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결문 내용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아내살해 사건의 재해석: 『추관지(秋官志)』사례를 중심으로

        문현아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3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late Joseon wife murder cases recorded in Chuganji (The Records of Justice). Chuganji is a collection of criminal case rulings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late Joseon. As one of the major categories,domestic murder cases related to family relations, especially, wife murders, are recorded relatively in detail. Previous researches has illuminated the differential treatments based on gender that are too extreme as men gets a slap in the wrist while women gets a death sentence.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such extreme rulings were possible. In other words,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cian discourse on domestic murder cases and its microscopic control by reinterpreting the ruling records of late Joseon wife murder cases. There are 35 wife murder cases found in Chuganji. These case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uicides, wife murders, and murders of women who are not wives. The rulings show that the punishment is very light when the perpetrator is the husband and the rationale for the light punishment associated with the terms like Chilgeojiak (seven evils for expulsion) or adultery. Consequently, the conditions for expulsion of the wife found in the Confucian discourse of late Joseon were used to justify the wife murders. These broad applications of the conditions for expulsion of wife to wife murder case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maintain the husband's control of the wife and the gender hierarchy of the husband over the wife. A reinterpretation of the late Joseon wife murder cases suggests that the gender biased rulings on the wife murder cases committed by commoners may have strengthened the influence of the Confucian discourses in controlling the society. The control mechanism is consisted of the reaffirmation of the hierarchy of the husband over the wife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murder cases, the broad or even unjustified application of the existing gender hierarchy discourse including the conditions for expulsion of the wife, and lastly the realignment of family relations centered on men. In this regard, this paper seek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late Joseon wife murder cases,as micro events, to illustrate how the patriarchy of late Joseon was observed in the families of the commoners. 이 논문은 조선후기 추관지(秋官志)에 실린 아내살인 사건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추관지(秋官志) 조선후기 정조시대에 간행된 일종의 형벌관련 판례집이다. 추관지에는 가족관계에서 벌어진살해사건이 주요한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아내살해 사건에 관한 기록이 비교적 상세하게 실려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남편살해 사건과 아내살해 사건의 판결결과를 통해 남편에 대한 관대한 처분과 아내에 대한 사형이라는 양극단적인 차등의 현실을 드러냈다. 이 논문은 차별화된 판결이 가능했던 맥락을 문제 삼고자 한다. 즉 아내살해사건을 둘러싼 서술의 기록들을 재해석함으로써, 살해사건에 대한 유교 담론의 미시적 통제효과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런 맥락에서 분석한추관지의 사례는 35건의 아내살해 사건이다. 아내살해 사건으로 분류되어있는 사건의 내러티브를 분석하면 사건들은 다시 크게 세 범주로 분류된다. ‘자살’, ‘아내에 대한 살해사건’, ‘아내가 아닌 여성에 대한 살해 사건’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사건에 대해 가해자 남편에 대한 관대한 처분을 가능하게 한 키워드는 '칠거지악'과 '간통'이었다. 조선후기 유교 담론에서아내를 ‘쫓아내는’ 조건은 확대 적용되며 살해의 원인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해당 항목에 대한 확대 적용이 지향하는 것은 ‘아내’에 대한 남편의 통제권의 유지와 이를 위한 남편과 아내사이의 젠더 위계화다. 이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양인층 가족 내부에서 발생한 '아내살해' 사건이 그 결과의 측면에서 유교 담론의 효과적 통제책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동원된 담론의 통제 기제는 첫째, 사건의재구성을 통한 젠더위계화의 강화이다. 둘째, 칠거지악을 비롯한 기존 담론의 최대 활용 혹은 남용을통한 방법이다. 세째, 가해자 남성 중심의 가족관계 재편성이다. 이 논문은 조선후기 부계중심성이 양인층 가족 내에서 발생한 아내살해사건과 맞물려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미시적 사건을 들여다보면서 그 의미의 재해석을 시도했다.

      • KCI등재

        2. 일반논문 : 알프레드 히치콕의 아내살해 영화

        곽한주 ( Han Ju Kwak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1

        ‘서스펜스의 거장’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에는 아내살해가 곧잘 등장한다. 남편 또는 남성 파트너가 아내나 연인을 직접 살해하(려)는 영화가 < 레베카 >에서부터 < 토파즈 >에 이르기까지 7편이며, < 서스피션 >과 < 열차 위의 낯선 자들 >은 아내살해자가 나오지는 않지만 아내살해 주제를 전경화하고있는 영화들이다. 이들 9편의 영화는 모두 히치콕이 할리우드로 이주한 이후만들어졌다. 히치콕 영화 속의 아내살해 양상은 다양하다. 실제로 아내가 살해되는 경우가 있고 살해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아내살해가 실행되는 경우는 < 레베카 >, < 이창 >, < 현기증 >에서처럼 살인이 숨겨져 있다가 뒤늦게 밝혀지는 경우와, < 나는 고백한다 >, < 토파즈 >처럼 즉각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후자는 돌발적으로 아내살해가 일어나는 경우다. 또 < 오명 >< 다이얼 M을 돌려라 >처럼 아내살해 음모가 실패하는 영화들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양상은 내러티브상에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남편에 의해 살해되는 아내들은 부정을 저지른 아내, 재력이 많거나 ‘너무많이 아는’ 아내, 그리고 남편에게 부담이 되는 아내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처럼 희생자는 남성의 권위를 존중하지 않거나 남성의 상징적 자리를 위협하는, 힘 있고 독립적인 여성들로서, 모두 남근적 여성들이다. 남편들이 남근적 아내들을 ‘죄지은 여성’으로 단죄하고 살해하는 것이다. 이런 가부장적 남성상이 등장하지만 아내살해 영화를 반여성적 영화라 할수는 없다. 오히려 희생되는 여성보다 살해하는 남성이 더 큰 죄를 짓는 문제적 인물들이며 이들은 대개 처벌받는 것으로 그려진다. 때문에 이들 영화는 가부장적 상징질서를 비판하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아내살해 영화의 또 다른 특징은 아내살해를 객관적 사실로가 아니라 주관화된 사실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히치콕은 아내살해 자체를 탐구하지 않는다. 대신 아내살해를 접하게 되는 극중 인물의 반응, 그리고 그의 시점을 통해 영화를 접하는 관객의 정서적 반응에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까닭에 히치콕은 살인을 관객이 동일시할 만한 주도적 주인공의 시점을 통해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관객은 주인공의 시점, 그의 욕망과 불안에 의해 ‘굴절된’ 살인을보게 되어 주인공의 정서적 파장까지도 전달받게 된다. 이런 식으로 히치콕은 아내살해를 관객의 정서적 관여, 특히 서스펜스를 이끌어내는데 이용한다. 영화가 현실의 객관적 재현이 아니라 특정한 욕망과 불안에 의해 굴절된 주관적 재현임을 의식하면서, 관객의 정서적 관여를 극대화하기 위해 관객이 동일시할 인물의 시점을 통제하면서 내러티브와 스타일을 구성하는 것-이런 히치콕의 영화작법의 핵심을 아내살해 영화는 잘 보여준다. Family murder frequently appears in Alfred Hitchcock films. Particularly wife murder, a horrible crime that husband or male partner murders his wife or lover, is explicitly featured at least in his nine films from Rebecca(1940) to Topaz(1969). Wife murder in Hitchcock’s films varies in its narrative functions. Some wife murders are hidden for a long time as in Rear Window(1954)and Vertigo(1958), and some are exposed immediately as in I Confess(1953)and Topaz. Murder attempts in Notorious(1946) and Dial M for Murder(1954) eventually fail. Although Suspicion(1941) and Strangers on a Train(1951) do not feature wife murderers, they foreground the theme of wife murder. Hitchcock’s wife murder films share two main features. First, wives victimized by their male partners are, without exception, phallic women. Majority of them are unfaithful, others are rich and’know too much’. Wives who are powerful and independent are liable to be killed. This contributed to Hitchcock’s infamity as misogynist. His films nevertheless can be seen as a radical critique to the patriarchal symbolic order, because the wife murders are narratively punished because of their gender-biased crimes towards women. Second, wife murder is presented not as an objective event but as a subjectivized one. Hitchcock does not explore murder cases themselves. Instead he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s’ and viewer’s emotional responses to the murder in his films. To this end he takes pains to orchestrate audience’s identification. Since wife murder is presented through the lens of character with whom the viewer identifies, the character’s desires and fears easily carry over to the viewer. In this way Hitchcock effectively draws emotional engagement from audiences. Hitchcock’ wife murder films exemplify the Hitchcockian strategies based on the orchestration of the character’s viewpoint with which the viewer identifies in order to maximize audience’s emotional engagement.

      • KCI등재

        식민지기 본부살해(本夫殺害)사건과 아내의 정상성

        전미경(Mi-kyung J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1

        이 연구는 식민지기에 본부살해사건이 많이 발생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이 시기의 본부살해 양상과 이에 대한 지식인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또 식민지기 본부살해녀에 대한 논의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본부살해녀에 대한 논의도 조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동아일보』, 『조선』을 통해 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의 본부살해녀는 예외 없이 사형에 처해졌고, 조선 중기 이후에는 본부살해녀가 출현한 고을의 행정단위가 강등되고 수령이 파직되었다. 또 본부살해사건은 남편을 죽인 이유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고, 진범 여부에 초점이 맞추어져 다루어졌다. 둘째, 식민지기 본부살해녀의 연령은 20세 이하가 가장 많고, 독살, 교살, 자살(刺殺), 타살 등의 방법으로 남편을 죽였다. 살인 동기는 학대, 불화, 가난, 남편의 만성적 질환, 성생활의 부적응, 불륜 등이다. 셋째, 일본인 의사 구도 다케시로는 조선의 비정상적인 혼속(婚俗)특히 조혼과 남편의 신체적, 정신적 결함 때문에 조선에 본부살해녀가 많다고 했다. 1930년대 이후의 동아일보 도 본부살해의 원인을 조혼이나 남편 때문이라고 규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조선 혼속과 남편의 비정상성이 본부살해사건의 원인이라는 해석 속에서 이 사건은 결혼과 부부관계에 있어 유교적 원리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효과를 낳았다. 아내의 지위와 역할을 포기한 남편살해라는 극단적인 사건은 새로운 규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근대적 여성관은 여성의 발전보다는 가족에서의 여성 역할을 강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husband murder cases committed by their wives that occur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issues related to the husband murder cas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husband murder cases during Joseon Dynasty. The findings upon investigating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DongaIlbo東亞日報』, and 『Joseon朝鮮』 are following. First of all, a women who killed her husband in 『Joseonwangjosilrok』 was put into capital punishment without exception, and after the middle period of Joseon, her village's administrative level was degraded while the local governor of the village was dismissed. Second, the age of the woman who killed her husbands was mostly under 20. Most of the killing methods were poisoning, strangling, or homicide while the murder motives were abuse, conflicts, poverty, husbands' chronic diseases, maladjustment to marital sexuality, or adultery. Third, Japanese doctor Kudo Dakesiro said Joseon had many husband murder cases because of its abnormal marriage culture (especially an early marriage) and the husband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DongaIlbo』 after 1930s also attributed the causes of husband murder cases to an early marriage or husbands'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Likewise, intellectuals defended the wives who killed her husbands both from a civilized man's perspective and from a national perspective. Fourth, the husband murder cases covered in the mass media brought out the effects of controverting the Confucian family ethic. The extreme cases of wives' murdering her own husbands by giving up the position and role as a wife demanded the necessity of a new family norm.

      • KCI등재

        그녀는 정말 남편을 죽였는가? ―한 ‘살부(殺夫)’ 사건의 재구성

        이기훈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0 No.148

        이 연구는 식민지기의 많은 남편살해 사건들의 본질에 대한 일련의 연구 중 첫 작업이다. 1924년 발생한 한 ‘남편살해(本夫殺害)’ 사건을 역사학과 현대 의학의 지식을 동원해 그 실상을 다시 추적해 본 것이다. 일제하에서 ‘남편살해’는 조혼 제도로 인한 ‘조선 특유의 범죄’로 규정되어 식민지의 사회적 낙후성을 단적으로 드러낸 물증으로 받아들여졌다. 수많은 남편살해의 시도들이 보도되고 형사처벌을 받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여성들이 남편을 죽이려고 하는 특이한 현상이 조선에서만 나타날 수 있을까 하는 근본적인 의문에서 이 연구는 시작한다. 논문은 억울한 누명을 썼다고 주장하는 한 여성의 결혼의 과정, 시집살이, 구속과 법정 투쟁의 과정들을 생활사, 미시사의 측면에서 촘촘히 재구성하고 당시 형사 재판 제도와 법의학의 맹점들을 추적했다. 성폭행 당한 처녀는 쫓기듯 중증 성병환자와 결혼해야 했고, 남편이 죽자 살인범으로 몰렸다. 마지막 순간 조선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았으나, 겨우 죽음만을 면했을 뿐이었다. 그녀를 살인범으로 몰았던 것은, 가족 내의 타자에 대한 증오였고, 성폭행당한 여성에 대한 사회적 혐오였다. 그리고 이 증오와 혐오는 나쁜 가족 구성원들의 개인적 악행이 아니라 식민지 근대 가족권력의 구조적인 문제였다. This study is part of a series on the nature of murder cases of ‘wife murdering the husb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focuses on rediscovering the facts of such a case in 1924 through historical and medical evidence. The crime of ‘wife murdering the husband’ was defined as a particular type of crime in colonial Joseon. It was thought to be rooted in the local practice of early marriage and condemned as evidence demonstrating the backwardness of the Joseon society. Numerous cases were reported in the papers and were punished under criminal charges. However,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any reported cases were, in fact, truly a wife’s attempts to kill her husband. The study looks into the case of one woman who pleaded not guilty. The study reconstructs in detail her marriage process, her life with the in-laws and the process of her arrest and court trials from her life history and micorhistory perspectives. We zoom in on the loopholes found in the criminal trial process and forensics at the time. The woman was raped by a relative when she was younger, and was later married off against her will to another man who had STD. And when the husband died, the wife was accussed of being the murderer. She managed to get help from a Korean lawyer at the very final stage of the trial, but only barely escaped a death sentence. She was framed as a murderer because the husband’s family bore hatred against the daughter-in-law who was considered and ‘outsider’ and because the society denounced a woman who had been raped. This hatred and denouncement did not necessarily come from personal character of the husband’s family members, but rather rooted in the modern family power dynamics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형수의 간부(姦夫)를 살해한 시동생에 대한 정조의 감형판결과 정약용의 비판: 『논어』·맹자와 관련하여

        이종우 ( Yi Jong-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살인은 사형에 해당되는 중범죄임에도 불구하고, 형수의 간부(姦夫)를 때려서 죽게 한 시동생에 대하여 유교윤리를 바탕으로 정조는 형장을 때리고 유배형이라는 감형판결을 내렸고, 정약용은 그러한 판결을 비판한 것을 본고에서 다룬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그것에 대한 논문들은 유교윤리와 관련하여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감형은 부형과 그의 아들과 동생에 해당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정조는 형수와 시동생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확대 해석하여 판결했다. 왜냐하면 형제간 우애를 변치 않는 윤리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것은 『논어』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의 우애가 인(仁)이라고 정의한 것에 근거를 두었다. 형수의 간부를 살해한 시동생은 형을 위한 행동이라고 정조는 생각했던 것이다. 정조가 살인은 사형임에도 불구하고 감형시킨 이유는 간통이 인간이 해서는 안되는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간통은 금수에 가까운 행동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맹자의 부부유별을 참고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정약용은 『대명률』을 인용하면서 정조의 감형판결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대명률』에 따르면 남편이 현장에서 부인의 간부를 살해했을 때 처벌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 아니라 남편의 동생이 형수의 간부를 살해한 것을 감형시킨 것은 너무 그 범위를 확대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가족의 범죄를 감형시킬 수 있지만 시동생은 그러한 가족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만약 그들이 형수와 시동생의 관계가 아니라 부모와 자식과 형제관계였다면 그렇게 감형하는 것도 허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형수와 시동생은 감형될 수 있는 가족이 아니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간통의 현장에서 살해했다면 감형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도 않은데 감형했다는 것은 올바르다고 보지 않았다. 둘 다 『논어』와 맹자의 유교윤리에 근거했지만 정조는 가족이 지켜야 할 윤리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형장을 때린 후 유배라는 대폭적인 감형판결을 한 반면에 정약용은 정조 보다 더 살인이라는 범죄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정조의 그러한 감형판결이 지나치다고 평가하였다. Although murder was punished to death, King Jeongjo's judgement was commutation based on Confucian ethic and Jeong Yakyong critiqued that. This topic is the object of my research because this has not been researched until now. King Jeongjo judged punishment beating with cudgel and exiling for the younger brother-in-law who made the man of commiting adultery with his elder brother's wife die. King Jeongjo considered it an immutable morality which younger brother's loving for elder brother as elder brother's loving for younger brother. King Jeongjo regarded killing the man of commiting adultery with elder brother's wife as loving for elder brother. The reason why King Jeongjo commuted the death penalty even though murder was death penalty was because he regarded adultery as immoral behavior which humans should not do. King Jeongjo referenced the distin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of Mencius. On the judge of King Jeongjo, Jeong Yakyong criticized by basis of the Great Ming Law Books(大明律). If the husband killed the man of commiting adultery with his wife there, he might not been punished, according to the Great Ming Law Books. However, the man who killed the man of commiting adultery was not the husband but his younger brother. Therefore,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judge of King Jeongjo. If they were parents-children relations, he would be commuted. If he killed the adulterous man at the scene of adultery, his sentence could be commuted, according to Jeong Yakyong. Both King Jeongjo and Jeong Yakyong referenced Confucian ethics. King Jeongjo focused on family, whereas Jeong Yakyong focused on committing murder.

      • KCI등재

        한국 공포의 근원, 장화홍련 서사의 의도된 권선징악-『장화홍련전』에서부터 신소설까지 반복된 모티프를 중심으로

        최애순 ( Choi Ae-soon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7 No.-

        한국 공포 장르하면 일단 떠오르는 것은 머리 풀고 하얀 소복을 입은 여자귀신이다. 중국의 강시나 서양의 흡혈귀와 달리 왜 소복을 입고 머리를 풀어 헤친 여자귀신이 한국 공포의 전형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일까. 여귀하면 생각나는 것은 매일 밤 사또에게 나타나던 <아랑전설>의 아랑과 <장화홍련전>의 장화홍련이다. <아랑전설>은 경상남도 밀양 영남루에 얽힌 전설로, 아랑은 밀양 부사의 딸이었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유모와 통인의 흉계로 죽임을 당하여 대숲에 버려졌다. 부사는 아랑이 외간남자와 내통하다 달아난 것으로 알고 벼슬을 사직한다. 이후 밀양의 신임 부사가 부임하는 첫날 주검으로 발견되어 모두 그 자리를 꺼리게 되고 이때 이상사라는 담이 큰 사람이 자원하여 밀양부사로 와서 아랑의 원혼에게서 억울한 죽음을 전해 듣고 주검을 찾아 장사지냈다 한다. <장화홍련전>도 계모와 흉계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장화홍련의 원혼이 사또에게 나타나 호소하는 이야기이다. 두 이야기 모두 억울한 누명, 계모 혹은 유모의 흉계로 죽임을 당함, 사또에게 억울함을 호소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억울한 죽임을 당한 이는 `여성`이고, 따라서 원혼 역시 `여성`이라는 점도 동일하다. <아랑전설>은 `전설`이고 <장화홍련전>은 `실화`이다. 그러나 `실화`를 고전소설로 엮을 때 내용을 바꾼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뀐 이야기를 전해서 듣고 반복해서 재생했기 때문에 우리에게 <장화홍련>은 실화라기보다 전설로 내려오는 이야기에 더 가깝다. <아랑전설>과 <장화홍련>은 전설 혹은 실화의 구분을 떠나서 문자텍스트(소설)로 읽어서 접한 것이 아니라 `이야기`로 전해져 내려왔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 혹은 이야기를 반복재생산하는 메커니즘에는 의도 혹은 목적이 필연적으로 깔리게 된다. 우리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 혹은 주체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실화, 고전소설 『장화홍련전』, 신소설 『봉선화』, 『치악산』에서부터, 근대 대중소설에 이르기까지 반복된 모티프는 무엇인지 짚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반복된 것으로부터 형성된 `공포`는 과연 무엇에 관한 두려움이었는지, 어떤 경계 혹은 위태로움으로부터 파생된 두려움이었는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억울함을 풀기 위해 나타나는 한국 공포의 전형인 장화홍련으로 대표되는 머리 푼 귀신은 바로 본처의 자리를 도전하는 자들에 대한 `위협`이다. 머리 푼 귀신은 남편의 애정을 첩에게 뺐긴 한국의 `본처들`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일련의 반복에는 숨은 함정이 있다. 모든 원인과 결과를 여성에게 전과시킴으로써 무죄가 된 남성들이 있다. 머리 푼 여자 귀신이 공포의 전형으로 자리잡게 된 것은 남성들의 무의식에 본처들이 무덤에서 되살아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두려움 때문에 이들의 억울함을 살아 있을 때 듣는 게 아니라 대중에게 공포의 대상으로 각인시켜 놓았던 것이다. 살아있는 자가 아닌 `귀신`으로밖에 모습을 드러낼 수 없는 것은 그 공포가 표면적으로는 가부장제를 유지하기 위해 억압되어 왔기 때문이다. 장화홍련으로 대표되는 한국 `공포`의 전형은 바로 가부장제 시스템이 붕괴되는 것을 두려워 한 본처와 본부가 교묘하게 공모함으로써 만들어진 결과이다. This paper tried to inquire why Janghwa Hongryun have been the typical of Korean horror. Horror has been made through repetition. In Korean horror, the repetition of wicked stepmother and second wife had been from Janghwa Hongryun Jeon to new-style novels to modern popular novels including detective novels. And images of stepmother and second wife had been murderer. This is because Korean father and wedded wife want stronger patriarchal system. Janghwa Hongryun Jeon was intentionally described Janghwa Hongryun as good-hearted, and stepmpther Her as bad-hearted. And new-style novels had been repeated to describe a second wife as most wicked murderer.

      • KCI등재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전승양상과 향유의식 비교-가족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3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ansmission aspects and underlying awareness in Korean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focused on family relation types. There is a common point that the lower class women have sung these songs when they do work such as weavin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Korean narrative songs were sung solo, while Anglo American ballads were sung call and response. Narrative songs have been transmitted orally and were written recently, but ballads were printed and sold on the street in the 18th century. According to the type classification by character relationship, narrative songs have been collected in order of family > Men & Women > the others, while ballads have been collected in order of Men & Women > the others > family. Observing within family relation types, narrative songs have been collected in order of Family-in-law & daughter-in-law> Husband & wife> parents & children, while ballads have been collected in order of Husband & wife> Siblings > parents & children. As the result of surveying the underlying awareness of these family relation types, narrative songs and ballads have the common point that most types are ended as the death of the main character or the antagonist.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suicide motif is remarkable in the narrative songs, while the murder motif is prominent in ballads. Especially all these songs express the sorrow with the loss of parents or children, the pain of adultery, sibling conflicts from excessive competition through the death motif. The lower class women reveal their critical awareness about the injust oppression in the family. Moreover, they could escape the inordinate reliance upon others and search for their true identities through these songs. The fact that women in the East and the West have sung about these similar themes and motifs simultaneously is very remarkable. I will survey the universality and the speciality of the two genres through the comparison in succession. 이 글에서는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전승양상과 향유의식을 가족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는 주로 평민 여성들이 길쌈 등의 일을 하면서 불렀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서사민요가 주로 독창으로 불린 데 비해, 발라드는 선후창으로 많이 불렸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또한 서사민요는 거의 구전으로 불리다가 근래에 이르러서야 채록된 데 비해, 영미 발라드는 구전이 중심이 되면서도 18세기부터 인쇄돼 판매되기도 하면서 향유층이 확대되었다. 유형을 인물 관계에 따라 분류했을 때, 서사민요는 가족 > 남녀 > 기타 순으로 조사 채록되었다면, 발라드는 남녀 > 기타 > 가족 순으로 조사 채록되었다. 가족 관계 유형만을 놓고 본다면, 서사민요는 시집식구-며느리 > 남편-아내 > 부모-자식 순으로, 발라드는 남편-아내 > 남매․자매․형제 > 부모-자식 > 시집식구-며느리 순으로 비중이 낮아진다. 서사민요와 발라드의 가족 관계 유형에 나타난 사건의 전개 양상 및 중심 모티프를 중심으로 향유층의 의식을 비교해 본 결과, 부모-자식, 남편-아내, 남매․자매․형제 관계 대부분 주인물 내지 상대인물의 비극적 ‘죽음’으로 귀결된다는 공통점을 보이면서도 서사민요에서는 ‘자살’ 모티프가, 발라드에서는 ‘살해’ 모티프가 두드러진다. 특히 부모-자식 관계에서는 부모 또는 자식의 상실과 부재의 아픔이, 남편-아내 관계에서는 상대의 외도와 부정 등 비정상적 관계로 인한 고통이, 남매․자매․형제 관계에서는 동기간의 지나친 시기나 경쟁으로 인한 갈등이 죽음 모티프를 통해 첨예하게 표면화된다. 이를 통해 향유층은 가족관계에서 빚어지는 부당한 억압과 바람직하지 못한 갈등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낸다. 아울러 이들 노래를 통해 향유층은 각각의 관계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애착에서 벗어나 참된 자아의 정체성을 모색할 수 있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부간 성폭력과 가정폭력 피해 아내의 남편 살해에 대한 고찰

        이명숙(Myung-sook Lee) 한국가족법학회 2006 가족법연구 Vol.20 No.1

          Recently sexual abuse against spouse and husband murder by an abused wife are socially issued in Korea. Compared with the past, the attitude of legal system on two issues is gradually changing. Sexual abuse against spouse is regraded as a crime needed to legal punishment. Also, special conditions and characters of an abused wife who killed her husband are considered in legal court. For all that, there are still many legal debates and problems of the application of a law on these issues.<BR>  This study analyzed on legal debates and problems and suggested desirable legal system in the future.<BR>  On the ground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BR>  First, more effective legal system to solve the sexual abuse against spouse is needed. Second, special conditions and characters of abused wife who killed her husband should be considered in legal system. For this more specialized leg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한・중 계모 설화에 나타난 계모와 의붓아들의 갈등 양상과 의미

        김혜정 돈암어문학회 2022 돈암어문학 Vol.41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 전승되고 있는 계모와 전처 아들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구비설화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갈등 양상을 살펴 그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한국 구비설화 자료 55편과 중국 구비설화 자료 33편이다. 한국 자료는 <약 되는 아들의 간>, <사명당>, <우목낭상>, <순임금 고사>, <착한 계모>, <음식 차별>, <항문에 바람 넣기> 이상 7개의 유형으로, 중국 자료는 <약 되는 아들의 간>, <갈대꽃 솜옷>, <새 유래담>, <순임금 고사>, <볶은 씨앗>, <난제 극복>, <집 떠나 성공하기> 이상 7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한중 자료의 각 유형에 나타난 계모와 전처 아들의 갈등 양상은 크게 ‘차별’, ‘학대’, ‘살해’의 형태로 구분된다. ‘차별’은 가장 약한 정도의 갈등 양상으로, 한국 자료에서는 음식을, 중국 자료에서는 옷을 소재로 계모가 친아들과 전처 아들을 ‘차별’하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었다. 갈등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기도 하고 또 부친이 적절하게 개입함으로써 가족 간의 유대감이 형성되는 결말을 보인다. ‘학대’는 한국 자료에서는 신체 훼손과 같은 물리적 형태로 가해지는 반면, 중국 자료에서는 난이도 높은 노동을 강요하는 형태로 표출된다. ‘학대’는 부모에 대한 효성, 남성에게 필수적인 노동의 기술 등 정당한 목표를 내세우면서 가해지기 때문에 피해자인 전처 아들은 자신이 ‘학대’당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살해’는 계모와 전처 아들의 갈등이 가장 심각하게 표출된 형태이다. 계모에 의한 전처 아들에 대한 ‘살해’가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 하는데, 갈등 정도가 매우 심각하여 결국 재혼 가정이 붕괴되는 결말을 보여준다. 이처럼 유형마다 ‘차별’, ‘학대’, ‘살해’와 같이 갈등의 정도와 양상이 달라지는 것은 재혼 가정 내에서 부친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이런 점에서 계모와 전처 아들의 갈등을 다루는 계모 설화는 전처 아들의 성장담이기보다는 재혼 가정 내 부친의 역할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는 서사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송대(宋代) "유부자(有夫者)" 간통(姦通)에서의 "모살기부(謀殺其夫)" 처벌: "간처(姦妻)"의 처벌에 대한 법률 논쟁을 중심으로

        최해별 한국중국학회 2013 중국학보 Vol.67 No.-

        唐宋時期的通姦中往往척現因其所髮生的殺傷犯罪, 本論文主要攷察到宋代朝廷如何處理"有夫者"通姦中髮生的"謀殺其夫"案件. 特別是關註了在"因與人姦緻夫於死" 的情況下, 卽"姦人(姦夫)殺其夫"的情況下法官즌樣處罰"姦妻"的問題. 因爲타的通姦成爲丈夫死亡的間接原因, 對타的處罰往往成爲當時法官所關註及討論的對象. 本文分別攷察了宋代對"姦妻"處罰的法律規定, 在司法現場中的相關判例以及其中的法律論爭. 關於唐宋時期姦罪的硏究, 到目前有較多的成果, 但對通姦所引起的夫妻之間殺傷罪方麵, 沒有進行專門的硏究. 繼承唐律的『宋刑統口規定了"姦夫"殺死本夫時"所姦妻妾雖不知情, 與同罪", 但反映南宋時期的『慶元條法事類口記載"妻不知情者, 奏裁". 圍繞這一法律規定的變化, 文中攷察了兩宋時期的相關判例, 其中 幾個案件引起了中央官僚的激烈論爭: 神宗元豊六年(1083)在邵武軍髮生的阿陳案件,孝宗淳熙六年(1179)前後在南康軍髮生的阿梁案件及光宗紹熙元年(1190)前後在舒州髮生的阿王案件. 通過分析這些法律論爭, 我們得척了如下的內容: 關於處罰"姦妻"的法律方麵: 第一, 雖然我們在『慶元條法事類口中才조到"妻不知情者, 奏裁"的規定, 但在北宋元豊時期已存在州軍上奏處罰姦妻案件的事例. 可見, 這一傾嚮北宋前中期已經開始척現. 第二, 『慶元條法事類口的規定中仍有"妻不知情者"的條件, 但是, 通過元豊年間阿陳案我們觀察到姦妻知情者也屬於"上奏"的範圍. 第三, 中央機構複審這類案件的過程中, 最關鍵的要素就是證明姦妻的"加功"與否, 卽證明타的"共殺"與否. "從而不加功"和"加功"分別處罰的原則在唐律中隻鍼對"凡人"之間的殺傷罪, 而現在我們知道元豊時期這一規定已被適用於"夫妻之間"的殺傷罪. 總之, 兩宋時期對姦妻的處罰上척現了愼重判處死刑的傾嚮, 幷且處罰的層次也逐漸細節, 卽"加功"與否成爲判刑的標準. 關於法律論爭所反映的政治方麵: 對地方州軍所奏上的姦妻案件, 中央官僚的立場明顯分爲兩種, 卽處死和免予處死. 但是, 他們所論爭的內容不隻停留在於處罰姦妻的問題本身. 處罰姦妻隻是表麵上的內容, 實際上他們通過論爭表明了種種的政治立場. 主張判處姦妻死刑的杜紘比較傾嚮於以"禮", "律"作爲判決根據, 也强調"奏裁"製度的弊端, 反對"生死惟奏與否"的現況. 他主張處死阿陳是與此相關的. 주熹也保有反對"奏裁"製度的立場, 曾經指척過奏裁帶來刑案拖延等問題. 주熹還强調"人理", "三綱" 等, 把타作爲判決根據. 陳傅良引用了"與同罪"的律條, 也强調"三綱", "『春추口之義"等傳統價値. 與此相反, 主張免予死刑的司法機構及官僚, 比較重視有無"同謀共殺"的實際根據, 沒有確定"共殺"的情況下, 他們維持愼重的態度, 不輕易判處死刑. 靈外, 葛필擔心"追逮及於無辜"所導緻的"傷和氣", 也强調朝廷處理"疑獄"的原則. 這些都構成爲主張免予阿梁斬刑的根據. 站在這一立場的官僚比較傾嚮於重視"奏裁". 總之, 從對阿陳案, 阿梁案, 阿王案的法律論爭, 我們觀察到: 兩宋時期"律"和"칙"的對立, "人理"及"三綱"和實際法律根據(共殺與否)的對立, 反對奏裁和重視奏裁的對立以及地方和中央的對立. 從這些對立中我們終於髮現了重視儒家價値及傳統經律的官僚們和要把司法權歸屬於中央的皇權之間的緊張關係. 總之, 兩宋時期在處罰姦妻的司法現場中, 척現了愼重判處死刑幷處罰程度逐漸分層的傾嚮. 這種傾嚮在一定程度上與當時奏裁製度的成熟相關. 處罰姦妻的問題往往成爲當時政治上存在的種種對立關係暴露척來的地點. 通過攷察三件判例及論爭, 我們髮現這些對立關係中要掌握司法權力的中央(皇權)顯示更加强勢的傾嚮. 這種傾嚮導緻處罰姦妻更加愼重及細節判刑的結果, 幷構成爲與以後時期不同的兩宋時期的特點. 我們已知道元, 明, 淸時期척現了在處罰姦罪上更加保守的傾嚮, 也척現了新儒家秩序更加蔘透到性別秩序的傾嚮. 本文解釋了與此類趨勢截然不同的兩宋時期的特點.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