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 신재효 서사의 양상과 스토리텔링의 방향

        서보영(Seo B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로서 신재효 서사에 주목하여 2000년 이후 자료 21개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피고 이를바탕으로 신재효 스토리텔링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판소리사에서 신재효의 역할과 위상은 그간의 연구를 통해 많은 부분 조명되었지만 대중적으로 그를 알리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이에 지향과 향유층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교육콘텐츠, 문학콘텐츠, 미디어콘텐츠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신재효 서사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양상을 조망하였다. 신재효 서사는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 위인전, 팩션을 중심으로 한 장편소설, 드라마나 영화 등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어린이책에서 가장 활발하게 유통되었고 현대소설에서는 조선 최초의 여류 명창의 스승이자 이루지 못한사랑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미디어콘텐츠에서 신재효 서사는 매우 소략하다. 신재효의 판소리에서의 역할과 기여에 주목하는 것, 역사 인물로서 신재효의 의미를 찾는 것, 진채선을 비롯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육콘텐츠에서 신재효 스토리텔링의 방향은 신재효를 적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상징적인 명명이 아니라 인물이 가진 현재적 가치를 탐색하려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미래세대에게 신재효를 의미화 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학콘텐츠에서 신재효 스토리텔링의 방향은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문학콘텐츠는 다양한 매체로 구현될 가능성을 가진 원천 소스라는 점에서 관심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콘텐츠에서 신재효 서사의방향은 기존 콘텐츠와 연계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판소리 콘텐츠와 지역 문화 콘텐츠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미디어콘텐츠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신재효 서사에서 중요시 될 필요가 있다. 신재효는 고창을 대표하는 인물인 동시에 판소리사의 거인이다. 신재효라는 산은 높고 험하지만 충분히 정복할가치가 있는 산이라는 점이 여러 논자를 통해 증명되었고 이제 그를 대중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s of Shin Jae-hyo’s narrative as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data after 2000.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Shin Jae-hyo storytelling was proposed. Shin Jaehyo’s status has been studied in many parts. Nevertheless, he is still a stranger to many. Accordingly, the aspect of Shin Jae-hyo’s narrative as cultural content was viewed by dividing it into three areas: educational content, literary content, and media content. Shin Jae-hyo’s narrative existed in the form of children s books, novels, dramas, and movies. There are many children s books about Shin Jae-hyo. In modern novels, she appears as the teacher of Joseon’s first female singer and the protagonist of a tragic love story. There are few narratives of Shin Jae-hyo in media content. In terms of content, it is common to approach Shin Jae-hyo’s role in pansori,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hin Jae-hyo, and his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eople such as Jin Chae-seon.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storytelling in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to explore the present value of a character.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is for growing children.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storytelling in literary content should be fun and enjoyable. Literary conten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adapted in a variety of media.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narrative in media content is to link and interact with existing content. The direction of Shin Jaehyo’s narrative in media content is to link and interact with existing content. The combination of pansori and local culture is an example.

      • KCI등재
      • KCI등재

        2018년 국가수준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장지혜 ( Jang Jihye ),서보영 ( Seo Boyoung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인구 분포 통계를 활용한 2단계 층화 표본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였다. 영역별 평균 원 점수는 쓰기 영역이 121.61(250점 만점)을 보였다. 조사 대상 국민의 평균적인 쓰기 능력은 2수준에 해당하며, 특히 2수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9.6%여서 전반적인 쓰기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는 2013년과 2018년의 조사도구 간 동등화를 바탕으로 연도별 국어능력의 결과를 상호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동백분위 동등화(equipercentile equating)의 방식을 통해 2013년과 2018년 국어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18년도의 쓰기 영역 평균 점수는 2013년도 쓰기 영역 평균 점수 120.2와 비교하였을 때 약 1점 정도 상승하였다. 전체적인 평균은 2013년과 유사한 수준이나 3, 4수준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반면 1수준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 국민의 국어능력 중 쓰기 능력은 상하위 수준 집단 간 편차가 다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 지역, 직업군별로는 육체노동, 학력군별로는 고졸 미만에 우선적으로 정책적·교육적 대처가 요구되나, 그밖의 모든 집단에서도 2수준 이하의 비율이 60% 이상이므로 특정 집단이 아닌 대국민 쓰기 교육과 구체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쓰기 학습 기회 및 쓰기 능력 수준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둘째, 쓰기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통해 생애에 걸쳐 쓰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려. 셋째, 실제성이 확보된 조사 도구 및 최선의 수행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사 방법의 마련. 넷째, 피험자 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토대 확보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2018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ults, focusing on writing 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writing score was 121.61 in 2018, about one point higher than in 2013. This performance is generally very poor. In the 2018 survey, the cut-off score of the 2013 study was applied, but the score of the division was newly formulated through the equalization of the survey tools, and each grade was classified into levels 4, 3, 2, and 1. In addition, except for the variables newly introduced in 2018,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variables set in 2013, namely sex, age, regional scale, education, and occupation. In 2018, the ratio of level 1 increased(+9.4%p), so the order of ratio of levels 2, 1, 3, and 4, compared to the ratio of levels 2, 3, 1, and 4 in writing in 2013. The overall average was similar to that of 2013 but the ratios of levels 3, 4 increased slightly, and 1 increased greatly,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light variation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Korean adults. Whe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variable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writing skills,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30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In terms of region size,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 urban area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rural areas. The ranking by occupation showed that the scores of mental worker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manual workers. Then, the ranking by education showed that university graduates ha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men and those of women.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o improve writing ability among the general public,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riting should be en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and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writing skills throughout their lifetime. Third,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subject variables should be closely analyzed to inform policy-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