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목 운영의 현황과 개선 방향-대구가톨릭대 사례를 중심으로-

        임선애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7 사고와표현 Vol.10 No.2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is being recognized. Most Universities operate with a requisite curriculum for writing. Moreover, recent Universities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in a category of communication education. Universities are also increasing the number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at combine speech and reading education as well. This trend can be seen as a dramatic change in the college writing paradigm of 2000, and the result of a dramatic change. Meanwhil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has changed the course of university writing and writing to writing instruction, This is because writing education is changing as it progresses to a level of communication education. More recently, universities that supplement writing centers that complement writing education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riting education is changing with a richer look. Now,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running toward the history of 20 years, for a better tomorrow, reflective checks are needed for the flashy growth in appearance. This is also a check of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 subject to changes in the formal aspects of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curriculum of D University, the provincial university, which teaches local universities, and sugges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mmarize the greatest problem in writing education in rural areas of the country, and the short duration of the writing period. The improvement course should consist of seven to eight weeks of writing classes currently operating at 7 to 8 weeks and The dramatic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s dramatically reduced. As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is a topic of the current er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the quality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만큼, 대부분의 대학들이 글쓰기 관련 교과목을 필수로 지정해서 운영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들어 대학의글쓰기 교육이 의사소통교육의 범주에서 논의되는 가운데, 글쓰기뿐만 아니라 말하기와 읽기 교육을 병행하는 대학들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흐름은2000년을 기점으로 진행된 대학 글쓰기 교육 패러다임의 가파른 변화와 그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대학 글쓰기 교육은, 대학 국어/작문 교육이 글쓰기 교육으로, 글쓰기 교육이 다시 의사소통 교육의 차원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이며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글쓰기 교육을 보완해주는 글쓰기센터를 설치⋅운영하는 대학들이 늘어나면서, 글쓰기 교육은 더욱 풍성한 외관을 갖추며 변화해 가고 있는 중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이 20년이라는 역사를 향해 달려가고있는 지금, 더 나은 미래의 기획을 위해, 외관의 화려한 성장 이면에 대한 성찰적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이는 글쓰기 교육의 형식적인 측면의 변화에 따른 내용의 충실성 문제에 대한 점검 작업이기도 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방 소재 사립 대규모 대학인 대구가톨릭대 글쓰기 교과목 운영의 현황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는 데 있다.

      • KCI등재

        예체능계열의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김지혜 ( Ji Hye Kim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본고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예체능계열의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각 아래, 음악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예체능계열 글쓰기의 구체적인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의 글쓰기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음악대학 학습자들을 위한 전문적 글쓰기 교수 방안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먼저 독서 습관 및 글쓰기 자가진단 설문 조사를 통해 음악대학 학습자들의 독서 실태와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자기 탐색의 서사와 자기소개서``와 ``프로그램 노트`` 쓰기 수업의 예를 통해 효과적인 수업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최근 대학 글쓰기 교육이 각 전공의 특성을 고려한 계열별 글쓰기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예체능계열 글쓰기는 인문사회 계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기가 중요시되고 있는 예체능계열은 인문사회계열과는 상이한 학문 체계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천대학교 <예체능글쓰기> 수업은 이러한 계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나``를 탐색하고, 전문인으로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실용적 글쓰기 수업 방안을 마련하였다. 최근 전문가들의 대중적 글쓰기 열풍에서도 알 수 있듯 예체능 분야에서 역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예체능이라는 특수한 전공에 맞는 여러 실용적인 글쓰기 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concrete educational writing method of writing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by focusing on cases of writing class of Music College under the view that specificitie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should be considered in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Especially,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an effective instructional plan through examples of writing class of ``narration search oneself and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nd ``program note`` for learners of Music College of Gachon University. Recently, the trend of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is expanding to writing per course which considers specificities of each major, but writing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is often include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urse. However, the academic specificitie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which considers practical techniques are different from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urse. <Writing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of Gachon University considers these specificitie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so instruction method for practical writing which can search ``I``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s professionals. Recently, recognized by the boom of popular writing of professional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also considers communication ability as important, and for this,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practical writing methods for specific major such a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쓰기 태도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종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8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ement. Method: A review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specified in curriculums was done and problems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were analyzed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guidebooks. Result: Directions for improving a curriculum and a textbook are as follows. As for the curriculum, first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contents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for inducing a reaction by a writer to performance of a writing task. Secondly, a basis for setting sub-components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irdly, a method of suggesting contents by grade(cluster) should be introduc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As for the textbook, firstly, writing attitude education should be specified. Secondly, a writing task has to be presented considering the interaction among writing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Thirdly, writing attitude education considering learner-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heck problems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and seek for a direction for improvement. 목적: 이 연구는 쓰기 태도 교육의 문제점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육과정에 제시된 쓰기 태도 교육을 고찰하였고, 초등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쓰기 태도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은 첫째, 쓰기 태도 교육 내용 중 쓰기 과제 수행 과정에 대한 태도 요소를 보완해야 한다. 둘째, 쓰기 태도 교육 하위 요소의 설정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셋째, 쓰기 태도 교육의 성격을 고려한 학년(군)별 내용 제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교과서 개선 방향은 첫째, 쓰기 태도 교육을 교재에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둘째, 쓰기 지식과 기능, 태도의 교호 작용을 고려한 쓰기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 중심 국어교육을 고려한 쓰기 태도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결론: 쓰기 태도 교육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강성숙 ( Sung Sook Kang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본고는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계열별 글쓰기는 이공계열을 중심으로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예체능 계열 글쓰기의 경우 글쓰기를 활용하는 전공 교육 연구 차원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글쓰기 교육 영역에서는 예체능 계열 학생들에게 필요한 작업노트나 포트폴리오, 광고문, 감상문, 운동일지 등 실용적인 글쓰기 연습을 제안하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본고는 계열별 글쓰기 교육 연구 성과를 토대로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사례를 제시하고자 했다. 예체능 계열 학생들의 경우 학습 부담을 줄이면서도 기본 글쓰기 과정과 실용적 글쓰기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융합 과정이 더욱 필요하다. 필자는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전공 밀착형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시행된 방법의 보완책을 함께 제시했다. 기획과 논평 과제는 ‘주제 설정-자료 조사-자료 분석과 해석-개요 작성-쓰기-퇴고’의 글쓰기 기본 과정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 주체로 하여금 글쓰기의 기본기를 익히면서도 전공과 관련한 주제의식을 구성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글쓰기의 기술적 연습에서 나아가 인문학적 소양과 깊이를 갖추기 위해서는 앞으로 고전을 포함한 다양한 읽기 자료 활용이 요청된다. This article has been attempting to find the ways of writing educa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on the writing education along with the major was mainly made to target the Depar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case of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writing education research was mostly made on the curriculum of a major subject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writing education, the studies that propose the practical writing exercises, such as a task notes, a portfolio, an advertisement draft, a reports, a exercise journal has been done. I would like th propose an effective education practices for the students major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isting writing education research results. For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The convergence process while reducing the learning burden, could experience both the basic writing process and the practical writing is needed. Therefore I proposed a major community-base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ctual teaching practice, and was presented with a complement of enforcement methods. By writing such as a proposal writing and review, the students challenges a basic course in writing, “theme settings - Data Survey -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Summary writing - writing ? elaboration”, in this process the learners can practice the basics of writing and consider the topics associated with their major. In addition, I devised ``specify readers system`` for modifying the articles multiple times. To be able to modify number of times, I made several steps in the writing process, ①the planning stage→②draft→③presentation→④revision→⑤final modifications. Furthermore, in order to equip the humanistic sensibility and profound mind as well as technical knowledge, a variety of reading materials including the classic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융복합 시대의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김현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4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s of writing education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in major universities, as well as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is, the study tried to find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in a multidisciplinary era. Looking into the education contents of universities that have separate writing education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we found that they have a tendency to teach common contents of writing in the first half, then in the latter hal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writing such as lab reports or research theses, etc. And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considered writing education important, and needed education from which they can learn the basics of writing rather than specialized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writing.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an education that’s rich in writing basics rather than a writing education specialized for each department. It also proposes arrang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that allows professors in charge of a particular major or field to take charge of specialized writing such as lab reports and research theses. 이 연구는 주요 대학의 이공계 글쓰기 교육 현황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이공계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융복합 시대의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이공계생을 위한 별도의 글쓰기 교육을 하고 있는 대학의 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전반부에서는 글쓰기의 공통된 내용을 가르치고, 후반부에서 실험보고서나 연구논문 등과 같은 이공계 글쓰기를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이공계 학생들은 글쓰기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화된 이공계 글쓰기보다는 글쓰기의 기본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융복합 시대의 이공계생을 위한 바람직한 교양 글쓰기 교육 방안으로 계열별로 특화된 글쓰기 교육보다는 글쓰기의 기본에 충실한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실험보고서나 연구논문과 같은 전문적인 글쓰기는 전공 영역에서 담당교수가 담당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했다.

      • KCI등재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 영화평 협동글쓰기를 중심으로

        황영미,이재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Educat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into smart education environment. Nevertheless, following contents and models of education are not various enough and underutiliz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 education model for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ease the problem. Since students are more familiar with visual media, the most effective format of writing education could be film review. In this sen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smart education model through film review writing. A film review can be written in individual, but it can create better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compares two different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one in off-line environment and the other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In off-line education environment, students work through crossing correction. In this case, only students in the same group can share their works while the whole class can share the works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study proposes 4 step-model for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model premised upon the condition that students see the film text before the class. The first step is checking attendance and answering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using Clickers. For second, students solve pop-quiz which consists of subjectiv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 Third, the instructor leads students to brainstorm using Kakao Talk group chat. In this step, the instructor first suggests one or two topics that can help students to participate in chat. Then let students rais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s by their own. Kakao Talk group chat enables longer conversation and later helps the class share group members’ replies. In class, instructor shares answers for the questions or quiz, and Kakao Talk chat room through screen. Using this, instructor can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film text and class. Add on that, students can compare their answers which help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xt. Lastly, complete a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using Google Doc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film review writing on Room (2015), directed by Lenny Abrahamson, through crossing correction and the case of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on Poetry (2010), directed by Chang-dong Lee, using smart devices. Through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the latter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new education model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case using film and smart devices. 교육환경은 스마트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교육콘텐츠나 교육 모델은 다양하게 개발되지 않아 실제 활용도는 낮은 것이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상세대인 요즘 학생들에게 글쓰기 교육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형은 영화평 쓰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영화평쓰기를 통한 스마트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화평은 개인으로 쓸 수도 있지만, 협동학습으로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으로 하는 영화평쓰기 협동학습과 스마트환경에서로 구분하여 접근하여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오프라인의 경우 영화평을 완성하여 조별로 서로 교차첨삭을 하면서 협동학습을 하는 경우인데, 조원끼리는 공유되지만 전체 수업에서 공유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스마트환경에서는 전체 공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환경 조별 협동 영화평을 쓰기까지 총 4단계로 진행되는 모델을 제시한다. 학생들은 각자 해당 영화텍스트를 보고 수업에 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첫 단계로 수업 시 출결체크와 함께 클리커를 활용하여 객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두 번째 단계로 수업에서 교수자가 설명한 내용을 팝퀴즈를 통해 주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세번째 단계로는 카카오톡 조별 채팅방을 교수가 개설하여 영화평을 쓰기 위한 브레인스토밍을 유도한다. 이 때에 생각해 볼 문제 한 두 문제를 먼저 제시하여 채팅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학생들이 자유롭게 문제도 제시하고 답을 쓰게 한다. 카카오 톡 조별 채팅은 팝 퀴즈보다 조금 더 긴 글로 대화를 하면서 조원들의 답변을 함께 볼 수 있다. 교수자는 전자교탁 pc버전으로 객관식 및 주관식의 모든 답이나 카카오 톡 채팅방 전체를 스크린을 통해 한꺼번에 학생들과 함께 공유하며, 영화 텍스트 이해도와 수업 내용 이해도 평가가 가능하다. 학생들도 동료들의 답과 자신의 답을 비교해 보며 텍스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로는 구글문서를 활용하여 협동영화평쓰기를 조별로 1편 완성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유형으로는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의 영화 『룸』을 보고 영화평 쓰기 수업과 동료교차 첨삭을 한 협동학습 사례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유형으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의 협동영화평 쓰기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논문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영화를 통한 협동글쓰기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방식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신을 위한 글쓰기냐, 비판적 글쓰기냐? -니체와 사르트르의 글쓰기 논제와 글쓰기 교육-

        이하준 ( Lee Ha-ju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글쓰기 교육이 대학 교양교육의 큰 흐름을 형성한 지도 10여 년이 흘렀다. 그동안 사례 중심 연구와 교수 방법론의 개선방안은 꾸준히 제시되어왔다. 이 글은 글쓰기 논의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니체와 사르트르의 글쓰기 논제에 근거해 현재의 글쓰기 교육을 검토한다. 두 사상가의 글쓰기 논제는 자기성찰적 글쓰기 교육모델과 비판적 글쓰기 교육모델의 이론적 전거가 될 수 있다. 동시에 두 가지 글쓰기 교육모델의 문제들을 비판할 근거를 제시한다. 니체와 사르트르의 글쓰기 논제에서 볼 때 수많은 사례중심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론, 교육 효과 측정과 증진 방안 등은 ‘글쓰기 기술론’이다. 두 논제는 교양-글쓰기-가치교육과 자기이해-사회이해-세계이해라는 측면에서, 자신을 위한 글쓰기와 비판적 글쓰기의 목적성의 측면에서 글쓰기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재사유를 요구한다. 자기성찰적 글쓰기 교육과 비판적 글쓰기 교육모델은 사르트르와 니체의 논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논자는 두 논제가 시사하는 원칙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글쓰기 교육에 관한 종합적 평가와 함께 글쓰기 교육목적의 재설계, 교수-학습의 태도, 평가방식의 개선과 관련한 방향성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More than a decade has passed since writing education has become a major trend in liberal arts college education. Up until now, case-oriented research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ology have been consistently recommended. This article examines current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writing theses of Nietzsche and Sartre,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in discussions on writing. The writing theses of the two thinkers can becom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elf-reflective writing education model and the critical writing education model. At the same time, they provide grounds to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two writing education models. The writing theses of Nietzsche and Sart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of writing, and the measures to measure and promote educational effectiveness, etc., which are addressed in numerous case-oriented studies, are a theory of writing skills. The two theses call for a fundamental rethinking of writing education both in terms of liberal arts - writing - value education and self-understanding - social understanding - world understanding, and in terms of the purpose of writing for oneself and critical writing. The self-reflective writing education and critical writing education models need to critically embrace the theses of Sartre and Nietzsche.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principles implied by the two theses, I present directions and specific measures related to redesigning the purpose of writing education, the attitude of teaching-learning,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s, as well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

        송기섭 ( Kim Seob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글쓰기 교육은 이미 대학 교양의 중심 영역으로 자리잡아 왔다. 글쓰기 능력은 학생들이 전공 학습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졸업 이후 갖추어야 할 필수 기능으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하여 대부분 대학에서는 글쓰기 교육을 강화하면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나 제도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 글쓰기 교육도 기본적으로는 다른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 설정, 학습 내용의 구완, 그리고 학습평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글쓰기 교육의 특성상 요구되는 글쓰기 교실이나 센터와 같은 제도적 기구의 보조적이고 협력 관계가 요구된다. 여기서 가장 먼저 점검해 볼 문제가 교육목표이다. 그것은 이후에 전개되는 글쓰기 교육의 기본 지침이 될 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교육 행위의 방향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충남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을 사례로 분석하면서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를 설계해 보고자 한다. 글쓰기 교육은 대개 기초적인 수준의 공통적 과정과 계열별로 심화된 과정으로 분리되고 있다. 기초 글쓰기는 학부생들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는 공통적인 글쓰기 교과과정으로, 전공과 무관하게 수강할 수 있도록 수업의 내용과 수준이 주어진다. 그런 까닭에 수업목표 또한 이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에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전통적인 작문교육과는 다르게 그것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작문교육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하곤 했다. 또한 문장 단위의 수사학에 그것의 핵심을 두곤 했다. 문학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전문화의 함정을 곁들이기도 했다. 기초 글쓰기는 이러한 전통적 글쓰기 교육과는 다른 층위에서 출발한다. 그것은 글쓰기가 영감이나 재능에 의해서가 아니라 준비와 전략에 의해 수행됨을 일깨우고 한다. 그리하여 글쓰기의 작업 프로세스와 그에 대한 인지적 과정을 중점적으로 가르치고, 실습을 통하여 이를 익혀가고자 한다.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는 이 두 측면에 맞추어 기획되어야 한다. Writing education is one of core subjects among liberal arts courses. Writing ablity is required for students to accomplish their majors as well. For some practical reasons, most universities have intensified their writing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institutional supplement have been established. Writing education is comprised of purpose setting, lecture contents and grading. Writing classes and centers assist writing education effectively. The purpose needs to be examined thoroughly because it is not only the basic guideline of writing education but also the direction of lecturing method. This essay tries to plan education purpose of fundamental writing by analyzing writing educatio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classified into fundamental course and specialized course. Fundamental course is a prerequisite for all students. Its contents and level are formed for students regardless of majors to accomplish it. The purpose should be set reflecting this circumstances. It differs from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emphasizes creative thinking and rhetoric. It contains literary writing as well. Fundamental writing is based on different level with traditional writing. It premises that writing is conducted by preparation and strategy, not inspiration and talent. It emphasizes the process of writing. It also requires cognitive process considering conversational community. Education purpose of fundamental writing should be set considering these two aspect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 설정과 지식 정보화 시대의 대응

        정희모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이 논문에서는 우선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일차적으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통해 전공 글쓰기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미국과 한국의 여러 대학들도 학생들이 대학의 학술 텍스트를 잘 쓰기 위해 대학. 글쓰기 교육을 도입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된 목표는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이와 다른 관점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도 있다. 그것은 표현주의 입장으로, 글쓰기를 통해 개인의 자기 탐색, 자기 성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점이다. 한국에서 표현주의의 입장은 학술적 글쓰기와의 결합을 통해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조합을 추구하고 있다. 세 번째로 대학 글쓰기 교육을 인문학적 사고의 학습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외국어 교육과 다르게 자국어 대학 글쓰기 교육은 다양한 고전의 학습과 함께 인문학적 사고와 성철을 수반하기 때문에 인문학적 교육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렇게 다른 세 가지 관점은 서로 상이한 철학을 지니지만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국내 대학들은 대체로 이 세 가지 관점을 섞어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술적 쓰기 능력과 자기 성찰, 사회적 비판의식 모두들 소중하게 생각한다. 이보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더 중요하게 바라보아야 할 관점은 지식 정보화 시대에 디지털 글쓰기의 도전과 대응이다.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는 쓰기 주체의 문제, 소통의 문제, 쓰기 교육의 문제를 다시 돌아보게 한다. 디지털 시대 대학 글쓰기는 매체나 도구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을 되돌아보고,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다.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at the principal purpos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Many universities newly instituted College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to improve in their scholarship texts.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considered that College Writing Education’s main genre is Academic Writing. However, contrary to the previous perspective, there are also different points of view tow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 Expressionism in writing. Expressionism’s stance puts importance on individual’s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through writing. In Korea, the expressionism’s stance on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that it pursuits a combination of personal perspective and societal perspective joining with Academic Writings. Another angle o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viewing the writing education as a study of liberal art thinking. This notion is based on the contrary betwee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native writing education that native writing education accompanies liberal art thinking and introspecting with various studies of native classics. College Writing Education’s aim is divided into these three disparate concepts, but these concepts can be used together as well. Universities of Korea mostly combine the three stances and value all their scholarly Academic Writing abilities, Introspection, and Societal criticism. Above all, the perspectiv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preparedness and response toward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centric society. The digital era’s writing leads us to look back upon the problems within writing subject, communication, and writing education. Despite the divergence of media, digital era’s college writing should place emphasis again on advancement of writing ability, students’ introspection towards their perspectives, and strengthening the insight of humanities.

      •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역량 중심 대학 글쓰기 교육 수행 방안

        신호철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20 淸大學術論集 Vol.34 No.-

        This paper resets the direction and goal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competency-based writing education. In other words, we discussed how to implement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a wa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university students. First of all, he argued that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converted from the existing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or the academic purpose-oriented writing education to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strengthen the social job competences required by modern university students and our society. To this end, the concept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was reconstructed and the goal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was reset. The collage writing education is the basic education for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logical think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career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goal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to establish and implement education for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inking,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humanity, and education for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