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의 접근성 및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 분석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1

        웹을 활용한 교육은 인터넷의 일부인 웹이 1990년대 이후 급속한 성장을 하면서 교육에 융합된 결과이다. 그러나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아직 웹 접근성과 콘텐츠 확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18개의 중앙 및 시ᆞ도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와 에듀에이블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웹 접근성과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사이트들의 전반적 현황, 웹 사이트 사용의 용이성, 탑재된 교육 자료의 유용성을 평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그 동안 소외되어있던 특수교육 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반적으로 제공하고 향후 국가 및 지역단위 차원에서 특수교육 웹 콘텐츠 제공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한 직업 편의증진 개선방안 연구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3

        최근 지원/임파워먼트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는 재활서비스의 주요 내용에는 편의증진과 재활공학의 제공이 포함된다. 특히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 측면에서 기존의 생산성과 편견의 논란 이전에 구축되어야 하는 합당한 고용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을 고려한 직업 편의증진(job accommodation)과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 지원체계, 서비스 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의 고용을 위한 직업적 편의증진과 재활공학의 개선방안 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보기술분야에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4

        Information Technology jobs seem promising for job seekers with disabilitie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ess physical barriers. However, limited number of individuals are employed in IT jobs in reality.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IT jobs through in-depth research interviews, regarding their employment, job stability, job training, and employment services. Workers in IT jobs often faced dynamic changes from seeking a job, to being employed, to loosing a job, to staying on the job, etc. The workers needed an ability to actively deal with these frequent chan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T jobs. Finally, implications for employment and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and policies on IT job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discussed. 물리적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기술산업과 직업의 급속한 성장은 장애인에게 직업적 기회의 확대라는 희망을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를 현실화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정보기술분야 취업, 고용유지, 직업훈련, 취업알선 서비스에 대한 현황을 개별 면접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기술분야에 장애인들은 구직에서부터 취업, 고용안정에 상당한 변화를 주기적으로 겪고 있으며 정보기술분야에서의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기술분야에 대한 취업 및 직업훈련 서비스와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촉진하는 미국의 편의증진 및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licit implications of providing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grams through investigat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job accommodation in the United State. The provision of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and its effects from Bush's New Freedom Initiative of 2001, Assistive Technology Act of 2004,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and Rehabilitation Act of 1998 were investigated. To facilitate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the job accommodation needs of workers and job seekers with disabilities, workplace conditions in Korea,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context, and the rol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should first be analyzed in the future study. With the analysis base, regulations and policies regarding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in workplace and the roles of the professionals c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을 위한 편의증진과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직장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편의증진 및 재활공학 제도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시 대통령의 New Freedom Initiative 정책, 재활보조공학법, 미국장애인법, 재활법에서 장애인의 직업관련 편의증진과 재활공학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와 실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에 직업재활을 촉진하는 편의증진과 재활공학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장애인근로자와 구직 장애인의 편의증진 요구, 사업체의 여건, 직업재활 서비스 환경, 직업재활 서비스 전문가와 재활공학 전문가의 역할 등의 연구 분석을 통한 제도와 전문인력 배치 및 활용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성인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요소와 과정

        육주혜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직업능력을 개발하는 일은 중증장애인의 삶을 향상하고 의미 있는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체계적인 정립을 위해 장기간에 걸친 질적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 전용 직업훈련기관의 현황, 직업훈련의 구체적 구성요소, 진행과정을 파악하였다. 직업훈련의 구성요소로는 직업훈련의 목적, 기능수준에 따른 직업훈련, 팀구성 전문가, 훈련과정 훈련환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들을 기반으로 한 직업훈련의 과정으로는 직업훈련에서 특정 직업분야 동향 파악, 평가를 통한 직업훈련 대상 결정, 개별훈련생의 능력을 고려한 직업훈련, 훈련결과 분석 및 feedback, 수료 후 지도 및 feedback과 함께 직업재활 서비스의 적극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더한 향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s essential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expand opportunity of meaningful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pecific components and process of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through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The result presents essential components and systematic process of the vocational training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at is, components of vocational trai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sist of a purpose of the vocational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by individual abilities, team members. training process, and training environment. Process of vocational training includes identifying trends in specific occupation, reviewing vocational evaluation data and interview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place in specific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providing individualized vocational training.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training and using the feedback for next training, and performing follow-up service and getting feedback. Throughout this proces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lso should be provided. Finally, practical issues for addressing systematic vocational training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discussed.

      • 장애대학생의 EDI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 효과분석 연구

        육주혜,이효성,진홍섭,석말숙,이준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연구개발 Vol.- No.16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애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과 취업지원을 전담하는 체계적이고 상시적인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지금까지 대학교에서 이러한 진로서비스가 실행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학을 졸업한 고학력 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직업탐색, 직장체험, 직업훈련, 취업알선, 직업유지, 경력관리 등은 그 내용과 과정의 측면에서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던 프로그램과는 또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희박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설정하고 구직활동을 할 수 있는 자신감, 동기,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ㆍ직업탐색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II.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고용개발원에서 개발한 직업탐색프로그램 매뉴얼(2003)을 장애대학생에 대한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으로 벤치마킹하여 시범적용하고 장애대학생에게 효과적인 진로ㆍ직업탐색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상시 서비스 체계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이 자기존중감을 변화시키는가? 둘째, 장애대학생의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을 변화시키는가? 셋째,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 후 장애대학생은 개인별로 직업 설계서를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는가? 넷째, EDI-나사렛대학교 진로ㆍ직업탐색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대학생 참여자의 만족도 평가는 어떠한가? III. 연구방법 연구의 첫 번째 절차로 직업탐색프로그램 매뉴얼(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3)을 분석하였고 직업탐색 프로그램에서 원론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장애를 고려한 사항들을 추출하여 자문위원과의 논의를 거쳐 본 연구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틀을 작성하였다.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의 기본 틀을 작성한 후 나사렛대학교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모집을 하였다. 1차 4명, 2차 6명을 대상으로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자기존중감 및 진로정체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직업설계서를 작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을 마치면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서도 작성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1.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의 변화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수행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검사와 진로정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점수는 평균 88.78에서 90.98로, 진로정체감 중 성취 점수는 평균 24.70에서 25.10으로 향상되었다.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점수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실시직후에 수치상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나 박홍섭(2002) 등의 연구결과보다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와 천정효과(자발참여자들의 높은 자아존중감점수로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가 크지 않음)의 가능성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 개인별 직업적 설계 모든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 참여자가 프로그램 마지막 시간에 직업설계서를 작성하였는데 그 내용은 현재 상태(무엇을 하고 있는가?), 직업적 목표(무엇을 희망하고 있는가?), 조건(무엇이 필요한가?), 준비 계획(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직업적 전망(10년 후 직업인으로서 나의 모습은?)이다(부록 5 참조).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는 자신의 흥미나 성격에 대해서도 명확히 얘기하기 어려워했던 학생들도 직업설계서를 자신 있게 작성하고 발표하였다는 것은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큰 변화였다. 집단 프로그램이 끝난 지금의 시점에서 개별 학생들에 대한 진로ㆍ직업탐색이 진행 중이다. 3.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 만족도 EDI-나사렛대학교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을 마친 후 참여자들로 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받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3.6으로 매우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평균 3.3 ~ 3.4로 모두 프로그램에 같이 참여한 사람들과 진행자에 대해 만족하였다. 그리고 한 사람이 한 문항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것 외에는 모두 직업준비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과 직업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고 직업준비를 이전보다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앞으로 직업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기간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평균 = 2.7) 이는 개방형 질문의 응답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기간 4 ~ 5일이 짧다는 의견이 많았기 때문이다. V. 연구의의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성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오랜 기간 개발과 운영을 해 오고 있던 고용개발원의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고학력 장애인인 장애대학생에게 시범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검증을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대학교 졸업을 앞둔 장애인의 수가 급증하는 시기에 이루어진 것 역시 시의적절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대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참여 신청서를 제출하여 스스로의 진로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행동을 가진 학생들이었다. 자기존중감과 진로정체감이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부터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점수들보다 높은 점수로 출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날 정도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큰 변화가 없었던 이유로 이러한 천정효과를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 직업설계서의 명료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본 프로그램의 큰 성과로 볼 수 있다. 한 사람이 진로를 계획하고 결정하고 취업하는 과정은 장기간에 걸친 의사결정과정이다. 따라서 한정된 연구 기간으로 인해 집단프로그램 이후 장애대학생들에 대한 개별프로그램 설계와 이의 효과성검증, 취업연계 과정 도출은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인 직업훈련 수료생 실태와 개선방안

        육주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직업훈련 수료생들의 취업 현황과 직업훈련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직업훈련 서비스에서 필요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직업훈련 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377명이었다. 설문내용은 취업현황, 직업훈련의 유용성, 만족도, 직업훈련에 대한 요구 사항 등이었다. 아울러 장애인 직업훈련 서비스 개선방안으로는 다양한 직업훈련 분야, 적극적인 취업 서비스, 수준별 직업훈련, 지속적인 수료 후 지도가 논의되었다. The study surveye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complet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on their status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77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o complet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2002. The survey questionnaires included employment status, the value of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ory level, and improvement needs of vocational training. Moreover, suggestions for better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ider range of vocational training area, active employment service, different level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continuous follow-up services, were discussed at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