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희모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is article criticizes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and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for it. In the beginning of writing assessment,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used psychometric assessment, and it chose objective and standardized methods. Therefore it has focused on reliability rather than validity since the beginning of writing education.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caused lots of problems, because it regarded reliability as very important. It put emphasis on objectivity rather than variety and creativity in writing. In addition raters thought every text had a true score, and they tried to find it through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For figuring out the true score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regarded the scoring guideline and rater training highly. New writing research provides criticism and suggests many alternatives for traditional writing assessment. First, writing research rejects objectivism and values subjectivity. Too much emphasizes on objectivism made writing education regressed ironically. The second focuses on vitalizing inter-rater’s conversation including task context in writing assessment. Lastly ranking and grading should be minimized and should be explained with words and sentences. Also this method has most educative effect than ranking in writing assessment. 이 논문은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방식의 원리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이론과 그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글쓰기 평가 방법은 초기에 심리측정학의 평가방법을 사용했다. 그래서 글쓰기 평가는 획일화, 객관화, 표준화된 평가방법을 선호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방식에서는 타당도보다 신뢰도를 중시했다. 전통적인 글쓰기 교육방법에서는 신뢰도를 중시하여 글쓰기의 특성들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글쓰기의 창조성이나 다양성보다 평가방법의 객관성이나 평가자 간 일치성을 더 중요하게 보았다. 또 텍스트마다 절대적인 점수(true score)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중요하게 보았다. 따라서 글쓰기 평가는 획일화된 시험, 표준화된 평가방식을 지향하게 되었다. 평가지침표와 평가자 훈련을 중시하게 되었고, 평가자 간 점수 차이는 평가 오류로 취급되었다.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는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몇 가지 논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평가에 주관적인 가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나지 않는 텍스트의 내면적 가치를 평가에 포함시키고자 했다. 두 번째는 과제 맥락을 평가에 포함하고 학생 및 평가자 간의 대화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올바른 평가를 위해 대상 학생을 이해하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다. 셋째 평가 등급을 최소화하고 수량 점수보다 해석학적 논평으로 평가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경쟁적인 등급 부여보다 교육적 효과가 높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글쓰기 평가의 원리로서 신뢰도와 true score를 설명하고, 글쓰기 평가에서 이런 원리가 불가능한 이유를 논증했으며, 이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대안적 평가 방법을 소개했다. 이런 논의를 통해 우리 글쓰기 교육 분야에서도 지나친 경쟁을 지양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강구하도록 애쓸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육과 결속성(cohesion) 및 응집성(coherence)의 문제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One of the elements considered significant in language education is the problem with cohesion and coherence. Cohesion, especially, work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ool in Korean education by aiding semantic connections between sentences. However, this paper claims that cohesion education is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and in fact coherence education is more necessary. In order to verify such claim, this paper reviews the idea of cohesion and conferenc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hesive devices and text quality is investigated to verify the effect of cohesion. The results shows either negative o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hesive devices and text quality in many essays; this projects that cohesion does not really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essays. As a response, this paper suggests coherence’s significance in writing quality essays. Coherence can be classified as a representation of underlying global meaning coherently found by the readers who went through a complex cognitive process. Many of the experiments’ results showed high coherence texts receiving favorable evaluation. With this respect, Korean education needs to employ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coherenc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strengthening of cultural education methods to increase the coherence. 언어교육에서 중요하게 규정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결속성과 응집성의 문제이다. 특히 결속성은 문장을 의미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교육에서도 중요한 교육적 방법이 되어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결속성 교육이 기대한 것만큼 효과가 크지 않다고 주장하며 오히려 응집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다. 이런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결속성과 응집성의 개념을 검토했다. 아울러 결속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결속성 장치(cohesive devices)와 텍스트 질 사이의 통계적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여러 논문에서 텍스트 질과 결속성 장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거나 아니면 부적관계로 드러났다. 이런 결과는 결속성을 통해 좋은 텍스트를 만들 수 없다는 뜻이 된다. 이 논문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응집성(coherence)이 높은 텍스트를 만들기를 권유한다. 응집성(coherence)은 독자들이 복잡한 인지 과정을 통해 텍스트에서 일관되게 찾아낸 총체적 의미의 상이라 규정할 수 있다. 많은 실험 결과들은 응집성 높은 텍스트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한국어교육에서도 응집성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응집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적 교육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미국 대학에서 ‘글쓰기에 관한 글쓰기’ 교육의 특성과 몇 가지 교훈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0
This paper deals with the “Writing About Writing(WAW)” which emerged as a new model of first year composition education in USA recently. Through this new model Korean first year composition(FYC) education can gain several lessons. WAW began in 2007 by Downs and Wardle in the USA . They published a paper, “Teaching about Writing, Righting Misconceptions (Re)Envisioning “First -Year Composition” as “Introduction to Writing Studies” and through this article, Downs and Wardle insisted that first year composition education is not effective and that teaching of writing theory is more effective. This is because current FYC focuses on growing critical thinking toward social issues, even though the FYC was initially created to help writings in specific majors. WAW is based on Russell’s Activity Theory. Basically, Activity theory disagrees writing with no particular content, i.e. General Writing Skills Instruction. Every writings has individual specialty based on the contents, and the circumstances. For this reason, general writing and academic or public discourse cannot be existed. Therefore, from Acitivity Theory’s perspective, it is only possible to write about specific major fields and contents. In this paper, detailed explanation about WAW’s curriculum is given. WAW provides writing scholars’ papers as reading references, and studentscarry out Assignments based upon them. Assignments have two notable characteristics. One is known as a Reflective Assignment which allows students to literally reflect on individual literacy experience, and the other is known as a Research Assignment, which lets students to have researches on literacy activities. Through this curriculum, students are able to transfer their writings to writing in major field. This paper suggests some lessons from WAW’s features as this paper goes through them. First,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and the connectedness between writings’ contents and contexts in FYC is needed. Second, Instructors tend to forget FYC’s initial goal, and replace the initial goal by their own individual goals. Lastly, we often assume that there might be a learning transfer in FYC. This paper expects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Korean’s FYC through WAW education. 이 논문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신입생 글쓰기 교육(First Year Composition, FYC)의 새로운 모델로 등장한 ‘글쓰기에 관한 글쓰기(Writing About Writing, WAW) 교육’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의 신입생 글쓰기 교육은 몇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미국의 WAW는 2007년에 미국 글쓰기 연구자 Downs and Wardle에 의해 시작되었다. Downs and Wardle은 “글쓰기에 관해 가르치기, 잘못된 개념을 바로잡기; 쓰기 연구 소개로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다시 보기”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 논문을 통해 그들은 현재의 신입생 글쓰기 교육이 효과가 없으며, 문식성 이론을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주장했다. 전공 영역 글쓰기를 도와주기 위해 만들어진 FYC가 오히려 사회 문제에 관한 비판적 의식을 키우는 데 더 집중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Russell의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해서 WAW를 만들었다. Russell의 활동 이론에서는 특정 영역과 결합되지 않은 일반적인 글쓰기 교육(General Writing Skills Instruction)을 부정한다. 모든 글쓰기는 구체적인 내용과 상황에 의해 개별적 특수성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 글쓰기(general writing), 학술적 혹은 공적 담화(academic or public discourse)가 존재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다. 활동 이론에 근거한 학자들은 전공이나 내용과 직접 결합된 글쓰기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는 WAW의 교육 과정을 자세히 설명했다. WAW에서는 읽기 자료로 글쓰기 학자들이 작성한 논문들을 읽고 주요 과제를 수행한다. 주요 과제는 두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자신들의 문식적 경험을 되돌아 보는 반성적 과제(Reflective Assignment)이며, 다른 하나는 다른 문식적 활동을 조사하고 보고하는 연구 과제(Research Assignment)이다. 학생들은 이런 학습을 통해 전공 영역의 글쓰기를 준비하게 된다. WAW의 여러 특성을 통해 우리는 몇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신입생 글쓰기 교육에서 글쓰기가 맥락이나 내용과 깊게 결합되어 있음을 좀 더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신입생 글쓰기 교육에서 기본 목표가 무엇인지, 또 이런 기본 목표를 임의적인 자기 목표로 대체하고 있지 않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우리는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수행하면서 학습 전이가 일어날 것이라고 너무 쉽게 단정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WAW의 이런 특성을 통해 한국의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다시 점검해 볼 기회를 가지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채만식 소설 연구 : 1930년대 후반 작가 의식과 형상화의 문제을 중심으로
정희모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연세어문학 Vol.26 No.-
채만식의 뛰어난 현실 인식과 비판 정신은 30년대 후반 우리 문학사에 있어 귀중한 유산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그러한 비판정신은 결코 관념적인 현실 인식으로써만 완성될 수는 없는 것이기에 그의 형상과 방법의 특이성을 따져보는 중요성도 있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우리 문학사에서『탁류』의 문학적 성과가 새삼 아쉽게 생각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Flower & Hayes의 과정중심이론에 관한 비판적 재검토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3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meaning of Linda Flower and John Hayes’s research paper, “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Flower and Hayes’s paper is the most famous in the field of process-based writing theory and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it with scrutiny, we need to review Patricia Bizzell’s “Cognition, Convention, and Certainty: What We Need to Know About Writing” as Bizzell offers an acute criticism on Flower and Hayes’s paper. Bizzell presents two key concerns to criticize Flower and Hayes’s processed-based writing theory: Certainty and Inherence. Certainty refers to the perspective that the complex writing process can be generalized. On the other side, inherence refers to the view that decisions made in the process of writing are understood only through humans’ cognitive thinking process. Bizzell considers both of these issues as problems inherent in the processed-based theory, but his opinion is only half right. Even though Flower and Hayes tried to find a general rule through thinking process, they did not regard it as an absolute canon. More importantly, process-based theorists overlooked the fact that ideas are often formed through language expressions.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creative power of language expression through Galbraith’s paper. 이 연구는 과정중심이론과 과정중심 교육방법을 가능하게 했던 1981년Linda Flower와 John Hayes의 논문 “글쓰기의 인지과정이론(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진단하고자 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Flower & Hayes의 논문을 비판한 1982년 Patricia Bizzell의논문 “인지, 관습, 그리고 확실성: 우리가 글쓰기에 대해 알아야 하는 것(Cognition, Convention, and Certainty: What We Need to Know About Writing)”을 가지고 그 내용을 검토하면서 과정중심이론의 공과를 검토해 보도록 한다. Bizzell은 과정중심이론을 비판하면서 두 가지 핵심 화제를 든다. 하나는 확실성(certainty)의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내재성(inherence)의 문제이다. 확실성은 복잡한 작문 과정을 보편화, 일반화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이며, 내재성은 작문 과정의 의사결정을 오직 인간의 내부 심리로만 파악하고자 하는 관점이다. Bizzell은 이 두 가지 문제를 가지고 과정중심이론을 비판하지만 모두가 옳은 판단은 아니었다. Flower와 Hayes는 사고 과정(thinking process)을 통해 일반화된 법칙을 찾고자 했지만 이를 절대적인 규칙으로 보지는 않았다. 이 논문에서 지적하는 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과정중심이론이언어 표현을 통해 아이디어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Galbraith를 통해 언어 표현이 갖는 생성적인 힘을 설명한다.
디지털 시대 주체 회복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writing under the global competition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Under both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college’s liberal education aims to improve humans to holistic existence.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college writing education’s relevancy to inner maturity or holistic human cultivation, which the liberal education accentuates. This is because the act of writing makes it possible for us to grow into social subject through self-reflection and inner maturity. With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also emphasizes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belong to communication education, because writing education deals with the problem of self-expression using language that is structured with various characters. In this reg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situated at a significant position in liberal education, because it deals with humanistic building on one hand, and languag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language education, college witing seek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istic thinking through express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also suggests few tasks that college writing should respond with as it encounters the advent of hypertext era through digital media. Fir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reestablish the problem of writing subjects in response to the digital age’s dispersing and breaking up disintegrate subjects. Secondly, a program that allows humanistic self-examination in response to softness of knowledge and weight lightening of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eds to be developed. La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develop various digital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response to hypertext’s rising and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이 논문에서는 글로벌 경쟁과 대학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대응 방안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이런 논의를 위해 이 논문은 교양교육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위치, 즉 인문학 교양과목이면서도 의사소통교육(혹은 언어 교육)에 속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격을 탐색한다. 대학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일반교육의 정신 아래 인간을 전인적 존재, 총체적 인간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교양교육에서 강조하는 전인적 인간 양성 및 내면적 성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글을 쓰는 행위는 우리로 하여금 자기반성과 내면적 성장을 통해 사회적 주체로 성장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과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글을 쓰는 능력을 함양하는 의사소통교육(언어교육)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글쓰기 교육은 기호로 된 언어를 조작하고 조직하여 사용하며 궁극적으로 자기표현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한 편으로 인문적 교양을, 다른 한 편으로 언어 표현을 다루기 때문에 교양교육 속에서도 특별한 성격을 가지게 된다. 글쓰기는 개인이 자기 삶의 지평에서 세계에 관한 자기 생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며, 나아가 인류가 보존한 높은 문화적 산물과 정신적 가치를 만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읽고 쓰는 것은 하나의 개인을 교양적 인간, 세계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인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또 이와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언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성격을 함께 담지하고 있다. 좋은 생각은 좋은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좋은 표현이 좋은 생각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는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하기 위해 쓰기 능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여러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언어능력이 좋은 필자들이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하이퍼텍스트 시대의 도래에 직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이 대응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디지털 시대의 분산되고 해체되는 주체에 대응하여 쓰기 주체의 문제를 다시 정립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시대에서 지식의 연성화, 지식의 경량화에 대응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은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하이퍼텍스트의 도전과 융·복합적 교육과정 개발에 대응하여 다양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정희모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Oh Sang-Won entered the literary world when he won first prize with his short story, “Yuye,” in the Hankookilbo’s writing contest. Dubbed by critics as the writer for a new genera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he stood in the spotlight after winning another prize for his work “Moban” in the Dongin Literary Contest. Oh’s stories, such as “Yuye,” “GuYeol” and “Moban,” are considered works of existentialism. These short stories and novels search for the true meaning of human existence characterized by death and limitation. Some critics haves attacked Oh, saying his works merely copy other existentialist literature without reflecting their depth. Because Oh’s work borrows from Western existentialism, it is lacking in a ment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therefore Oh’s novels are more related to the intellectual novels produced after the Korean War rather than existentialism. A few of Oh’s works deal with the problem of survival after the Korean War and are filled with realistic description, setting them apart from existentialist novels, which are characterized by dense idealism. Although based in realism, these novels are criticized for being too pessimistic and nihilistic. “Off Limits Yellows Area,” written in 1960, is Oh’s most distinguished work, and is regarded by researchers as his representative work. By not using a dramatic existentialist style, he prevents his novel from being idealistic and abstract. In addition, he skillfully switches tense from past recollections into the descriptive present. “Off Limits Yellows Area”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ost-Korean-War literary achievement with tendencies towards both existential universalism and nihilism. 오상원은 1955년 『한국일보』신춘문예에 단편 「유예」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등장했다. 이후 「모반」이 동인문학상을 획득하면서 많은 평론가들로부터 전후문단의 새로운 신예로서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이후 오상원의 문학은 많은 평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된다. 이는 그의 작품이 서구 실존주의 문학을 모방하면서 그만큼 깊이 있는 다른 작품들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상원의 문학은 두 가지 방향에서 평가를 받는다. 하나는 오상원 문학의 주류를 1950년대 실존주의 계통의 문학으로 평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상원 문학의 주류를 황폐한 전후 현실을 비판한 리얼리즘 계통의 작품들로 평가하는 것이다. 오상원은 두 계열의 작품을 모두 발표했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평가하든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의 작품으로는 「유예」, 「구열」, 「모반」과 같은 작품이 있으며, 이들 작품은 앙드레 말로의 작품처럼 대체로 죽음을 앞둔 한계 상황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 소설들은 죽음과 한계상황을 설정하여 인간 존재의 참다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의 소설은 서구 실존주의 문학을 차용한 것으로 실존주의 본래의 철학적 배경이나 정신적 배경은 찾기 어렵다. 오히려 전후의 불안과 절망을 서구의 세기말적 위기 사상으로 등치한 것에 가깝다. 따라서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 소설들은 실존주의 문학의 측면보다 전후 지성적 소설 측면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현실의 문제를 다룬 오상원의 소설은 초기작 「난영」 이후 계속되어 왔다. 이런 계열의 소설들은 전후의 궁핍한 삶과 생존의 문제를 사실적 수법에서 다룬 것으로 현실적 구체성이 살아 있어 관념성이 짙은 실존주의 계열의 작품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오상원 소설에서 현실주의 계열의 소설을 높이 평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 계열의 소설들에는 비관주의나 허무주의가 지나치게 두드러지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동안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 여겨지던 「부동기」도 실상 전후현실의 가족 몰락사를 비관주의적 색채로 그려낸 것이다. 전후 현실을 묘사한 이런 소설들을 오상원의 장점과 특징이 살아나는 소설로 볼 수는 없다. 오상원의 소설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은 그가 1960년에 발표한 『황선지대』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 작품을 오상원 소설의 ‘대표작’으로 꼽았는데, 그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황선지대』는 오상원의 실존주의 계열이 지니고 있는 극적 양식을 버림으로써 소설이 추상화, 관념화되는 것을 막았다. 또 서사적 흐름이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에서 현재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서사적 전개가 제자리를 찾도록 되어 있다. 『황선지대』는 오상원 소설에서 실존주의 계열의 장점을 살리면서 ‘인간 존재의 의미’나 ‘삶의 무의미’와 같은 추상성을 버림으로써 오상원 소설이 본격적인 서사 장르의 길을 가도록 만들고 있다. 결국 『황선지대』는 오상원 소설의 두 경향인 ‘존재론적 보편주의’와 ‘전후 상황에 대한 허무주의’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작품으로 오상원 소설 전체를 종합하는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1960년 이후 오상원은 드문드문 창작활동을 하지만 이전만큼 활발한 활동은 하지 못한다. 그것은 그의 소설이 4.19와 같은 시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했기 때...
비판적 담화 분석의 문제점과 국어교육에의 적용- 페어클러프와 푸코의 방법 비교를 중심으로 -
정희모 한국작문학회 2017 작문연구 Vol.0 No.35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that is interes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b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are a lot of problem is applying the CDA to the second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CDA theorist Fairclough argues that language is not a neutral media, but a ideological, and political powerful media. Fairclough has created a three-step analysis method for analyzing the ideology of text. there are discription, and interpretation, explanation. discription analyzes a text in a language, interpretation deals with text as social relationship, explanation figures out the social structure through text. Fairclough tried to analyze social power in a text. His method is not correct because he wanted to look at the social structure through a single tex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rocess of discourse in a long period of time for seeing the social structure through discourse. Foucault's theory differs from that of the Fairclough In analyzing the discourse, Foucault used historic methods to analyze the discourse. Finally, this paper points out that CDA is so political and ideological that it is not suitable for secondar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ritical literacy and critical reading rather than CDA. 최근 국어교육 분야에서도 비판적 담화분석의 방법을 도입하고자 하는 논문들이 많이 나타났다. 이 논문은 먼저 여러 학술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비판적 담화분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비판적 담화분석의 방법을 중등 국어교육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다는 점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비판적 담화분석은 언어를 중립적인 매체로 보지 않고 이념적이며 권력적인 매체로 본다. 비판적 담화분석의 대표적인 이론가 페어클러프는 언어(담화)가 권력을 생산하고 유지하며 감추는 데 매우 긴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담화를 통해 권력이 행사되는 방법을 분석하고자 했다. 페어클러프는 CDA의 방법으로, 텍스트를 형식적으로 분석하는 ‘기술’, 텍스트와 사회관계를 검토하는 ‘해석’, 텍스트를 통해 사회구조를 분석해 내는 ‘설명’을 제시했다. 담화에서 권력과 이념을 분석하는 방법은 오랜 시간, 여러 담화의 변이 양상을 보고 연구해야 한다. 푸코는 이를 고고학(archeology)과 계보학(genealogy)이라고 불렀다. 담화의 역사적 연구를 통해 담론들이 지닌 이념을 이해하고 이를 개별적인 담화 분석에 적용한 것이다. 푸코의 방법과 상반되게 CDA에서는 일회적인 현대 담론을 통해 권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기 때문에 일상에서 자연화되어 있는 담화 관례를 통해 잠재된 권력 의미를 찾으려 하였다. 그러나 내용이 새롭지 않고 지나치게 정치적이어서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CDA가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분석 방법이란 점을 강조한다. 그래서 교육적 중립성을 강하게 표방하고 있는 우리 교육법과 교육과정에 적용되기가 힘들다고 판단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판적 읽기나 비판적 문식성의 입장에서 사회·문화적 관점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것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