policy, there was the institution named Sayeokwon(司譯院) for training and selecting official interpreters(譯官).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 contents in Sayoekwon did not give whole informations concerning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it could be the proper case study for researching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Joseon dynasty. The examination for official interpreters was consisted of the reading and explanation(講書), writing(寫字), and translation(譯語). These kinds of test explained why the examination constructed. As follows; the ability to read the archaic texts and well-grounded in Confucianism. The ability of Chinese colloquial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ability to translate Chinese into Korean or Korean into Chinese. And texts for education were the Four Books like Nogeoldae(老乞大), Baktongsa(朴通事), Oryunjeonbi(五倫全備), and Jikhaesohak(直解小學). These books were useful for developing conversational abilities for daily and social conversation and dialogues about trading and Confucian values. (Sangji University)

      • KCI등재

        중․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개선 방안 - 경기도 교육을 중심으로 -

        조항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3

        In terms of exports, Korea exports the bulk of its products to China. Economically, this is very important for our nation's development. Therefore, learning Chinese is not really a choice but rather a required subject for obvious reasons. More than 97 middle schools and 290 high schools offer courses in Chinese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in Gyeonggi Provi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generally do very well when it comes to learning Chinese. They excel more in Chinese compared to other foreign languages. However, after these students enter High School, their drive to study Chinese diminishes significantly. Most High School students do not have to participate in a second foreign language test. The problem is that the college entrance Chinese exam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published the liberalization of school curriculum. This policy is expected to affect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at second foreign language classes will decrease in the future. We must find a way to improve Chinese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satisfy student's requirements, we need to use more various Chinese textbooks and materials. It is also necessary to refocus on the importance of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한국의 제1 수출국, 외환 보유고 세계 1위인 중국은 우리나라의 국가발전에 너무나 중요한 국가 이기에 이제 우리에게 중국어 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그래서 현재 경기도에서는 97 개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에서는 290여개(79%)의 학교에서 중국어를 채택하고 있고, 3개의 공립 외고에서 중국어전공반이 개설되어 있다. 중학교에서 중국어를 선택한 학생들의 중국어에 대한 흥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고 등학교 진학 후 대학 입시에서 제2외국어의 역할이 거의 없고, 대입수능에서 중국어 영역에 응시한 학생 수가 적다 보니, 대입수능 위주로 학습을 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중국어는 점점 흥미도 떨어지 고, 심지어 중국어 수업이 자율학습으로 대치되기도 한다. 2010년부터 학교장에 의해 20% 범위 내 에서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증감․운영하게 되면 중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위협받을 수 있다. 중국어 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 첫째, 대학 신입생 선발 시 최소한 인문사회 계열에서는 제2외 국어 점수를 필수적으로 반영하는 획기적인 제도가 필요하다. 둘째, 언어 교육에 있어 연속성이 이 루어지도록 중국어 교과 과정을 중3, 고1, 고2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재편성이 필요하 다. 셋째, 다양한 학습 교재 및 보조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경시대회를 통한 중국어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 및 국가 발전을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중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이관규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1

        This paper focuses on current problems of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n usage. Basically human is social animal, and uses language as instrument of thought expression. So we can explore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and society. It is said that we use too many foreign language, especially english. That is to say, language environments of us, so to, government, vast area city, university, signboard etc. are enveloped with english. Now there's no criteria of pronouncement and mark method. I suggest that we should follow original sound in western language and present sound in oriental language, for pronouncement and mark method. It is why western language is not ours, and oriental language, especially chinese language is part of ours, that is to say, korean chinese. Practically china and japan have their own chinese, and use their own chinese language. Also I suggest it is necessary to have mark method of foreign language. It is why loan language is not foreign language in mark method. It is originated from this: language reflects human and society. 이 논문은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는 목적을 가지는데, 특히 한자어 표기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사고 표현의 도구로 언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인간 및 사회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언어를 살피는 것이다. 21세기 우리의 언어 환경은 외국어, 특히 영어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정부, 광역시, 대학 등 할 것 없이 주변이 영어라고 하는 외국어에 둘러싸여 있다. 영문(로마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한글로 쓰여 있다고 하더라도 일정한 기준 없이 제멋대로의 발음과 표기가 횡횡하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는 발음과 표기에서 서양어는 원지음을 따르고 동양어는 현지음을 따르는 것을 제안한다. 서양어는 우리에게 없는 것이니 그쪽에 맞추면 될 것이고, 동양어는 우리가 한국 한자와 한자음을 갖고 있으니 우리 쪽에 맞추면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이다. 실제로 같은 동양권에 속한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자국의 한자와 한자음으로 발음하고 표기를 한다. 우리가 굳이 중국과 일본에 맞출 필요가 없다. 또한 현재 있는 외래어 표기법은 국어의 한 종류를 표기하는 방법일진대, 수시로 등장하고 있는 외국어를 표기할 수 있는 기준으로 외국어 표기법의 도입도 필요할 것이다. 이런 주장의 근거는 기본적으로 언어는 우리의 사회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