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송산업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지역방송의 매출과 편성을 중심으로

        이승현,임종석,한진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8

        Broadcasting industry, generally, shows correlation between a program rating and advertisement revenue. By contrast, the position of local broadcasting is distinctive in that 'a radio wave fee' is distributed to local broadcasting according to a proportion of accessible audiences and advertisements are allocated to local broadcasting regardless of a program rating through the KOBACO’s mandatory packaged sales of TV advertis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such distinctiveness of local broadcasting that shows some difference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broadcasting industry that employs television scheduling strategies in order to have superiority over other competitive broadcasting companies in terms of a program rating. The situation of Chuncheon MBC is analysed to find a concrete answer to what influence sales have on programming strategi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ratio of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y’s self-programming has little changed although its sales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producing staff has been reduced for the past 10 years. With regard to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y’s self-programm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roducers themselves, they have tried to reduce the cost through self-production and co-production and the outsourcing production dependency ratio, as another form of programming, is very low. The constant dropping in sale price of advertisement of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y has caused the personnel reduction, and, thus, the company has continued to reduce the personnel by not employing new staff members in spite of the lack of the personnel caused by retirement.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labor intensity has heightened. The dominant factors in the competitiveness of broadcasting companies are capital, manpower, and equipment. However,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re lacking in all these elements. It is the government policy of mandatory packaged sales of TV advertisements that offers the possibility of getting advertisement revenue without pressure of a program rating, which produces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ality of the local broadcasting.

      • KCI등재후보

        골프경기중계권의 법적 쟁점

        이규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 스포츠와 법 Vol.11 No.2

        Associations involving professional golf games in Korea had not received any broadcasting fees from any broadcasting company until the middle of year 2006 even though the number of their participants were more than 5 million.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a title sponsor asked broadcasting companies to broadcast a golf tournament by paying them for a certain amount of money. The total cost of A female golf tournament in Korea usually was approximately 600 to 800 million Korean wons and, in this regard, its sponsor needed to spend 100 to 150 million Korean wons to attract any broadcasting company. Hence, the said circumstance made a lot of companies reluctant to sponsor any professional golf tournament. Second, as far as broadcasting companies were concerned, a golf game mandated longer production period and more broadcasting facilities and personnels than other type of professional games, so that many broadcasting companies frequently went into the red. Third, when we looked back to professional lady golf tournaments held in 2006, different broadcasters took on each tournament, having its broadcasting company determined very shortly before each tournament. This situation could not attract many advertisers because they could not expect stable and continuous advertising from one of the broadcasters. However, the situation drastically changed in December 2006 when KLPGA entered into the broadcasting right negotiation agreement with IB Sports, whose period would last from 2007 to 2010. Thus, IB Sports entered into broadcasting contract with Xports and J Golf. The broadcasting contract made Lakehills Golfcourse, one of KLPGA title sponsors, upset. In this regard, the title sponsor cancelled KLPGA Tour Lakehills Classic Championship game expected to hold on October 2007, arguing that KLPGA violated the title sponsor's broadcast right. In fact, the title sponsor contacted SBS Golf Channel as its broadcaster. In short, the key issue here is who owns the original broadcast right of the golf tournament. At the outset, the Article delves into the legal feature of broadcast right in general to figure out whom it belongs to. Afterwards, the Article explores the history, membership, and regulations, of PGA Tour, Inc. and its relevant cases. Next, the Article discusses Major League Baseball to compare golf-related associations with baseball club which has home rights. Finally, the Article proposes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holder of broadcast right in Korea. 한국 프로골프의 경우에는 참여인구가 5백만 명을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6년 중반까지는 중계권료를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의 여러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대회 후원사는 방송사에 돈을 주면서 중계해 달라고 사정하여야 하는데, 여자프로골프대회를 개최하는데 드는 비용은 대략 6억~8억원 사이이고 그 가운데 1억~1억 5천만원이 중계유치 비용으로 소요되었다. 따라서 프로골프대회를 주최하고 싶어도 비용문제로 망설이는 기업이 많았다. 둘째, 방송사의 입장에서 보면, 골프는 제작기간이 길고 중계 장비나 중계 인원도 다른 종목에 비해 많은 관계로 방송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적자를 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즉 서울 및 경기도 근교에서 개최되는 골프대회의 경우 방송제작비는 6천만원선, 제주도에서 개최되는 대회는 그 제작비가 1억 2천만원을 상회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골프는 대회기간이 프로암을 포함해 4일 이상이 된다는 점도 방송제작의 어려움을 악화시킨다. 셋째, 2006년까지의 사정을 살펴보면,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대회마다 서로 다른 방송사가 중계를 했고 중계 방송사도 대회를 얼마두지 않고 결정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였다. 그렇다 보니 중계 방송사는 촉박한 일정상 광고영업을 제대로 진행시킬 수 없었고, 광고주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방송사가 수시로 변경되는 관계상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광고를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도 선 듯 나서지 않았다. 그러다가 2006년 12월에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스포츠마케팅사인 IB 스포츠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간 중계방송 협상권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 계약에 따르면, 전체 계약액은 4년간 10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결정되었고, 계약액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경우에는 매출액의 50%를 별도로 받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IB스포츠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간 Xports와 J골프를 주관방송사로 정하는 조인식을 2007년 4월 10일에 개최하였다. 특히 J골프는 1년에 2억 5천만 원씩 지불하는 조건으로 IB스포츠와 4년간 KLPGA중계권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런데 2007년 10월로 예정된 KLPGA 투어 레이크힐스 클래식 대회의 후원자인 레이크힐스 골프장은 KLPGA가 대회주관방송사를 일방적으로 선정하여 대회 후원자(sponsor)의 권리를 침해하였다고 주장하면서 대회를 취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KLPGA는 협회의 중계권을 인정하고 주관 방송사와 함께 중계한다면 이 대회 후원사가 SBS 골프채널이 중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절충안을 제시하였지만, SBS골프채널은 KLPGA의 중계권 자체를 거부했다. SBS골프채널 측이 협회 중계권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프로그램을 자사가 제작하더라도 협회 주관 방송사를 통해서도 방영되도록 허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SBS골프채널의 입장에서 KLPGA의 절충안을 수용하게 되면 자사의 인력과 경비를 사용하여 방송제작을 하더라도 협회 주관 방송사에 대가 없이 화면을 넘겨야 하기 때문에 KLPGA의 절충안을 거부한 것이다. 결국 이 사안에 있어 핵심쟁점은 중계권으로 발생하는 이익의 수령주체와 관련하여 누가 방송중계권을 가지는지 여부다. 전술한 한국골프경기의 중계권과 관련해서 보면, 이해관계인으로서 골프선수, 프로골프관련 협회, 중계협상 대행사, 방송사, 대회 후원사, 광고주 등이 있겠다. 이들 중 누가 방송중계권의 귀속주체인지 여부를 밝히기 위해 외국...

      • KCI등재후보

        방송설립 초기의방송개혁 운동에 대한 담론분석 -미국신문의 보도프레임과 정치적인 함의

        유승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이 연구는 1930년부터 1934년 미국에서의 방송에 대한 정체성을 결정하는 태동기에 신문이 방송개혁운동을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내용분석과 담론분석을 이용한 프레이밍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신문이 방송개혁운동을 1930년대 방송제도화의 출발시기이자 격동기에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양적, 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둘째, 이를 통해 신문과 라디오방송의 관계 변화가 방송개혁운동을 다루는데 어떤 변화와 영향을 주었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가장 뚜렷한 특징은 방송개혁운동에 대한 양적 취재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공론의 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질적으로 보았을 때도 방송개혁운동에 대한 신문의 주된 프레임은 부정적인 것이 많았다. 그리고 라디오가 신문의 경쟁매체가 될 것이라는 인식이 점차 신문과 방송의 공생과 전략적 제휴로 변화되었던 것도 공익적 방송제도의 논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종합적인 요인들과 함께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볼 때 기존 미디어산업과 관련자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현상유지를 위한 가치와 경향이 미래 미국방송의 소유와 운영 방식을 포함하여 상업방송 이외의 다양한 방송구조에 대한 논의를 촉구하고자 했던 방송개혁운동을 위한 담론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ress covered the broadcasting reform movement during the early 1930s. Specifically, the study, using key word searches of broadcast reform groups, investigated the New York Times from 1930 to 1934 when commercial broadcasting was formally set up. In doing s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any number of articles covered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s and its related figures and events, and which frames were generally used. Second, it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 and radio affected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newspaper coverage of the broadcast reform debate was neglected. The press covered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very rarely, which also means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drew very little attention from the press even if several groups and intelligentsia tried to seek public support. More seriously, among very scant amount of coverage about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the media did not frame the issue more in-depth by marginalizing important public interest discourse. Consequently, the lack of press coverage for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and unsophisticated media frames stemmed from the press-radio relationship in that era contributed to the prevention of sufficient public debate about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Hence it might well have established the current system of advertising-supported and profit-driven media commercialization of radio broadcasting. The lack of coverage also maintained the status quo of the radio industry being inherently neutral and wholesome for the American public. Also, viewed from the press coverage of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during the early 1930s, the recognition of the press that radio became their strong competitor had not played any positive role in generating support for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조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중계권협상과 보편적시청권(Universal Access Right)

        정재용,심우영 국제거래법학회 2015 國際去來法硏究 Vol.24 No.2

        The media has faced new competition and changes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satellite and cable channels and the internet informatization. As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media environment has minimized restrictions of the time and the space. This helps various mediums to be observed in our daily life which develops quality standard and diversity of media contents. Especially, the competition of electronic media has been intense due to the terrestrial digitalization, satellite broadcasting in terrestrial, the leap of cable TV, and the challenge of internet. In particular, it is not new that the competition among broadcasters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 is with a rise of prices of sports broadcasting, which is one of the professional media contents. Therefore the question for the universal access right has been raised against the monopoly right, and the new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needs in broadcasting. The ‘universal access right’ for broadcasting is the right of viewers who are users of broadcasting to use broadcasting service without physical and economical obstacles. Korea's Broadcasting Act did not explicitly stipulate provisions on ‘universal access right’ initially and from public interest, public interest, and public accountability perspectives for broadcasting, universal access and universality of information were pursued. After Broadcasting Act was revised(Executed 2007.4.27 Law No.8301, 2007.1.26. Partially Revised]), ‘universal access right’ provision was newly stipulated and regulations began to directly express the concept of universal access. But ‘universal access rights’ has problems, such as the standards on and the selection of ‘the announced and designated national concerning events’, the absence of provision on stipulating notion of ‘the recognised prior broadcasters’, and the prohibition regulation for securing universal access rights. So, firstly, two notions of ‘universal access rights’ should be unified or its standards should be clearer. Secondly, the independence and the authority of the Security Committee of Universal Access Rights as the agent to select ‘the announced and designated national concerning events’ should be strengthened. Thirdly, the notion of a preferential broadcaster should be adopted, but the way of appointing it should be sublated. Fourthly, the exclusive broadcasting should be allowed in the circumstances of assuring ‘universal access right’. 오늘날 스포츠가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인 가치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 및 시장성 역시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종전의 TV방송사 외에 스포츠를 중계할 수 있는 매체들이 다양해지고, 높은 시청률과 큰 광고수익을 수반하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이른바 메가스포츠의 경우에는 그 중계권을 확보하기 위한 방송사, 스포츠 단체, 마케팅사 간의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도 올림픽이나 월드컵이 개최되는 해를 전후로 하여 발생하는 법적 해결을 위한 재판신청 또는 중재요청에 대한 보도가 이를 방증한다. 이러한 분쟁 또는 경쟁은 필연적으로 자본력이 어떠한가에 따라 그 결과가 좌우되는바, 이는 일부 유료방송사들의 중계권 독점으로 인한 국민들의 부담을 증가하게 할 수 있다는 우려 및 중계권확보의 과잉경쟁에 따른 높은 중계료의 지불로 인한 외화의 유출, 방송사 간의 중복 편성으로 인한 낭비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는 문제로 이어진다. 물론 이러한 문제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이 국제스포츠 단체들의 지나친 상업화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나, 내부적으로도 제도적⋅정책적인 부분에서 과도한 경쟁이나 분쟁을 방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미비하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우리 방송법은 국내 방송사업자 사이의 과당경쟁으로 인한 중계권료 부담을 경감하고, 방송사의 사업권역에 따라 시청이 불가능한 시청자를 최소한으로 하여, 보다 많은 국민이 시청가능하도록 보장하는 보편적 시청권에 대해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해외의 사례를 검토하고 비교법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보편적 시청권 규정을 보완하는 것을 과도한 경쟁이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방송사의 개념을 규정하고, 보편적 시청권의 이원적 기준을 일원화 하며, 보편적 시청권이 인정되는 범위, 즉 국민관심행사의 의미 및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보편적 시청권 제도를 두게 된 목적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국내적인 해결방법 외에 국제적으로도 EBU나 ABU 같은 방송관련 국제기구의 역활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들 기구의 활동으로 인해 법제도적으로 미비한 다른 국가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 많은 자국민들이 최소한의 부담으로 스포츠를 시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ABU의 노력으로 2012년 런던올림픽이 북한에서도 방송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방송사업자의 동시중계방송권- 부산고등법원 2015나55441(본소), 2015나55458(반소), 2015나55465(병합) 판결을 중심으로 -

        홍승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1

        Since the beginning of 2000, digital switching of broadcasting signals has been promoted under the government's initiative. In the process, there were several disputes between terrestrial and cable broadcasters. In January 17, 2019, the Supreme Court ruled on a dispute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cable broadcaster. The Busan High Court, an appellate court of the case, judged that ①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s right to simultaneous transmission arises even when a broadcaster merely retransmits other broadcaster’s broadcasting, ② object of protection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is contents. Korean copyright law defines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 as ‘the ones who carry on broadcasting’ (Article 2, Clause 9).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 is the related rights holder, entitled to the right of reproduction (Article 84), the right to simultaneous transmission (Article 85), and the performance right (Article 85 – 2). In the process to establish Broadcasting Organization Treaty at the WIPO, the European countries intends to grant the right to deferred transmission. In Europe, a process is underway to extend the “Country of Origin principle” and “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 under Satellite and Cable Directive to ancillary online services. As there is a trend in expanding broadcaster’s related right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definition of broadcasting organization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Since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rights of broadcasting organization will result in the reduction of copyright and inconvenience to users, a limited interpretation is necessary. I do not agree with the above ① because broadcasting organiza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entity that takes the initiative and has the editorial responsibility for broadcasting, including assembling and scheduling the programmes carried on the signal. On the other hand, if object of protection of broadcaster’s simultaneous transmission is ‘contents’, then copyright and related right may overlap on the same object, which may cause the shrinkage of copyright. I guess the object of protection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is not contents but programme-carrying signal. 2000년 초부터 정부의 주도로 방송신호의 디지털 전환이 추진되었다. 그 과정에서 지상파방송사와 케이블방송사 사이에는 여러 건의 분쟁이 있었다. 2019. 1. 17.에도 대법원이 지상파방송사와 케이블방송사 사이의 분쟁에 대하여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 사건의 항소심인 부산고등법원은 ① 동시중계방송권은 방송사업자가 방송을 하기만 하면 발생하는 것이므로 다른 방송사업자가 방송한 것을 수신하여 다시 방송하는 경우에도 인정되고, ② 동시중계방송권의 보호대상은 방송물이라고 판단하였다. 우리 저작권법은 방송사업자를 ‘방송을 업으로 하는 자’라고만 규정한다(제2조 9호). 방송사업자는 저작인접권자이고 저작인접권자에게는 복제권(제84조), 동시중계방송권(제85조), 공연권(제85조의 2)이 귀속한다. WIPO에서 진행 중인 방송사업자 조약 논의 과정에서는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방송사업자에게 이시송신권을 부여하고자 한다. 유럽에서는 Satellite and Cable Directive의 발신국 원칙(COO)과 의무적 집중관리(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를 부수적인(ancillary) 온라인 서비스로 확대하고자 하는 절차도 진행 중이다. 방송사업자 권리확대가 추세라면 우리 저작권법의 ‘방송사업자’ 정의 규정의 규범적 의미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방송사업자의 권리확대는 저작권자의 권리 위축과 이용자의 불편이라는 결과가 될 것이므로 방송사업자의 범주를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방송사업자란 방송을 주도하고 편집·스케줄 등을 포함한 편성책임을 부담하는 자로 이해하여야 하므로 ①의 판단에 동의하지 않는다. 한편, 동시중계방송권의 보호대상이 ‘방송물’이라면 저작권의 보호대상과 겹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저작권의 위축을 가져 올 수 있다. 동시중계방송권의 보호대상은 방송물이 아니라 ‘방송전달신호’라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매체 융합시대에 방송의 자유와 온라인 매체에 의한 방송 -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이부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4

        Freedom of broadcasting serves the purpose of free, individual and public opinion. The legal system to ensure broadcasting freedom, which is contained in Article 5 (1) 2 GCL, aims at an order which ensures that the diversity of existing views on broadcasting is expressed in the widest possible range and completeness. The forming of this legal system is the task of the legislature, which has a wide scope for forming, also for differenti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type of regulation.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meets the requirement of a mass-communicative element, because the recipient is ‘a large number of people’ despite hav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reporting’ requirement of the broadcasting concept requires editorial activities. The Internet broadcaster filters the information through editorial activities and selects the contents to provide Internet broadcasting. The legal aspect of the Broadcasting System is the prominent importance of broadcasting in the mass-media because of its breadth, topicality and suggestive power. Its breadth is reflected in the range and the possibility of influencing large sections of the population. For example, audiovisual mass media have long shaped the majority of citizens’ daily lives.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is not subject to program-dependent temporal restrictions, and can be mutually discussed in open and accessible forums in Internet broadcasting media programs. The content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can be transmitted quickly, even at the same time, to the recipients. The suggestive power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results in particular from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communication forms of texts, sounds and moving pictures at a low cost, so that a wide range of effects is recognized.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has the suggestive power, becaus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discourse on publicly accessible forums exists.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fulfills the requirement of the suggestive power, because the user itself has to select program on the basis of a multitude of selection possibilities. 독일 기본법 제5조 제1항 2문의 방송의 자유 규정은 자유로운 개인적⋅공적 의사형성에 기여하기위한 것이다. 독일 헌법상 방송의 자유를 보장하는 취지는 가능한 한 폭넓고 완전하게 방송에 존재하는 의견의 다양성 보장에 있다. 인터넷 방송매체는 방송 개념의 중요한 징표로서 ‘기술적 전파 수단’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또한 방송 개념의 ‘대중적 의사소통’ 요건은 수신자가 ‘다수의 대중’ 인데, 인터넷 방송매체는 이용자의 정보를 소지함에도 불구하고, 수신자가 ‘다수의 대중’이라는 점에서 이 요건도 충족하고 있다. 방송 개념의 ‘보도’ 요건은 편집행위를 요구하는데, 인터넷 방송사는 편집행위를통해 정보들을 여과하고 내용적으로 선별하여 인터넷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에 의하면, 방송은 광범위한 효력(Breitenwirkung), 최신성(Aktualität), 잠재적 영향력(Suggestivkraft)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인터넷 방송매체에 전통적인 방송매체의 특성인 광범위한 효력, 최신성, 잠재적 영향력이 있는지를 논증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방송의 시청은 프로그램에 실시간 종속되지 않아 시간적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인터넷 방송매체 프로그램에서 공개적이고 접속가능한 포럼에서 상호간 토론도 가능하므로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문자, 음향, 동영상이 결합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청각 매체이므로,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검색엔진이 전통적인 방송매체의 특성인 광범위한 효력, 최신성, 잠재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지를판단해 본다. 검색엔진 업체는 정보 검색에 있어서 게이트 키퍼(gate keeper)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제공의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또한 검색결과의 ‘최신성’과 관련하여, 인터넷에서 검색엔진을 통한 정보 검색은 그 내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신성 요건은 충족된다. 그러나 검색엔진은 ‘잠재적 영향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검색엔진은 프로그램의 제작 등 전통적인 방송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인터넷 검색을 통한 결과목록의 제공은 전통적인 방송 프로그램과 견줄만한잠재적 영향력을 지니지 못했다.

      • 방송과 공정성: 방송의 지배구조와 방송의 공정성 훼손

        한수경 ( Su Kyung Han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5 정치와 평론 Vol.17 No.-

        In today`s rapidly changing media landscape, broadcasting is still the most influential media on public opinion formation. In a democracy, fairness in broadcasting is required in order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and freedom of broadcasting should be guaranteed for this purpose. Freedom of broadcasting is a precondition for building a democratic basic order through private and public opinion of citizens, and its core meaning is the freedom from political and capital power, neither state-controlled nor commercial. Despite the important role of independent public broadcasting, Korea`s public broadcasters such as KBS or MBC act as state broadcasters, not as public broadcasters. As a result, it makes citizens difficult to correct political opinion formation. The significance in broadcasting systems in Korea is that governance of public broadcasters, unlike other developed countries, is not free from political power. Public broadcasters have been controll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direct organization of the president of Korea, and the president appoints presidents of public broadcasters. Public broadcasting governance in such a way has damaged the independence of broadcast reporting and the fairness of broadcasting. Moreover, the public broadcasters should act as a mouthpiece for government and ruling party rather than as a watchdog role on government. Therefore, they couldn`t fulfill the obligations of public broadcasting whose mission is public service.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governance of public broadcasting, and presents the institutional remedy for fairness in broadcasting.

      • KCI등재

        방송사 요인과 프로그램 요인이 시청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소 해외한국어방송사를 중심으로

        천세학 한국상품학회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3

        As many cable TV companies and online broadcasters emerge small and medium-sized broadcasters reconsider their competitive strategies and the government also need to adjust broadcasting policy. Many overseas Korean broadcasters need excellent contents to retain their own competitiveness and increase viewer satisfaction in an era of global broadcast.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viewer satisfaction by using survey data of overseas Koreans in order to improve broadcasting policy of the government on overseas Korean broadcasters as well as draw implications on broadcasting strategies of the overseas Korean broadcasters. This paper analyzes how some factors of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ir program can affect on viewer satisfaction and how these can encourage Korean ethnic identity and maintain Korean cultural formation. 최근 케이블 방송 및 온라인 방송사의 등장은 중소 방송업체로 하여금 경쟁력 있는 서비스전략를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정부의 전반적인 방송지원정책도 수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글로벌 방송시대로의 변화는 해외에 있는 한국어 방송사로 하여금 시청자의 만족을 위해 정부의 지원정책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우수 콘텐츠의 발굴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 한국어 방송사를 대상으로 해외 교민들의 방송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정부의 해외 한국어 방송지원에 대한 성과 측정 및 사업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 한국어 방송사 자체의 요인과 프로그램의 요인이 시청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어떠한 요인이 해외 방송사 지원사업의 목적인 민족정체성 고취와 한국문화 형성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소 해외 한국어 방송사의 방송전략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일제말기 조선방송협회를 통해 살펴본 방송통제

        강혜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Japanese imperialism began radio broadcasing in Japan on March 1925 and open Gyungsung broadcasing system in the colony, Chosun as well in 1927. Under Japanesse colony, radio broadcasing was a media in modern style, on the other hand, it was a tool which ruled the colony. With a role which propagate public culture and transmit information in advanced technique though radio broadcasting was in colonized bound, the radio broadcasing affected society and culture of Chosun colonized quite as modernized mass-media. Since dual broadcasting’s commencement in 1933, transmitted power was enforced big, meanwhile broadcasing was extended in the whole country. For doing it,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of corporation which centered to the president, introduced the chairman system on April 1932 and was changed to the association of Chosun broadcasting. In the beginning of radio broadcast, Japanese were usually major listeners because of loads for buying receiver and for fees of listening and electric power, however, the number of Chosun people was rapid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broadcasting the second channel in Chosun language as the commencement of dual broadcasting in 1932. Since the middle of 1930, Japanese imperialism promoted providing in order to use radio as an important media for war prosecution and colony rule, and it made the number of Chosun listeners increase. The increase of Chosun listeners also let control enforcing by Japanese imperialism. Likewise other colony governments, in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organization, the number of Japanese employee was more than that of Chosun employee. The number of Chosun employee was half of total in 1933 but was decreased below 40% in 1941 and below 25% in 1944. In employee distribution at departments, Chosun staffs were arranged at business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subscription and fee, thus they were available at the department involved in financial policy through getting Chosun listeners. Besides, Chosun executives of Chosun broadcasting association consist of people cooperative with Japan and it was difficult structure to argue against control for radio. After Chosun listeners were rapidly increased, supervising for broadcasting was promoted. broadcast review committee was organized under the reason to review all programs broadcasting in the first and the second channels on the 31st of July 1934. Broadcast edit committee was set up on April 1935 and thus broadcast administration system was enforced. The broadcast of Chosun language in Gyungsung central broadcast system was increased to 50kW by the committee on the 17th of April 1937, and with war break between China and Japan on the 7th of July, it became stronger. Thus Intelligence committee was set at Chosun govern general and simultaneously, press part was newly set at Police documentary division and all programs and broadcasts were under control at the part. The program reviewd from the broadcast edit committee was pre-supervised a day ago prior to bradcast by the supervising part of mail department, finally, after intelligence part of police documentary department was supervised, broadcast could be possible. In June 1937, editing part was newly set and editing works became independent, it was a purpose to cut off the contents which bother war prosecution. As war status was getting in disadvantage, broadcast administration system described above was more enforced every year. In April 1941, integrity broadcast research committee which even people of nation spirit alliance take, was newly set and had a session every month, and broadcast was asked for a tool of only war broadcast as broadcast review committee was changed to integrity broadcast review committee in December this year. 일본제국주의는 본국 일본에서 1925년 3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1927년 식민지 조선에서도 경성방송국을 개국하였다. 일제 식민지하에서 라디오 방송은 새로운 근대적 형식의 미디어였으며, 한편으로 식민통치의 도구로도 기능하였다. 라디오방송은 식민지 현실이라는 한계 속에서도 선진기술문명으로 대중문화를 전파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면서 근대적 매스미디어로서 식민지 조선의 사회와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933년 이중방송 실시를 기점으로 조선어 방송을 실시하고, 출력을 대폭 증강하는 한편 전국적으로 방송망을 확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사장이 중심이 되었던 사단법인 경성방송국은 1932년 4월 총재제도를 도입하며, 조선방송협회로 개편되었다. 라디오 방송 초기에는 수신기를 구입하고 청취료와 전기료가 부담이 되어 주로 일본인들이 청취자의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1933년 이중방송의 실시로 제2방송이 조선어로 방송되자 조선인 청취자의 수는 급증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일제가 라디오를 전쟁수행과 식민지 통치의 중요한 매체로 이용하기 위해 보급을 촉진한 것도 조선인 청취자의 수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같은 조선인 청취자의 증가는 일제의 라디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 경성방송국 조직구성을 보면 다른 식민지 통치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선인 직원보다는 일본인 직원이 다수를 점하였다. 1933년 조선인 직원 수는 전체 총수의 절반 정도였으나 1941년에는 40%이하로 줄었고, 1944년에는 25%로 더욱 줄었다. 부서간 직원분포에서도 조선인 직원들을 주로 가입, 요금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총무부와 사업부에 배치시켜, 이들을 조선인 청취자 확보를 통한 재정안정책과 관련된 부서에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방송협회의 조선인 임원진을 보면 거의 일제에 협력하던 사람들로 구성되어 일제의 라디오에 대한 통제에 문제제기를 하기는 어려운 구조였다. 조선인 청취자가 급증하자 방송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다. 1934년 7월 31일 제1 제2방송에서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연구, 심의한다는 명목 아래 방송심의회를 조직하였다. 1935년 4월에는 방송편성회를 설치하여 방송관리제도를 더욱 강화했다. 이 방송편성회는 1937년 4월 17일 경성중앙방송국의 조선어방송이 50kW로 증강되고 7월 7일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한층 강화되어, 조선총독부에 정보위원회를 설치하고 동시에 경무국 문서과에 보도계를 신설하여 여기에서 모든 방송뉴스와 프로그램을 통제하였다. 이 방송편성회에서 검토하여 편성된 프로그램은 또다시 방송 하루 전에 체신국 감독과의 사전 검열을 받게 했으며, 나중에는 경무국 문서과 정보계의 사전검열까지 받은 뒤에야 방송할 수 있었다. 1937년 6월 새로 편성과를 신설하여 편성업무를 독립시켰는데 이는 전쟁수행을 저해하는 내용을 사전에 차단하고자하는 의도였다. 이상과 같은 방송관리제도는 점차 전세가 급박해짐에 따라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강화되었다. 1941년 4월에는 국민정신총동원연맹의 인사들까지 참석하는 총력방송연구회를 신설하여 매달 1회씩 개최했으며, 방송심의회도 이해 12월에 총력방송심의회로 개편됨으로써 방송은 오직 전쟁방송으로서의 기능만을 강요받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