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Culture Education in KFL

        Hye-Sook Wang(왕혜숙)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1

        본 논문에 서는 현재 미국대학에서 1학년 (초급)과 2학년 (중급)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여 한국어수업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 교수 사이에 간극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간극의 원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ACTFL에서 개발한 ‘미국 국가 외국어 학습표준’을 바탕으로 AATK가 개발, 출판한 ‘학습표준에 기반을 둔 대학한국어 교과 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대체로 한국어수업에서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교과서에 제시 되고 있는 ‘문화노트’를 비교적 충실히 수업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표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3P (산물 products, 관행 practices, 관점 perspectives)의 상호연관성이나 학습자들의 상호문화능력 향상의 관점에서 볼 때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 사이에는 간극이 있었으며 언어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현 교과과정과 시간 부족, 적절한 교재 부족 등이 문화교육의 큰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교수요목’의 적극적인 사용과 교사교육 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조사 사용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정주리(Ju ri Jeong),유해준(Hae jun Yoo)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8 국제한국어교육 Vol.4 No.1

        본 논문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작문과정에서 보이는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초급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문법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중 이번 연구는 학습자의 조사(助詞) 사용 오류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한국어의 문법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문법 요소인데, 외국인 학습자의 학습과정에서는 가장 많이 오류가 나타나는 범주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조사의 오류 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고찰하였고 외국인 학습자의 모국어의 문법특징을 고찰함으로써 두 언어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는 A 대학교 한국어능력 초급 수준의 학생 21명의 작문과제를 대상으로 조사의 오류 빈도를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개별 조사에 대해서 오류가 발생한 선·후행 요소와 문맥 등을 관찰하고 그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조사의 오류는 유형별로는 누락, 첨가, 대치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또 오류가 발생한 원인은 모국어의 전이, 과잉 일반화, 단순화, 과잉 적용, 회피의 다섯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오류 중 누락의 오류는 조사의 정확한 사용법을 알지 못할 때 회피해버림으로써 발생하는 경우와 모국어의 전이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첨가의 오류는 과잉 적용과 모국어의 전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실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편적으로 범하는 오류들은 대부분 조사의 기본적인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문맥 속에서 적절한 사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들이었다. 따라서 조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지식적인 교육보다는 전체 맥락 속에서 조사의 의미를 제시하고 활용하는 연습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어 학습자들만이 범하는 특수한 오류는 한국어의 발음과 관련되는 것이 많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사들은 문법 교육시 발음 교육의 중요성도 염두에 두고 가르쳐야 함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로는 학습자의 모국어에 따라 발생하는 개별적 오류들은 학습자의 모국어와의 대조분석을 통해 예측이 가능한 오류들이므로 한국어 교사들은 학습자의 언어와 한국어의 언어 간 차이점과 유사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지도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동서울대학교, 남부대학교) This paper is aimed at providing a way to enhance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based on the analysis of grammatical errors made during the Korean composition process. Among them, this study covered the use of research errors among grammar mistakes presented in learners compositions. Postposition is the most grammatical element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making it the most common category of error in the learning process of foreign learners of Korean. The study examined the error cases in the survey by type, and also investigated and present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learners native language. The study looked at the frequency of the survey s errors in writing tasks for 21 Korean students with a second level of proficiency at A University. Individual surveys were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uses of the errors, such as the leading and trailing elements, and the context. The errors in the investig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 omission, addition, and confrontation. The cause of the error could also be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 transference, overgeneralization, simplification, overoperation and avoidance of the native language. Most of the errors that were missing from the learners errors were caused by dodging when the exact usage of the survey was not known, and mistakes in the checking and the overinformation of the native tongue were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a few things that are applicable in the classroom field where Korean is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Most of the errors Korean language learners make commonly are not ones that fail to grasp the basic meaning of postposition, but ones that are caused by not knowing the proper usage in the context. Consequently, rather than having a knowledge education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postposition, it is necessary to practice presenting and using the meaning of postposition in its entirety. Secondly, the special errors only Korean learners make are a lot to do with the pronunciation of Korean. Therefore, Korean teachers should also keep in mind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grammar education. Third, the individual errors associated with a learner s native language are foreseeable errors from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learner s native language. Consequently,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Korean teachers to focu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learners languages and the Korean language. (Dong Seoul University, Nambu University)

      • Korean-American Diaspora Households

        Soohee Ki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지속되는 한류의 위세로 한국정부와 한국어교육 학계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인기상승을 구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 LA 지역은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증가 추세에 있고, 미국 현대어문학협회 2009년 통계 보고에 따르면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수도 계속 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세계화의 목적달성에 근접했지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는 연구 대상에서 뒷전이 되어 각 가정 내에서 한국어가 사라지고 있는 현실조차 도외시되고 있다. 국차원에서 이중어 구사자를 양성하고자 하는 미 정부와 협력, 이십여 년 전부터 미 학계에서 ‘계승어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계승어 소실을 당연시하는 교육정책 및 이중언어 사용자를 냉대하는 사회의 전반적 분위기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이민 자녀가 소수민족, 언어 차별을 내재화하여 가정 내에서도 부모와 한국어 사용하기를 거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본고에서는 이민 자녀가 건강한 정체성을 가 지고 부모와 소통하며 능력 있는 이중어 구사자로 미국 사회의 일원이될 수 있도록, 영어에 능숙하지 않은 부모는 자녀를 위해 이민 초기부터 구체적인 가족 언어계획을 준비하고, 영어에 능숙한 부모도 가정을 ‘언어의 보금자리’로 지정해 자녀에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를 되찾아줄 방법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학교는 부차적인 교육기관으로서 그 기능을 다 해야 하고, 가정이 한국어 계승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불어, 이민 부모가 자신의 언어를 자녀에게 수월히 계승해주기 위해서는 한국정부가 주도하는 전적인 교육계몽이 있어야 한다. 한국 내에서부터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수용적이고 고무적인 내용을 교과과정에 포함해 한국민을 교육하는 한편 미국 이민자들에게 이중언어 자녀육성에 대한 교육 정보를 널리 전파해야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가 소생할것이다

      • Ideologi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Lucien Brown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6 국제한국어교육 Vol.2 No.2

        이 논문은 두 시리즈의 현행 한국어 교과서: 한국에서 출판된 서강 한국어 , 미국에서 출판된 교과서 Integrated Korean에 나타나는 한국어 교육의 이데올로기를 비평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를 통해 심도 있게 분석한다. 본 논문을 통해 두 교과서가 한국어, 한국 문화, 한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사회적 위치 등을 어떻게 표현해내는가를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분석 항목은 다음과 같다: 교과서 대화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별과 인종, 다른 성별과 인종을 가진 인물들이 대화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정도, 인물들의 존댓말, 반말 사용의 형태, 교과서에 실린 문화 노트(cultural notes)에 나오는 다양한 문화적인 요소. 본 논문은 또한 교과서 대화문의 내용과 문화 노트의 내용 사이에 존재하는 충돌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교과서 대화문은 한국을 다양한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져서 살아가는 환경을 가진 곳이라고 표현하는 반면, 교과서 문화 노트는 한국의 단일 문화주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자들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며 끝을 맺는다.

      • 한국인에 의한 최초의 중국어 회화서 『박통사 』에 반영된 문화 교육적 요소

        김양진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이 논문은 14세기말 고려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어 회화서 朴通事가 가지는 문화 교육적 측면의 선구적 양상을 소개함으로써 한국의 외국어 교육 방법론에 이미 이러한 수준 높은 일면이 있었음을 강조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어 회화서 朴通事는 단순한 이중언어 교재나 외국어 학습서라기보다는 원나라 대도에서의 생활을 전제로 하는 제2언어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교재의 성격이 강하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현대의 한국어 교육론에서 거론되는 제2 언어 습득이 문화 교육 위주로 논의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朴通事의 내용이 중세와 근대 시기의 한국어로 전면적으로 번역되어서 중국어 회화 서로서의 성격을 넘어서 중국어 화자들이 한국어를 습득할 때 필요한 교재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최초의 한국어 회화서 교재로서의면모를 띠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朴通事에 반영된 문화 교육적 요소에 대한 분석은 이러한 측면에서도 한국어 교육과 연결되는 고리를 지니고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2), 113-148. Baktongsa(朴通事) is a foreign language study book that was assumed to be written by a person in Korea dynasty. This study is to emphasize foreign language education reached to a certain high level in that era introducing culture educational aspects of Baktongsa. A chinese language study book, Baktongsa was not only a foreign language study book, but also a culture introduction guide book based on daily life in Won country. With a secondary language aquisition and bilingual aquisition, the culture educational elements are also research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Baktongsa was also a Korean language study book to Chinese speakers.

      • In-Country Language Immers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cultural Competence

        Wai Meng Chan,Seo Won Chi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외국어교육은 학습자의 상이문화간 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이 대상 언어 국가에서 외국어 교육과정 연장선으로 교실밖 활동으로 구성된 것이 몰입교육이다. 몰입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대상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상이문화간 능력을 개발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몰입 교육은 학 습자들에게 대상 국가의 사회문화 관습을 체험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하는 기회를 제시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학습자들은 대상국가의 사회관습을 단지 관찰하는 관찰자의 역할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구성인들과 소통하면서 사회의 일원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단기 몰입교육이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상이문화간 능 력 개발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 는 양적, 질적 데이터를 가지고 조사했다. 자료는 학습자들이 몰입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과 후로 실시한 설문 조사, 몰입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습자들이 쓴 일지, 학습자와의 인터뷰, 연구자자의 몰입 교육 수업 참관 일지 및 몰입교육 프로그램의 활동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연구 자료는 Byram (1997)의 상이문화간 숙달도 모델, Lave and Wenger (1991)의 상황학습이론(SLT)와 합법적인 주변인으로 공동체 참여 개념 (LPP)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단기 몰입교육이 학습자들의 문화인식과 상이문화간 능력을 배양할수 있도록 하는 지식, 태도, 기술개발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능력 개발은 학습자들이 대상 사회속에서도 주변인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존 구성원들과 소 통을 하고 공동체에 일원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동기와 의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2), 1-37. Foreign language education can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one’s intercultural competence. In-country language immersion, a common out-of-class component and extension of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can make a telling contribution in this respect, as it takes learners to the target language country for a first-hand experience of its culture. It affords learners opportunities to explore and discover aspects of the country’s sociocultural practices. In fact, learners will be put in the position not only to observe these practices, but also to partake in them and to interact with members of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This article focuses on a study of the impact of short-term in-country language immersion on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of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post-immersion questionnaires, journals, interviews, lesson and activity observations, and document inspection. The data were analysed based mainly on Byram’s (1997) model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Lave and Wenger’s (1991)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notion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he study arrived at the finding that short-term in-country immersion can benefit learners in the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for the cultivation of critical cultural awarenes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Such development is often precipitated by learner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but is dependent on their motivation and willingness to take up such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 한국어교육에서의 『훈민정음』 해례본 활용 방안 연구

        김유범(Yu pum Ki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8 국제한국어교육 Vol.4 No.1

        이 논문은 한글의 출발이 되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훈민정음』 해례본은 국어와 한글의 역사를 고찰하기 위한 자료로만 생각해 왔으나, 『훈민정음』 해례본이 지닌 구조적인 특징과 각 부분에 담긴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면 이 자료가 한국어교육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필자는 한국어교육과 관련해 『훈민정음』 해례본이 지닌 교육적 활용 요소들을 찾아내어 이를 실제적으로 한국어교육에 활용해 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먼저 <예의>로부터 <정인지 서문>에 이르기까지 『훈민정음』 해례본에 실린 내용들 중 8가지 정도의 교육적 활용 요소를 언급했다. 그리고 한글의 음가 제시 방법부터 한글 학습에 대한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실제적으로 이들 활용 요소를 구체적인 교육 내용으로 구현해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고려대학교)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o use Hun-min-jeong-eum with Hae-rye(explanation and examples)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meantime, it has been thought only as a material to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and Korean alphabet Hangeul, but if you look at the structural features of Hun-min-jeong-eum with Hae-rye and its specific contents, this material can be usefu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tried to search for the way to find out the educational usage factors of Hun-min-jeong-eum with Hae-rye and to apply it practical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 mentioned about 8 kinds of educational utilization factors among the contents in Hun-min-jeong-eum with Hae-rye. In addition to this, I suggested the ways to implement these factors in concrete contents from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sound of Hangeul to the story of Hangeul learning. (Korea University)

      •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장향실(Hyang sil Chang)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8 국제한국어교육 Vol.4 No.1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 중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국어 중 가장 중시된 언어가 중국어였기에, 중국어 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당시 외국어 교육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조선은 ‘사대교린’의 외교 정책을 폈기에 외국어를 통역할 통역관이 필요하였고, 이 때문에 사역원을 설치하여 외국어 교육 및 통역을 관장하게 하였다. 조선의 사역원에서 이루어진 외국어 교육은 특수 목적, 즉 통역을 전문으로 하는 역관(譯官) 양성이라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당시 외국어 교육의 모든 면모를 살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조선에서 공교육으로 실시된 대표적인 외국어 교육이었기에 사역원의 외국어 교육을 살피는 것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이루어진 중국어 교육을 통해 당시 중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역과 시험을 통해 당시 교육의 목표를 분석해 보았다. 역과의 평가 영역은 강서(講書), 사자(寫字), 역어(譯語)였는데, 이를 통해 사역원의 교육 목표를 세 가지로 도출해 낼 수 있다. 첫째는 고문(古文) 읽기능력과 유학의 기초 소양을 기르는 것, 둘째는 중국어 구어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셋째는 번역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당시 과시에 채택된 책, 그리고 실록에 가장 많이 언급된 역학 교재 중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교육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폈다. 『노걸대』, 『박통사』, 『직해소학』, 『오륜전비』가 대표적 회화 교재인데, 이 교재들을 통해 무역 업무 수행하기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하기, 유교의 내용이나 표현을 구어체로 이해하고 표현하기와 같은 기능을 학습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역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하기, 유교의 내용이나 표현을 구어체로 이해하고 표현하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역관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내용을 고려하여 교재를 채택한 것이다. (상지대학교)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Joseon dynasty. Chinese is the most important foreign language in Joseon dynasty. Research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could be the proper example for research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The principle of foreign policy is the submission to the stronger and good-neighbor relations(事大交隣) in Joseon dynasty. For this foreign policy, there was the institution named Sayeokwon(司譯院) for training and selecting official interpreters(譯官).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 contents in Sayoekwon did not give whole informations concerning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it could be the proper case study for researching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Joseon dynasty. The examination for official interpreters was consisted of the reading and explanation(講書), writing(寫字), and translation(譯語). These kinds of test explained why the examination constructed. As follows; the ability to read the archaic texts and well-grounded in Confucianism. The ability of Chinese colloquial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ability to translate Chinese into Korean or Korean into Chinese. And texts for education were the Four Books like Nogeoldae(老乞大), Baktongsa(朴通事), Oryunjeonbi(五倫全備), and Jikhaesohak(直解小學). These books were useful for developing conversational abilities for daily and social conversation and dialogues about trading and Confucian values. (Sangji University)

      •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정재훈(Jae-Hoon Jung)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5 국제한국어교육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a) to examine and identify Korean language and studies programs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b) to investigate the current language policies and strategies of Australian governments from Korean educator’s point of views, and c)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or Korean programs in Australia. In doing so, this paper examines Australian language policies and strategies “in the Asian Century”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to Korean programs in Australia. It also provides the current statistics of Korean programs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as of the year of 2015, which include enrollments of students, Korean courses offered, the issues of fostering Korean teachers, various kinds of Korean programs for different stake-holders, Korean programs of the universities, and so 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upmost task for Korean programs in Australian schools is to put Korean back on the list of Priority Asian Languages of Austral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