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 만4세 일반유아와의 비교

        김자경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sense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first and seconde grades, and 65 preschoolers at age 4 as a comparison group. The number sense test developed by Kim et al. (2018)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individually.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number sense were compared between students with mild ID and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The students with mild ID showed lower levels of number sense than those of preschoolers on the total score and sub-area scores. Second, the comparison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 total score of the number sense test, then the differences among those four groups and mild ID group were analysed on the total and sub-area scores. The total score of the mild I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Regarding to the sub-areas of the number sense, the mild ID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s of the number sense on the areas of number recognition, quantity discrimination, and measure. On the area of counting,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while on the areas of the pattern and the number transformation,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and the preschooler group in the low 26th∼50th percentile.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above 76th percentile on the areas of the computation and the estimation, but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reschooler groups. On the areas of the missing number and the number meaning,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mild ID group and the preschooler group above 76th percentile, but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reschooler groups.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kip counting among five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Scheffé post hoc test. In conclusion, the number sens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D was lower than that of the four-year-old preschoolers, and lower than or similar to the preschoolers below the 25th percentile in some sub-areas of number sens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ed for continuos and systematic number sense instruc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D in the early grades.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을 만4세 일반유아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에 소재한 다섯 개 초등학교와 한 곳의 사설치료실에 대상을 의뢰하였으며, 부모의 동의를 얻어 총 15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선정하였다. 비교 대상은 두 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65명이며, 이들은 수감각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백분위 76이상, 백분위 51∼75이하, 백분위 26∼50이하, 백분위 25이하)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자경 외(2018a)가 개발한 수감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별검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일반유아에 비해 수감각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수감각 수준별 유아집단을 비교한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은 수감각 총점이 백분위 25이하 집단을 제외한 다른 유아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인식과 수량변별, 측정 영역에서는 모든 수준별 유아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세기 영역에서는 백분위 25이하 집단과, 규칙과 합성분해 영역에서는 백분위 25이하 및 백분위 25∼50이하 유아집단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셈하기와 어림 영역은 백분위 76이상인 유아집단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다른 유아집단들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빠진 수 넣기와 수의미 영역에서는 백분위 76이상의 유아집단과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유아집단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뛰어 세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나,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모든 유아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종합하건데,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수준은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비교한 일반유아에 비해 낮았으며,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백분위 25이하의 유아집단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게 수감각 교육이 필요함을 입증해주며, 이를 위한 방안에 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의 성과 성교육에 대한 인식

        나인정,이미숙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xual consciousness of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heir perception towards sex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 drew up questionnaire guideline to conduct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for two or three time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were the same as their peers concerned with the opposite sex and sex itself for which they had certain curiosity and desire. They were brought up under forbidden sexual behavioral environments by their parents and were afraid of the sex. Second, the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were continuously accessing the pornography. Whenever they watched the videos, they masturbated and felt the extreme sense of guilt. Finally, the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had continuously taken the sex education but they hardly remembered or learned the contents. This confirmed that the sex education in schools need to emphasize the right perspectives on their own sex and sexual behavior and sex education should be done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interests, and needs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의 성과 성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 6명으로,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은 ‘성’에 대하여 남자와 여자, 연인, 섹스 등을 떠올렸고, 이성교제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과 두려움을 나타내었으며, 스스로 이성간의 스킨십의 정도를 정해놓았고, 일반적으로 이성과 성을 금기시하는 양육환경 안에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은 선정적인 동영상(야동)에 대하여 계속적인 접속을 하고 있으면서도 야동과 자위에 대한 과도한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은 학교 성교육에 대해 무의미하게 느끼고 있었고, 각자의 선호하는 방법으로 성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이 자신의 성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성 인식을 심어주는 내용을 포함해야 하고, 지적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성교육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지식과 성태도 인식 및 개선방안

        김경신 ( Kyung Shin Kim ),김미경 ( Mi Kyo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의 인식을 분석하여 성교육 개선방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지역의 특수학교에 다니고 있는 고등학생(전공과 미설치학교)과 전공과에 다니고 있는 학생 104명이다. 그들은 기본적인 읽기와 쓰기,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성지식과 성태도에 대한 수준과 변인(성별, 학교 급별, 교육정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성지식영역에서는 성건강, 성폭력, 성역할에 대한 인지수준이 낮았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지식을 높게 인식하였고, 고등학생이 전공과 학생들보다 성지식의 수준이 높았으며, 성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성지식의 인식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성태도 영역에서는 대부분의 영역이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 되었다.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고등학생들이 전공과 학생들보다 성태도가 긍정적으로 잘 형성되어 있으며, 성교육을 많이 받은 학생일수록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바람직하게 형성되었다. 경도지적장애학생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가 고등학생일수록 높고 긍정적인 것은 성교육 횟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전공과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이 1년 안에 어떤 형태로든 사회로 나가게 되므로 교육과정에서 성교육의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성교육에서는 성건강, 성폭력, 성역할에 대한 내용들이 더 중점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셋째, 긍정적 성태도 형성을 위해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improve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sex amo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high school students and post-high school students who could read, write, and communicate on a basic level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within a school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ity of Gwangu, Jeollanamdo.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gender, school year, and frequency of sex educ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s, the data collected was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sex knowledge, female students presented a higher awareness of knowledge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presented a higher awareness of knowledge than post-high school students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Additionally, the more frequently the students received sex education, the greater their general sex knowledge was. These results, however, did not indicate that frequency of sex education raised levels of awareness in all areas of sex knowledge. Second, in the area of attitudes toward sex, there were not conclusive results that express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genders. High school students presen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ex than did post-high school students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Students who had received sex education more frequently viewed sex more positively relative to the students who had received sex education less frequently. It can be concluded that having greater knowledge of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ex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sex education. Sex education, therefore, should be strengthened for post-high school students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as most of them will complete the program within a year. Furthermore, instruction regarding sexual health, violence, and gender roles should be prioritize in sex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쓰기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경도지적장애, 학습장애, 학습부진학생을 중심으로

        고서연 ( Ko Seo-yeon ),백영선 ( Paek Young-sun ),길한아 ( Kil Hanah ),김미령 ( Jin Meiling ),( Sakura Yusuke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중재를 실시한 연구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ANOVA를 통해 쓰기중재의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대상자 관련 변인인 대상자 유형, 성별, 학년, 지능지수와 중재 관련 변인인 중재유형, 중재회기, 중재시간, 쓰기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보고서 및 학술지 논문을 포함하여 총 34편이었으며, 총 159개의 효과크기(Tau-U)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쓰기중재연구의 쓰기능력 향상에 대한 중재 및 유지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중재회기 및 중재시간에 따른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에 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writing interventions on "students with difficulty in writing" defin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ement.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single-subject research about writing intervention for those students. In addition, through the meta-ANOVA, the control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he subject-related variables(type, gender, grade, IQ) and the intervention -related variables(type, session, time, and writing target area). A total of 34 articles were analyzed from 2001 to 2017, and a total of 159 effect sizes(Tau-U)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writing intervention studies were proved,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shown in the intervention session and intervention tim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읽기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경도지적장애, 학습장애, 학습부진학생을 중심으로

        길한아,손승현,고서연,백영선,김미령,Sakura Yusuke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read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ow achievement,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single-subject research in reading interven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meta-ANOVA, the control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he subject-related variables (participant type) and the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intervention type, reading target area). A total of 43 single-subject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from 2001 to 2017, 12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nd a total of 185 Tau-U values ​​were calculated at the intervention stage and 183 Tau-U values ​​at the maintenance stage. The mean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between the baseline and the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au-U = .556, p = .000) in intervention, and the mean total effect of maintenanc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au-U = .834, p = .000).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중재를 실시한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하였다. 메타ANOVA를 통해 읽기중재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대상자 관련 변인(대상자 유형, 성별, 학년, 지능지수)과 중재 관련 변인(중재유형, 중재회기, 중재시간, 읽기영역(음운인식, 단어인지, 유창성, 어휘, 읽기이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연구보고서 및 등재․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43편의 단일대상 실험설계 논문이 포함되었다. 43편의 논문 연구대상 중 본 연구의 분석대상의 포함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유아, 지능지수 50미만의 지적장애 학생 등을 제외하여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된 학생들은 총 124명이었다. 총43편의 연구에 포함된 124명의 연구대상자와 각각의 종속변인에 따라 효과크기를 도출한 결과, 중재단계에서 총 185개, 유지단계에서 총 183개의 Tau-U값이 산출되었다. 기초선과 중재구간 간의 중재효과크기는 유의하게 높았으며(Tau-U=.554, p=.000), 읽기중재 유지의 전체 평균효과크기 또한 유의하게 높았으며(Tau-U=.834, p=.000)다. 읽기중재의 효과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대상자 유형, 중재유형(중재/유지) 및 읽기영역에 따른 조절분석을 고정효과모형을 통해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에 관해 논하였다.

      • KCI등재

        스크립트를 이용한 자기옹호 교수가 초등학교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지식과 권리지식에 미치는 효과

        김주용,최승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7 No.4

        Self-advocacy skill including knowledge of self and knowledge of right is an essential skill for all students to have control of their lives and to make right deci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advocacy instruction through scripts on knowledge of self and knowledge of righ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six grader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of G elementary school in E-gun, Chungcheongbuk-do.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had been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in the study. Basic 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tests were performed as checklists utilizing a role play for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lf-advocacy instruction through scripts was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of self and knowledge of right of the participant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self-advocacy program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discussed. 장애학생에게 스스로에 대한 인식과 권리지식을 포함한 자기옹호 기술 지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스크립트를 이용한 자기옹호 교수가 초등학교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지식과 권리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E군 G초등학교 6학년 경도지적장애학생 3명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subjects)를 실시하였고, 스크립트를 적용한 역할극을 활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 학생들의 자기지식(감정 인식, 선호, 장․단점 인식, 장애 인식)과 권리지식(요청하기, 주장하기, 거절하기, 괴롭힘 대처)이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도지적장애학생들의 자기지식과 권리지식 향상을 위한 자기옹호 교수의 적용 방향과 교육 현장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도지적장애 중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재원,임지향,김미애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9 임상미술심리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a third year of middle school girl in B middle school who was diagnosed as intellectual disability grade three by the medical specialist for children and youth in A city, and was requested from her homeroom teacher because of having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The 45 minutes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was conducted for 29 sessions, three times a week.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pre- and post- changes of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step by step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after the art therapy program. The study came to conclusion as follows. First, RCS score were increased, and after comparing pre- and post test of KSD, the subject drew a stable posture of holding hands with friends show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s been effective in promo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erapy process, completion of work, and performance tasks were held in a step-by-step qualitative analysis, the subject showed positive aspects, and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school life to actively promo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e relationships and control feelings in the fam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basis for the effectiveness of relationship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본 연구는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경도지적장애 중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시의 B중학교 3학년 여학생으로 지적장애 3급을 진단받았으며, 학교생활에서 대인관계의 문제로 인해 담임교사에 의해 의뢰되었다. 대상관계 미술치료는 주 3회 45분씩 총 29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 및 결과분석을 위하여 대인관계변화척도(RCS)와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치료 상담 후에 대상자의 사전․사후 심리 및 행동특성을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하여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실시 후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동적학교생활화의 사전․사후를 비교해 본 결과 대인관계에서 친구들과 손을 잡는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즉,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경도지적장애 중학생의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단계별 질적 분석에서 상담과정, 작품완성, 수행과제에서 회기를 진행할수록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학교생활에서 대인관계 적극성과 관계개선, 가정생활에서 감정조절을 하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대상관계미술치료가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학생의 NCS 기반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 수행이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귀연 ( Kui Youn Kim ),곽승철 ( Seung Chul Kwak ),이지영 ( Ji Yeong Lee ),윤준상 ( Jun Sang Yo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NCS 기반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을 경도지적장애 고등학생 및 전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 수행이 이들의 직무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도지적장애 고등학생 및 전공과 학생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NCS 기반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을 주5회, 39차시, 총192시간(직업기초능력 30시간, 직업수행능력 162시간) 실시하였다. 직무수행능력 향상 정도는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역량 평가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 수행 결과, 연구대상 10명 모두 바리스타 직무수행능력(직무기초능력, 직무수행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바리스타 자격증 취득으로 인해 바리스타 직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바리스타 2급 자격 검정 응시 결과 7명이 자격증을 취득하여 바리스타 자격증 취득율은 70%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 barista training course on the job competency and potential of high school and post secondary school studen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pplying a NCS -based barista training course. Selecting ten students consisting of high school and post secondary school studen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conducted the barista training course for 192 hours (30 hours for basic vocational abilities and 162 hours for vocational-achievement abilities); five times each week and 39 classes. Improve job performance level was measured by perform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ency assessment process barista job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ll subjects improved their job competency(basic vocational abilities, vocational-achievement abilities), and they became interested and gained confidence in the work of baristas by obtaining a barista`s license.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written reviews also revealed that their sense of self-achievement improved, their perception of baristas changed positively, and their understudying of vocational infrastructure for baristas was broadened. In addition, Barista Level 2 qualification results take 10 people to become certified barista certification get certified was 70%.

      • KCI등재

        초기 학령기의 언어수준을 보이는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쓰기도구에 따른 작문 특성

        홍주은(Joo-eun Hong),이근용(Geun-yong Lee),김화수(Wha-soo Kim)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쓰기 도구가 경도지적장애 학생들의 작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도지적장애로 판정된 12명의 학생들이 연필과 종이를 이용한 손글씨 쓰기와, 키보드를 이용한 컴퓨터쓰기를 각각 실시하였다. 두 가지 방법의 쓰기를 통해 생성된 작문들이 형식적 측면에서 양과 질에 차이가 있는지, 내용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작문에 포함된 문장, 어절, 음절, 다른 단어의 수는 모두 컴퓨터쓰기를 통해 생산된 작문이 손글씨쓰기를 통해 생산된 작문보다 많았고, 작문의 전반적인 질의 점수 역시 컴퓨터쓰기를 통해 생산된 작문이 더 높았다.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의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어절 수와 다른 낱말 수, 작문의 질에서 각 점수들 간의 차이는 유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쓰기의 도구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새로운 쓰기 기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족한 쓰기 능력을 보완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influence of writing tool for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riting. For this, 12 students who assessed as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erformed respectively hand-writing with pencil and paper, and computer-writing using keyboard. Writing that is generated by the two methods were evaluated that it makes difference in terms of the formal in the quantity and quality, and in terms of the content. As a result, writing by computer-writing was more produce sentences, words, syllables and NDW than writing by hand-writing. Writing by computer-writing also got higher scores that overall quality of writing than writing by hand-writing. To validate the difference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A result of analyzing,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NTW, NDW and the quality of writing score. These findings mean that using the computer as a tool of writing is not only provide a new writing skills but complement lack of writ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