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정희모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In the field of writing, it is universal that we prescribe audience to anticipated readers. But investigating researches of audience we recognize that it is complicated to define and interpret audience. The traditional viewpoint is that the audience is considered as the external object. It has a fault that expected reader will not be possible to be the real reader. The second viewpoint is that the audience is regarded as a fiction. It makes excessive subjectivism because it is only focused on writer in writing process. In result, it has a lack of social interaction. In the third point, audience is regarded as a discourse community. This viewpoint considers audience as a functional activity. The division between writer and reader break down in the discourse community. In this point the audience is seen as coauthor, as a virtual participant in the production of discourse. Final point is considered audience as a context. This point also looks upon audience as a functional context which has audience factor, writer factor and environment factor all together. Therefore the final view point will bring advance to the writing education.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과 글쓰기 이론 분야에서 독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글쓰기 분야에서 독자를 규정할 때 텍스트를 실제 읽어줄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독자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독자 정의에 관한 규정과 해석은 의외로 복잡하고 모호하다. 독자에 관한 기존의 관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에 관한 전통적 관점으로, 독자를 실제 책을 읽을 외적 대상으로 보는 경우이다. 둘째 독자에 관한 내면적 관점으로, 독자를 필자의 요구에 의해 호출된 관념적 산물로 보는 경우이다. 셋째 독자를 담화공동체나 해석 공동체와 같이 하나의 담화 집단으로 보는 경우이다. 넷째 독자를 쓰기 과정의 맥락으로 해석하는 경우이다. 첫째와 둘째의 경우는 독자를 하나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이며, 셋째와 넷째는 독자를 관습이나 기능으로 보는 관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독자를 하나의 대상으로 보지 말고 기능이나 역할로 볼 것을 주장한다. 쓰기 독자를 외적 대상으로 보는 관점은 창작 당시의 독자와 실제 책을 읽는 독자가 꼭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독자를 오로지 필자 내면의 산물로만 보는 관점은 지나친 주관주의로 필자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되어 사회문화적인 영향 관계를 찾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독자를 담화공동체로 보는 관점은 독자를 기능적 관점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필자를 어떤 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쓴다고 할 때 그 독자 집단의 문화 관습과 담화 관습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독자가 일종의 담화 관습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독자 논의에서 기능적 관점을 더욱 확장한 것이 바로 독자를 맥락으로 보는 관점이다. 독자를 맥락으로 보는 관점은 쓰기 과정에서 독자뿐만 아니라 필자 요소, 환경 요소, 독자 요소를 모두 아울러 복잡한 맥락 속에서 독자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은 부분 학습의 폐단을 없애고 전체 학습을 지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는 독자 분명한 글보다는 독자가 불분명하거나, 보편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을 쓸 경우가 많다. 글쓰기 연구에 따르면 고급필자의 경우 특정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보다 보편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작성할 때가 교육적 효과가 높았다고 한다. 독자 교육에서 독자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맥락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도 이와 연관이 있다. 글쓰기 교육에서 필요한 것은 독자를 대상으로 보지 않고 기능으로 보는 관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글쓰기 평가에서 객관-주관주의 대립과 그 함의

        정희모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is article criticizes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and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for it. In the beginning of writing assessment,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used psychometric assessment, and it chose objective and standardized methods. Therefore it has focused on reliability rather than validity since the beginning of writing education.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caused lots of problems, because it regarded reliability as very important. It put emphasis on objectivity rather than variety and creativity in writing. In addition raters thought every text had a true score, and they tried to find it through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For figuring out the true score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regarded the scoring guideline and rater training highly. New writing research provides criticism and suggests many alternatives for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First, writing research rejects objectivism and values subjectivity. Too much emphasizes on objectivism made writing education regressed ironically. The second focuses on vitalizing inter-rater’s conversation including task context in writing assessment. Lastly ranking and grading should be minimized and should be explained with words and sentences. Also this method has most educative effect than ranking in writing assessment. 이 논문은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방식의 원리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이론과 그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글쓰기 평가 방법은 초기에 심리측정학의 평가방법을 사용했다. 그래서 글쓰기 평가는 획일화, 객관화, 표준화된 평가방법을 선호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방식에서는 타당도보다 신뢰도를 중시했다. 전통적인 글쓰기 교육방법에서는 신뢰도를 중시하여 글쓰기의 특성들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글쓰기의 창조성이나 다양성보다 평가방법의 객관성이나 평가자 간 일치성을 더 중요하게 보았다. 또 텍스트마다 절대적인 점수(true score)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중요하게 보았다. 따라서 글쓰기 평가는 획일화된 시험, 표준화된 평가방식을 지향하게 되었다. 평가지침표와 평가자 훈련을 중시하게 되었고, 평가자 간 점수 차이는 평가 오류로 취급되었다.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는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몇 가지 논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평가에 주관적인 가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나지 않는 텍스트의 내면적 가치를 평가에 포함시키고자 했다. 두 번째는 과제 맥락을 평가에 포함하고 학생 및 평가자 간의 대화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올바른 평가를 위해 대상 학생을 이해하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다. 셋째 평가 등급을 최소화하고 수량 점수보다 해석학적 논평으로 평가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경쟁적인 등급 부여보다 교육적 효과가 높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의 원리로서 신뢰도와 true score를 설명하고, 글쓰기 평가에서 이런 원리가 불가능한 이유를 논증했으며, 이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대안적 평가 방법을 소개했다. 이런 논의를 통해 우리 글쓰기 교육 분야에서도 지나친 경쟁을 지양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강구하도록 애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Flower & Hayes의 과정중심이론에 관한 비판적 재검토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3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meaning of Linda Flower and John Hayes’s research paper, “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Flower and Hayes’s paper is the most famous in the field of process-based writing theory and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it with scrutiny, we need to review Patricia Bizzell’s “Cognition, Convention, and Certainty: What We Need to Know About Writing” as Bizzell offers an acute criticism on Flower and Hayes’s paper. Bizzell presents two key concerns to criticize Flower and Hayes’s processed-based writing theory: Certainty and Inherence. Certainty refers to the perspective that the complex writing process can be generalized. On the other side, inherence refers to the view that decisions made in the process of writing are understood only through humans’ cognitive thinking process. Bizzell considers both of these issues as problems inherent in the processed-based theory, but his opinion is only half right. Even though Flower and Hayes tried to find a general rule through thinking process, they did not regard it as an absolute canon. More importantly, process-based theorists overlooked the fact that ideas are often formed through language expressions.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creative power of language expression through Galbraith’s paper. 이 연구는 과정중심이론과 과정중심 교육방법을 가능하게 했던 1981년Linda Flower와 John Hayes의 논문 “글쓰기의 인지과정이론(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진단하고자 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Flower & Hayes의 논문을 비판한 1982년 Patricia Bizzell의논문 “인지, 관습, 그리고 확실성: 우리가 글쓰기에 대해 알아야 하는 것(Cognition, Convention, and Certainty: What We Need to Know About Writing)”을 가지고 그 내용을 검토하면서 과정중심이론의 공과를 검토해 보도록 한다. Bizzell은 과정중심이론을 비판하면서 두 가지 핵심 화제를 든다. 하나는 확실성(certainty)의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내재성(inherence)의 문제이다. 확실성은 복잡한 작문 과정을 보편화, 일반화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이며, 내재성은 작문 과정의 의사결정을 오직 인간의 내부 심리로만 파악하고자 하는 관점이다. Bizzell은 이 두 가지 문제를 가지고 과정중심이론을 비판하지만 모두가 옳은 판단은 아니었다. Flower와 Hayes는 사고 과정(thinking process)을 통해 일반화된 법칙을 찾고자 했지만 이를 절대적인 규칙으로 보지는 않았다. 이 논문에서 지적하는 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과정중심이론이언어 표현을 통해 아이디어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Galbraith를 통해 언어 표현이 갖는 생성적인 힘을 설명한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학습 전이의 문제와 교수 전략

        정희모 한국어교육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6

        The article deals with learning transfer and instruction strategy in first year composition. Russell, Wardle, Downs critically analyzed the learning transfer of writing skills that students learned in their first year composition courses. The main teaching goals in FYC are that students learn about general writing skills and then apply their skills to new contexts and situations. But Russell, Wardle, Downs assert that these ways are wrong and not effective because writing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real context and should not be generalized. Therefore, they believe what is gained and learned through FYC is not effective and does not transform into competent writing abilities for the student’s major. they suggest that the students should take writing theory education. Wardle and Downs insist ‘Writing about Writing’ education rather than Universal Academic Discourse. The article recommends revising teaching method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education style. Principles of the new teaching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uld recognize learning transfer clearly. The next principle is extracted in writing process and then applied to new situations. Lastly, the class assignment and class curriculum should have an appropriate sequence with each other. This article explains these principles in further detail.

      • 채만식 소설 연구 : 1930년대 후반 작가 의식과 형상화의 문제을 중심으로

        정희모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연세어문학 Vol.26 No.-

        채만식의 뛰어난 현실 인식과 비판 정신은 30년대 후반 우리 문학사에 있어 귀중한 유산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그러한 비판정신은 결코 관념적인 현실 인식으로써만 완성될 수는 없는 것이기에 그의 형상과 방법의 특이성을 따져보는 중요성도 있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우리 문학사에서『탁류』의 문학적 성과가 새삼 아쉽게 생각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 KCI등재

        오상원 소설의 ‘새로움’과 『황선지대』

        정희모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Oh Sang-Won entered the literary world when he won first prize with his short story, “Yuye,” in the Hankookilbo’s writing contest. Dubbed by critics as the writer for a new genera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he stood in the spotlight after winning another prize for his work “Moban” in the Dongin Literary Contest. Oh’s stories, such as “Yuye,” “GuYeol” and “Moban,” are considered works of existentialism. These short stories and novels search for the true meaning of human existence characterized by death and limitation. Some critics haves attacked Oh, saying his works merely copy other existentialist literature without reflecting their depth. Because Oh’s work borrows from Western existentialism, it is lacking in a ment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therefore Oh’s novels are more related to the intellectual novels produced after the Korean War rather than existentialism. A few of Oh’s works deal with the problem of survival after the Korean War and are filled with realistic description, setting them apart from existentialist novels, which are characterized by dense idealism. Although based in realism, these novels are criticized for being too pessimistic and nihilistic. “Off Limits Yellows Area,” written in 1960, is Oh’s most distinguished work, and is regarded by researchers as his representative work. By not using a dramatic existentialist style, he prevents his novel from being idealistic and abstract. In addition, he skillfully switches tense from past recollections into the descriptive present. “Off Limits Yellows Area”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ost-Korean-War literary achievement with tendencies towards both existential universalism and nihilism. 오상원은 1955년 『한국일보』신춘문예에 단편 「유예」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등장했다. 이후 「모반」이 동인문학상을 획득하면서 많은 평론가들로부터 전후문단의 새로운 신예로서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이후 오상원의 문학은 많은 평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된다. 이는 그의 작품이 서구 실존주의 문학을 모방하면서 그만큼 깊이 있는 다른 작품들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상원의 문학은 두 가지 방향에서 평가를 받는다. 하나는 오상원 문학의 주류를 1950년대 실존주의 계통의 문학으로 평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상원 문학의 주류를 황폐한 전후 현실을 비판한 리얼리즘 계통의 작품들로 평가하는 것이다. 오상원은 두 계열의 작품을 모두 발표했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평가하든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의 작품으로는 「유예」, 「구열」, 「모반」과 같은 작품이 있으며, 이들 작품은 앙드레 말로의 작품처럼 대체로 죽음을 앞둔 한계 상황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 소설들은 죽음과 한계상황을 설정하여 인간 존재의 참다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의 소설은 서구 실존주의 문학을 차용한 것으로 실존주의 본래의 철학적 배경이나 정신적 배경은 찾기 어렵다. 오히려 전후의 불안과 절망을 서구의 세기말적 위기 사상으로 등치한 것에 가깝다. 따라서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 소설들은 실존주의 문학의 측면보다 전후 지성적 소설 측면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현실의 문제를 다룬 오상원의 소설은 초기작 「난영」 이후 계속되어 왔다. 이런 계열의 소설들은 전후의 궁핍한 삶과 생존의 문제를 사실적 수법에서 다룬 것으로 현실적 구체성이 살아 있어 관념성이 짙은 실존주의 계열의 작품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오상원 소설에서 현실주의 계열의 소설을 높이 평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 계열의 소설들에는 비관주의나 허무주의가 지나치게 두드러지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동안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 여겨지던 「부동기」도 실상 전후현실의 가족 몰락사를 비관주의적 색채로 그려낸 것이다. 전후 현실을 묘사한 이런 소설들을 오상원의 장점과 특징이 살아나는 소설로 볼 수는 없다. 오상원의 소설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은 그가 1960년에 발표한 『황선지대』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 작품을 오상원 소설의 ‘대표작’으로 꼽았는데, 그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황선지대』는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이 지니고 있는 극적 양식을 버림으로써 소설이 추상화, 관념화되는 것을 막았다. 또 서사적 흐름이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에서 현재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서사적 전개가 제자리를 찾도록 되어 있다. 『황선지대』는 오상원 소설에서 실존주의 계열의 장점을 살리면서 ‘인간 존재의 의미’나 ‘삶의 무의미’와 같은 추상성을 버림으로써 오상원 소설이 본격적인 서사 장르의 길을 가도록 만들고 있다. 결국 『황선지대』는 오상원 소설의 두 경향인 ‘존재론적 보편주의’와 ‘전후 상황에 대한 허무주의’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작품으로 오상원 소설 전체를 종합하는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1960년 이후 오상원은 드문드문 창작활동을 하지만 이전만큼 활발한 활동은 하지 못한다. 그것은 그의 소설이 4.19와 같은 시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했기 때...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주체 회복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writing under the global competition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Under both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college’s liberal education aims to improve humans to holistic existence.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college writing education’s relevancy to inner maturity or holistic human cultivation, which the liberal education accentuates. This is because the act of writing makes it possible for us to grow into social subject through self-reflection and inner maturity. With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also emphasizes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belong to communication education, because writing education deals with the problem of self-expression using language that is structured with various characters. In this reg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situated at a significant position in liberal education, because it deals with humanistic building on one hand, and languag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language education, college witing seek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istic thinking through express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also suggests few tasks that college writing should respond with as it encounters the advent of hypertext era through digital media. Fir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reestablish the problem of writing subjects in response to the digital age’s dispersing and breaking up disintegrate subjects. Secondly, a program that allows humanistic self-examination in response to softness of knowledge and weight lightening of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eds to be developed. La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develop various digital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response to hypertext’s rising and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이 논문에서는 글로벌 경쟁과 대학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대응 방안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이런 논의를 위해 이 논문은 교양교육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위치, 즉 인문학 교양과목이면서도 의사소통교육(혹은 언어 교육)에 속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격을 탐색한다. 대학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일반교육의 정신 아래 인간을 전인적 존재, 총체적 인간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교양교육에서 강조하는 전인적 인간 양성 및 내면적 성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글을 쓰는 행위는 우리로 하여금 자기반성과 내면적 성장을 통해 사회적 주체로 성장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과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글을 쓰는 능력을 함양하는 의사소통교육(언어교육)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글쓰기 교육은 기호로 된 언어를 조작하고 조직하여 사용하며 궁극적으로 자기표현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한 편으로 인문적 교양을, 다른 한 편으로 언어 표현을 다루기 때문에 교양교육 속에서도 특별한 성격을 가지게 된다. 글쓰기는 개인이 자기 삶의 지평에서 세계에 관한 자기 생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며, 나아가 인류가 보존한 높은 문화적 산물과 정신적 가치를 만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읽고 쓰는 것은 하나의 개인을 교양적 인간, 세계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인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또 이와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언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성격을 함께 담지하고 있다. 좋은 생각은 좋은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좋은 표현이 좋은 생각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는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하기 위해 쓰기 능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여러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언어능력이 좋은 필자들이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하이퍼텍스트 시대의 도래에 직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이 대응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디지털 시대의 분산되고 해체되는 주체에 대응하여 쓰기 주체의 문제를 다시 정립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시대에서 지식의 연성화, 지식의 경량화에 대응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은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하이퍼텍스트의 도전과 융·복합적 교육과정 개발에 대응하여 다양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