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이하나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issues and challenges of history films, which are one of the most problematic fields of historical use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istory. In this article, among all historical films based on history or subject matter, all historical films that are dealt with at least one of the three elements: real people, real events, and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era are broadly referred to history films. Since the 2010s, history films have become a popular genre that has been successful in both box office and criticism. However, history films were highly controversial due to pro-Japanese issues or historical distortions and had a decisive impact on box office success, including “Cheongyeon(Blue Swallow)” in the mid-2000s, “Deokhye Ongju(The Last Princess)”, “Gunhamdo(The Battleship Island)”, and “Naratmal Sami(The King’s Letters)” in the mid-to-late 2010s. I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se films, the issue is whether history films should not have negative characters as leading roles, how far can they pursue film imagination and entertainment, and whether imaginative fiction inserted in history films can be viewed as a kind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se issues, it is argued that history films are a place where the public’s perception and emotions about history are expressed through criticism and discussion around the film as well as the content, and strategies and attitudes are set in different positions of creators/producers and users/consumers. When recognizing historical films as public history, is the problem of verisimilitude of history films, the problem of re-recognizing the meaning of history films as historical interpreters, the need to recognize that history films are films of the present rather than films of the past, and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in history films. After all, history films indicate history as a probability rather than history of fact. The film has an outstanding advantage in recreating and portraying plausible stories that might have been there at the time. It will be a strategy of history films as a public history to capture the various paths that may come to face the truth there. 이 글은 대중문화 영역에서 발생하는 역사 활용 중에서도 가장 문제적 분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역사영화의 쟁점 및 난제들을 검토하고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한국 역사영화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역사를 배경이나 소재로 하는 전체 역사극영화 중에서 실존 인물, 실제 사건, 구체적인 시대의 재현이라는 세가지 요소 중에서 한 가지라도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모든 역사극영화를 광범위하게 역사영화로 칭한다. 2010년대 이후 역사영화는 흥행과 비평 모두에서 성공한 대세 장르가 되었다. 하지만 역사영화가 친일문제나 역사왜곡 문제로 크게 논란이 일고 흥행에까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2000년대 중반의 <청연>을 필두로, 2010년대 중후반의 <덕혜옹주>, <군함도>, <나랏말싸미> 등의 사례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이들 영화를 둘러싼 논란들 속에서 쟁점은 ① 역사영화는 부정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서는 안되는가 하는 문제, ② 역사영화가 허용하는 영화적 상상력과 오락성의 추구는 어디까지 가능한가 하는 문제, ③ 역사영화에 삽입된 상상적 허구를 일종의 역사해석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쟁점들을 통해 역사영화가 내용 뿐만 아니라 영화를 둘러싼 비평과 토론을 통해서 대중이 역사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정서가 표출되는 장소이며, 이에 대한 전략과 태도는 창작자/생산자와 수용자/소비자 각각의 다른 입장 속에서 설정되는 것임을 논한다. 역사영화를 공공역사로서 인식할 때, ① 역사영화의 핍진성(verisimilitude) 문제, ② 역사 해석자로서의 역사영화의 의미를 재인식하는 문제, ③ 역사영화는 과거에 대한 영화라기보다는 현재에 대한 영화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성, ④ 역사영화에서의 ‘재현의 윤리’가 문제가 된다. 결국, 역사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사실의 역사라기보다는 개연성(probability)으로서의 역사이다. 그때 그 장소에서 있었을 법하고 있었을지도 모르는 그럴듯한 이야기를 재현하고 묘사하는 데 영화는 탁월한 장점을 발휘한다. 어쩌면 그곳에서 진실을 마주하게 될지도 모르는 다양한 경로들을 포착하는 것이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의 전략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역사전쟁을 성찰하며―정사(正史)·정통성(正統性)론의 함정

        홍석률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비평 Vol.- No.128

        지난 역사전쟁은 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왜 역사교과서였을까? 아직도 한국사회에는 은연중에 역사교과서를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역사서술 또는 일종의 정사(正史) 같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사회로 갈수록 교과서의 기능과 역할은 절대화되기보다는 상대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난 역사전쟁의 과정에서 교과서는 더욱 절대적인 중요성을 부여받았으며, 나아가 국가 전체의 공식적인 역사서술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었다. 단일한 국정역사교과서, 이른바 “올바른(正) 역사교과서”의 추진은 그 극단이었다. 이에 역사논쟁은 국가 정체성, 정통성 문제로 과잉 정치화, 이념화되었다. 친일/반일, 종북/반북의 이분법적 논리가 성행하고, 이승만·박정희 찬양론 대 악마론이 맞붙었다. 이는 역사논쟁에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역사인식의 실종을 가져왔고, 치열한 이념 논쟁 속에서 오히려 이념은 변질되거나 퇴행하였다. 시대착오적인 정사(正史)의 추구, 정통론적 역사인식이 중요한 원인이었다. The History Wars in South Korea were mainly centered on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s. Why was it a history textbook? Still, Korean society tends to regard history textbooks in the schools as official historical writings or authentic history(正史) on a state level. Increasingly toward a democratic and pluralistic society, the function and role of textbooks tend to be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In the course of the past history wars, however, textbooks were given more absolute importance. The attempt by Park Geunhae government for a single state history textbook, the so-called “right history textbook”, was its extreme. History debates tended to be over-politicized and ideologicalized over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and state legitimacy. As a result, in the course of historical debate, historical perception has become narrower rather than expansive. The pursuit of anachronistic authentic history and orthodox recognition were important reasons.

      • KCI등재

        ‘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 黃義敦의 『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박종린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1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s Japan switched to the cultural politics and implemented reconciliation policies, wider movement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emerged. The 2nd Joseon Education Decree in 1922 also stimulated public demand for the education. This situation made it possible for Korean history books by Korean historians to be published. During 1923 and 1924, seven Korean history books were published. These boo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books by nationalist historians and books by pro-Japanese historians. Among the best known books is 『Sinpyeon Joseon History(新編朝鮮歷史)』 by Hwang Ui Don. 『Jungdeung Joseon History(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first published in 1926 and the 9th edition was published in 1933. This book was easy to read and included a lot of maps and pictures, and thus it was more popular than other books. 『Revised Jungdeung Joseon History(增訂 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Korean history in many secondary schools, and widely read by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Korean history. Accordingly, Hwang affected public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books by Hwa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opularizing historical knowledge.

      • KCI등재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홍종욱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40

        Paik Nam-un’s Marxist historiography during the colonial period clarified it’s character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by pursuing the universal subject of the natio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succeeded in the tradition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and attempted to prove that the universal law of world history was also carried out in Korean history by completing the historical narrative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 and unilinear development.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historiography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stablished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Marxist historiography of the periphery, aimed at national liberation and socialist construction, sought to harmonize the class and national perspectives. This has been declared as the principle of party character and the principle of historicism i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s the Juche ideology was supported as the only ideology and the Kim Il-sung autocracy was strengthened, North Korean historiography made a new search by presenting the pedigree ethnic concept and paying attention to the struggle of the masses beyond economic determinism. In this direction systematized as the Juche historiography, the specificity of colonial-periphery historiography and the contemporaneity with critical histories of other countries are confirmed.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nd Juche historiography existed in the flow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that they pursued the universal subject of the nation. However, the Juche historiography denied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historiography by ignoring evidence and emphasizing only the ideology of the nation, going through the Dangun nationalism and D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journey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since the colonial period ended in anti-historiography. 식민지 시기 백남운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함으로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성격을 분명히 했다. 북한 역사학은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전통을 이어 일국사적 단선적 발전단계론에 입각한 역사 서술을 완성함으로써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법칙이 한국사에도 관철됨을 보이고자 했다. 북한 역사학의 방향은 1960~70년대 남한과 일본의 한국사 연구에서 정립된 내재적 발전론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건설을 지향한 주변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계급적 관점과 민족적 관점의 조화를 꾀했다. 이는 북한 역사학에서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 원칙으로 천명되었다. 주체사상이 유일사상으로 떠받들어지고 김일성 유일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북한 역사학은 혈통적 민족 개념을 내세우고 경제 결정론을 넘어 인민대중의 투쟁에 주목하는 새로운 모색을 한다. 주체 사관으로 체계화되는 이러한 방향에서는 식민지-주변부 역사학의 특수성과 함께 비판적 역사학의 국경을 넘는 동시대성이 확인된다. 북한 역사학과 주체 사관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한 점에서 한국 근대 역사학의 흐름 속에 존재했다. 그러나 주체 사관은 단군 민족주의, 대동강 문명론을 거치면서 사료와 실증을 경시한 채 민족이라는 이념만을 앞세움으로써 역사학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했다. 식민지 시기 이래 이어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여정은 반역사학으로 귀결되어 버렸다.

      • KCI등재

        공공역사로서의 구술사와 지역사

        허영란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oral history and local history in S.Ko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 history. The author presented three concepts of public history in a Korean context. 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xpansion of public history requires professional historians to change their roles. In Korea, as in the West, the public’s consumption of histories has expanded rapidly. It is not usually due to the direct involvement of the historian. It means that the public has emerged as a subject in the consumption of histories like in cultural democracy. Beyon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led by experts, the public led the consumption of histories on their own and began to participate directly in writing histories. In particular, oral history is a very useful method of public history, and local history is becoming a concrete site in which it is implemented. Professional historians are required to train public historians to be active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various areas of public history. 이 논문은 공공역사 관점에서 한국의 구술사와 지역사의 현황과 의미를 제시했다. 한국 맥락에서 유동적이기는 하지만 공공역사라는 개념이 사용되는 세 가지 용례를 정리하고, 공공역사의 팽창으로 인해 전문적인 역사학자의 역할 변화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서구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역사학자의 직접적 관여와는 별개로, 대중의 역사소비가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그것은 문화민주주의에서처럼 역사에 대해서도 대중이 주체로 등장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가 주도하는 역사대중화를 넘어, 일반 대중 스스로 역사소비를 주도하고 역사쓰기에 직접 참여하기 시작했다. 특히 구술사는 공공역사의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지역사는 그것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현장이 되고 있다. 전문 역사학자는 지역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공공역사가를 양성하고 다양한 공공역사 영역에서 일반 대중과의 소통에 나설 것을 요구받고 있다.

      • KCI등재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소현숙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문제연구 Vol.26 No.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minority history and examines how it can be combined with the novel people’s history that emerged as an innovative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Studies on various minorities such as vagrants, disabled people,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orphans have been conducted in the midst of wholesale changes in academia, which include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people’s history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minority movements. These studies revealed the experiences of heterogeneous subjects that could not be easily integrated into Minjung (the people), criticized the violence of modernity and norms that were not captured by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and materialize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domination and oppression. In addition, by revealing that the majority are complicit in the exclusion and violence suffered by minorities, the diversity of harm was captured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ased on differences was explored.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how such research on the history of minorities contributes to the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이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진척되고 있는 마이너리티 역사 연구의 성과를검토하고 민중사를 혁신하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제기된 ‘새로운 민중사론’과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어떻게 서로 접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전통적인 민중사연구의 쇠퇴와 소수자운동의 활성화라는 학계 안팎의 변화 속에서 2000년대 이후 부랑자, 장애인, 한센인, 고아, 성소수자 등 다양한 마이너리티 집단에 대한역사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민중으로 쉽게 통합될 수 없는 이질적 주체들의 경험을 가시화하고 기존의 민중사가 포착하지 못했던 근대성과 ‘정상성’ 규범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지배와 억압의 다층적 면모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마이너리티 집단이 겪는 배제와 폭력에 다수가 공모하고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가해-피해의 다층성을 포착해왔다. 이를 통해 마이너리티 역사 연구는 민족과 계급을 중심으로 한 낡은 민중사의 해체를 촉진해 왔다. 그러나 민중사를 ‘아래로부터 역사’로서, 권력으로부터 소외된 이름 없고 역사 없는 사람들에게 제 이름과 역사를 찾아줌으로써 역사학을 민주화하는 시도로 이해한다면, 마이너리티역사는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이기도 하다. 젠더·섹슈얼리티·인종·국적·장애· 지역 등 차이가 차별이 되는 사회에서 자신들의 삶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해온 사람들이 이루어 온 역사에 대한 지식 없이 ‘아래로부터의 역사’와 ‘역사학의민주화’는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쟁점과 대안들

        윤택림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Women’s history museums are the contending site in which women, history and museum as a public space are entangled. This paper sta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history and museum, and reviews the feminist critics of the problems involved in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not likely to represent women’s experience. It also suggests woman’s public history as a new approach to women’s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While it reviews the recent process of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movement i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two women’s history museums,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War&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 terms of displaying structure, exhibition narrative and limitions. This examination draws out the important issues concerning constructing a women’s history museum; the limitations of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 by applying periodization of national history, expanding women’s diverse memories and experience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rough oral history, and establishing the collection policy in collaboration with gender history historians. These issues are followed by suggestions for alternative exhibition strategies to make a women’history museum as gender-cognitive space which will be the site for women’s public history. 여성사박물관은 여성, 역사 그리고 박물관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류된 공공역사의 장이다. 그렇다면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박물관에서 여성사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공공역사의 장으로서 여성사박물관은 무엇을 지향하고 어떤 내용을 담보해야 하는가. 이 글은 여성 경험을 재현하는 장으로서 박물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두 여성사박물관을 사례로 분석하여 공공역사와 여성사박물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공공역사와 박물관의 관계를 검토하고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을 살펴본다. 또한 여성사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소개한다. 국내 여성사박물관의 사례로서 국립여성사전시관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분석하여 박물관에서 여성 경험 재현과 관련된 쟁점과 대안들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향해 공공역사를 젠더인지적으로 만드는 여성사박물관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조선사(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 황의돈(黃義敦)의『중등조선역사(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박종린 ( Park Jong Rin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1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s Japan switched to the cultural politics and implemented reconciliation policies, wider movement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emerged. The 2nd Joseon Education Decree in 1922 also stimulated public demand for the education. This situation made it possible for Korean history books by Korean historians to be published. During 1923 and 1924, seven Korean history books were published. These boo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books by nationalist historians and books by pro-Japanese historians. Among the best known books is 『Sinpyeon Joseon History(新編朝鮮歷史)』 by Hwang Ui Don. 『Jungdeung Joseon History(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first published in 1926 and the 9th edition was published in 1933. This book was easy to read and included a lot of maps and pictures, and thus it was more popular than other books. 『Revised Jungdeung Joseon History(增訂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Korean history in many secondary schools, and widely read by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Korean history. Accordingly, Hwang affected public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books by Hwa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opularizing historical knowledge.

      • KCI등재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교사를 말하다

        방지원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eachers and students are two subject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Students grow up in history culture, and each enters the classroom with a sense of history formed through public area. Based on such historical perception, students renew their historical understanding, create historical narratives containing their perspectives, and express them in various ways, growing into a new subject of public history. If it is the ideal of public history to allow students and the public to experience “doing history”, it can be said that history teachers play the role of public historians. This is in that history is reproduced through the teacher curriculum, the meeting of students and history is mediated using various media, a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designed. As a public history historian, the educational interest of history teachers should not rem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school history. Serious attention should also be paid to the fact that such representation activities are consequently involved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members of society. 교사와 학생은 학교 역사교육의 두 주체이다. 학생들은 역사문화 속에서 성장하며, 저마다 공공역사를 통해 형성된 역사인식을 가지고 교실로 들어온다. 그러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역사인식을 갱신하며, 자신의 관점을 담은 역사적 서사를 만들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가운데 공공역사의 새로운 주체로 성장한다. 학생을 비롯한 대중이 직접 ’역사하기‘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공공역사의 이상이라면 역사교사는 공공역사가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역사를 재현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과 역사의 만남을 중재하고, 학습 경험을 디자인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공공역사가로서 역사교사의 관심은 공공 재현 활동과 학교 역사의 관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그러한 재현 활동이 결과적으로 사회 구성원의 역사의식과 정체성에 관여한다는 점에도 진지하게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