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보조공학 활용실태와 지원 요구

        김지연 ( Kim Ji-yeon ),옥민욱 ( Ok Min-wook ),박경옥 ( Park Kyoung-oc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의 보조공학 활용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지원방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급)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70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보조공학 활용의 효과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지만, 활용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편이었다. 보조공학 활용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들은 진단 및 평가-기기 보급-활용의 실제적 절차 미비, 행정가의 보조공학 관련 지식 및 정보 부족, 교사의 보조공학 활용 역량 부족 등이었고, 시급한 지원으로는 보조공학기기 확보와 교사의 보조공학 관련 인식 개선 및 활용역량 강화였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감각 및 지체장애 학생 지도교사가 발달장애 학생 지도교사보다 보조공학 관련 정보 접근의 용이성, 보조공학기기 지원 수준 및 활용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특수교육 현장 지원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age status and perspectives regarding assistive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commend support plans for the successful use of assistive technology.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7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self-contained classrooms in gener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using assistive technology, but their usage level was low. The main barriers to using assistive technology included a lack of systematic procedures of assistive technology evaluation-device dissemination-utilization, the administrators’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garding assistive technolog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lack of assistive technology competency. Urgent support is needed, including secur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mprov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competency regarding assistive technology.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was found that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sensory or physical disabilities had higher accessibility to assistive technology information, thus the level of support for assistive technology and their util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would suggest support plans for successful assistive technology usage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작업치료사들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교육 배경 및 인식 조사

        장문영,권혁철,김경미,안덕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작업치료사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들의 대학(교) 교육과정 중 재활보조공학 관련 교육 과목을 조사하고, 작업치료사들의 재활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대학(교) 중 30개 대학(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작업치료 양성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3월 2일부터 동년 6월 30일까지였다. 둘째, 국내에서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후, 임상경험을 갖고 있는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10월 28일부터 동년 11월 4일까지였다. 결과: 현재 국내 작업치료대학(교) 중 30개 대학(교)의 교육과정 내 재활보조공학 관련 교과목이 4년제 10.9과목, 3년제 9.3과목이 운영되고 있었다. 재활보조공학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치료사는 230명(89.8%)으로 이 중 136명(53.1%)이 대학(교) 수업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들은 재활보조공학이 작업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가장 도움이 되는 영역을 일상생활활동 영역이라 하였다.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은 대학 교육과정 과목 개설, 협회차원의 보수교육, 타 전문영역과 연계한 워크샵, 전문자격증 제도 도입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는 28점 만점에 평균 10점 정도를 나타내어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인식도는 임상경력이 높을수록(p<.05), 학력이 높을수록(p<.01) 높게 나타났다. 결론: 향후 작업치료사가 재활보조공학 전문가로 체계적으로 양성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육과정에 재활보조공학 관련 핵심교과목 개설과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assistive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the actual and present condition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so they can professionally convey such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heir related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ement method to present th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6 occupational therapists licensed in South Korea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training.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28 to November 4, 2006. Result: 136 out of 230 occupational therapists responded that they heard the term ‘assistive technology’ in their university or college class. A large number of occupational therapists believed that assistive technology helps to carry out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st effective performance area was recognized as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core important matters needed to improve assistive technology were responded in the following order: opening of related introductory classes, supplementary classes opened by an organization, other professionally related seminars or workshops, and certified processes approved by a government agency. The perception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ssistive technology was closely related with educational and practical backgrounds. The perception on assistive technology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as relatively low: averaging only 10 out of 28 in score.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al and vocational experience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recognizing assistive technology. Conclus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train occupational therapists as experts in assistive technology, mor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cours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curriculum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

        활동보조인의 보조공학 인식 및 관련 교육 실태

        한승호,정동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and the actual condition of related training among personal assist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 personal assistants who completed 60 hours of standard education on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The personal assistants reported having more than average level of awareness and using experience in only mobility devices. But they have very badly level of using experience in othe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irst experienc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as received from people with disability remarks 46personal assistants(45.5%). There were 73 personal assistants(72.3%) saying that assistive technology provides good supports to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rom now on 86(85.1%) personal assistants have intention of using assistive technology. In standard education for personal assistants, they received the assistive technology program during the course. The most of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was focused in introduct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finding indicated that personal assistants recognized how to provide certa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y. However, personal assistants is lacking in understanding on how to use and experience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in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there should be edu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for practical use and institutional provision is required.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의 보조공학 인식 및 활용 정도를 알아보고, 활동보조인 기본교육에서 보조공학 관련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기본교육 60시간을 이수하고 활동보조서비스 경험이 있는 활동보조인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휠체어 같은 이동보조기기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은 높았으나 그 밖의 보조공학 기기에 대한 사용경험은 매우 낮았다. 73명(72.3%)이 보조공학 기기 사용이 활동보조서비스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고, 86명(85.1%)이 향후 보조공학 사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조공학 기기를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활동보조인 교육보다 대상 장애인을 통해서가 더 많았다. 그리고 활동보조인 기본교육에서 보조공학 관련 수업은 있지만 단순한 기기 소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보조공학서비스 정보제공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전문 강사에 의한 실질적인 보조공학 활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동보조인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 속 원격수업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관련 특수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옥민욱,승예린,박경옥,김지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using assistive technology for distanc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erceptions of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for successful use of assistive technology. Method: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with 12 K-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general education school resource room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sults: First, teachers thought that preparing for distance learning was challenging. In particular,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for distance learning was lower in general, but it was an opportunity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necessity. Second,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large gap in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was more passive and insuffici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mpared to students with hearing or visual impairments. Third, distance learning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s and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regarding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nd expand their awar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addition, for the successful use of assistive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required to provide devices and related services and enhance the experti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Conclusion: To promote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for distanc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ystem and enhance the experti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upport personnel on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 KCI등재

        중학교 특수학급교사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 부산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천봉기,김자경,서주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demands of assistive technolog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general middle schools. For the purpo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in the region of Busan and Gyeongnam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The main decision makers of assistive technology budget and essential particulars ar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ompilation of the budget is determined in reference to the budget in the previous year. Information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is gained through online or books usually, 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re mostly purchased directly by themselves or rented. As for the application experience of assistive technology in each area, more than half of teachers apply assistive technology. However, the satisfaction on applying assistive technology is an average level. As for the problem to be improved to apply assistive technology, lack of information on assistive technology was selected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nted to get fundamental inform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 from the person in charge the relevant work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s for the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on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cases in learning scene and diagnostic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judge demand of assistive technology were selected most.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 경남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47부가 회수되었고(회수율 73.5%), 불성실한 응답을 한 11부를 제외한 총 136부로 빈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공학 예산 및 주요사항의 주결정자로는 주로 특수학급 담당교사로 나타났고, 보조공학 예산은 학교의 기본 예산안에서 50만원 미만으로 설정하거나 따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예산편성은 주로 전년도 예산을 참고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 관련정보는 주로 인터넷과 서적을 통하여 얻었으며, 만족도는 평균정도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지원에 관한 정보 소지에 대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활동에 대한 불만족 이유 역시 정보제공의 부족이 가장 많았다. 셋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절반 이상의 교사들이 보조공학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다고 하였으나, 보조공학에 관한 지원계획은 따로 수립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넷째, 보조공학을 활용해본 교사보다 활용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았다. 또한 보조공학 활용 시 학생의 의견이나 관찰을 통하여 중간평가과정을 가진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이를 통해 보조공학기기를 수정, 변경하여 제공하거나 다음 년도의 보조공학 예산에 반영한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다섯째,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담당자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업무 담당자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고, 보조공학 관련 기초정보나 보조공학기기 선정 및 활용을 위한 정보의 제공 역할을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보조공학의 활용을 위한 연수내용으로 보조공학 요구 판단을 위한 장애학생진단평가와 학습 장면에의 활용사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보조기기 열린페이지: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디자인 연구

        김지해,안광옥,노은래,권효순,은선덕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2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7 No.1

        Assistive technology that is customized to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elderly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at requires appropriate technology application needs to be researched, developed, and disseminated through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 The researchers examined existing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s abroad (viz., Careables.org, Makers Making Change, Thingiverse) based on menu structures, main functions, and open-sourc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assistive technology. A pilot website was developed and operated to receive request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istive technology and to share open sour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sers of the pilot website, including the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employees of the assistive device center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istive technology.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by thematic analysis method to derive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 The study drew implications for co-design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elderly, digital manufacturing, and sharing of open source hardware. Accordingly, the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 should be a platform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stakeholders, support co-design, actively communicate, reproduce and recreate open source, and utilize open source appropriately. 보조기기는 사용자(노인 및 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적정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보조기기는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을 통해 연구 개발되고 확산될 필요가 있다. 본연구에서는 기존의 해외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인 Careables.org, Makers Making Change, Thingiverse의메뉴 구조, 주요 기능, 보조기기 오픈소스 분류 기준을 살펴보고 종합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보조기기 연구개발에 대한 수요를 접수하는 기능과 보조기기 오픈소스를 공유하는 기능을 하는 시범 운영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웹사이트 이용자와 보조기기 연구개발에 참여한 노인, 장애인, 보조기기 센터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Atlas.t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장애인, 노인에게 적합한 보조기기에 대한 공동 연구, 디지털 제조, 오픈소스 하드웨어 공유에 대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의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 공동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플랫폼,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플랫폼, 공유물을 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공유물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의 보조공학 요구 분석

        육주혜,송영준,김영태,이병인,정승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ssistive technology and information access needs in special education of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1,116 school inspectors, service providers in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special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and parents, through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s, were participated in the internet surve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special schools had the most number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utilized the devices the most. However, overall placement and usag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ere at a low rate. Secondly, respondents answer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ed learning software addressed their disability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although assistive technology device needs were different by disability types.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needed support in the evaluation process for finding assistive technology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sing the devices in class. Thirdly, the respondents expressed that assistive technology experts should be placed in the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or the schools and centers should cooperate with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in their local community. Lastly, learning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should be secured by providing technical assistance. That is, staffs, budgets, and resources for information system, maintenance, and management should be supported in special educa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전국 시·도지역교육청 장학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 특수학교 관리자, 특수학교(급) 교사, 학부모 1,11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의 보조공학정보접근의 배치 및 활용 현황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배치 현황에서 기관별로는 특수학교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활용도도 높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보조공학기기의 배치와 활용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였다. 둘째,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요구는 장애유형별로 달랐고 많은 장애유형에서 장애인을 고려한 학습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학생에 대한 보조공학 요구 평가와 수업에 적용을 돕는 서비스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셋째, 보조공학 전문가에 대한 요구는 학교나 학급 소속이 아닌 특수교육지원센터나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기관으로부터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정보접근권 확보를 위한 법·제도 정비에서 정보화 시스템 구축, 유지보수, 관리에 대한 인력, 예산, 자원 등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어 번역판 보조공학 평가도구 QUEST 2.0의 검증연구

        안나연,공진용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2

        이 연구는 보조공학기구와 그와 관련된 보조공학서비스를 경험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외국의 평가도구인 퀘백 보조공학 사용자 만족도 평가도구(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QUEST 2.0)를 체계적인 번역절차에 따라 국내 문화에 맞게 한글로 번역하고 검증하여 한국어 번역판 퀘백 보조공학 사용자 만족도 평가도구(한국어 번역판 QUEST 2.0)를 개발함으로써 국내 보조공학 현장에서 보조공학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번역연구와 최종번역본에 대한 검사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최종본에 대한 검사는 현재 보조공학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한국어 번역판 QUEST 2.0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알아보는 Cronbach’s α계수를 사용하였으며,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하위척도들간의 상호상관을 알아보는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한국어 번역판 QUEST 2.0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알아보는 Cronbach’s α는 보조공학기구, 보조공학서비스, 전체 QUEST의 하위척도 각각에 대해 .702, .668, .778으로 나타났으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번역, 이해도평가, 역번역 등의 체계적인 단계에 보조공학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함으로써 타당도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졌고,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하위척도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505로 .01수준에서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번역판 QUEST 2.0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보조공학기구에 대해 평가가 가능하며, 다양한 장애유형과 연령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 관점의 만족도 평가도구로 사용이 간편하고 평가 대상자에게 보조공학에 관한 개인의 만족과 가치에 대한 경험을 쉽게 표현할 수 있으며 보조공학 현장에서 보조공학사 및 재활전문가들이 보조공학 성과를 측정하고자 할 때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질 것이다. The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2.0) has become on important outcome assessment to capture user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assistive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aluation standards to indicate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possibilities of abandonment of assistive devices in Korea as well as the basic data for application of correct assistive devices by developing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with foreign evaluation tool, QUEST that can grasp satisfaction by use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 with systematic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nd frequenc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 QUEST. Cronbach's alpha coefficient showing internal consistency was .702, .668, and .778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total QUEST. Construct validity of Korean QUEST was verified on validity as experts related to various stages of assistive devices, such as translation, back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test on understanding, etc.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sub-scales to figure out construct validity was above .505, and thus significant statistically(p<.01). With the above results,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s users were adapted using the process of valid translation such as translations suggested by various researchers, stages of back-translation, and verification of back-translation, and it was significant in construct validity, making it valuable to be used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acilities and agencies, etc.

      • KCI등재

        작업치료사들의 재활보조공학 접근의 임상적 활용

        장문영,김경미,권혁철,안덕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1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재활보조공학 서비스와 기구를 전달하는 전문 인력 중 작업치료사들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활용도를 조사하여 이용 실태와 현황을 알아봄으로써 작업치료 영역에서 재활보조공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6년 10월 28일부터 동년 11월 4일까지 작업치료사 256명을 대상으로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활용수준과 임상 활용도에 대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접근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82명(32.0%)이었으며, 적용대상자는 신체장애가 가장 많았고, 치료환경에서의 활용도는 ‘낮다’와 ‘매우 낮다’가 165명(64.4%)이었다. ‘향후 재활보조공학을 활용할 계획’은 127명(49.6%)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2.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임상 활용도는 12점 만점에 평균 1.70점으로 낮았다. 3. 작업치료 영역에서 재활보조공학 활용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교육기회 제공, 재정적 지원, 인식향상, 전문인력 보충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4. 작업치료사들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활용도는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재활보조공학은 작업치료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재활보조공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협회차원의 보수교육 및 워크샵과 같은 전문적인 교육 기회가 확대되고 재정적인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ractical degree of use of assistive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occupational therapists conveying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de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ir health and rehabilitation with actual and present conditions concern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discover improvement methods toward the present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256 occupational therapists who have obtained their occupational therapist license in South Korea and have practiced in a clinical setting.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28, 2006 to November 4, 2006. Results : Eighty-two (32.0%)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had experience with assistive technology, and the subject group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the largest portion. Moreover, 165 (64.4%) answer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herapeutic environment was low or very low. And 127 (49.6%)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nswered positively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are planning to use an assistive technology appended to the current method. The practical degree of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as indicated as relatively low; averaging a score of only 1.70 out of 12. To improve the application, they answered in the following order: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providing financial support, improving cognition, and supplying professionally trained manpower/labor.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had a higher percentage of using an assistive technology. Conclusion : In conclusion, assistive technology has been widely acquired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re should be continuous support in terms of associative supplementary education, related workshops and seminars, and financi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