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유형분류방안 비교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0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thods of typ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after surveying the methods of type classification performed in each genre. It has been done as the basis work to compare the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with the Anglo-American ballads. It’s possible to classify the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by the same criterion, because they are songs that have narrative stories. I surveyed the family relation songs at first,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classify all the typ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type classification methods of Cho Dong-il, Kang Deunghak, Lee Junga and Suh Youngsook in the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and the works of F.J. Child, G. List, D. K. Wilgus in the Anglo-American ballads. The type classification methods of Korean narrative songs have been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ructure, but the methods of Anglo-American ballads have been focused on the thematic differences of each version. I suggested the 4 step system as the general type classification that could be adjusted to two genres commonly as follows. 1)Upper categories: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role relations between actors. 2)Types:They are decided into the songs that have the core incidents commonly. 3)Subtypes: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uxiliary incidents. 4)Versions:They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hesion aspects of narrative paragraphs. These works need to analyze all the narrative songs and database them first, then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role relation and themes. 이 논문에서는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심층적 비교를 위한 기반 작업으로서, 두 장르의 기존 유형분류방안을 검토한 뒤 두 장르를 아우를 수 있는 보편적인 유형분류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는 둘 다 서사적 스토리를 갖춘 노래라는 점에서 동일한 기준에 의한 분류가 가능하며, 이는 앞으로의 비교 연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모든 유형을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우선적으로 가족 관계 유형을 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유형분류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의 유형분류방안 중 주요한 성과로는 조동일, 강등학, 이정아, 서영숙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영미 발라드의 유형분류방안으로는 F.J. Child, G. List와 D. K. Wilgus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의 유형분류방안이 대체로 유형구조의 분석에 의한 유형, 하위유형의 분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영미 발라드에서는 유사 유형에 속하는 각편들의 주제 차이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보편적 유형분류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것을 제시하였다. 1) 상위범주:행위자들의 역할 관계에 따라 카테고리를 정한다. 2) 유형:핵심사건을 공유하는 노래를 동일 유형으로 설정한다. 3) 하위유형:부수적 사건(특히 핵심 사건에서 나타난 갈등의 해결 단락)의 차이에 따라 설정한다. 4) 각편:각 서사 단락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별도의 내용 분류를 마련해, 서사단락의 결합 양상에 따라 구별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후 지금까지 조사된 서사민요의 모든 각편들에 대해 철저하고 세심하게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 단락의 내용별, 역할관계별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RISS 인기논문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 연구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7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ansmission aspects in folk ballads of Jeju Island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type, the transformation of nation-wide type and the creation of oicotype. Contrasting with the land, various types of folk ballads haven’t transmitted in Jeju Island. Instead of that, a few type have transmitted intensively. These types are mainly short narrative songs, which are centralized on the scene of an event. Moreover they are comic rather than tragic. These characters have been derived not only from the independent family structure and life style of Jeju Island but also the working and singing method. I assumed that the folk ballads of Jeju Island have been not affected but formed separately from those of the land. Though there are some nation-wide types, they are not transmitted actively. They have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local trait of Jeju Island, so they have had characteristics as the local literature. The folk ballads of Jeju Island have been affected and merged with the other narrative genres more briskly than the other folk ballads of the land. They have been localiz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folk-tale, the alteration of the function and the change of the singing method. Women of Jeju Island have created and transmitted folk ballads through the creation of oicotypes and the transformation of nation-wide types. These transmission aspects show the outstanding ability of Jeju Island’s women in the creation of literature. 이 글에서는 제주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을 유형별 분포양상과 특징, 광포유형의 변형과 지역유형의 창의, 다른 서사갈래와의 교섭과 융합 양상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주 지역에서는 육지 지역만큼 다양한 서사민요 유형이 전승되지 않으며, 그 대신 일부 소수 유형이 집중적으로 불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유형은 대체로 한 가지 사건에서 일어난 특정한 장면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지는 단편 서사민요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체로 비극적이기보다는 희극적 성향을 띰을 밝혔다. 이는 서사민요를 부르는 작업방식이나 가창방식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 특유의 독립적 가족 구조와 생활양식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제주 지역 서사민요는 육지 지역 서사민요와의 교섭 속에서 창작․전승되기보다는 육지 지역 서사민요와는 별도의 독자적 서사민요권을 형성해 온 것으로 추정하였다. 육지 지역에서 널리 전승되는 광포유형이 몇 유형 있기는 하지만, 그리 활발하게 불리지 못했으며, 부른다 할지라도 제주 지역의 특성에 맞게 변형함으로써 지역문학으로서의 개성을 갖추고 있다. 오히려 제주 지역 서사민요는 서사민요보다는 다른 서사 갈래와의 교섭과 융합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즉 육지 지역에서 널리 전승되는 광포유형 설화를 변형함으로써 지역의 서사민요로 재창조할 뿐만 아니라,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설화나 서사무가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역유형을 창작하는 데에까지 나아갔다. 이는 서사민요가 풍부하지 않았던 제주 지역에서 새롭게 서사민요를 창출했던 방식으로, 제주 지역 여성들의 뛰어난 문학적 창작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의복소비행태와 의류자원활용 방안

        서영숙,구은영,조필교 한국의류학회 1997 한국의류학회지 Vol.21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fficient way to utilize clothes. It will be proenvironmental effort besides enhancing clothing life. The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daily clothing practices. Questionnaire is distributed to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ing clothing, textiles, and/or home economics and their parents (n=254). ANOVA, Scheffe test, t-test and regression are pursued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mothers and fathers possess 50.3, 49.9, 45.4 unit clothes, respectively. Mothers possess more formal suits while students possess more casual clothes than the others. The possession pattern is affected by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and purchasing price. 2. In the unused rate of clothes, students' (10.2%) and mothers' (9.7%) rat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athers (6.9%). The unused rate and using efficiency of clothes are affected by socio-economic variables: income and age for unused rate; age and purchasing price for using efficiency. 3.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unused clothes is found to be design and color of the clothes. Long years of possessing and change of fashion are the next important reasons. 4. Most of respondents are highly conscious of recycling their clothes. Most of them are willing to donate their clothes to others, re-use or exchange them with the others.

      • KCI등재

        현전 민요를 통해 본 기록시가의 민요 수용 및 변용 양상: 고려 속요를 중심으로

        서영숙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6

        Folk songs, which have been orally handed down over time, were accepted/transformed into written poetry when the upper classes with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use characters recognized the value of folk songs and accepted/transformed them into their own poems. By comparing them with current folk song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acceptance/transformation of folk songs in Goryeo folk poetry, which are highly related to folk songs among written poems. Analysis of current folk songs that have similar words to the folk music lyrics “Sangjeoga,” “Jeongeupsa,” and “Cheongsanbyeolgok” among Goryeo folk music lyrics revealed that the lamentation of suffering that appears in the folk songs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lyrics of Goryeo folk poetry. Furthermore, they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reality-affirming consciousness of accepting reality and implementing the Confucian ideology. In other words, it is highly probable that folk music lyrics were synthesized by accommodating/transforming various folk songs, and some were newly created and reorganized to fit the royal folk poems. In addition, examining folk songs related to Ikjae Lee Je-hyeon's poetry “Sarihwa,” “Jangam,” “Sujeongsa,” and “Tamrayo (Bugpungseon),” indicates they are all songs about the real state of ordinary people. Ikjae's acceptance/transformation of these folk songs into the soakbu poetry is thought to be a warning to the upper classes by, as he stated, “knowing the changes in reality by looking at the customs of the people.” In this way Goryeo folk songs were converted into folk poetry that affirm reality or guide ideology as the songs lamenting the reality sung by ordinary people were accepted/transformed into folk poetry. As the songs depicting the real world were translated and adapted into the soakbu poetry, it is thought that they were converted into songs of caution against politics by upper-class intellectuals. 구비 전승되던 민요가 기록시가로 수용·변용된 것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지니고 있는 상층 계층이 민요의 활용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자신들의 시가로 수용·변용해 기록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기록시가 중 민요와의 관련성이 큰 고려 속요에 나타난 민요의 수용·변용 양상을 현전 민요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고려 속요 중 속악가사 <상저가>, <정읍사>, <청산별곡>과 유사한 사설을 지니고 있는 현전 민요 <방아노래>, 제주도 <맷돌·방아노래> 등을 함께 살핀 결과, 민요에 나타나는 고난의 한탄이 속악가사로 변개되며 현실을 받아들이고 유교 이념을 실현해야 한다는 현실 긍정의 의식으로 바뀌었다고 보았다. 또한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사리화>, <장암>, <수정사>, <탐라요(북풍선)>과 관련된 민요 <논매기 노래>와 <맷돌·방아노래>들을 찾아 검토한 결과, 모두 현실 세태를 노래한 것들로, 익재가 이런 민요를 소악부로 수용·변용한 것은 그의 말대로 “백성의 풍속을 보아 세태의 변화를 앎(觀民風知時變)”으로써, 상층의 경계로 삼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고려 속요는 대부분 예사 사람들이 부른 현실을 한탄한 노래가 속악가사로 수용·변용되면서 오히려 현실을 긍정하거나 이념을 계도하는 노래로, 현실 세태를 묘사한 노래가 소악부로 번역·번안되면서 상층 지식인들의 정치에 대한 경계의 노래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