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foundations of administrative Law

        Spyridon Flogaitis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2 No.-

        유럽행정법의 발전은 나폴레옹의 개혁 및 법에 의해 주도된 강력한 행정의 창설로 시작된다. 그러나 행정은 공법의 특별한 체제를 따르고 공법소송이 통상법원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공행정의 소송(action)은 공 행정 내에 조직된 심판기관, 특히 Conseil d’Etat에 복종하여야 했다. 동세기에 프랑스에서 취했던 발전에 부합하게 공행정은 공공서비스(services publics)로 구성되었고 국가의 민주적 존재이유(raison d’etre)로서 봉사하였다. 이러한 사고방식에 다른 요소를 도입한 것은 독일의 이론이었다. 공권력(public power)을 의미하는 지배(Herrschaft)는 모리스 오오류(Maurice Hauriou)의 글을 통해 프랑스의 법적 사고에 영향을 준 하나의 사유의 방식이었다. 분쟁법원(Tribunal des Conflits)의 블랑코 결정(Blanco)은 사법권한은 그 사안의 성격의 결과(“la competence suit le fond”)라는 사고를 도입했다. 블랑코 결정 이후 이론과 실무는 이 모든 것의 뒤에는 결국 matrix idea라는 시스템이 있다는 생각을 발전시켰는데, 이에 따르면 공법이 특별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특별한 법관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 법관은 법에 의해 임명되고 법관 스스로에 의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게 된다. 공법영역에 배타적인 것으로서 공행정을 이해하는 전통은 1차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21년 극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것은 분쟁법원(Tribunal des Conflits)의 결정인 Bac d’Ecola 결정으로 알려진 서아프리카 상사(Societe commerciale de l’Ouest-Africain) 결정 덕분이었다. 이 사건에서 ferry호 활동의 공공서비스 성격을 부인하는 대신에 그 성격을 확인했다. 또한 공행정의 활동이 사법 하에서 조직될 수 있고 기능할 수 있음을 선언하였다. 그 때로부터 공법은 공행정에서 독점을 갖지 못하였고, 이는 공행정이 -즉 공공서비스가- 사법 하에서 동등하게 조직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예외는 일반원칙에 대해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공행정의 주된 성격은 오오류와 그의 학파에 따르면 “행정 체제(regime administratif)”이며 이는 “행정권(pouvoir administratif)”과 “행정기능(accomplissement de la fonction administrative)”, 그리고 하나의 방법론, “행정작용(l’entreprise de la gestion administrative)”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생각은 독일로부터 온 것이었다. 19세기 이후 강력한 국가에 의해 뒷받침되는 독일 법학의 토대는 대부분 실증주의와 이른바 도그마틱(Dogmatik)에서 연유한 것이다. 이들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매우 중요한 법학의 모습에 의해 제공되었다. 1977년 행정절차법은 독일 공법학과 실무에 대해 중요한 사건이었고 유럽과 이를 넘어서 많은 법체계에 영향을 미쳤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를 준비하는 오랜 동안에 독일 행정법에 신선한 가능성을 주었으며 독일법을 성숙하게 했고 동시에 독일이 들어가는, 고통스럽지만, 새로운 시대에 현저한 족적을 남기도록 하였다. 행정 소송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법전화하는 미국의 아이디어는 새로운 모양을 취하였고 그리고 이번에는 유럽적인 형태였다.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law in Europe started with the Napoleonic reform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werful administration governed by Law. That administration would, however, follow a special regime of public law and its action would be exonerated from the realm of the ordinary courts; the a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only be subject to adjudication organized within public administration, and especially by the Conseil d’Etat.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s which took place in France in the century that followed, public administration was composed of services publics, and served as a democratic raison d’etre of the State. It was German theory which introduced yet another element to this way of thinking; Herrschaft, meaning ‘the public power’, was a way of thinking which, in its turn, influenced French legal thought through the writings of Maurice Hauriou. The decision of the Tribunal des Conflits, Mlle Blanco introduced the idea that jurisdictional competence is the result of the nature of the case (“la competence suit le fond”). Since the decision Blanco, theory and practice fed and developed the idea that there was a system behind all this after all, a matrix idea, according to which public law is of a special nature and thus requires a special judge; this judge will either be designated by the law or presumed by the judge himself. The tradition of understanding public administration as exclusive to the realm of public law was subject to drastic change shortly after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in 1921.This was thanks to the decision of the Tribunal des Conflits, Societe commerciale de l’Ouest-Africain, known also as the decision Bac d’Eloca. Rather than negating the character of public service of the ferryboat activity, instead, it reaffirmed it. It also declared that an activity of public administration - a public service - could be organized and function under private law. From that time forward, public law would not have a monopoly in public administration, because public administration, - in other words the public services - could equally be organized under private law. The exception acquired equal status to the general principle. However, the main characteristic of public administration according to Hauriou and his School of thought, is the “regime administratif”, which is composed of the administrative power (“pouvoir administratif”), the objective of this administrative power, the administrative function (“accomplissement de la fonction administrative”), and a method,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l’entreprise de la gestion administrative”). The idea was coming from Germany. After the 19th century, foundations of a strong state underpinned German legal science due, in large part, to positivism and the so-called Dogmatik. These were served by very important, world-renown figures of legal science.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1977 was a major event for German public law scholarship and practice for obvious reasons, and influenced the many other legal systems of Europe and beyond. Most importantly, in the long years of its preparation, it lent fresh possibilities to German administrative law, allowing it to mature and, simultaneously, to gather considerable pace in the new era into which Germany was entering, so painfully. The American idea of having codified the fundamentals of administrative action took on a new shape, and this time, it was European.

      • KCI등재

        행정학 교육에서 행정(학) 역사의 확장과 공백의 메움

        조기웅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0 行政論叢 Vol.58 No.4

        Although many scholars and students have studied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earch topic or academic subject, many misconstrue public administration and its theories as rote learning because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has overlooked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context, described it inconsistently, or listed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chronologically. Teaching public administration based o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like a “story” would help students and even scholars understand it better and more thoroughly. This study considers overlooked eras, including the Gilded Age and the Progressive Era, and addresses the limited knowledge of the approximately 60 years between the Spoils System and the origin of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ands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up to the beginning of the US to discuss the emergence of public administration’s foundations considering the emerging innovative Spoils System and its decadence; industrial development; creation and dismantling of trusts (as monopolies); and the establishment of orthodox public administration with Scientific Management, Human Relations, and Principle Theory. After the Great Depression,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confronted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cluding social and economic turbulence, followed by social movements; the emergence of Public Policy and New Public Administration; the rise and fall of Comparative and Development Public Administration during the Cold War. After the Oil Shock, emphasizing and modifying New Public Management and others were described in this paper. This information could help scholars evaluate cultural differences, specificall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in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to help adjus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많은 사람이 행정학을 배우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행정이론을 단순 암기 대상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동안 행정학 교육에서 역사적 흐름을 짚어주는 교육이 간과되고, 1887년 윌슨의 ‘행정의 연구' 이후를 중심으로 이론의 역사가 사회적인 맥락이 부족한 채 산재되어 서술되었으며, 시간적으로 단순 나열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정학 역사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기존 교과서를 검토하며, 행정(학)의 역사를 확장하고, 이론적 맥락의 공백을 찾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행정학의 근간이 되는 미국 역사를 9단계로 살펴보되, 특히 그동안 경시된 도금시대(Gilded Age), 진보시대(Progressive Era), 그리고 엽관제 이후 행정‘학’ 출현 이전의 약 60년의 공백을 메우고자 한다. 또한 행정(학)의 역사를 미국의 시작까지 확장하여 미국 행정의 근간의 시작 등을 살펴본다. 이후 엽관제의 등장과 변질, 행정학의 등장, 미국 산업발전과 독점으로 트러스트(trust)의 성립과 해체,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그리고 원리주의에 근간한 전통행정학의 성립을 묘사한다. 또한 대공황 이후 정부 개입 증가의 배경과 인종, 경제 혼란 속에서 전통행정학의 한계,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대한 사회’, 정책학과 신행정학의 대두 및 냉전 속에서 비교 및 발전행정의 발달과 쇠퇴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오일쇼크 및 신공공관리론 이후를 되짚어본다. 이를 통해 학생과 학자들이 미국의 행정 제도와 현상을 배우고 연구하며, 그 제도와 정책을 도입 및 연구할 경우 본 연구가 한국행정학을 토착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공무원의 적극행정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공공봉사동기와 공직가치 역할 비교를 중심으로

        김수빈,김소희,김서용 한국인사행정학회 202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active administration,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the public sector. Noting that despite the increased interest in active administration,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differentiation of active administration and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activ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nd public service values, which are theoretically attracting attention in terms of publicness and may play a role in inducing active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2021 Public Service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first, as a result of simple frequency analysis on three questions measuring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ponse rate of 'neutral’ was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active administration' was not accepted as a universal behavior in the public service society. Secon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active administration is public service motivation (+) > commitment to public service values (+) > professionalism (+) > self-efficacy (+) > change management competency (+) > job autonomy (+) > gender (Female, -) > role ambiguity (+) > age (50s, -) > resource provision (-) > education and training (+) > performance management competency (+) > life satisfaction (+) there is.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and commitment to public service values have a decisive influence. Third, public service value moderated the influence of workload, performance management competency, and innovation management competency on active administration.

      • KCI등재

        협업행정 개념 재정립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재용 ( Lee Jaeyong ),엄영호 ( Eom Young Ho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地方行政硏究 Vol.35 No.1

        협업행정은 사회적 난제로부터 파생된 복잡하고 다양한 행정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추진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무적 차원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협업행정의 개념 및 범위 재정립, 유형화를 통해 학술적·실무적 차원의 기여를 위한 시도이다.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기존의 공공분야 주체 간 협업에 한정되었던 협업행정의 범위를 공공-민간 주체 간 협업까지 확장하였으며, 주체 간 자원공유 및 혁신성이 동반되는 방식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중앙부처가 주관한 협업행정 공모사례 및 지방자치단체 혁신평가 사례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협업행정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신규 협업 유형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 사례 중(N=143) 협업행정의 특성인 자원공유, 과학기술 적용, 지속가능성 확보를 충족한 경우는 8개였으며, 각각의 사례별 특성의 수준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협업행정의 적용이 가능한 서비스 분야는 제한적이지 않았으며, 지역 현안 및 행정 수요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협업행정의 개념 및 범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한 교육 및 홍보, 원활한 협업행정의 수행을 위한 제도개선 및 지원체계 정비,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기반 마련(조례 제·개정, 전담조직 및 인력 확보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Collaborative public administration is a policy-driven method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complex and diverse administrative needs derived from social challenges. However, applying it at a practical level involves many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this problem on both an academic and practical level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public administration and classifying it into type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the scope of collaborative public administration (which has previously been limited to existing public sector collaboration) is extended to public-private partnerships. It is understood in a way that takes into account resource sharing and innovation between the agent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and innovation evaluation for local governments in a variety of way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It also presents new types of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and suggests strategies with which to activate them. Of the total cases (N=143), only eight met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resource sharing, appl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ustainabilit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se characteristics in each cas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collaborative public administration was applicable to various kinds of public service areas, subject to adaptation to local requir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recommends the provision of education and publicity in order to ensur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scope of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legal and support system related to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study indicates that establishing or revising bylaws―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team in charge of tasks related to collaborative public administration within local government agencies―may be necessary. This will help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collaborative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과 주요내용

        채향석,하명호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0

        Although administrative statutes or regulations account for more than 90% of about 5,000 ones, there has been no general Act that stipulates the principles and general matters regarding administration. As a result,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 has been complicated, such as identical or similar matters being prescribed differently by individual statutes, which often damaged th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of administration by causing confusion not only for the people but also for public officials. Thus,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which is to ensure democracy in and legality of administration and to enhance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thereof by prescribing principles and general matters regarding administr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Article 1), was enacted and promulgated on March 23, 2021. However, few other countries have legislative precedents that stipulate these contents. Therefor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unique legislative model of Korea, and it is the result of integrating the capabilities and experiences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law academia and administrative practice. In view of functioning as general provisions of administrative law while maintaining system consistency with individual Acts, the nam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adopted in consideration of the extendability of incorporating individual Acts into a single Act. The main contents of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Chapter 1 provides purpose, definitions, calculation of period for administration, and Chapter 2 on legal principles of administration provides principle of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principle of equality,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duty of good faith and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authority. Chapter 3, administrative action, specifies dispositions(standards for application of law, effects of dispositions,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subordinate clauses, revocation of illegal or unjust dispositions, withdrawal of legitimate dispositions, automatic dispositions, standards of exercising discretion, standards for sanctions and limitation period for sanctions), deemed authorization or permission, contracts under public law, penalty surcharges, administrative compulsion, other administrative actions(effects of reports depending on acceptance, fees and usage fees), raising of objections to disposition and reexamination. Chapter 4 on legislative activities, etc. of administration stipulates legislative activities of administration,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interpretation of statutes or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ill be revised to newly add administrative plans, publication of violations, and guaranteed, etc. that were discussed during the development of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preferentially enacted only those that formed consensus on the matters established by theories and precedents between the government, academia, and legal prof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and review the contents that will be further complemented and improved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 or administrative innovation. In particular, legislative efforts are needed to integrate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o become a general theory of administrative law worthy of its name. 우리나라의 약 5,000개의 법령 중에서 행정법령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영역 전반에 관한 행정의 원칙과 기본사항을 규정한 총론적 법률은 지금까지 없었다. 그로 인하여 하나의 사항에 대하여 개별 법령마다 다르게 규정되기도 하는 등 행정법체계가 복잡하여, 국민들뿐만 아니라 이를 집행하는 공무원들에게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행정의 예측 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해치는 일이 빈번하였다. 그리하여 「행정기본법」은 “행정의 원칙과 기본사항을 규정하여 행정의 민주성과 적법성을 확보하고 적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의 권익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제1조) 2021. 3. 23.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을 규정한 다른 나라의 입법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행정기본법」은 우리 법제의 고유한 입법모델에 따라 창안되어, 우리나라 행정법학계와 행정실무의 역량과 경험을 총화하는 결과물이 되었다. 행정기본법은 개별 법률과의 체계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행정법의 총칙으로 기능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향후 개별법들을 하나의 법전으로 통합할 수 있는 확장성도 고려하여, 「행정기본법」이라는 명칭을 채택하게 되었다. 행정기본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총칙에서 목적과 정의 등, 기간의 계산, 제2장 행정의 법 원칙에서 법치행정의 원칙, 평등의 원칙, 비례의 원칙, 성실의무 및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제3장 행정작용에서 처분(법 적용의 기준, 처분의 효력, 결격사유, 부관, 위법·부당한 처분의 취소, 적법한 처분의 철회, 자동적 처분, 재량행사 및 제재처분의 기준, 제재처분의 제척기간), 인허가의제, 공법상 계약, 과징금, 행정상 강제, 그 밖의 행정작용(수리 여부에 따른 신고의 효력, 수수료 및 사용료),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및 재심사, 제4장 행정의 입법활동 등에서 행정의 입법활동, 법제개선, 법령해석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한편, 행정절차법은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에서 논의되었던 행정계획, 위반사실 등의 공표, 확약 등에 관한 내용을 신설하는 개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행정기본법」은 학설과 판례에서 확립된 것으로서 정부와 학계·법조계 등이 컨센서스를 이룬 것들만 우선 법제화한 것이다. 따라서 국민의 권익보호나 행정의 혁신 측면에서 더욱 보완·발전시킬 내용의 연구·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행정절차법과 통합하여 명실상부한 행정법의 총론에 해당하는 법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행정기본법」상 공법상 계약에 대한 고찰

        김대인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6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rticle 27 provides ‘contract under public law’, and this article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s general legal ground for conclusion of ‘contract under public law.’ From comparative law perspective, there are two types of regulating ‘contract under public law.’ One is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provides the general ground for ‘contract under public law’(Germany, Taiwan), and the other is individual Act provides this contract without general ground i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can be evaluated to be more influenced by German law.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w and German law on ‘contract under public law.’ Regulation of this contract i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is relatively short in comparison with German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Furthermore, Korea has 「Act on the Contract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and 「Act on the Contract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 is the Party」 which can apply both ‘contract under public law’ and ‘contract under private law.’ Although ‘contract under public law’ is regulated in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Germany, there are critics that ‘contract under public law’, in reality, is separately regulated by individual Act. By contrast, Korea can address this ‘separate regulation’ problem by constituting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Act on the Contract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 「Act on the Contract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 is the Party」. ‘Contract under public law’ should be developed using this potential in Korean law. 「행정기본법」 제27조에서는 ‘공법상 계약’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는 공법상 계약에 대한 일반적인 법률상 근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비교법적으로 보면 1) 행정절차법 등에 공법상 계약에 대한 일반적인 근거규정을 두는 입법례(독일, 대만)와 2) 이러한 일반적인 근거규정이 없이 개별법에서 공법상 계약에 속하는 계약유형을 규율하는 입법례(프랑스, 일본)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 「행정기본법」이 제정됨으로써 공법상 계약과 관련하여 독일적 특성이 보다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법제는 독일의 그것과 다른 점들이 존재한다. 우리나라 「행정기본법」의 공법상 계약에 대한 규율이 독일「연방행정절차법」의 그것에 비해서 매우 간략하다는 점 외에도 우리나라는 독일과 달리 공법상 계약과 사법상 계약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국가계약법) 및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지방계약법)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입법상황은 공법상 계약과 사법상 계약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균형있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오히려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양자의 공통점을 국가계약법 및 지방계약법을 통해서 볼 수 있고, 양자의 차이점을 「행정기본법」을 통해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독일에서는 「연방행정절차법」에서 공법상 계약을 규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법을 통해 실제적으로 공법상 계약이 각 유형이 규율됨으로써 규율의 분절화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행정기본법」과 국가계약법 및 지방계약법의 보완적 관계를 통해 이러한 규율분절화 문제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법제가 가진 잠재력을 충분히 고려하여 향후 공법상 계약에 관한 법리가 정립될 필요가 있다.

      • 공직인사의 부패 유형과 투명성 확보 방안

        박길용 ( Park Gil-yong ),조은경 ( Cho Eun-kyung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3 지역문화연구 Vol.2 No.-

        Today the role of public servants who execute public administration is very important for nation development. By the way when public servants that perform public affairs become rotten. Nation development is very fㅁr away. We have known that the public servants' corruption as well as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our modernization is coexist. Accordingly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rruption types and anti-corruption countermeasures pointing to th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to overcome the public servants' corruption. The basic ideology in th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consists of the efficiency, the responsiveness, the social equity and the protection of the public servants' rights. But what go against such ideology is absurdities or corruption. The corruption types in th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are greatly classified two ones. The first is favoritism. This spoils the equity and transparency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The second is giving and receiving money and other valuables. Such action is realized by the name of the personnel begging in the promotion and transference. In this paper was examined several cases of the absurd types and improvable efforts of the government to scope with these corruption. In spite of the effort through various improvement method of the government, the personnel absurdities and corruption have been continued. That's why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was not transpar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insist on the introduction of the open and competitive principles in th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to overcome absurdities or corruption. As the strategies for the open personnel administration, ⅰ) the open for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ⅱ) the operation of a variety of evaluation systems ⅲ) the pre-information of personnel contents ⅳ) the formalities of personnel certification and the open a list of personnel begging ⅴ) the report of the financial status of the man who has the rights of personnel management. and as the strategies for competition are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for position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for public servants' manpower management. At the end, present the conversion of public servants' consciou1sness and social atmosphere with the improvement of these institutions. That is to say, is the change of public servants' cognition and action as a sound inner prosecution consciousness, residents' recall institution for the chief of self-governing body.

      • KCI등재

        한국의 행정학과 정책학의 학문적 특성 비교 -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

        백두산 ( Doosan Paik ),박치성 ( Chisung Park ) 한국정책학회 2022 韓國政策學會報 Vol.31 No.3

        행정 행위와 정책과정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태동한 ‘행정학’과 ‘정책학’은 최근 들어 관리주의적 접근을 넘어 민주주의와의 관계를 재고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연구대상이 유사한 두 학문은 독자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운데 특히, 한국의 경우 ‘행정학과’ 내 행정학 교과와 정책학 교과가 병립하고 있어 행정학이 정책학을 포괄하는 상위 학문으로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행정학’과 ‘정책학’ 간 연구영역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주요 학술지인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에 실린 주제어를 비교분석했다. 분석결과 두 학문 모두 공공성·공공가치, 거버넌스, 신공공관리, 방법론 등에 연구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행정학은 관료제와 공공관리를, 정책학은 후기실증주의 정책이론과 정책문제 정의, 정책과정을 다룬다는 점에서 주요 연구대상에서 차이를 보였다. 2000년대와 2010년대 연구주제가 변화한 양상을 살펴보면 두 학문 모두 신공공관리 접근에서 벗어나 후기신공공관리 논의로 전환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다만 행정학은 조직이론, 관료제를 주제로 한 연구가 20여 년간 지속된 반면, 정책학은 정책이론 연구를 넘어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연구와 정책 맥락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확대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학술지별 저자를 살펴보더라도 연구자 상당수가 학문적 정체성이 드러나는 논문 투고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행정학’과 ‘정책학’은 공공성을 추구하는 근원은 유사하나, 이론적 시각(초점)과 연구대상이 달라 서로 독자적인 학문영역을 구축하고 있었다. 향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두 학문에서 파생된 지식이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되어 적실성 높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s’, which were formed to reduce the influences of political power in administrative actions and policy processes, have recently gone beyond the public management approach and reconsidered the relationship with democracy.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wo fields. Public administration seems to encompass policy scienc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search areas betwee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s. The keywords published in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and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of them focused their research on public values, governance, new public management, and methodologies. However, differences in major research subjects appeared in that public administration deals with bureaucracy and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sciences handle with post-positivism policy theory, policy problem definition, and policy process. Comparing the changes in research topics in the 2000s and 2010s, it is confirmed that the new public management approach was shifted to the post new public management discussions. I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on organizational theory and bureaucracy continued for 20 years. In policy sciences, it has been observed that empirical studies that applied new methodologies and discussions trying to understand policy contexts. Even most researchers have shown a tendency to submit papers that reveal a unique academic identity. In short, both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s are similar in their pursuit of public values, but their theoretical perspective (focus) and research subjects are different. In order to solve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come up with highly effective alternatives by complementing the knowledge derived from the two fields.

      • KCI등재

        「행정절차법」상 위반사실 공표 관련 법적 쟁점

        신호은 법제처 2023 법제 Vol.702 No.-

        위반사실 공표는 2022년 행정절차법 개정을 통해 근거 규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행정절차법상 위반사실 공표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공표를 목적별로 유형화한 강학상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각 유형의 공표가 위반사실 공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정지도 사실 및 불이행 사실의 공표가 위반사실 공표에 해당하는지도 문제된다. 본래 행정지도는 의무를 전제로 하지 않지만 행정지도 사실 및 불이행 사실 공표는 법적의무를 전제로 권고를 한 후,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공표를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위반사실 공표로 볼 수 있는지 문제된다. 둘째, 위반사실 공표의 처분성 논의는 여전히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위반사실 공표의 처분성 여부는 그 법적 성격을 토대로 판단해왔다. 그러나 위반사실 공표의 처분성 여부는 일률적으로 언급하기 어렵다. 만일 위반사실 공표를 비권력적 사실행위라고 본다 하더라도 그 처분성이 항상 부정되는 것은 아니며 권력적 사실행위와 비권력적 사실행위는 그 성격이 점점 상대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비권력적 사실행위라 해도 ①위반사실 공표 후 법률상 의무를 부과하는 경우와 ②위반사실 공표로 불이익 처분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처분성이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정절차법상 위반사실 공표와 실무 및 개별법간 관계가 문제된다. 동법상 위반사실 공표 규정에는 공표사항을 명시하고 있으나 개별법에는 규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동법상 공표 방식과 실무 방식에 차이가 있어 그 간극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행정절차법에는 공표 정정시 공표된 기간 이상 공표할 것을 명시하고 있는바, 개별법상 공표기간을 규정한 것은 일부에 불과하다. 본 조항이 공표 기간을 개별법에 명시적으로 규정하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표 대상자의 권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은 개별법에 별도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was introduced through an amendment to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2022, but it still faces unresolved issues. First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scope of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as outlined in that law. Until now, the publications have been categorized based on their purposes. Building upon this,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whether each publication falls under the category of a violation publication. Furthermore, it is crucial to discuss whether publications that do not comply with administrative guidance should be considered violations. Principally, administrative guidance does not impose an obligation. However, the publication adopts a structured approach where recommendations are made if legal obligations are not followed. In cases where the recommendations are not heeded,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may be deemed appropriate. Secondly, the debate over whether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should be recognized as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remains meaningful.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is considered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has been based on the legal nature of the publication.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universally determine the specific legal nature and whether it qualifies as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Although the publication is known as a non-powerful factual act, the concepts of power factual act and non-powerful factual act are gradually becoming relative. Therefore, publication, which is a non-powerful act, can function as a disposition in certain cases: ① when a legal obligation is stipulated in the process of the publication of violation, ② when a disadvantageous disposition is expected due to the publication of violation.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unde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its practical sector and it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laws needs to be examined. While the publication of violations may specify the details to be disclosed, some individual laws may not address this aspect explicitly. Furthermor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ation methods stipulated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ose adopted in practice. Thus,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se differences. Furthermore, while the law stipulates that the publication should be maintained for a period longer than the initial publication when making corrections, the regulation of the publication period is limited to only a few cases in individual laws. These aspects can potentially affect the publication subject, making it reasonable to specify them in detail in individual laws.

      • 特別 公共行政組織에 대한 法的 規律

        김광수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서강법학 Vol.9 No.2

        By law, the national power of the Republic of Korea is divided into three independent powers, which are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These powers keep the balance by checking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legislative power belongs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judicial power to the court and the executive power to the government led by the President. The government (central public administration) consists of the president, prime minister, ministers of government branches, and other administrators. Constitutional Law Article 96 provides that the establishments and institutions of each administration branch shall be laid down by the law, which means the claim for democracy and rule of law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administrations. In addition to the ministries, national councils,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lso have their legal foundation in the Constitution. Under the rule of law for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law which stipulates the basic structure of it is the act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statute was enacted in 1948, with the Constitution, and it was honored as the first statute law in the history of Korea. Government organization act provides the presidency, the prime ministry,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under the prime minister, and the organizations and duties of each ministry, As for loc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law was enacted and started to be enforced in July 4, 1949.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ises and falls, it now seems to be its way to progress. This report will make you surve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ith the current conditions, on the view point of changes and promotions of Korean public organization. But more direct and detailed discussions on the nation and local entities are omitted. Therefore, the following statements will be only about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Korea excluding those mentioned above(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For convenience, I call those organizations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My report contains the concepts of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II), changes of legal principles on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III), legal relations of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IV), rights and privileges of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V) regulations on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VI), the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remedy(VII),and the necessity for public reconsideration about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a row. A brief conclusion is added in the end of the report. The subject of administration is largely categorized into the nation and the public institutions for meeting various administrative demands of the people. The public institutions include local government, Public cooperation, public foundation, public establishment and public enterprises. Among these, the n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which have comprehensive public power are at the center of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Public corporations are the institutions founded by the people with certain qualities and purposes. These are different from private corporations in an aspect that their legal grounds and purposes are on the special public statutes. The instances of public corporations are the group of lawyers, that of doctors and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which are the groups of people with specific vocations. For other instances of special public association, first of all, there are city development associations, city improvement associations, whose purposes are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Cooperation of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agricultural corporations, fisheries cooperatives are the established public entities of people engaged in those corresponding businesses. Public foundations are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hich are endowed with status of public legal person for the properties given on special administrative purposes.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Korea science foundation are the cases. The public organization endowed with legal personality, both the human and material facilities complex which is established to carry out specific purpose in organizational law is called public establishment(o¨ffentlich-rechtliche Anstalt). Instances are Korea Broadcasting System, the Bank of Korea, Korean Highway Management Corporation, jail, libraries and museums, etc. Public facilities are distinctive from public establishment. Though they are the human and material utilities established for special national purposes, they are usually accepted as material facilities. However, in statutes,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term, public facility, as the term of public establishment. Special public organization differentiated from public establishment is a public enterprise. When we understand public enterprise as human and material compound facilities providing administration services for the people, we can hardly tell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But public enterprise can be differentiated from establishment when we consider public enterprises companies run b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for the public interest. New local special public organizations are being established continuously along with activations of local government. The act for local public enterprise provides that local enterprise such as local public company, Public corporation should be founded according to the related acts. To prevent too many establishments of local enterprises the law advises to scrutinize the necessity of a prospect local enterprise in the matter of influences and capabilities on the residents' welfare and local economy. Another business which is also differentiated from local enterprises is the third sector. This is a cooperated business activitie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ians. Some say that the third sector is all kinds of government-civilian cooperation including local enterprise, but strictly speaking, the third sector companies should have around 25%-50% of government investment, while local enterprise over 50% of that. A new law named 'The law for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is made to realize the management rationalization and to promote transparency. This law aims for the rational regulations on the various government institutions, substituting the former 'act for management of government invested companies' and 'act for management of organizations under the control of government'.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as the government owns the highest investment proportion, as there is any investment ground in law, as government support is over 1/2 of the total income corresponding institution or group, as government and government related company or institution own the highest proportion, and finally as government or government related company invest, if needed, the minister of planning and budget appoints them to be the public organizations under this law consider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institutions' public character. By this law, public organization is sub-classified into public enterprise an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Being a public enterprise means that the amount of its income is over 1/2 in the total income(average amount for 3 years). As a rule, it is the President who appoints the head of public enterprise, while the executives of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are appointed by the head of management institution. There are supervisions on public enterprise by the minister of planning and budget as well as by the competent minister. The accounts of public enterprise an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company accounting to clarify the management results, property increase/decrease and phases of changes. For a process of the appointment of public organization executives, a recommendation committee is to be made up. The recommendation committee consists of non-existing directors and private committee members chosen by the directors' board. Public enterprise is sub-classified into market type and quasi-market type. Among the enterprises, if their asset volume and local government income are over certain extents in the total income, the companies are regarded as market type public enterprise. The others are thought to be quasi-market enterprises. Public organizations are guaranteed the independent self-control management to ensure the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New legal regulations to be introduced to public organizations are pre-assessments of establishment, public announcement of management system, etc. Currently Korea's changes and developments in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re in the huge stream of deregulation and privatization. Privatization can be visualized in many ways such as transfers of national tasks to the private companies, transfers of the rights of possessions or managements, and those of management modes and supervisions. The variety of government/public institutions mentioned before and different legal regulation modes reflect the various aspects of privatization. Recently a large portion of former governmental activities has been changed into private commissions and investments, which reflects far more active and complete privatization or deregulation phenomena. There should be certain regulations and remedies for public securities to prevent private companies from being immersed in the commercial interests when public works are done by the private investment groups. We are under the discussion that there should be clearly defined ways to insure the public interest in the law, legal orders and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lso, the way of regulations through administrative activities or conditions attached to them is being discussed. Korea's spe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has been greatly expanding due to the expansion of national activities and duties. Many kinds of laws are legislated and enforced as a way to regulate public entities organized with the administrative demands for their purposes. These laws have various kinds of legal principles for controlling public organization in both aspects of personnel and budgets and for ensuring public interest. Traditionally, discussions about public establishment have focused on the rule of law and have been used to explain the exceptional phenomena or to insist the necessity for legal regulations on the particular legal relations. The rule of law for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 personnel and budgetary regulations means the democratic supervision and surveillance on these activities. By the way, there has been a prominent tendency to take the efficiencies and results of public enterprise activities seriously lately. This means that effectiveness or market economy along with rule of law and democracy are deeply penetrated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fields. That is, while traditional establishment theory was the administrative view focused on public power, recent view is centered on public or economic interests. Public interest or publicity has so complicated meanings that we can not define it briefly. Public administrators who monopolized the public powers used to be thought to take all the duties for public welfare realization in the past. However, today we can see the tendency that the responsible entities and types of public welfare realization disperse. To achieve the aimed duties, the tasks of curr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s' are to verify what the genuine duties of administration are and what the best ways and the most proper legal systems will be amid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with appearances of new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operation modes. 한국의 국가권력은 헌법에 의해 입법권, 행정권 및 사법권으로 3분 되어 있다. 이들 세 국가 권력은 상호 견제를 통한 균형을 유지한다. 헌법에 의하면 입법권은 국회에 속하고, 사법권은 법원에 속한다.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 (행)정부는 국무총리, 국무위원 및 행정각부로 구성된다. 국무위원은 행정각부의 장을 겸한다. 「대한민국헌법」 제96조는 행정각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행정각부 조직에 있어서의 민주주의 및 법치주의의 요청을 표현하고 있다. 행정각부 이외에 각종 국가자문회의, 감사원, 선거관리위원회 및 지방자치단체는 헌법에 직접 그 설립근거가 명시되어 있다. 행정조직 법정주의에 의하여, 행정조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정부조직법」이다. 정부조직법은 1948년 헌법과 동시기에 제정되었으며 대한민국 법률 제1호의 영예를 차지하였다. 정부조직법에서는 대통령, 국무총리, 총리 소속 아래의 행정기관 그리고 행정각부의 조직과 직무에 대하여 규정한다. 그리고 지방행정에 관하여 1949년 7월 4일 법률 제32호로 「지방자치법」이 제정되어 실시되고 있다. 지방자치제도는 그 동안 여러 차례의 부침이 있었으나 현재는 순조로운 발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보고에서는 한국의 공공행정조직의 변화와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먼저 특별 공공행정조직의 종류와 그 특성을 개관하고, 최근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단, 주최측의 제시에 의하여 국가와 지방자치자치단체에 대한 직접적이며 상세한 논의는 생략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 공공행정조직에 관한 논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특별한 성격을 가지는 행정조직만을 위주로 한다. 이를 편의상특별 공공행정조직이라는 이름으로 총칭하였다. 보고는 II. 공공행정조직의 개념과 특별 공공행정조직, III.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대한 법적 규율의 변화, IV. 특별 공공행정조직의 법관계, V. 특별 공공행정조직의 권한과 특권, VI.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대한 통제, VII. 특별 공공행정조직과 권리구제, VIII.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대한 공공성제고의 필요성이라는 제목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간단한 결론을 첨부하였다. 국민들의 다양한 행정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행정주체는 크게 국가와 공공단체로 분류된다. 공공단체에는 지방자치단체, 공공조합(공법상 사단), 공법상 재단, 공법상 영조물 그리고 공기업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포괄적인 공권을 가진 단체로서 공공행정조직의 중심에 있다. 공공행정조직 가운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공공조합, 공법상 재단, 공법상 영조물 그리고 공기업 등이 이보고서에서 말하는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포함된다. 공법상 사단은 일정 자격이나 목적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설립된 조직이다. 그 법적인 근거 및 목적이 특별한 법률에 기초하여 있다는 점에서 사법상의 사단법인과 구별된다. 공법상 사단법인의 예로는 변호사회, 의사회, 상공회의소 등과 같이 특정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단체가 대표적이다. 이 밖의 공공조합의 예로는 먼저, 도시개발조합과 정비사업조합이 있는데 이들 단체는 주거환경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중소기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은 특정한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에 관련되는 공동사업을 위하여 설립하는 공법인이다. 공법상의 재단법인은 특별한 행정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재산에 대해서 법인격이 부여된 공공행정조직이다. 그 예로는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한국과학재단이 있다. 조직법적으로 종래 특정 행정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인적, 물적인 시설의 종합체로서 법인격이 부여된 공공단체를 공법상 영조물법인 이라고 불렀다. 그 예로는 한국방송공사, 한국은행,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있다. 한편 법인격을 가지지 않는 영조물의 예로는 국공립학교, 교도소, 도서관 및 박물관이 있다. 영조물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공공시설이 있는데, 公共施設은 특정한 국가목적을 위하여 설립된 인적·물적시설로서의 영조물 개념 가운데서 물적시설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 그렇지만 실정법에서 영조물이라는 개념에 해당하는 법적인 용어로서 공공시설이라는 용어을 쓰는 경향이 있다(지방자치법, 지방재정법 등). 영조물과 구별되는 특별 공공행정조직으로서의 공기업이 있다. 공기업을 국민에 대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적·물적인 종합시설로 이해하는 입장에 의하면 영조물과의 실질적인 구별이 없어진다. 그러나 공기업을 국가 혹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사회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경영하는 기업으로 이해하면 영조물과 구별된다. 지방자치제도의 활성화와 함께 지방의 특별행정조직도 계속적으로 설립되고 있다 「지방공기업법」은 지방공사나 공단 등 지방공기업을 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설립하도록 하고 있다. 지방공기업의 남설을 막기 위하여 법률에서 주민복리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사업성 등 지방공기업으로서의 타당성 여부를 사전에 검토하도록 하고 있다(뒤의 III-3-가 참조). 지방공기업과 구별되는 사업체로 제3섹터(the third sector)가 있다. 제3섹터는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이 협동하여 필요한 사업 활동을 한다. 논자에 따라서는 지방공기업을 포함하는 민관합작 경영 형태를 모두 제3섹터라고 하기도 하지만 지방 공기업에 대한 정부출자가 50%를 넘는 반면에 제3섹터는 정부출자의 비율이 대략 25∼50%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본다. 최근 공공기관의 경영합리화와 운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기본법」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법안이 입법되었다. 이 법은 종래의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과 「정부산하기관관리기본법」을 폐지하고 다양한 종류의 기업형 정부기관을 합리적으로 규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가 최대 출자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법률에 의하여 정부의 출연근거가 있는 경우, 해당 기관 또는 단체의 총수입액 중 정부지원액이 2분의 1을 초과하는 경우, 정부 및 정부유관기관 또는 단체가 최대지분을 보유한 경우, 정부 또는 유관단체가 출연한 경우, 정부의 재정지원 정도와 당해 기관의 공공성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경우 기획예산처장관이 공공기관으로 지정한다. 이 법에 의한 공공기관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으로 구분된다. 공기업은 총수입액에서 차지하는 자체수입액이 2분의 1이상인 경우를 말한다(3년간 평균액 기준). 공기업이외의 기관은 준정부기관이다. 공기업의 기관장은 원칙적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준정부기관의 임원은 주무기관의 장이 임명한다(법 제25조 및 제26조). 그리고 공기업에 대해서는 주무기관의 장 이외에 기획예산처장관의 추가적인 감독이 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회계는 경영성과와 재산의 증감 및 변동상태를 명백히 표시하기 위하여 기업회계원칙에 따라 처리한다(법 제39조 제1항). 공공기관의 임원을 임명하는 절차로서 임원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가 구성된다. 추천위원회는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한 외부 민간위원으로 구성된다(법 제29조). 공기업은 다시 시장형 공기업과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나누어진다. 공기업 중 자산규모가 일정액 이상이고, 총수입액 가운데 자체수입이 일정액 이상인 경우 시장형 공기업이 된다. 그 이외에는 준시장형 공기업이다.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책임경영체제의 확립을 위하여 자율적인 운영이 보장된다(법제3조).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공공기관에 대한 법적인 규율로는 공공기관의 신설에 관한 심사(법 제8조), 경영공시제도(법 제10조) 등이 있다. 현재 한국의 공공행정조직의 변화와 발전은 규제완화와 민영화라는 큰 흐름 가운데 있다 할 것이다. 민영화는 국가의 임무 자체의 민간이양, 재산권이나 운영권의 이양, 경영방식이나 감독권의 이양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위에서 고찰한 다양한 종류의 정부기관 및 공기업과 그에 대한 상이한 법적 규율방식은 이러한 민영화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종래 정부의 활동영역 가운데 많은 부분이 민간위탁 혹은 민간투자의 형식으로 그 형태가 변하고 있다. 이는 보다 적극적이고 완전한 형태의 민영화 내지는 탈국가화의 현상을 반영한다고 할 것이다. 공공사업이 민간의 투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에도 민간기업이 지나치게 상업적인 이윤추구에 골몰하지 않도록 하는 규제책이나 공공성 확보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 방법으로는 법률 및 법규명령과 자치법규에 공공시설의 공공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명시하는 방법과 행정행위의 부관을 통하여 규율하는 방법이 거론된다. 한국의 특별 공공행정조직은 국가활동의 영역확대 및 임무의 확장에 따라서 크게 증가하였다. 행정수요에 응해서 조직되는 공공조직을 본래의 목적에 맞게 통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각종의 법률이 제정, 실시되고 있다. 이들 법률은 공공조직의 인사 및 예산상의 통제와 공공성 확보를 위한 각종의 법적인 규율을 담고 있다. 전통적인 영조물 이론은 법치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그 예외적인 현상을 설명하거나 혹은 특수한 법관계에 대한 사법적 통제 필요성을 주장하는 이론으로 이용되었다. 행정조직 법정주의 및 공기업에 대한 인사상, 예산상의 통제는 이들 활동에 대한 민주주의로부터의 감시와 감독을 의미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공기업 활동에 대하여 효율성과 경영성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는 법치주의, 민주주의와 함께 경제주의 혹은 시장주의가 행정적 영역에도 깊숙하게 침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영조물 이론이 공권력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법적 논의였다면 최근의 공기업에 관한 논의는 공익성 내지는 경제성을 중심으로 하는 논의인 것이다. 공익 내지 공공성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과거에는 공권력을 독점한 행정주체가 공익실현의 임무도 독차지한다고 생각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공익실현의 주체와 형식이 분산화되는 경향이 있다. 급변하는 행정환경 속에서 그리고 그에 따르는 새로운 행정조직 및 작용방식의 출현속에서 행정의 진정한 임무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달성을 위한 최선의 방법과 법적인 형식이 무엇인지 밝히는 일이 현재 행정조직법의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