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학과 문화비평의 관계에 대한 성찰과 전망

        김윤성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ouse a new concern for the role of religious studies as a culture critique project. Although the role of religious studies as culture critique once attracted great attention for a new way out, there have been few elaborate discussions on the theories and methods for the culture critique of religious studies. This thesis is an attempt for such a meta discussion. For this, first, I analyse the works of Chung Chinhong and Jang Sukman. In Korea, Chung invented the terminology of ‘Jonggyo munhwa (religious culture)’ and Jang proposed the necessity of culture critique for religious studies. I compare Chung and Jang to find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Next, I analyse the works of Jang Sukman, Park Gyutae and Shin Kwangcheol, all of whom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religious studies and culture critique in three different point of views. Lastly, I analyse how Chung Chinhong lies in the crossroads of the discussions of Jang, Park, and Shin. Through this, I suggest a new vision for the culture critique project of religious studies. 이 글의 목적은 종교학의 문화비평 기획에 대한 시들해진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키려는 데 있다. 종교학의 문화비평 기획은 한때 종교학의 새로운 활로로 많은 관심을 끌었지만, 치밀한 논의의 결여와 구체적 작업의 부족으로 역할 선언과 파편적 개별 연구를 넘어 종교학적 문화비평의 이론과 방법에 대한 메타적 성찰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메타적 논의를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에서 ‘종교문화’라는 용어를 창안함으로써 종교학적 문화비평의 가능성을 연 정진홍의 작업과 문화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종교학적 문화비평을 본격화한 장석만의 작업이 어떻게 서로 상통하면서도 다른지를 분석한다. 이어서, 종교학과 문화비평의 관계에 대한 나름의 분석을 개진했던 장석만, 박규태, 신광철의 논의가 보여주는 승계와 분화의 양상을 분석한다. 끝으로, 이 세 사람의 교차점에 정진홍이라는 준거점이 놓여 있는 양상을 분석하고 종교학적 문화비평이 넘어서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종교학적 문화비평 기획의 새로운 전망을 위한 토대를 다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종교학분야 학술지 분석에 따른 연구경향과 과제 -대학부설 연구소 발간 학술지를 중심으로-

        박종수 ( Jong Soo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종교학 관련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그 연구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학술지는 서울대와 한신대 부설 연구소에서 각각 발간하고 있는 『종교와 문화』와 『종교문화연구』이다. 본 연구는 거시적 측면에서 두 학술지의 내용을 분석했으며, 수록논문 42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학술지는 각 대학부설 연구소의 설립목적을 반영하고 있어서, 『종교와 문화』에는 종교학이론 및 종교전통 관련의 논문, 『종교문화연구』에는 종교학 및 종교문화 관련의 논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범위는 종교학의 전통적 범주에서부터 인접 학문분야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사례연구, 비교연구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두 학술지는 대학부설 연구소의 특성상 대학의 지원, 대학 내 구성원의 다수 참여, 해당 대학연구소의 특성 반영이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회들의 학술지와 다른 차원의 의의와 한계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주제의 개발, 대학부설 학술지의 특성 부각, 연구 분석단위의 다양화, 연구방법론의 정교화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religious studies in journals published by university institutes and to suggest tasks for their development. I took two journals into analysis: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JRC) published by Hanshin University and Religion and Culture (RC)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 analysed the general contents of 426 articles in these journals in terms of subjects, purposes, ranges and methods. The research shows that JRC specializes in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culture, RC in theories of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traditions, which explains that each journal reflects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the respective institutes. Research ranges vary from typical subjects of religious studies to interdisciplinary subjects.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search is literature analysis followed by cas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two journals share the following features: financial support from its university, the majority of authors being its own members within the relevant university, and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tinent institutes. These features display different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in comparison to journals published by academic societies. Finally, this papers suggests develop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institutes, having more varieties in research levels, and elaborating research methods.

      • KCI등재

        한국 성보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이재수 ( Jae-soo Lee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4

        본 논의는 한국의 종교박물관 가운데 불교와 관련된 성보박물관의 현황을 살피고, 향후 발전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성보박물관은 불교의 종교적 기능과 역할을 위한 것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과거의 종교활동의 결과를 담은 유물보존 전시장을 넘어서 현재와 미래의 소통의 공간이라는 종교문화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박물관의 연구 교육과 관람자의 체험과 참여하는 문화생산의 열린 공간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종교박물관 119개소 중불교박물관이 59개소로 가장 많으며, 개신교 33개소, 천주교 8개소 순이었다. 이 중 불교관련 박물관 27곳을 선별해 운영현황과 프로그램 등의자료를 검토하였다. 이 가운데 주목할 만한 사례로 통도사성보박물관의 현황과 운영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성보박물관은 박물관에 대한 교육과 운영관리 시스템의 정비라는 기본적인 문제가 있다. 성보박물관의 올바른 활용을 위해서는 종교문화콘텐츠 학문적 체계를 세우고 종교문화원형의 복합적인 활용을 위한 연구와 협력이 필요하다. 종교적 경험을 나누는 콘텐츠와 프로그램은 물론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를 통한 공공적 활용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성보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의 검토를 통해, 과거 종교문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대중들과 향유하고 그 가치를 나누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Seongbo(聖寶) museum related to Buddhism out of religious museums in Korea and to elici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the task henceforth. Seongbo museum isn``t confined only to the aim for religious function and role of Buddhism. Beyond the exhibition hall of preserving the relics that contained the results of religious activities in the past, the attention was paid to the religious and cultural value called the spa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future. In addition, it was asserted to be necessarily positioned as the open space of producing culture for the research education of museum and for a viewer``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t was the largest in Buddhist museum with 59 places among 119 religious museums in our country as of now. It was in order of protestantism with 33 places and Catholicism with 8 places. It selected 27 museums related to Buddhism out of this and examined data such as the present condition of operation and a program. As a case enough to be noted in the middle of this, the current state and the operating program of Tongdosa Seongbo museum were examined. Seongbo museum has a basic problem dubbed the education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maintenance for museum. For the right utilization of Seongbo museum, a research and cooperation are needed for establishing academic system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nd for complexly using the religious cultural archetype. The public-interest utiliz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gital contents pattern in religious culture as well as contents and a program of sharing religious experience. This examination about function and role of Seongbo museum will contribute to enjoying it with people and sharing its value by succeeding to and developing the tradition of religious culture in the past.

      • KCI등재

        한국종교문화의 역동적 이해

        박종천 ( Jong-chun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한국종교문화에 대한 접근은 대체로 ‘본질주의적 한국종교론’과 ‘유형론적 한국종교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전자가 ‘한국종교’(Korean Religion)라는 추상적 개념에서 한국적 종교성의 원형적 구조를 탐색하여 한국종교문화의 개성을 설명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한국의 종교들’(religions in Korea)이라는 구체적 현상에서 출발하여 한국종교문화의 에토스 유형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양자는, 비록 접근방식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만, 총체적/포용적 영성을 한국종교문화의 에토스로 서술한다는 점에서 수렴한다. 그러나 양자는 각각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에 따른 문화적 양상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거나 문화접변에 따른 문화의 상호변용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한 채 선험적인 고유성 가정에 근거한 정태적인 이해와 일방적인 자문화중심주의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문화접변에 따른 상호문화적 변용의 역사적 전개양상, 공식종교와 민간종교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긴장관계, 한국적 영성의 중층적 다양성과 문화적 복합성을 주목할 것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면서 상호문화적 접근과 역사적 유형론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종교문화에 대한 역동적 이해를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ize the existing approaches of religious culture in Korea. The representative existing approaches are essentialistic discourses of Korean Religion and typological histories of religions in Korea. The former focuses the essence of Korean Religion and original structure of Korean religiosity, while the latter clarifies some typological ethoses of religions in Korea. Both approaches accentuate inclusive religiosity and holistic spirituality of Korean religions, but lead to the problems of ethnocentric nationalism and non-empirical oversimplifi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propose the necessity of new approach focussing intercultural influences, historical changes, and cultural dynamics of religions in Korea. The new approach i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culture and cultural assimilation, the dynamic tension between official religion and popular religion, and the multi-layered diversity and cultural complexity of Korean spirituality.

      • KCI등재

        한국 종교문화원형 활용 현황과 과제

        이재수 ( Jae-soo Lee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본 논문은 문화의 세기인 21세기에 종교문화가 얼마만큼 중요한 것인지를 고민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서 현재한국의 종교문화와 종교문화원형 활용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논의에서 종교문화원형의 범위를 활용의 측면에 맞추어 설정하였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종교문화원형에 대해서 공공재의 성격을 지닌 문화자원이라는 점, 복합적 활용을 위한 문화상품, 문화콘텐츠제작 등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종교문화원형을 활용하는 데는 종교문화콘텐츠의 가치체계인 종교성, 공공성, 대중성의 세 가지 특징을 모두 지니고, 이 가치를 모두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논자는 한국의 종교문화원형의 활용의 현황을 문화콘텐츠형, 공간기반형, 체험지향형으로 분류하여 활용의 성공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논의를 통해 한국과 같은 다문화, 다종교사회에서 종교문화원형이 지니는 가치와 다양한 활용의 사례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종교문화원형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과거의 전통에서 현재로 나아가 미래를 향해 문화변동을 이끌어나가는 데 길잡이로 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religious culture in the 21st century as the century of culture, to investigate how it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to serve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us of using the existing Korean religious culture and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and for discussing future tasks.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are cultural resources as public goods and could be approached by cultural goods for multiple applications and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s. For application of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religiosity, publicness and popularity as the value system of contents of religious culture should be included and all of the values should be realized. I investigated successful cases of the applications by classifying the actual status of application of Korean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into culture contents, space-based type, and experience-oriented type. In this study the author identified values of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in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of Korea and various cases of application.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values of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and for promoting cultural transformation from the past tradition through the present for the future.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종교영화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

        박종수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연구 Vol.- No.26

        Th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First, it examines the discussions of the concep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the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virtue of films.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no systematic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which means that such attempts are only being made by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without coherent pla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re systematic program and syllabu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are to be developed among different disciplines. Furthermore, this paper develops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religious films and asks for the enlarg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various fields by archiving religious films. As a filmic genre, religious films can play a rol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troducing directly or indirectly different cultures, contribute to understand religions as cultures, especially religions as the fundamental background of cultures,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on the basis of different religious identities. Thus, it is required to archive religious films.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우선, 본고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적 논의들을 살핀 후,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본다.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은 체계적인 교과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이 현재까지는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은 몇 몇 연구자에 의해서, 각 학문 분과에 따라서 단편적으로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학제간 교과과정의 프로그램을 만들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음으로, 본고는 종교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에 대해서 시론적으로 제시하고, 종교영화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서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다문화교육의 확대를 제언한다. 종교영화는 영화의 한 장르로서 존재하지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직·간접적인 소개, 문화에 대한 이해로서 종교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문화의 가장 기층 요소로서 종교의 기능과 역할, 종교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 등, 다문화교육의 한 방편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교영화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이 요청된다.

      • KCI등재후보

        영국 종교교육의 특징과 한계

        안신(Ahn, Shin)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본 논문은 영국의 종교교육이 지닌 특징과 그 한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영국의 종교교육에 대한 사례연구는 한국의 초중등학교에 적용 가능한 종교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방법을 제공한다. 물론 무종교인구와 함께 불교와 기독교가 종교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과, 전통적으로 성공회와 장로교의 기독교전통이 중심이 되어 온 영국 사이에 종교사회적 맥락의 차이를 고려하여 다각적인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사례를 통하여 영국에서 시행되고 종교교육의 특징과 다양성을 언급할 것이다. 그리고 2013년 3월 영국종교교육에 대한 범정당국회모임이 발표한 조사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영국의 종교교육이 직면한 한계와 문제를 탐색할 것이다. 끝으로 필자는 한국의 종교교육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정책적 제안을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itons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UK, especially England and Scotland. The goal of religious education is not the education of particular religion but the education about world religions in the general level in order to raise open and healthy mindful civilians. The change of educational law in 1988 strengthened more inclusive and humanistic approaches to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After the Conservative Party won the Labour Party in the General Election, however, the direction and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have been gradually changed. In March 2013, All Party Parliament Group report debunks the uncomfortable truth of religious education in UK.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the political change, UK government reduced financial supports, so the number of applicants to the graduate programme for becoming religious educators decrease. According to 2013 report, religious educators have a lack of knowledge and confidence about religious education. We need to revise the UK models of religious education on the base of our experience and context. Politics and policies education on the base of our experience and context. Politics and policies in religious education are extremely important in order to keep the right direction of religious studies in the public schools of Korea. Government should consider five suggestions which the author proposes for the improvement of religious literacy among students and public servants.

      • KCI등재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정득,강민정,이종석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연구 Vol.- No.30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sed impacts of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in adolescents’ shaping self identity, using data available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6,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es a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 which are, 1,981, who ar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year; 1,787, who are high school student in the first year; and 1,689, who ar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reshman year.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which affect adolescents’ shaping self identity are analyzed by using multi regression model, wherea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 attention, peer intimacy, teacher closeness and learning adaptability are designed as controled factors.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are positively affecting adolescents’ shaping self-identity. To be more specific, looking at the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exual difference and cultural activities proved not to be impact factors on shaping self identity, whereas others are positively meaningful impact factors on it and religious activities affect on it with plus(+) effect. Looking at those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ll factors proved to affect on shaping self identity, whereas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are positively meaningful impact factors. Looking at those in the freshman year of University, all controlled factors proved to affect on it, whereas a factor of religious activities is not a positively meaningful impact factor; and cultural activities affect on it with plus (+) effect. In sum,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are positively affecting adolescents’ shaping self identity, while impacts of the two differ depending on their developmental stages; that is, religious activities in early stage,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in the middle stage, and cultural activities in the late stage of adolescents proved to be impact factors.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발달 시기별로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이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조사(KCYPS 2016)’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학교 1학년 1,918명, 고등학교 1학년 1,787명, 대학교 1학년 1,68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성별, 경제적 수준, 부모애정도, 또래애착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를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이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청소년 시기별로 차이를 보였다. 중학교 1학년은 종교 활동이 자아정체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문화 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고등학교 1학년은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 모두 긍정적인 양(+)의 영향을 미쳤다. 대학교 1학년은 종교 활동이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문화 활동은 양(+)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시기의 자아정체성 혼란은 사회 부적응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측면을 고려할 때,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형성과 사회 적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국과 미국 종교학과의 현황과 전망

        안신 ( Shin Ahn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본 논문은 영국과 미국의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종교학과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종교연구의 가까운 미래를 전망하였다. 먼저, 국교를 인정하는 영국에서는 두 가지 흐름의 종교연구가 있다. 잉글랜드의 옥스브리지를 비롯한 대학교들과 스코틀랜드의 고대대학교에서는 신학연구를 시작으로 세계종교연구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종교학 연구가 자리를 잡았다. 반면에 1960년대에 신설된 신규대학교는 신학에서 독립하여 사회과학적, 문화비평적, 학제 간연구의 종교학을 발전시켰다. 둘째, 정교분리와 종교자유를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개신교문화의 지배 아래 설립된 사립대학교와 주립대학교의 종교연구 경향이 큰 차이를 보인다. 시카고대와 하버드대는 신학부와 종교학과가 통합구조를 이루며 발전했고 예일대는 병행구조를 보여준다. 1960년대에 종교학의 활기를 주도한 주립대학교의 종교학과는 다양한 종교와 방법론의 추구를 기초로 꾸준히 성장해 왔다. 결론적으로 영미 대학교의 종교학은 시대적.정치적.경제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진화해왔다. 뉴욕의 9·11테러와 런던의 7·7테러 이후 이슬람을 비롯한 종교 간 대화와 이해 및 화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되면서 종교에 대한 전통별 개별연구가 더욱 활발해졌으며 현상학적 연구를 사회과학적 연구가 보완하였다. 세계화와 국제화 및 다문화화가 가속화되고 세속화와 신학의 영향력이 위축됨에 따라서 영미의 종교학과는 21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is to deal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Religious Studies (RS) in UK and USA. First, in the UK where state religions are established, ancient universities such as Oxford, Cambridge, St. Andrews, Glasgow, Aberdeen, and Edinburgh have expanded from theological emphasis to world religions. The new universities including Lancaster and Stirling began first independent departments of RS without theological orientation. They developed new styles of RS with social sciences, cultural criticism,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Second, in the USA where the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religious freedom are protected by her constitution, there are huge gaps between private and state universities. Chicago and Harvard developed the study of religions with their Divinity school, but Yale emphasized the parallels between theology and RS. In the 1960s, the RS departments have spread in the state universities. In conclusion, the departments of RS will increase if their faculty and students meet what modern society wants in the glob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multiculturalization.

      • KCI등재

        일본의 종교학과 현황과 전망

        박규태 ( Kyu Tae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본고의 목적은 일본 종교학과의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개관하면서 향후의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도쿄대학을 비롯한 전전제국대학에서의 종교학 현황 및 종교계 대학의 종교학에 관해 고찰한 후, 오늘날 일본 종교학과의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이때 본고는 특히 방법론 및 관점의 다양성, 철학과 종교학의 공존, 실천적 필드워크, 비교종교 및 종교문화, 종교학과 교학의 공존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일본대학 종교학과의 구체적 특징을 범주화하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본고는 미래적 전망과 관련하여 2011년 3·11대진재 이후 도호쿠대학에서 출범한 “실천적 종교학”을 대표적사례로 제시하면서, 전전 일본대학에 있어 종교학이 관제적 공공성에 기여한 전력과는 상이한, 오늘날 새로운 형태의 공공성과 종교학의 접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trospect and prospect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in Japan.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review about both religious studies of imperial universities including Tokyo University and religious studies in missionary universities in the prewar period might be necessary in advance. And then, I will give an outline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in Japan, focussing on the several features such as the diversity of methodology and perspective, the coexistence of philosophy and religious studies, practical fieldwork, ¨comparative religion〃 or ¨religion and culture〃, and the coexistence of religious studies and theology. In so doing, I will give special attention to the so-called ¨practical religious studies〃 established by Tohoku University just after the 3;11.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suggest a possibility of a new publicness of religious studies in Japan, which must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governmental publicness in prewar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