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패러디 시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주재환 ( Ju Jae-hwa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의 다양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패러디 시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패러디 시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한국어 지식과 언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맥락의 텍스트를 접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문학 텍스트를 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패러디 시를 활용하면 원텍스트와 패러디 텍스트를 상호 맥락의 단절 없이 자연스럽게 접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텍스트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패러디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 어휘와 문법,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러디 시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의의를 검토하고,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여 교수 학습 모형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패러디 시를 활용하면 창작에 대한 부담을 가볍게 해주고 학습자들의 동기를 쉽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언어 능력과 더불어 문화 능력과 문학 능력을 자연스럽게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parody poems in various methodological aspects of literary education.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parody poetry is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and language performance and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Korean culture. This will allow learners to develop a higher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To achieve these goals, learners must have access to various literary texts. Using parody poetry, original text and parody text are naturally exposed to each other without interconnections. It will also be able to expand not only to understand original text, but also to Korean vocabulary, expressions and grammar through parody tex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parody poetry, selected the target text and presented the teaching learning model and method. The advantage of parody poetry is that it makes the burden of creation lighter and can easily induce learners' motivation, making it easier to apply on the educational scene. This method is expected to allow learners to naturally enhance their cultural and literary 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skills in Kore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범궁도김초관전(梵宮陶金哨官傳)>의 내용과 불교계 가전의 형식 답습 양상 고찰

        한승훈 ( Han Seung-hoo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7 No.-

        <범궁도김초관전>은 관북지역 문인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제작된 『관북시선』에 수록되어 있는 가전 작품이다. 작가인 주목은 평소 불교에 관심을 가졌던 인물로 그 관심은 자연스럽게 `불교계 가전`의 창작으로 이어졌다. `그릇`을 입전하여 두 인물을 내세워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였던 것이다. 입전 대상인 `준`과 `항`의 선계를 소개하고 본격적인 사적 부분에서는 불교계 가전의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여 그 둘과 오유자와의 문답을 통해 처세에 대한 이야기 하였다. 이는 유학자로서의 자신의 위치에 대한 자각의 결과물이 아닐까 싶다. 때문에 다른 불교계 작품인 <죽존자전>, <빙도자전>, <정시자전>과 비교를 통해 나름 분석을 진행하였다. 비록 다른 가전에 비하여 주인공의 능력이나 정치적인 행보의 서술이 미약한 축에 속하지만 대신 인물간의 대화와 시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드러냈다. 이는 조선시대 때 창작된 가전 작품으로 고려 때 창작된 불교계 가전을 답습하였지만 나름의 변형을 시도한 작품이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은 고려시대 이후 끊겼던 불교계 가전의 명맥을 잇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Beomgungdochogwanjeon > is an electronic appliance written in 『Gwanbuk Anthology』, which is based on the works of the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The attention of the author was mainly interested in Buddhism,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the “Buddhist”. The dish was referred to as a bowl to describe the two figure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speak. He introduced the “jun” and “hang” and “oyuja” in detail in the private sector, and talked about the Confucian ideology of Confucius and Mencius. This might be a result of his perception of his position as a Confucian scholar. Because of this, other Buddhist artworks have been conducted through comparisons between < Jukjonjajoon >, < Bingdojeon >, < Jungsijajeon >. 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main character or political movement of the main household pales in comparison to the birok, he expressed his opinions through dialogue and poetry through dialogue between characters. It is said that it is a piece of work that was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translated into a traditional electronic appliance that changed the shape of existing electronic appliances. This is a significant piece of work, which is attributed to the existence of a Buddhist appliance that has existed since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후보

        박동진 창본 <장끼타령>의 복원과 판소리 콘텐츠의 확대

        이문성 ( Lee Moon-s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7 No.-

        <장끼타령>은 창(唱)을 잃어버린 일명, 실창(失唱) 판소리의 한 작품이다. 이것을 1970년대 판소리로서 복원(復元)한 것이 박동진(朴東鎭) 창본(唱本) <장끼타령>이다. 박동진 창본 <장끼타령>은 중심 서사(敍事)와 주요 사설(辭說)을 활자본(活字本) 『장끼전』에서 착안하고 판소리 장단(長短)을 엮어서 재구성한다. 박동진 창본 <장끼타령>은 기존 전승 서사와 사설을 소릿결에 맞춰서 변이·개작하고 사설에 걸맞은 세부 장단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박동진 창본은 기존 전승 서사와 사설을 변이·개작하는 데에 있어서 4음절과 4음보의 운율을 지향한다. 또한 사설과 장단을 엮는 데에 있어서 이면(裏面)의 조화를 중요시한다. 박동진 창본 <장끼타령>은 미시적 어휘의 변이, 쉽게 풀어 쓴 어구의 지향, 사설과 장단의 이면 추구, 흥겨운 마무리의 구음(口音) 활용 등의 특징적인 면모를 지닌다. 이것은 창자 박동진이 판소리 청중(聽衆)을 위해서 사설의 가청영역(可聽領域)을 넓히고, 사설과 창의 소릿결을 살려서 판소리 공연에 생기를 더하기 위한 일련의 의도라고 할만하다. 이처럼 박동진 창본 <장끼타령>을 비롯한 일련의 복원 판소리는 창자박동진의 작사와 작곡의 예술가적 풍모를 드러내고 판소리 작법(作法)의한 사례를 제공한다. 박동진의 <장끼타령>은 판소리 콘텐츠의 외연(外延)을 재구(再構)하고 확대하는 현실적 노력의 일환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 Janggitaryeong > of Park Dongjin. < Janggitaryeong > is one of Pansori`s,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t is a performance that has the story of a pheasant cock which represents an obstinate male ego. This pheasant cock does not listen to an advice of his wife, a pheasant hen. And then he eats a poison bean to be dead. Park Dongjin remakes < Janggitaryeong > in 1970`s because original sound of < Janggitaryeong > is disappeared the end of 19th century. Therefore Park Dongjin mixes music of traditional Pansori and a novel of Jangggijeon for a restoration of Changbon < Janggitaryeong >. Park Dongjin focuses on a songwriting of < Janggitaryeong > for an audience in 1970`s. It is able to understand and enjoy for the audience. Therefore Park Dongjin makes music to be reasonable with lyrics and story to be easy to understand for the audience. As a result, This kind of songwriting of Park Dongjin is an important model of the restoration of Pansori. This is to expand the territory of Pansori and to get the popularity of the public.

      • KCI등재후보

        국어학 : "-ㅭ"의 몇 가지 기능에 대한 검토

        이희영 ( Hee Young Le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이 논문에서는 ‘-ㅭ’의 음운적 환경과 분포, 문법적 역할에 따른 몇 가지 기능을 정리하고 이와 관련한 일부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ㆆ’은 형태소의 결합에서 실현되는 형태음소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데, 경음화에 사용되었으며 이 경우 ‘ㅅ’과의 연관성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ㆆ’과 ‘ㅅ’은 음가의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있고, 관형형에 ‘-ㄽ’이 쓰인 점과 복합어에 ‘-ㅭ’이 쓰인 점으로 미루어보아 사용상의 교점이 있었으나 그 사용 분포의 집중도를 살펴보면 분명한 기능상의 차이가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관형형에 쓰인 ‘-ㅭ’은 음운적 환경 이외에 쓰인 ‘ㆆ’의 기능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단서이며 이를 바탕으로 ‘ㅅ’과의 차이점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관형형어미 ‘ㄴ’ 뒤에서는 ‘ㆆ’이 사용되지 않은 점도 눈여겨 볼 사항이다. This study is to check out several functions of ‘-ㅭ’ in middle Korean. For this research, phonological environments of ‘-ㅭ’, and its distributions are discussed. ‘ㆆ’ of ‘-ㅭ’ should be researched in morphophonemic respects, and it is used in some tensed consonants. In this case, ‘ㆆ’ has some similarities with ‘ㅅ’. In addtion, ‘ㆆ’and ‘ㅅ’ has similarities in respects of phone values. ‘-ㄽ’ is used in adnominal forms and complex words, so ‘-ㄽ’ and ‘-ㅭ’ are considered to have some functional relations. ‘-ㅭ’ that are used in adnominal forms seem to be a clue of functions of ‘ㆆ’, and based on that assumption, differences between ‘ㆆ’ and ‘ㅅ’ could be found out. No appearance of ‘ㆆ’ after adnominal ending of ‘ㄴ’ is to be pondered either.

      • KCI등재후보

        <순종대왕경연가>를 통해 보는 궁중연향의 영향력과 의의

        김지혜 한성어문학회 2022 漢城語文學 Vol.46 No.-

        The <Contest Lyric of King Soonjong> investigated in this study is a lyric work created after the ‘Gichuk Jinchan Euisik’, which means a Court Ceremony (Jinchan: 陳餐) held at the year of Gichuk (己丑),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and entails its own value as a work that described the story after the court banquet (宮中宴享). The ‘Gichuk Jinchan Euisik’ was an event to celebrate both the 40th birthday of King Sunjo and the 30th anniversary of his throne together, and it was a large-scale banquet with an enormous budget. Such a big court banquet was planned and organized by Crown Prince Hyomyeong (孝明世子), who was taking care of the affairs on behalf of King Sunjo at the time. He delivered a lot of political messages, especially through the court banquets, and among them, the ‘Gichuk Jinchan Euisik’ is known as the court banquet that Crown Prince Hyomyeong has exerted to effort most. In addition, Yang Kwan-chan, a young Confucianist who watched the ‘Gichuk Jinchan Euisik’ at ‘Pyongyang’, made a lyric called through <Contest Lyric of King Sunjong> after the court banquet. In this work, Yang Gwan-chan even describes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scholars, who watched the court banquet, on the Joseon royal court, the dignity of the grand court banquet, and the political moves of Crown Prince Hyomyeong. And through the findings thus fa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possible to discover how the performance of the ‘Gichuk Jinchan Euisik’ at the time was accomplished.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court banquets, mainly based on the ‘Euigue’, have achieved the performance that investigated the preparation and practice of the court banquets and also examined the purposes of them. One step further from here, this study is thought to be valuable in that it elucidated the outcomes that occurred after the royal court banquets, which required an enormous budget and a long preparation time. <순종대왕경연가>는 순조대 열린 ‘기축진찬의식’의 거행으로 인하여 창작된 가사 작품으로 연향의 메시지가 백성들에게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작품이다. ‘기축진찬의식은’ 순조의 40세 생일과 즉위 30주년이라는 두 가지 경사를 축하하기 위해 치러진 연향으로 당시 순조를 대신해 대리청정하던 효명세자에 의해 치밀하게 기획된 연향이었다. 특히 효명세자는 세도정치 속에서 대리청정 하는 동안 많은 궁중연향을 통해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는데 그 중 ‘기축진찬의식’은 효명세자가 가장 많은 공을 들여 준비한 연향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연향이 백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순종대왕경연가>이다. ‘평양’에서 ‘기축진찬의식’에 대해 알게 된 서생 양관찬은 연향이 치러진 이후 <순종대왕경연가>라는 작품을 지었다. 이 작품에서 양관찬은 연향을 지켜본 백성들이 가지는 조선 궁중에 대한 시각, 성대한 연향의 위엄, 순조와 효명세자의 정치적 행보까지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기축진찬의식’을 통해 효명세자가 백성들에게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가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순종대왕경연가>는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연구는 앞서 궁중연향 연구가 ‘의궤’를 주요 자료로 하여 연향의 준비부터 설행까지를 살피고 연향의 목적을 밝히는 연구 성과를 이루었던 것에서 나아가 궁중연향이 치러지고 난 이후의 성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신석정과 백석 시의 비교 연구 - ‘유토피아’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

        강호정 ( Kang Ho-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0 漢城語文學 Vol.42 No.-

        한국 현대시에서 유토피아에 대한 추구와 연구는 주요 주제 중의 하나이다. 이상향으로서의 유토피아에 대한 문학적 상상은 대체로 자연을 상정하고 구체적인 공간을 상상하는 것이 일반이었다.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유토피아가 단순히 장소로서의 공간의 문제인가 하는 문제를 백석과 신석정 시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 강점기를 산 두 시인을 비교함으로써 현대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을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유토피아의 표현 양상을 비교하는데 있어서 백석과 신석정의 시를 사례로 드는 이유는 그들이 공통적으로 동양적 상상력에 기반하고 있으면서, 유토피아에 대한 표현 양상이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 기인한다. 신석정의 시에는 자연 혹은 그에 버금가는 어떤 곳을 이상향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의 시에서 문제적인 것은 그런 공간에 사람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이다. 초기 시에서 사람이 부재하는 공간으로서 이상향을 상상함으로써 다소 관념에 치우쳤다면, 후기 시에서는 비교적 사람의 냄새가 나는 이상향을 상상하고 있다. 반면 백석의 경우는 구체적인 공간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에 의해 드러나고 있다. 그 관계는 유년 시절의 친족 간의 관계는 물론, 타지에서 만난 사람과의 관계, 사물들과의 관계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백석에게 있어서 이상향은 어떤 장소로서 기능하기보다는, 그곳이 어떤 곳이라도 사람 혹은 사물과의 관계맺기에 따라 이상적인 곳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suit and study of utopia in contemporary Korean poetry is one of the main themes. The literary imagination of utopia as an ideal is generally assumed to be nature and to imagine concrete space. This paper examin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utopia in contemporary Korean poetry is simply a matter of space as a place,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utopia in the poems of Baek Seok and Shin Seok-jeong. By comparing two poets who liv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utopia rituals of modern poetry can be revealed more clearly. The reason for using Baek Seok and Shin Seok-jeong's poems as examples in comparing Utopia's expression patterns is that they are based on oriental imagination, and the expression style of utopia is different. In the case of Shin Seok-jeong's poems, nature or something like that is often presented as an ideal. The problem in his poem is whether or not there are people in such a space. If the ideal was somewhat biased by imagining the ideal as an absent space in the early poems, the latter poems are imagining the ideal of a relatively human beings. Baek Seok, on the other hand, does not appear as a specific space but is revealed by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appears in various ways, including not only childhood relatives, but also those with people and things I met in other places. Thus, for Baek Seok, utopia shows that rather than functioning as any place, it may or may not be an ideal plac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or thing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