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이하나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issues and challenges of history films, which are one of the most problematic fields of historical use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istory. In this article, among all historical films based on history or subject matter, all historical films that are dealt with at least one of the three elements: real people, real events, and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era are broadly referred to history films. Since the 2010s, history films have become a popular genre that has been successful in both box office and criticism. However, history films were highly controversial due to pro-Japanese issues or historical distortions and had a decisive impact on box office success, including “Cheongyeon(Blue Swallow)” in the mid-2000s, “Deokhye Ongju(The Last Princess)”, “Gunhamdo(The Battleship Island)”, and “Naratmal Sami(The King’s Letters)” in the mid-to-late 2010s. I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se films, the issue is whether history films should not have negative characters as leading roles, how far can they pursue film imagination and entertainment, and whether imaginative fiction inserted in history films can be viewed as a kind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se issues, it is argued that history films are a place where the public’s perception and emotions about history are expressed through criticism and discussion around the film as well as the content, and strategies and attitudes are set in different positions of creators/producers and users/consumers. When recognizing historical films as public history, is the problem of verisimilitude of history films, the problem of re-recognizing the meaning of history films as historical interpreters, the need to recognize that history films are films of the present rather than films of the past, and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in history films. After all, history films indicate history as a probability rather than history of fact. The film has an outstanding advantage in recreating and portraying plausible stories that might have been there at the time. It will be a strategy of history films as a public history to capture the various paths that may come to face the truth there. 이 글은 대중문화 영역에서 발생하는 역사 활용 중에서도 가장 문제적 분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역사영화의 쟁점 및 난제들을 검토하고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한국 역사영화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역사를 배경이나 소재로 하는 전체 역사극영화 중에서 실존 인물, 실제 사건, 구체적인 시대의 재현이라는 세가지 요소 중에서 한 가지라도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모든 역사극영화를 광범위하게 역사영화로 칭한다. 2010년대 이후 역사영화는 흥행과 비평 모두에서 성공한 대세 장르가 되었다. 하지만 역사영화가 친일문제나 역사왜곡 문제로 크게 논란이 일고 흥행에까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2000년대 중반의 <청연>을 필두로, 2010년대 중후반의 <덕혜옹주>, <군함도>, <나랏말싸미> 등의 사례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이들 영화를 둘러싼 논란들 속에서 쟁점은 ① 역사영화는 부정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서는 안되는가 하는 문제, ② 역사영화가 허용하는 영화적 상상력과 오락성의 추구는 어디까지 가능한가 하는 문제, ③ 역사영화에 삽입된 상상적 허구를 일종의 역사해석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쟁점들을 통해 역사영화가 내용 뿐만 아니라 영화를 둘러싼 비평과 토론을 통해서 대중이 역사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정서가 표출되는 장소이며, 이에 대한 전략과 태도는 창작자/생산자와 수용자/소비자 각각의 다른 입장 속에서 설정되는 것임을 논한다. 역사영화를 공공역사로서 인식할 때, ① 역사영화의 핍진성(verisimilitude) 문제, ② 역사 해석자로서의 역사영화의 의미를 재인식하는 문제, ③ 역사영화는 과거에 대한 영화라기보다는 현재에 대한 영화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성, ④ 역사영화에서의 ‘재현의 윤리’가 문제가 된다. 결국, 역사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사실의 역사라기보다는 개연성(probability)으로서의 역사이다. 그때 그 장소에서 있었을 법하고 있었을지도 모르는 그럴듯한 이야기를 재현하고 묘사하는 데 영화는 탁월한 장점을 발휘한다. 어쩌면 그곳에서 진실을 마주하게 될지도 모르는 다양한 경로들을 포착하는 것이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의 전략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소현숙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문제연구 Vol.26 No.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minority history and examines how it can be combined with the novel people’s history that emerged as an innovative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Studies on various minorities such as vagrants, disabled people,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orphans have been conducted in the midst of wholesale changes in academia, which include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people’s history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minority movements. These studies revealed the experiences of heterogeneous subjects that could not be easily integrated into Minjung (the people), criticized the violence of modernity and norms that were not captured by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and materialize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domination and oppression. In addition, by revealing that the majority are complicit in the exclusion and violence suffered by minorities, the diversity of harm was captured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ased on differences was explored.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how such research on the history of minorities contributes to the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이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진척되고 있는 마이너리티 역사 연구의 성과를검토하고 민중사를 혁신하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제기된 ‘새로운 민중사론’과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어떻게 서로 접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전통적인 민중사연구의 쇠퇴와 소수자운동의 활성화라는 학계 안팎의 변화 속에서 2000년대 이후 부랑자, 장애인, 한센인, 고아, 성소수자 등 다양한 마이너리티 집단에 대한역사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민중으로 쉽게 통합될 수 없는 이질적 주체들의 경험을 가시화하고 기존의 민중사가 포착하지 못했던 근대성과 ‘정상성’ 규범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지배와 억압의 다층적 면모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마이너리티 집단이 겪는 배제와 폭력에 다수가 공모하고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가해-피해의 다층성을 포착해왔다. 이를 통해 마이너리티 역사 연구는 민족과 계급을 중심으로 한 낡은 민중사의 해체를 촉진해 왔다. 그러나 민중사를 ‘아래로부터 역사’로서, 권력으로부터 소외된 이름 없고 역사 없는 사람들에게 제 이름과 역사를 찾아줌으로써 역사학을 민주화하는 시도로 이해한다면, 마이너리티역사는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이기도 하다. 젠더·섹슈얼리티·인종·국적·장애· 지역 등 차이가 차별이 되는 사회에서 자신들의 삶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해온 사람들이 이루어 온 역사에 대한 지식 없이 ‘아래로부터의 역사’와 ‘역사학의민주화’는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조선사(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 황의돈(黃義敦)의『중등조선역사(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박종린 ( Park Jong Rin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1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s Japan switched to the cultural politics and implemented reconciliation policies, wider movement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emerged. The 2nd Joseon Education Decree in 1922 also stimulated public demand for the education. This situation made it possible for Korean history books by Korean historians to be published. During 1923 and 1924, seven Korean history books were published. These boo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books by nationalist historians and books by pro-Japanese historians. Among the best known books is 『Sinpyeon Joseon History(新編朝鮮歷史)』 by Hwang Ui Don. 『Jungdeung Joseon History(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first published in 1926 and the 9th edition was published in 1933. This book was easy to read and included a lot of maps and pictures, and thus it was more popular than other books. 『Revised Jungdeung Joseon History(增訂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Korean history in many secondary schools, and widely read by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Korean history. Accordingly, Hwang affected public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books by Hwa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opularizing historical knowledge.

      • KCI등재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교사를 말하다

        방지원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eachers and students are two subject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Students grow up in history culture, and each enters the classroom with a sense of history formed through public area. Based on such historical perception, students renew their historical understanding, create historical narratives containing their perspectives, and express them in various ways, growing into a new subject of public history. If it is the ideal of public history to allow students and the public to experience “doing history”, it can be said that history teachers play the role of public historians. This is in that history is reproduced through the teacher curriculum, the meeting of students and history is mediated using various media, a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designed. As a public history historian, the educational interest of history teachers should not rem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school history. Serious attention should also be paid to the fact that such representation activities are consequently involved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members of society. 교사와 학생은 학교 역사교육의 두 주체이다. 학생들은 역사문화 속에서 성장하며, 저마다 공공역사를 통해 형성된 역사인식을 가지고 교실로 들어온다. 그러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역사인식을 갱신하며, 자신의 관점을 담은 역사적 서사를 만들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가운데 공공역사의 새로운 주체로 성장한다. 학생을 비롯한 대중이 직접 ’역사하기‘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공공역사의 이상이라면 역사교사는 공공역사가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역사를 재현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과 역사의 만남을 중재하고, 학습 경험을 디자인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공공역사가로서 역사교사의 관심은 공공 재현 활동과 학교 역사의 관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그러한 재현 활동이 결과적으로 사회 구성원의 역사의식과 정체성에 관여한다는 점에도 진지하게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사이비역사학의 계보와 학문 권력에의 욕망

        기경량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 No.

        한국에는 쇼비니즘에 기반한 사이비 역사학이 커다란 세력을 이루고 있다. 사이비 역사학은 사이비 과학이나 사이비 의학과 마찬가지로 반지성주의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를 ‘다양한 역사 해석’의 범주로 이해하려는 경향도 있으나, 이는 사이비 역사학의 파괴력과 악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사이비 역사학은 학문으로 인정될 수 없으며, 이들이 제시하는 역사는 거짓과 망상을 사실로 다루고 있기에 ‘가짜 역사’, 즉 사이비 역사이다. 사이비 역사학의 원형은 일제 시기의 식민주의 사학에서 찾을 수 있다. 식민주의 사관의 세례를 받은 아마추어 역사 연구자 최동·문정창이 한국 사이비 역사학의 기틀을 세웠다. 사이비 역사학은 『환단고기』라는 위조된 역사서가 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두며 세력을 크게 확장하였다. 사이비 역사학은 지적으로 훈련받지 못한 이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사이비 역사학에 심취한 다른 전공 분야의 학자들도 많다. 사이비 역사학자들은 학문적 권위를 획득하기 위해 대학 같은 연구 기관에 학위 과정을 개설하기도 하고, 학술지를 발간하기도 하면서 학문의 외피를 획득해 가고 있다. 역사학계의 경각심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Pseudo-historicism, which is based on chauvinism, is a huge force in South Korea. Pseudohistory, like pseudoscience and pseudomedicine, is characterized by anti-intellectualism. There is a tendency to understand it as a category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history”, but this underestimates its destructive power and harmful effects. Pseudo-historicism cannot be recognized as a discipline, and the history they present is pseudo-history because it presents lies and delusions as fact. The prototype of Korean pseudohistory can be found in colonialist historiograph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oi, Dong and Moon, Jung-chang, amateur historical researchers who were baptized into colonialist historiography,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pseudohistory. Pseudo-historicism gained momentum with the popular success of a forged history book called Hwandanggogi(桓檀古記). Pseudo-historicism is not the preserve of the intellectually untrained. There are many scholars in other fields of study who are immersed in pseudohistory. In order to gain academic authority, pseudohistorians have established degree programs at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published academic journals to gain a veneer of scholarship. The historical community needs to be vigilant and proactive.

      • KCI등재

        역사전쟁을 성찰하며―정사(正史)·정통성(正統性)론의 함정

        홍석률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비평 Vol.- No.128

        지난 역사전쟁은 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왜 역사교과서였을까? 아직도 한국사회에는 은연중에 역사교과서를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역사서술 또는 일종의 정사(正史) 같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사회로 갈수록 교과서의 기능과 역할은 절대화되기보다는 상대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난 역사전쟁의 과정에서 교과서는 더욱 절대적인 중요성을 부여받았으며, 나아가 국가 전체의 공식적인 역사서술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었다. 단일한 국정역사교과서, 이른바 “올바른(正) 역사교과서”의 추진은 그 극단이었다. 이에 역사논쟁은 국가 정체성, 정통성 문제로 과잉 정치화, 이념화되었다. 친일/반일, 종북/반북의 이분법적 논리가 성행하고, 이승만·박정희 찬양론 대 악마론이 맞붙었다. 이는 역사논쟁에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역사인식의 실종을 가져왔고, 치열한 이념 논쟁 속에서 오히려 이념은 변질되거나 퇴행하였다. 시대착오적인 정사(正史)의 추구, 정통론적 역사인식이 중요한 원인이었다. The History Wars in South Korea were mainly centered on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s. Why was it a history textbook? Still, Korean society tends to regard history textbooks in the schools as official historical writings or authentic history(正史) on a state level. Increasingly toward a democratic and pluralistic society, the function and role of textbooks tend to be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In the course of the past history wars, however, textbooks were given more absolute importance. The attempt by Park Geunhae government for a single state history textbook, the so-called “right history textbook”, was its extreme. History debates tended to be over-politicized and ideologicalized over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and state legitimacy. As a result, in the course of historical debate, historical perception has become narrower rather than expansive. The pursuit of anachronistic authentic history and orthodox recognition were important reasons.

      • KCI등재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쟁점과 대안들

        윤택림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Women’s history museums are the contending site in which women, history and museum as a public space are entangled. This paper sta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history and museum, and reviews the feminist critics of the problems involved in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not likely to represent women’s experience. It also suggests woman’s public history as a new approach to women’s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While it reviews the recent process of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movement i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two women’s history museums,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War&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 terms of displaying structure, exhibition narrative and limitions. This examination draws out the important issues concerning constructing a women’s history museum; the limitations of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 by applying periodization of national history, expanding women’s diverse memories and experience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rough oral history, and establishing the collection policy in collaboration with gender history historians. These issues are followed by suggestions for alternative exhibition strategies to make a women’history museum as gender-cognitive space which will be the site for women’s public history. 여성사박물관은 여성, 역사 그리고 박물관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류된 공공역사의 장이다. 그렇다면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박물관에서 여성사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공공역사의 장으로서 여성사박물관은 무엇을 지향하고 어떤 내용을 담보해야 하는가. 이 글은 여성 경험을 재현하는 장으로서 박물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두 여성사박물관을 사례로 분석하여 공공역사와 여성사박물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공공역사와 박물관의 관계를 검토하고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을 살펴본다. 또한 여성사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소개한다. 국내 여성사박물관의 사례로서 국립여성사전시관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분석하여 박물관에서 여성 경험 재현과 관련된 쟁점과 대안들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향해 공공역사를 젠더인지적으로 만드는 여성사박물관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공공역사로서 여성의 문화적 기억공간 만들기

        이지원 역사문제연구소 2025 역사비평 Vol.- No.150

        이 글은 “역사공장(HISTOFACTO)/공공역사문화연구소”가 공공역사로서 지역 공간의 여성의 삶을 재현한 여성의 문화적 기억공간 만들기 실천 사례에 대한 것이다. 이 작업은 2024년에 경기도여성비전센터, 수원학연구센터와 진행하였다. 작업의 결과 ‘산루리 길’, ‘수려한 길’이라는 여성 역사문화컨텐츠를 개발했다. ‘산루리 길’은 수원지역 근대 여성의 상징인 여학생의 역사를, ‘수려한 길’은 20세기 수원의 평범한 여성의 생애사를 재현한 것이다. 그것은 수원이라는 지역 공간에서 시대 변화와 함께 삶을 개척한 여성을 드러내 재현하여 공공의 소통을 궁리한 문화적 기억공간 만들기의 결과물이다. 이들 작업에서는 여성의 역사를 역사 전체 이야기(whole story)로 해석하고, 시대 전환기 여러 제약 속에서 살아간 인간 여성의 역사를 재현하여, 있는 그대로 인간의 모습에 공명하고 젠더감수성을 높이는 이야기로 재현하고자 했다. 지역 공간의 특수성이 반영된 역사적 요소를 추출하여 재구성하는 스토리텔링을 했다. ‘길’이 문화적 기억공간으로 지역의 문화자산이 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컨텐츠를 만든 연구자들의 역할 못지않게 ‘길’을 운영할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성평등 인간 존중의 역사문화 조성, 여성 문화정책과 역사교육 확충을 위한 여성 공공역사 거버넌스 운영도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practical case of creating women’s cultural memory spaces that reproduce women’s lives in regional spaces as public history by “History Factory (HISTOFACTO)/Public History& Cultural Studies Lab”.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2024 with the Gyeonggi-Do Women’s Vision Center and the Suwon Studies Center. Gyeonggi Women’s Vision Center and the Suwon Studies Center. As a result of the work, women’s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called “Sanruri Road(산루리 길)” and “Suryehan Road(수려한 길)” were developed. “Sanruri Road” reproducing the history of women students, who are symbols of modern women in the Suwon region, and “Suryehan Road” reproducing the life history of ordinary women in Suwon in the 20th century.It is the result of the work of creating a cultural memory space that explores public communication by revealing and reproducing women who pioneered life along with the changing times in the local space of Suwon. In these works, women’s history was interpreted as a whole story of history, and the history of human women who lived under various restriction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as reproducing stories that understand the human form as it is and increase gender sensitivity. Storytelling was done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historical elements that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local spaces. In order for ‘roads’ to become cultural memory spaces and regional cultural assets,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that operate ‘roads’ is just as important as the role of researchers who create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a women’s public history governance to create a historical culture that respects gender equality and humanity, and to expand women’s cultural policies and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민간 역사관 운영에 관한 소고 ―‘기억과 평화를 위한 1923역사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강산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 No.149

        이 글은 <기억과 평화를 위한 1923역사관>을 소재로 민간 역사관 운영의 사례를 소개하고 한계와 전망을 정리한 것이다. 1923역사관은 1923년 발생한 간토대학살을 주제로 한 민간 역사관이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주민신협 연수원 ‘아우내 쉼플스테이’에 자리 잡고 있다. 간토대학살 진상규명에 애써온 1923한일재일시민연대는 간토대학살 100 주년을 맞이하여 시민운동의 역사를 한 단계 갈무리하고자 했다. 단체 창립 이후 15년 간 다방면의 활동을 전개해오면서 축적된 기록과 자료를 토대로 간토대학살을 일반 시민들에게 알리고자 했다. 그것이 1923역사관의 설립으로 귀결된 것이다. 1923역사관의 설립은 1923한일재일시민연대가 주도했지만, 운영은 사회적협동조합 기억과 평화가 맡고 있다. 단순히 활동의 성과를 전시하는 차원을 넘어, 박물관의 기획과 운영 전반을 공공역사의 맥락에서 만들어 나가고자 젊은 역사연구자들과의 협업을 시도한 것이다. 1923역사관은 간토대학살 사건에 대한 전시와 더불어 한국에서의 시민운동과 그 과정에서 생산된 문제의식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즉, 간토대학살 사건과 시민운동의 역사를 포괄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에 더해 일본 국가와 민중이 저질렀던 폭력의 ‘잔혹성’을 재현하는 수준이 아니라, 간토대학살을 현재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사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1923역사관은 민간 박물관, 그리고 미등록 박물관이므로, 운영상 여러 어려움이 있다. 박물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등록이 필요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운영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등록할 수 없기도 하다. 그럼에도불구하고 1923역사관은 다양한 시도를 해오고 있다. 간토대학살 사건을 다루는 국내 유일의 박물관으로써, 차별과 혐오, 그리고 폭력의 역사를 오롯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perational model of private history museums by focusing on the ‘1923 Museum of Memory and Peace’, highlighting its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The 1923 Museum is a private history museum dedicated to the Kanto Massacre of 1923, located in Byeongcheon-myeon, Dongnam-gu, Cheonan City, Chungcheongnam-do, a resident cooperative training cen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was spearheaded by the Korea-Japan-Zainichi Solidarity for the Truth of the Kanto Massacre (1923 Solidarity), which sought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ssacre and to consolidate the legacy of its civic activism. Over the past 15 years, the organization has engaged in multifaceted activities, amassing extensive records and materials related to the Kanto Massacre to raise public awareness about this tragic historical event. These efforts culminated in the founding of the 1923 Museum. The establishment of the 1923 Museum was led by the Korea-Japan-Zainichi Solidarity for the Truth of the Kanto Massacre (1923 Solidarity), while its operations are managed by the social cooperative ‘Memory and Peace’. Beyond merely exhibiting the outcomes of past activism, the museum seeks to design and manage its entire framework within the context of public history, actively collaborating with young historians. The museum recognizes the necessity of not only showcasing the events of the Kanto Massacre but also conveying the civic movements in Korea and the critical issues they have raised. Its overarching aim is to encompass both the history of the massacre and the associated civic activism. Furthermore,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reproducing the ‘brutality’ of the violence perpetrated by the Japanese state and its citizens, the museum strives to facilitate a deeper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 Kanto Massacre within contemporary contexts. The 1923 Museum faces numerous operational challenges as a private, unregistered museum. While registration is necessary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museum, the paradox lies in the fact that its operational instability prevents it from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e 1923 Museum continues to make various efforts to fulfill its mission. As the only museum in Korea dedicated to the Kanto Massacre, it is committed to preserving and conveying the history of discrimination, hatred, and violence with authenticity and integrity.

      • KCI등재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홍종욱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40

        Paik Nam-un’s Marxist historiography during the colonial period clarified it’s character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by pursuing the universal subject of the natio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succeeded in the tradition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and attempted to prove that the universal law of world history was also carried out in Korean history by completing the historical narrative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 and unilinear development.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historiography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stablished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Marxist historiography of the periphery, aimed at national liberation and socialist construction, sought to harmonize the class and national perspectives. This has been declared as the principle of party character and the principle of historicism i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s the Juche ideology was supported as the only ideology and the Kim Il-sung autocracy was strengthened, North Korean historiography made a new search by presenting the pedigree ethnic concept and paying attention to the struggle of the masses beyond economic determinism. In this direction systematized as the Juche historiography, the specificity of colonial-periphery historiography and the contemporaneity with critical histories of other countries are confirmed.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nd Juche historiography existed in the flow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that they pursued the universal subject of the nation. However, the Juche historiography denied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historiography by ignoring evidence and emphasizing only the ideology of the nation, going through the Dangun nationalism and D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journey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since the colonial period ended in anti-historiography. 식민지 시기 백남운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함으로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성격을 분명히 했다. 북한 역사학은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전통을 이어 일국사적 단선적 발전단계론에 입각한 역사 서술을 완성함으로써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법칙이 한국사에도 관철됨을 보이고자 했다. 북한 역사학의 방향은 1960~70년대 남한과 일본의 한국사 연구에서 정립된 내재적 발전론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건설을 지향한 주변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계급적 관점과 민족적 관점의 조화를 꾀했다. 이는 북한 역사학에서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 원칙으로 천명되었다. 주체사상이 유일사상으로 떠받들어지고 김일성 유일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북한 역사학은 혈통적 민족 개념을 내세우고 경제 결정론을 넘어 인민대중의 투쟁에 주목하는 새로운 모색을 한다. 주체 사관으로 체계화되는 이러한 방향에서는 식민지-주변부 역사학의 특수성과 함께 비판적 역사학의 국경을 넘는 동시대성이 확인된다. 북한 역사학과 주체 사관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한 점에서 한국 근대 역사학의 흐름 속에 존재했다. 그러나 주체 사관은 단군 민족주의, 대동강 문명론을 거치면서 사료와 실증을 경시한 채 민족이라는 이념만을 앞세움으로써 역사학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했다. 식민지 시기 이래 이어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여정은 반역사학으로 귀결되어 버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