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문자 텍스트 작성 능력과 블로그 작성 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주민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writing ability for print text and blogging ability and relationship of two abilities. It was thought that it can be proposed critical mind to the present college writing education, if it can be revealed correlation and relationship of two abilities. It was developed assessment criteria as one part of groundwork for exploration of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nd multimodal composition. It performed an experiment for comparison with writing ability and multimodal composition ability of 34 Y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y completed a course in Blogging methods, after they wrote with the topic of "Nation and Individual" in 1800-2000 words. They made their blog out with same topic in 4 weeks. Three assessor took analytical assessment with criteria about students' print text and blog. It is correlation coefficient(.749) which students' writing ability for print text and blogging ability. It can be judged that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bility for print text and blogging ability is high, because it's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 level. It is presented that high level of correlation about two abilities. It i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561) of regression analysis. It have power of explanation that the result of assessment writing ability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blogging ability is very high.(56.1%) This figure is generally high level from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correlated highly between assessment about writing ability and blogging ability. Then it was analyzed correlation about the particular elements of print text and blog. When it measured coefficient correlation with particular elements of assessment criteria, the degree of content connection(.682) was highest, while the degree of topic realization(.551) and the quality of contents(.545) presented lower than the degree of content connect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about the degree of content comprehension. It can be judged sufficient correlation between same domain of two criteria statistically through that it was over .50 of all domai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conclusion, it can be judged that it have sufficient correlation between two abilities and it requires that detailed cognitive relationship about two abilities would be revealed by more detailed researches. 본 연구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자텍스트 작성능력과 블로그 작성능력의 상관관계와 두 개의 능력 사이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두 개의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밝히면 지금까지 각각 따로 혹은 문자 중심 글쓰기만 교육하는 현재의 대학 글쓰기 교육에 새로운 문제의식을 제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 쓰기와 복합양식 쓰기 사이의 상관성 탐색을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먼저 평가준거를 개발했다. 그리고 서울 소재 A대학의 학생 34명을 문자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 작성 능력에 대한 비교 실험을 실시했다. 학생들은 <국가와 개인>이라는 화제를 가지고 1800자~2000자 분량의 글을 작성했다. 이후 블로그 작성 교육을 실시한 후 4주에 걸쳐 같은 주제를 가지고 블로그를 작성하도록 했다. 학생들이 작성한 텍스트와 블로그에 대해 평가자 3인이 앞서 개발한 평가준거에 의해 분석적 평가를 실시했다. 실험의 결과로 나타난 문자 텍스트 작성 능력과 블로그 작성 능력의 pearson 상관계수는 .749였다. 이러한 상관계수는 높은 상관 수준에 해당하므로, 일단 실험의 결과에 의해 문자 텍스트 작성 능력과 블로그 작성 능력의 상관성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의 결과도 상관성이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결정계수 R2는 .561이었다. 이는 문자 텍스트 작성 능력의 평가 결과가 블로그 작성 능력의 평가 결과에 대해 56.1% 설명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수치는 회귀분석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높은 정도의 값이므로 문자 텍스트 작성 능력의 평가와 블로그 작성 능력 평가 사이에는 높은 관련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자텍스트와 블로그의 세부 요소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해 보았다. 평가준거에 나타난 세부 항목을 가지고 상관계수를 측정해 보았을 때 <내용 연결도>영역이 가장 높은 .682를 보인 반면, <주제 구현도>영역은 .551 그리고 <내용의 질>영역은 .545로 이보다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반면에 <내용 이해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세 영역 모두 .50이 넘는 상관계수 수치를 보인 것은 두 준거의 동일영역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충분한 상관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문자텍스트 작성능력과 블로그 작성능력 사이에 충분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인지적 영향관계는 차후 세밀한 연구를 통해 밝힐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에 대한 인식과 쓰기 능력 연구

        류보라(Ryu Bo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개념과 필자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쓰기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31명의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3월과 6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예비 국어교사들은 쓰기의 개념을 필자의 사고 과정을 문자 언어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쓰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타인이 생각하는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높은 수준의 쓰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쓰기 능력은 그리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작문 지도 전문성 요건으로 지식, 능력 태도에서 중요한 정도를 4.4점, 4.4점, 4.3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 정도는 3.2점, 3.3점, 3.2점이라고 인식하였다. 논설문 쓰기 수준에 있어서는 국어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준을 4.4점, 자신의 쓰기 수준은 3.1점이라고 인식했으며 실제 논설문 쓰기 수준은 평가 기준별로 2.75~3.12점으로 나타났다.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 논설문 쓰기 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고, 실제 논설문 쓰기의 수준이 높지 않음에도 이 둘의 상관이 높지 않았다. 예비 국어교사들의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지 않고 객관적인 쓰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고 있지 않아 쓰기 능력과 쓰기 인식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 purpose is to investigate pre-Korean teacher s writing concept and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writing ability. To search for this study s theme, I conducted a survey of 31 pre-Korean teachers in March and June 2017. The survey results showed pre-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writing concept is to express writer s thinking process as literal language and they thought that about the importance of writing, it is very important and also writing s necessity is very important. They perceived that they are below medium level in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also below medium level in others perception as a writer about them. Korean teacher and pre-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high-level writing ability is necessary but their writing ability level is not high. In requir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o teach writing, they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bility and attitude is 4.4 point, 4.4 point, 4.3 point and their ability level is 3.2 point, 3.3 point, 3.2 point. In essay writing level, they perceived that the required level to Korean teachers is 4.4 point and their level is 3.1 point and their actual essay writing level is 2.75-3.12 point.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perception of essay writing level are low, actual essay writing level is not high and the co-relation between two is not high. In writing ability and writing perception, an improvement is necessary as pre-Korean teacher s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perception of writing ability are not based on objective writing evaluation result.

      • KCI등재

        중학생의 쓰기성취목표지향성, 쓰기효능감 및 쓰기능력 관계 분석

        이소영(So Young Lee),신태섭(Tae Seob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과 쓰기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쓰기성취목표지향성, 쓰기효능감, 쓰기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쓰기능력에 미치는 쓰기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효능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쓰기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능력의 관계를 쓰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쓰기능력과 쓰기효능감, 쓰기성취목표지향성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효능감과 쓰기성취목표지향성은 각각 쓰기능력의 변량을 21%, 1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쓰기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구인 중 숙달접근, 수행접근 목표가 쓰기능력을 예측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효능감은 쓰기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능력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쓰기효능감과 쓰기성취목표지향성이 쓰기능력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중학생의 쓰기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쓰기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동기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aspects of writing. Being brought in writing self-efficacy which affects writing ability,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riting self-efficacy in relation of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o writing ability. Thus, i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Also,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in order to the effects of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elf-efficacy to writing abili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also carried out to see if writing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o writing ability. The result show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bility,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riting self-efficacy has 21% effect on writing ability. Likewise,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fluences 17% on writing ability. Particularly,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were meaningful. It is also reported that writing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 of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o writing ability. Thes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s affective variables. In conclusion,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writ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reating optimal environment for writing learning.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논의활동 전,후의 글쓰기에 나타난 과학글쓰기 능력의 정량적 변화 분석

        공영태 ( Young Tae Kong ),강묘정 ( Myo Jeong K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활동 전·후에 작성한 초등학생들의 과학글쓰기에서 나타나는 과학글쓰기 능력의 변화 모습과 논의활동이 과학글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데 두었다. 이를 위하여 과학적 상황과 사회과학적 상황으로 구성된 9가지 논의 및 과학글쓰기 주제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논의활동 전·후에 작성한 과학글쓰기의 서술 내용을 과학글쓰기 4가지 목표영역 분석틀에 따라 비교하여 과학글쓰기 능력의 변화를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의활동 후 과학글쓰기는 논의 전 과학글쓰기에 비하여 과학글쓰기 능력인 4가지 목표영역(과학성, 논리성, 창의성, 표현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적 상황 및 사회과학적 상황의 주제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특히 논의 및 글쓰기 주제가 친숙할 경우 과학글쓰기 목표영역의 변화가 많았다. 셋째,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는 다르지만 모든 참여 학생들의 과학글쓰기 능력의 향상되었다. 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과학글쓰기 능력의 향상이 높았지만 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cience writing ability between pre and post-science writing which was written before and after argumentation activity and to show how argumentation influences the science writing ability. To fulfill this aim, eight 5th grade students were chosen from an elementary school. They were involved in the nine science writing themes which was compose of scientific contexts and social scientific contexts. Students` science works in argumentation and writing activity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ased on four domains of framework for science writing ability: scientific thinking, logic, creativity and expression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ffirmative change of four domains of science writing ability on post-science writing written after argumentation was observed. Also, an affirmative change was observed in all of the scientific and social scientific themes. A lot of changes of the scientific writing ability were observed especially when the themes were familar to student. The degree of change depended on the level of the student, but overall it influenced all participating students with a positive improvement for their scientific writing ability. Students with high grade of academic achievement showed high improvement in science writing ability, but students who had low grade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showed a positive improvement in science writing ability.

      • KCI등재

        2018년 국가수준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장지혜 ( Jang Jihye ),서보영 ( Seo Boyoung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인구 분포 통계를 활용한 2단계 층화 표본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였다. 영역별 평균 원 점수는 쓰기 영역이 121.61(250점 만점)을 보였다. 조사 대상 국민의 평균적인 쓰기 능력은 2수준에 해당하며, 특히 2수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9.6%여서 전반적인 쓰기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는 2013년과 2018년의 조사도구 간 동등화를 바탕으로 연도별 국어능력의 결과를 상호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동백분위 동등화(equipercentile equating)의 방식을 통해 2013년과 2018년 국어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18년도의 쓰기 영역 평균 점수는 2013년도 쓰기 영역 평균 점수 120.2와 비교하였을 때 약 1점 정도 상승하였다. 전체적인 평균은 2013년과 유사한 수준이나 3, 4수준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반면 1수준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 국민의 국어능력 중 쓰기 능력은 상하위 수준 집단 간 편차가 다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 지역, 직업군별로는 육체노동, 학력군별로는 고졸 미만에 우선적으로 정책적·교육적 대처가 요구되나, 그밖의 모든 집단에서도 2수준 이하의 비율이 60% 이상이므로 특정 집단이 아닌 대국민 쓰기 교육과 구체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쓰기 학습 기회 및 쓰기 능력 수준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둘째, 쓰기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통해 생애에 걸쳐 쓰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려. 셋째, 실제성이 확보된 조사 도구 및 최선의 수행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사 방법의 마련. 넷째, 피험자 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토대 확보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2018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ults, focusing on writing 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writing score was 121.61 in 2018, about one point higher than in 2013. This performance is generally very poor. In the 2018 survey, the cut-off score of the 2013 study was applied, but the score of the division was newly formulated through the equalization of the survey tools, and each grade was classified into levels 4, 3, 2, and 1. In addition, except for the variables newly introduced in 2018,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variables set in 2013, namely sex, age, regional scale, education, and occupation. In 2018, the ratio of level 1 increased(+9.4%p), so the order of ratio of levels 2, 1, 3, and 4, compared to the ratio of levels 2, 3, 1, and 4 in writing in 2013. The overall average was similar to that of 2013 but the ratios of levels 3, 4 increased slightly, and 1 increased greatly,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light variation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Korean adults. Whe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variable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writing skills,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30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In terms of region size,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 urban area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rural areas. The ranking by occupation showed that the scores of mental worker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manual workers. Then, the ranking by education showed that university graduates ha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men and those of women.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o improve writing ability among the general public,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riting should be en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and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writing skills throughout their lifetime. Third,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subject variables should be closely analyzed to inform policy-making.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1

        This study is subject to: if any foreign university student has to be difficult for a social writing course, it is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culture learning for using a language included the formal model rather than the ability forming contents from functions expressing a language. From various writing types, a foreign university student with the Korean language ability than the intermediate level pursues to writings of social and academic purposes. Just, a language to them is an instrumental factor for communication. Therefore, learners as a writing subject have to communicate its position and opinion for own insistence with readers, conduct the work re-constructing from a general document to a formal one to present own story, and recognize the writing culture which readers and listeners are centered on a writing. The writing education model for the communicative writing is aimed to provide a familiar ability to write a language for readers and listeners using Korea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education model which is connected from the copy to the expansion. And its model is introduced to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then its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is aimed to check and discuss whether learners are improved a social writing ability or not. The writing education model introduced in the educational field is based on the copy of the traditional method for a language education. The model writing targeted for the copy is extracted from typical discourse makers of the social writing as expression factors. The education course is reflected the discussion course between learners related to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of the language culture of learners. It is mostly designed to the free-writing course which autonomously utilizes the formal aspect like expression factors for successful conduction of academic and social writings. By this course, we is induced a learner who i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writing included the formal speaking. And we allow that they internalize formal and cultural factors by themselves, and try to check whether learners are improved the writing ability re-structuring to the creative form or not. 본고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술적 글쓰기의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원인이 언어표현 기능 중 내용구성능력에 있지 않고, 형식적 모형을 포함하는 언어사용의 총체적 문화 습득 여부에 있음을 전제로 한다. 중급 이상의 한국어 능력을 소지한 외국인 대학생에게 목표가 되는 글쓰기는 사회적 목적, 학문적 목적의 글쓰기이며 사용언어는 소통을 위한 도구적 요소이다. 그러므로 쓰기 주체로서 학습자는 자신이 주장하고자 하는 입장과 의견을 독자와 소통하고, 학업의 과정으로 자신의 글을 대중 앞에서 발표하기 위해 공적 말하기 대본인 발표문으로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독자와 청자를 글의 중심에 놓는 쓰기 문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소통적 글쓰기를 위한 글쓰기 교육 모형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독자와 청자들에게 익숙한 쓰기 언어 사용 능력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데 목표를 둔다. 이에 본고에서는 모방에서 확장으로 이어지는 글쓰기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쓰기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이루어진 글쓰기 결과물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공적 글쓰기 능력이 제고되는 과정을 확인하는데 논의의 목적을 두었다. 교육 현장에 도입된 쓰기 교육 모형은 언어학습의 전통적 방식인 모방에 기반을 두었으며, 모방의 대상이 되는 모범 문형은 학술적 글장르의 대표적 구조 및 수사적 표현을 추출하여 제공하였다.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언어문화의 수용과 내재화에 관련된 학습자간 토론의 과정을 반영하였고, 학술적 글쓰기, 발표문 쓰기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표현 기능 등의 형식적 측면을 주체적으로 활용하는 자유쓰기 과정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학습자가 발표문 쓰기를 포함하는 학술적 글쓰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글쓰기 도구로서의 언어에 대한 형식적, 문화적 요소를 주체적으로 내재화하며 창의적으로 재구조화하는 글쓰기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 변화과정 추적을 위한 단기 종단 연구

        김은정 ( Kim Eun-jeong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ystematic and effective writing education method through tracking the changing process of writ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university students' writing ability developed according to the wri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riting ability evaluation results, the better the writer was, the more negative the subject evaluation was.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of the inexperienced writer was negative in the composition evaluation, and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in the actual teacher evaluation. In expression evaluation, a good writer wrote fewer inscriptions considering the response of subject and predicate. In addition, the supporting sentences for the soju statement were properly prepared to complete the article. In the evaluation of creativity, the better the writer, the more negative the reaction was. By tracking these changes in writing skills, we can suggest that the teaching methods in the writing process can utilize the following writing strategies. First, in the pre-writing stage, the learner should organize the composition of the writing, ask questions by himself, and specify the outline of the writing. Second, draft writing should organize and elaborate writing activities, evaluate learners themselves, and embody what they write through questions, checks, and reading. Third, the revision requires a writing strategy to re-edify and reorganize draft articles, and to review, restructure, and revise the entire article through advisors, reevaluation, and material statements.

      • KCI등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학술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지혜,김수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3

        This study was aimed at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text reading ability and the writing ability of Vietnamese KSL student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both abilities, and to draw 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such a research.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2 Vietnamese KS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order to measure their reading abilities, this study used a total of 20 questions consisting of sentence arrangement, theme identification, detail content identification, and inference type question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 by using writing type questions that are typically used during a TOPIK exam.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ir data were as follows. First, similar to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the Vietnamese participants‘ reading ability of Korea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writing ability. Second, the Vietnamese learners various use of vocabulary, grammar and expressions among the Korean writing ability showed a much better reading ability in Korean. Third, it also identified that the learners showed more ability to arrange necessary sentences that produced more logical and persuasive writing. Fourth, participants were more easily able to understand the reading and/or writing text if they already had some knowledge of the subject. Fifth, it showed that only writing experience in Korea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overall writing 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an be further developed by linking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s. In particular,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needs to practically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ten text and help learners to utilize them.

      • KCI등재

        쓰기에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과 쓰기능력 간의 관계분석

        이소영,신태섭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affecting writ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 research model in which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writing ability was empirically tested. The gender differences we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Moderating effects were tested with a Bootstrap method. A survey that measur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writing ability was administered to 563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stery approach has a direct effect on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y and writing ability. Mastery avoid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writing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writing self-efficacy. Performance avoidance influences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y directly.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corporating motivational components in writ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쓰기와 관련된 자기효능감과 상위인지전략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에 포함된 숙달접근목표는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숙달회피목표는 부적, 수행접근목표는 정적으로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회피목표는 상위인지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상위인지전략과 쓰기능력에, 상위인지전략은 쓰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나타난 경로계수는 남학생집단은 쓰기의 수행접근목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여학생집단은 쓰기의 숙달접근목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적용한 학습에서의 쓰기 및 쓰기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인식 분석을 통한 교과 운영 개선 방안 : J대학의 학생 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조보람(Bo-Ram Cho),박종호(Jong-Ho Ba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찾고자 J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학습 내용, 글쓰기 자기 능력평가, 글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 글쓰기 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글쓰기 교육의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론 수업보다는 실제 글을 써보고 피드백을 받는 실제적인 글쓰기 수업을 원하였다. 또한 글의 내용을 구성하고 전개해가는 부분에 대한 능력을 키우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교육이 대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역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론 강의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글을 써볼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부여해야 하며, 전공 맞춤형 실무글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수업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글쓰기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하며, 대학 졸업 인증 요건 등의 방법을 통해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서도 글쓰기 능력이 실무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는 글쓰기와 관련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writing learning, self-evaluation of writing ability, recognition of writ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writing education direction to J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ways to improve writing education. Through this, the improvement plan of writing education was discussed.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college students perceived writing ability as important, and they wanted practical writing classes that received feedback and wrote actual writing rather than theoretical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construct and develop the contents of the article. In order to make writing education a practical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theoretical lectures are important, but it is necessary to give enough time and opportunity to write in practice, and to develop customized practical writing.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writing clas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 make writing ability lead to practical competence even after graduation through the method of university graduati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ek the direc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