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와 예술의 문제 1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미의 종교」를 중심으로

        이승현(李勝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엘리아데는“종교를 망각해버린 근대인은 그 신성함(聖性)을 예술속에서 구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종교신학자 폴 틸리히도『문화의 신학(Die Theologie der Kultur)』을 통해, 종교적인 내실을 체험하는 사람이 구상화한 온갖 문화 창조물을 유형적, 역사철학적으로 분류하며, “종교가 결실을 맺은 문화란 본래 어떠한 것인지, 실제 종교 쪽에서 스케치해 보는”개념을 제시하였다. 근대에 활발해진 비판에 대해 종교 개념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한 그들은 라는 테마를“예술과 무제약적으로 실재인 것”이라고 말하며, 기성 종교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예술을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예술의 해방과 기성종교로부터 종교를 해방하는 것이 근대 종교 문화의 특징이라고 보았다. 폴 틸리히와 동시대를 살다 간 일본의 종교철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 1889-1961)는“전반적으로 사원(寺院)종교가 쇠퇴해가는 오늘날, 그것을 대신할 것은 미의 전당을 세우고, 그것을 매개로 눈에 호소하며 도(道)를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미의 종교」론을 독자적으로 전개하였다. 근대화라는 문명사적 대격변기를 목격한 아시아의 종교철학자가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근대적인 삶의 방식, 서양문화와 동양문화, 그리고 제국주의적인 내셔널리즘과 그에 대립하는 휴머니즘의 경계선에 서서 이질적인 것의 대립을 초극하기 위한 궁극적인 고찰과 실천을 종교와 예술을 통해 추구하고자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야나기의「미의 종교」론 형성과정을 통해 종교와 예술이 갖는 오늘날의 의미를 통찰해 봄으로써 종교 이해의 장을 넓혀보고자 한다. “The modern men, who have lost religion, are seeking sacredness in the arts,” said Eliade. A religious theologian, Paul Tillich, presented the concepts of the cultural artifacts that are formed in the religiously matured moments that are created by the artists who experience religious sacredness. He categorized them into historic and philosophical frames in his book “A Theology of Culture (Die Theologie der Kultur)”. In the moderncriticism of religion, the two scholars who emphasized the need to expand the concept of religion, provided the traditional theme of “arts and religion” with a new concept“, arts and the unconstrained and tangible”. The main features of modern religious culturesthey found are twofold: 1) the liberation of arts from the limited boundary of the arts that established religions tolerate; 2) the liberation of religion from the established religions. Religious philosopher Yanagi Muneyoshi (1889-1961), who lived the same era with Tillich purported “the religion of beauty” by emphasizing the provision of concrete “Tao” actualized in the halls of beauty, which could replace the disappearing temple-based religions back in Japan. In the transformational period of modernization in Asia, religious philosophers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different streams such as the east vs. west cultures, imperial nationalism vs. humanism, and the traditional way of life vs. the modern way of life. Especially, they endeavored examining religions and arts, and tried to participate in reality through arts and religi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oday’s meaning of religion and art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that Muneyoshi’s went through to form his theory on “the religion of beauty.”

      • KCI등재

        종교의 자유와 명상에 관한 헌법적 해석

        전지수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가천법학 Vol.16 No.3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종교의 자유의 보호대상에 명상은 포함되는지 의문이다. 전통적으로 명상은 종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현대의 명상은 종교성에서 세속화·대중화·산업화로 변천되었다. 명상의 세속화는 종교의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요청한다. 명상의 개념은 더 이상 종교에 국한하지 않는다. 명상은 종교적 차원과 세속적 차원이 조응 혹은 분리된 개방적 개념으로 확장된 것이다. 그렇다면 명상을 종교로 포섭하여 일률적인 종교의 자유의 보호영역으로 설정할 수 없다. 국가는 종교의 자유를 보호할 수 있도록 종교의 범위에 대하여 고민하여야 한다. 합의된 헌법적 정의는 부재하다. 이에 대한 헌법적 대답을 부과한다. 헌법질서 아래 상이해진 두 개념 간에 평화적 공존을 위해서는 새로운 정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명상에 관한 헌법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명상은 종교인가? 둘째, 헌법상 명상의 개념은 무엇인가? 셋째, 종교의 자유와 명상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종교적 명상과 세속적 명상으로 구분하여 종교의 자유에 대한 실효성 있는 헌법해석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종교적 명상의 경우 종교가 추구하는 유일한 목적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달리, 세속적 명상의 경우 각인의 다양한 목적을 내적으로 경험하기 위한 생활의 실천이란 점에서 합리적인 헌법적 해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고는 종교성을 갖는 명상의 경우 종교의 자유의 영역이지만, 세속성을 갖는 명상의 경우에는 무종교의 자유의 영역으로 보는 것은 정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하여 헌법상 종교와 명상의 개념, 종교의 자유와 무종교의 자유를 구분하여 탐색한다. 그리고 무종교의 자유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무신앙의 자유, 무종교적 행위의 자유, 무종교적 집회·결자의 자유, 무종교의 자유 제한의 한계를 명상의 개념을 접목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종교의 자유와 무종교의 자유에서 각기 파생되는 가칭 ‘종교적 명상의 자유’와 ‘세속적 명상의 자유’에 대하여 제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상 종교와 명상의 개념을 살펴보고, 헌법해석을 통해 상충할 수 있는 종교적 명상과 세속적 명상의 기본권 보호의 범위를 법익형량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에 있다. The Constitution guarantees freedom of religion. It is doubtful whether meditation is included in the protection of religious freedom. Traditionally, medi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to achieve religious goals. Modern meditation is losing its religiosity. In other words, modern meditation is changing into secularity, popularity, and industrialization. The secularization of meditation calls for a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The concept of medit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religion. Meditation is an expansion of an open concept in which the religious dimension and the secular dimension correspond or separate. Meditation cannot be embraced as a religion and set as a uniform protection area for religious freedom. The state should consider the scope of religion to protect religious freedom. There is no agreed upon constitutional definition. A constitutional answer to this is required. This is because a new interpretation is needed for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concepts under the constitutional order. The constitutional issues regarding medit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s meditation a religion? Second, what is the concept of meditation in the constitu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of religion and meditation? It is possible to try an effectiv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eligious freedom by dividing it into religious meditation and secular meditation. In the case of religious meditation, it is a means to the only end pursued by religion. Unlike this, in the case of secular meditation, a reasonabl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must be premised in that it is a practice of life to internally experience the various purposes of each person. This study considers whether it is legitimate to regard meditation with religiousness as the realm of freedom of religion, but in the case of meditation with secularity, as the realm of freedom from religion. To prove this, the concept of religion and meditation, and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from religion in the Constitution were distinguished and explored. The specific content of freedom from religion was reviewed by grafting the concept of meditation on the freedom of unbelief, freedom of non-religious activities, freedom of non-religious assembly and assembly, and the limits of freedom from religion. And, tentatively named 'freedom of religious meditation' and 'freedom of secular meditation' derived from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from religion ar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egal interests by setting the concept of religion and meditation in the Constitu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religious meditation and secular meditation that may conflic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 in Primary Care Patients

        Mina Kang,La Young Park,Seo Young Kang,Jisun Lim,김영식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41 No.2

        Backgrou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 where various religions coexis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 among primary care patients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Family Cohort Study in Primary Care. Among the 1,040 participants in the cohort, 973 of those who had reported their religio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articipants completed standardiz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religious status and lifestyle factors, such as physical activity,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and dietary habits.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Among the 973 participants, 345 (35.5%) were Christian, 153 (15.7%) were Roman Catholic, 308 (31.7%) were Buddhist, and 163 (16.8%) did not have any religion. Compared with those without a religion, the odds ratio (OR) for vigorous physical activity (OR, 1.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2.28) increased, and that for binge drinking (OR, 0.67; 95% CI, 0.46–0.78) and problematic drinking (OR, 0.59; 95% CI, 0.35–0.99) decreased among participants with a religion. Compared with those without a religion, Catholic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vigorous physical activity (OR, 2.20; 95% CI, 1.31–3.67), whereas Christians were less likely to engage in heavy (OR, 0.50; 95% CI, 0.30–0.84), binge (OR, 0.35; 95% CI, 0.22–0.54), and problematic drinking (OR, 0.46; 95% CI, 0.25–0.86). Smoking, meal regularity, and breakfast consumption were not associated with religion. Conclusion: The status of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As religion is one of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knowing patients’ religion can be helpful for primary physicians.

      • KCI등재

        신 없는 사회와 하나님 나라

        최현종(Hyun-Jong Choi) 한국종교학회 2016 宗敎硏究 Vol.76 No.2

        This study aims to apply Phil Zuckerman’s hypothesis in his book Society without God that a ‘society without God’ is happier than a religious society to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religion and mental health, b) religion and social security/participation and c) religion in Korean socie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elig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dividual mental health. This effect seems to be mediated by such factors as positive thinking and social support, although it depends upon such variables as the individual’s religious coping style, the secularization of society, the religious milieu, and the nature of religion itself. 2)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al security/participation seems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Norris and Inglehart, the enhanced sense of security, which is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education, public health, social welfare, and social capital rather than merely by economic development, reduces the need for religion. However, it seems to be difficult to prove an inverse hypothesis that secularization has weakened social capital or civic participation. 3) The role of religion in South Korea is difficult to be defined conclusively. The survey “Religion and Social Progress” in which Koreans evaluated the role of religion in social progress negatively, and another survey by Korean Gallup that concluded religion ha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such variables as a sense of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the meaningfulness of life, in particular, indicate that the effect of religion in South Korea with regard to the themes of this study is not substantive. Nevertheless, religious people, esp. Protestants have a tendency to assert the role of religion in social progress and quality of life. Indeed, religious confession and commitm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conomic satisfaction regardless of real income. Although it is not easy to demonstrate these findings consistently, religion in South Korea seems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life, even though it may not change the re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정교분리 이후의 종교와 정치: 의미와 동학

        강인철 ( In Cheol Kang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4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6 No.-

        이 글의 목적은 정교분리 용어를 둘러싼 개념적 혼란을 정돈하는 것, 그리고 정교분리 이후의 정치-종교 관계 및 동학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먼저, 정교분리의 의미를 명료히 하기 위해, 정교분리를 법적 규범, 종교적 규범, 역사적 사실 등 세가지로 구분했다. 이를 통해 정교분리 규범이 장기에 걸쳐 종교와 국가 영역에서 각기 고유한 맥락과 템포 속에서 발전되어왔다는 것, 특수한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종교와 사회마다 정교분리를 규범화하는 정도나 방식 면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드러냈다는 것, 그 결과 오늘날 정교분리라는 용어는 현실 속에서 상당히 다의적으로 사용되거나 해석되고 있다는 것, 정교분리의 다양한 의미들은 때때로 서로 충돌해 사회적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혔다. 한편, 정교분리로 인한‘사상 최초의 세속국가 출현’이라는 새로운 사태는 국가와 종교 모두에서 전례 없는 변화들을 촉진했는데, 국가 쪽에서는 ‘시민종교’, 종교 쪽에서는 ‘도구주의’라는 현상이 등장했다. 정교분리는 종교가 정치·국가와 관계 맺는 방식에도 강력한 변화의 압력을 가했는데, 이를 해방·자유·자율·신뢰라는 네 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x up the conceptual confusions surroundingthe term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nddynamics between state/politics and religion in the post-SRS(state-religion separation)era. On the one hand, for purposes of clarity I identified three differentmeanings of state-religion separation: (1) state-religion separation as ‘historicalfacts’, (2) state-religion separation as ‘legal norms’, (3) state-religion separationas ‘religious/theological norms.’On the other hand, the unprecedented situation, that is, the first-ever appearanceof modern ‘secular states’ due to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facilitated the emergence of new phenomenons in both the state and religion:the ‘civil religion’ on state side, and the ‘instrumentalist approach to state’on religious side. Also state-religion separation facilitated other significantchanges on religious side that can be summarized in four key words: (1) liberationfrom state control, (2) freedom of political participation, (3) politicalautonomy, (4) social credibility.

      • KCI등재

        사립고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과 학생의 인권

        임지봉(Jibong Lim)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의 많은 부분이 종립 사립학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고교 평준화 지역에서 학생들이 선택해서 간 학교가 아니라 강제배정에 의해 입학한 사립고등학교들에서도 종교교육이나 종교행사에의 참여가 사실상 강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한 학교와 학생간의 갈등이 계속되어 오다가, 이 문제가 대법원의 판결을 받은 것이 바로 2010년 4월 22일의 강의석씨와 대광학원에 관한 대법원 판결이다. 강의석씨는 대광학원이 운영하는 기독교 사립고등학교인 대광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지난 2004년, 추첨을 통해 배정된 학교에서 일방적인 종교 강요로 종교의 자유를 침해받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1심 재판부는 강씨의 기본권이 침해됐다며 학원 측은 강 씨에게 1,50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지만, 2심 재판부는 오히려 학교 측의 손을 들어줬었다. 그 후 이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최종적인 판단이 내려졌고 대법원은 다시 강의석씨의 손을 들어줬다. 강제배정으로 입학한 사립고등학교의 종교교육의 자유보다 학생의 신앙의 자유를 더 우선시키면서, 사립고등학교의 종교교육의 한계를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래 관행적으로 반복되어 온 사립고등학교에서의 여러 종교교육 방식들에 대해 이 대법원 판결의 취지를 고려해 그 한계가 무엇인가를 규명함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학생의 신앙의 자유나 사립학교의 종교교육의 자유에 대해 많은 판례이론들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예를 살펴본다. 종교의 자유에 관한 한, 미국이 많은 참조할만한 판례와 이론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이를 근거로 대법원의 강의석씨 판결과 이 미국의 판례이론들을 중심으로 사립고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의 구체적인 한계들을 제시해본다. There are many private mission schools in Korea, and the education of private mission schools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high school educatio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ven the mission high schools where the students were admitted not by their own choice but by the forced assignment compel the students, as a matter of fact, to take the class of religion dogma and to attend the school activities on the religion. The conflicts between the mission high schools and their students had been continued since before and the Korean Supreme Court issued a first decision in April 22nd in the year of 2010 on this issue at the so-called Mr. Kang Eui-Seok Case. Mr. Kang Eui-Seok had initiated a civil suit against his high school when he had been its student claiming that his freedom of religion had been infringed by the forced religion education of the school. Seoul District Court ruled for Mr. Kang acknowledging the infringement of his human rights, but Seoul Higher Court ruled against him in that the school had the right to educate on the religion. Finally, Korean Supreme Court ruled in favor of Mr. Kang and ordered the school to pay him 15,000,000 won (about 15,000 US dollars) for damages.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freedom of religion by the students took precedence over the private high school’s right to educate on the religion. It also attracts attention as a Supreme Court decision to present the limit of the right to educate on the religion by private high schools in Korea.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concrete limits of private high school’s right to educate on the religion by analyzing the Korean Supreme Court’s case and the concerned U.S. Supreme Court cases. For this, it will overview the court decisions and theories on the freedom of religion as well as the right to educate on the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Then, this paper will present concrete limits of the right to educate on the religion based on the Korean Supreme Court’s case as well as the U.S. Supreme Court’s cases.

      • KCI등재

        종교와 공공성, 이론과 실제 - 종교기반 시민단체 활동의 분석적 고찰

        전명수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68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theory and the practice of religious publicness. Centering on the doctrines of Christianity, Catholic and Buddhism religion contains publicness by nature. A way considering whether the religious publicness is well embodied or there is any problem in realizing the publicness is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religion-based civil organizations. Twelve organizations chosen in the article are those which perform continuous activities without excessive ideological inclination; they include fields such as welfare, environment, supervision of the political power, volunteering, labour/slummer and others. What is worthy of note is that the reason why the religion-based organizations were accused of lie in ‘religion’; the problem, however, is not based upon religion or theology itself but rather upon the recognition as well as expectancy of people toward religion, especially negative recogni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religi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which religion-based organization shows are both respect for individual who is excluded from public matters and attachment of great importance to care giving or sharing. Accordingly the task of religion-based organization is above all healthy balance between justice for the whole society and care giving at the personal level: the organizations placing great importance on the former do not differ from religious organizations, and on the contrary on the latter are apt to turn into one of welfare agencies. The next task is formulation of public sphere. When religion-based organizations decide joint activities, they can secure more justification if their members have time to discuss about it. Since the role of religion is necessarily required for solving the social problem, reinforcement of religious publicness can be a way to establish the right society. 종교는 속성상 공공성을 지니고 있거니와, 본고는 종교공공성이 실제로 잘 구현되고 있는지, 또는 공공성 실천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종교기반 시민단체[이하 종교시민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본고에서 선정된 열두 단체들은 과도한 이념적 편향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비교적 지속적인 활동을 보여준 단체들로 복지, 환경, 권력감시, 자원봉사, 노동/빈민 등의 분야를 포괄했다. 주목되는 것은 종교시민단체가 비판을 받는 이유가 바로 ‘종교’에 있다는 것으로, 이것은 종교나 신학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대중들의 종교 인식과, ‘종교’에 대한 기대치, 특히 ‘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근거한다. 이들 단체가 보여주는 공공성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공(公)에서 사적인 것으로 배제된 개인에 대한 존중과 돌봄 또는 나눔의 중시로, 따라서 사회적 차원의 정의구현과 함께 개인적 수준의 ‘돌봄’의 균형이 종교시민단체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그것은 전자에 과도하게 편중될 경우 ‘종교’가 매몰되고, 후자에 편중될 경우 ‘시민단체’가 아닌 복지기관의 하나로 성격이 변화되기 쉽기 때문이다. 다음 과제는 공론장의 형성으로, 종교시민단체들이 일반시민단체들과 연대 활동을 전개할 때 이 운동의 참여와 관련해서 구성원들 간의 치열한 토론의 과정을 거친다면 그 정당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문제의 해결에는 종교의 역할이 반드시 요구된다는 점에서 종교공공성의 강화는 올바른 사회를 확립하는 중요한 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땅이 있는 종교와 땅이 없는 종교 ― 한국 신종교의 ‘종교적인 공간 만들기’에 대한 연구―

        이창익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what the possession of land means in religions, especially Korean new religions, and to understand why established religions try to hinder new religions from occupying land, or constructing religions buildings. Even if nonreligious buildings are being constructed by new religions, establised religions criticize this as the making of ‘sacred place,’ suspecting that it hides religious intention. When religious buildings are being constructed by new religions, it attracts more criticism. Then the expression of ‘sacred place’ is used negatively for indicating the material expansion of new religions. It might be that once new religions possess the land, this place will be contaminated by heretical religions and pseudoreligions. On the contrary, new religions very well know from experience how much difficult it is to build their own religious buildings. Though it is little more than a nonreligious building that has been contructed, therefore, new religions will take the religious pride that eventually they have erected their own building overcoming many social and religious obstructions. It is not so much nonreligious building that is sacred, but rather the feeling of religious victory arsing from the building process and history. Nonreligious building is invested with sacred history of overcoming social objections. This sacredness is the product of not religious but social context. 이 글에서 우리는 종교에서, 특히 신종교에서 땅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신종교가 땅을 점유하여 종교적인 공간을 짓는 일에 대해 왜 이토록 기성종교가 반발하는지에 대해 이해해 보려 했다. 신종교가 단순히 비종교적인 건물을 짓고자 하더라도, 기성종교는 여기에 종교적인 의도가 숨어 있다고 판단하여, 이것을 신종교의 성지화 사업이라고 비판한다. 신종교의 종교적인 건축에 대해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므로 이때 ‘성지’라는 말은 신종교의 확장을 경계하는 부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즉 신종교에 땅을 내주는 순간, 그곳이 ‘이단의 땅’, ‘사이비의 땅’이 될 것이라며 공격하는 것이다. 반대로 신종교의 입장에서는 종교적인 건물을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경험상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설령 비종교적인 건물을 짓더라도, 신종교의 입장에서는 사회적, 종교적 비판을 뚫고 자기만의 공간을 결국 확보하고 말았다는 ‘종교적 자부심’이 있을 것이다. 비종교적인 건물 자체가 성스러운 것이 아니라 그 건물을 세웠다는 사실 자체가 주는, 즉 건축 과정이 주는 종교적 승리의 감정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로 인해 비종교적인 건축물에 자연스럽게 투영되는 건축물의 자체의 성스러움이 있다. 이 성스러움은 종교적인 맥락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생성된 성스러움이다.

      • KCI등재후보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역할

        정태식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1 신학과 사회 Vol.25 No.1

        This essay reflects on the religious participation in politics through a discussion of the social location and roles of religions in modern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enlightenment thinkers’ ideological crtiques of religion, roles and functions of religion in modern society are discussed. Also the ideas of classical sociologists such as Marx, Durkheim, and Weber are examined in this point of view. Then, the critical examine of secularization theory of privatization and differentiation is followed. Next, an analysis of sociological issues related to modern religion such as the objectification of religion, and the subordination of religion to the logics of market and state is discussed. Also, discussion about the re-magification of religion taking place by a fusion of religious practice with the secular object of capitalistic market economy, that is, the maximization of private property is followed. Next, discussion of the religious political roles and its limits is followed, Based on this discussion, it is maintained that religion can be political but cannot practice politics. developed. In a word, the object of political activity mostly oriented to the seizure of political power is not compatible with the universalism sought by religion. Also, when religion coalesces with politics, politics can lose its virtue of compromise, and absolutize its relative value, while religion can be drown to the danger of compromise, and can be attached only to the specific interest rather than to its universal value. However, in the sense that religions, in modern society where values are mostly centered on the private interest of individual, hold fast to the universal value that goes beyond the private interests of individuals, it is concluded that religions are the last and only stronghold for the deployment, and unfolding of universal value into modern society.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종교의 사회적 위치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통해 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객관적 성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논의로 계몽주의적 종교비판과 맑스, 뒤르켐, 베버 등의 고전사회학자들의 근대사회에서 종교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논의를 소개한다. 다음 60년대 이후 전개된 분화론과 사유화론을 중심으로 한 세속화이론을 비판적으로 논하고, 사유화로 인한 종교 대상화. 근대사회의 지배체제인 시장과 국가에의 종교의 종속, 시장논리와의 결합을 통한 종교의 재주술화 등을 논한다. 다음으로 종교가 할 수 있는 정치적 역할과 그 한계에 대하여 논하면서 종교가 정치적일 수는 있지만 정치를 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를 전개한다. 한 마디로 말해 정치 자체의 행위 목적은 권력의 장악에 있기에 종교가 제시하는 보편성과 어울리지 않는다. 또한 정치와 종교가 결합하게 될 때 정치는 타협의 미덕을 상실하게 될 것이며 상대적인 정치적 가치를 절대화 하게 될 것이고, 종교는 신앙을 타협의 위험에 빠지게 할 수 있으며 보편적 가치대신 특수한 이해관계에만 집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무수한 가치만 존재하는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절대자에 대한 절대적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이해관계를 넘어서는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기에 보편적 가치의 사회적 전개를 위한 현대사회에서의 유일한 그리고 최후의 보루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 KCI등재

        칼 마르크스의 종교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이정순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Religion has long been existing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n human history. Karl Marx (1818-1883) criticized religion as an opium of people. He is admired as an important thinker and philosopher. Although the Marxism started by Karl Marx has not been fully realized in human history, it is still highly evaluated by many scholars because it criticized Capitalism very harshly and objectively and provided us with alternatives to Capitalism. Marx’s thought gave us a new way to view human history and society and improve human awareness. Marx’s criticism of religion has important meanings for us even today. He basically followed Feuerbach’s concept of religion: ‘Humanity creates religion.’ He criticized religion as a tool of oppression, an inverted world consciousness, and an opium of people. The religion in his days was a fake and an illusion. Korean society has long been religiously plural. 50% of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belong to various living religions. This proves that Korean society is heavily influenced by religions. In this context, we cannot but ask the questions: “are religions playing their proper roles in society and realizing their true essences and functions?”, “are religions the agents of salvation and liberation?” and “are religions still the opium of people?” Marx’s criticisms of religion force us to ask many questions about relig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Marx’s understanding of relig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explores his concept and criticism of religion and then his understanding of God, a foundational concept of religion. In conclusion, there will be discussions on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Marx’s understanding of religion. 오랜 역사 동안 인류와 함께 존속해 온 종교는 때로는 인간들에게 긍정적인 역할을 해 오기도 했지만 때로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특히 한국사회는 오랫동안 많은 종교가 공존해 온 다종교 사회였다. 오늘날에도 전 국민의 50%가 종교인이다. 그만큼 아직도 한국 사회에서는 종교가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종교는 지금 과연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종교의 본질을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과연 우리 주위의 종교는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 다양한 종교인들이 숭배하는 신이나 절대적 존재는 과연 인간을 해방하고 구원하는 존재인가? 아니면 인간을 오히려 억압하고 불의한 사회질서를 옹호하는 이데올로기에 불과한가? 종교는 민중의 아편인가? 아니면 해방의 누룩인가? 일찍이 ‘인간을 억압하는 존재로서의 신’이라는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한 자는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이다. 마르크스는 오늘날까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가요 철학자로서 존경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도 마르크스에 의해서 시작된 마르크스주의가 비록 현실에서 제대로 실현되지는 못했지만 자본주의를 냉철하고 객관적으로 비판했고 여러 가지 대안을 세울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마르크스 사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역사, 사회를 바라볼 때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인간의 인식을 높여주며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다. 마르크스 사상의 여러 측면 중에 종교론은 오늘날에도 큰 의의가 있다. 그자신이 살던 사회의 변혁에 관심을 두었던 마르크스에게는 종교란 불의한 사회를 유지시키는 이념적 도구에 불과했다. 당연히 종교의 숭배 대상인 신조차도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불의한 사회구조에 의해 형성된 환상에 불과했다. 마르크스는 이런 불의한 사회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종교를 비판했다. 즉 마르크스는 종교를 억압을 정당화하는 도구, 전도된 세계의식, 민중의 아편 등으로 부르면서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가 살던 당시 종교는 껍데기뿐인 허상에 불과했던 것이다. 마르크스의 종교비판은 여전히 수많은 종교의 영향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많은 통찰과 도전을 주며, 참 종교의 의미와 존재 의의, 역할 등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바탕으로 마르크스의 종교론을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데 있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 그의 종교 개념과 종교 비판의 개요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그가 가진 신(神)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 결론부에서는 마르크스 종교론이 갖는 의의와 한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본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