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공공서비스론의 관점에서 경찰서비스의 개혁방안

        이병종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4

        전통적 행정은 능률성과 합리성을 목표로 하면서, 공무원이 행정서비스를 직접 전달하고 정치인에 대해 책임을 지는 계층제 구조와 관료제가 중심인 정치행정이원론의 구조였다. 그러나 뒤이어 등장한 신공공관리론은 생산성을 중요시하고, 시민을 고객화함으로 고객만족이 중요시되고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지향하였다. 최근 등장한 신공공서비스론은 민주적 가치, 시민권 그리고 봉사에 가치를두면서 시민을 고객이 아닌 주인으로서 진정한 봉사를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있다. 경찰서비스의 흐름도 행정서비스와 마찬가지이다. 경찰은 정치적 모델과 법률적 모델을 거쳐서 오늘날 지역사회경찰활동이 목표가 되고 있다. 지역사회경찰활동은 시민의 참여를 통한 범죄예방, 재량권의 확대와 분권화를 목표로 하고있고, 민주경찰은 민주주의의 정신과 인권, 시민권 존중 그리고 민주적인 경찰활동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이들 삼자의 이상과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연구는 신공공서비스의 이론과 경찰서비스의 발전을 조명해 봄으로써 경찰서비스에서 민주경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수립함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른 경찰서비스의 개혁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의 시민에 대한서비스의 개선이 요구된다. 국민을 존경과 예의로 대하고, 권위적 행태를 불식하고, 과학적 기법의 활용이 요망된다. 경찰활동에서는 준법은 물론이고 시민의 정서와 관습을 배려하고, 경찰의 의사결정에 시민이 참여토록하며, 민원분야에서는민간인 활용의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시민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절제된 무력의 사용이 요망된다. 둘째, 경찰조직 관리의 혁신이 필요하다. 경찰조직과 업무를 재설계하여, 경찰기관을 학습조직화하고, 성공적인 조직변화의 달성을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아울러 현장순회업무를 강화함으로써 경찰업무 방식의 개선이 요구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적 의지와 지지이다. 시민의 인권보호는 경찰관에 대한 교육훈련으로만 달성될 수는 없고 최고관리자의 실천이 요구된다. 셋째, 경찰인사관리의 개선이 필요하다. 좋은 경찰관의 채용을 위해서는‘솎아뽑기’, 배경조사 및 인성검사의 강화와 채용시험의 개선이 요구된다. 면접은 민관협동체제로 운영하고, 적극적 모집전략이 필요하다. 교육 ․ 훈련에서는 인본주의에 대한 가치와 서비스 철학의 함양, 전문교관과 피교육자가 상호 참여하는 성인교육, 교양교육의 강화, 평생교육을 위한 연계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수요자중심이 되는 역량기반교육훈련이 되어야 한다. 승진의 경우‘특정업무센터’의 도입, 근무성적평정 시 지역주민의 참여와 주민만족도의 반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찰관과 경찰기관에 대하여 책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고결한 명분은 법을 왜곡하는 것임으로 척결되어야 하며, 경찰관의 일탈행위에 대한 시민고발사건에 대해서는 시민이 참가하는 시민조사제가 조기에 도입되어야 한다. The Old Public Administration had primarily focused and sought the greatest possible efficiency in its operation and targeted efficiency as well as rationality. The public employees delivered their services by themselves and were responsible to the politicians concerned under the bureaucratic hierarchy and there was the distinction between politics(or policy) and administration. Following the Old Public Administration, the New Public Management pursued productivity as a first priority and regarded the citizens as the customers to use private sector and business approaches in the public sector. In this regard,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is a key issue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to run government like a business and small in its scope and size. In a recent days, the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has presented itself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way of conducting the public's business and focused on democratic values. democratic citizenship,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serving to people, bestowing high values on the citizens as masters, not customers. Police service is in the same trend as the public service goes along with the mentioned change of science and democracy and efficiency are the main leading factors in the fields. In the view of American police history, at first the Political Model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Legalistic Model and finally the Community Policing anchored. Community policing is the logical combination of more than 30 years of police effectiveness research and decades of experimentation with police-community relations programs,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nd team policing. In point of the both tracks between the police and the public science, the cores and visions of community policing and the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are very close. Consequently, this analysis aims at classifying the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theory in detail and police reforms can be found and accomplished,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the theory. Police reform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police service to people should be improved. In the past, police role was regarded law or rule enforcement but today requested a lot of public services. The ordinary citizens who are in the police blue line and the others should be respected without suspicion and cynicism because they are entitled to receive the police service properly. In order to fulfill the legitimacy,policemen should be sticked to laws concerned but they must also consider customs and emotions of the people. For democratic policing,police should be given cares to dignity of human beings, transparency of decision-making, minimum use of deadly force and the organization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democracy. Second, innovation of police organization is needed. The design of police organization be based on flexibility, decentralization and enlargement of discretion and be responsible to prompt responses to calls from people. The police be become a learning institution to perform continuous improvements and passional leadership, encouragement of employee motivation, protection of innovative integrity and support from people are necessary elements for success of police innovation. Third, good policemen are very important for improvement of police personnel management and recruiting and developing them are of great value. The good policemen exercise their authority, if necessary and are glad to be responsible and be ready for compliance with the requests of people, that means they be problem-solvers. Accordingly, recruitment, education, training and promotion of police personnel be underlined in the mentioned direction to proceed. Last, liability of policemen and police agencies be secured. Noble-cause corruption be abolished whatever their motivations are since it bends laws at their wills. Civilian review is an effort to control police behavior by establishing an external form of review for allegations of police misconduc...

      • KCI등재

        행정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의 탐색

        라휘문(羅輝紋),김영희(金暎希) 한국지방자치학회 200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d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service in Local Government. To find this determinants, this paper analyses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service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focusing on Public Service Charter Program. Since the Public Service Charter program in Korea has set up in 1998,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towards the goal of providing better services. The Public Service Charter Program is a kind of participatory management program in administrative reform. The purpose of the Public Service Charter is to satisfy citizens through the promotion of quality of public service. As results of study,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fluence on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aware of the values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service and should increase Satisfaction of Internal Customer.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increase participation of front-line staff(consultation of front-line staff and reflection of consultation results), strengthen the educ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enlarge incentives. The implimentation of the Public Service Charter program is on-going exercise because it has to reflect the extensive and continual changes that take place in the domain of Public Service. The Local Government has continuously strived to serve its customers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so as not only to meet but to exceed their expectations.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유형별 공공성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급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공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을 정의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국내 9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9개 산림복지서비스 유형 중 ‘숲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산림레포츠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평가결과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연휴양림, 치유의숲, 수목원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경우 공공성과 수익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고, 숲길과 산림욕장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는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로, 수목장림, 숲속야영장, 산림레포츠 시설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성은 낮지만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산림복지서비스의 유형별 공공성과 수익성을 종합해보았을 때, 향후 정부 차원에서는 서비스의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아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숲길과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목장림을 비롯한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유아숲체험원 등은 서비스 제공으로 발생 가능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규제 기준만 제공하고 민간주체의 참여 및 민간시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발하게 운영 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나 치유의숲은 민간투자를 활성화시켜 운영관리에 대한 공적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upply strategies on forest welfare service.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mainly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y and social service field. Second, it presents assessment elements for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derived through experts’ survey and evaluates the publicness of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Korea. The evaluation shows that services on forest trails have the highest publicness, services on forest leisure sports have the lowest.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outcomes, an additional survey for profitability among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 is conducted. It shows that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forest therapy and arboretum are high rated bo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services on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area are high rated in publicness but are low rated in profitability. Services on woodland cemetery, forest camp site and forest leisure sports are low rated in publicness but are high rated in profi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experts’ eval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have to expend forest welfare services like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which have high publicness but are difficult to continue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ofitable services such as woodland cemetery, forest leisure sports, forest camp site and forest kindergarten, it has to be more open to private sector with expanding market, regulated only for minim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by services. Finally, as to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and forest therapy, government has to reduce public burdens on these services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 KCI등재

        중국 공공문화서비스 보장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한국 공공분야 법률 비교를 중심으로 -

        명흠,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First of all,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cultural services in China were investigated, and the contents of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public cultural ser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Combined with the advantages of Korean public domain legal content, the deficiency of China legal content was improved. In order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and improve China's Law on the Protection of Public Cultural Service, this paper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development quality of public cultural services. (Method) First, putting forward the definitions of public culture, public cultural services and other terms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grasp the development of public domain laws in China and South Korea. Secondly, sorting out the outstanding problems existing in public cultural services, an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ontents of China and South Korea's public domain laws, we can ge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enlightenment. Thirdly, it puts forward a proposal to improve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Public Cultural Service, which is combined with the legal content of the Korean public domain. Fourth, carrying out expert questionnaire survey, combined with expert suggestions, and putting forwar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public cultural service guarantee law. (Results)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cultural services in China, such as the balance of regional public cultural services, the imbalance of public cultural services' development contents, the shortage of rural public cultural facilities, the economic dependence of public cultural services' development, the lack of basic investment in public cultural services, the imperfect public cultural service system, the sustainability of public cultural services, the low level of public cultural services' development, the lack of social participation in public cultural services, and the shortage of public cultural service professionals.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blems and promote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by adjusting the legal contents. Secondly, some problems existing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cultural services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revelation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Public Design Law. Third, after evaluating the development achievements of public cultural services, the Central Committee and the State Council need to seek experts' opinions, so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al research department for public cultural services, such as adjusting public cultural services policies and improving public cultural services laws and regulations. Fourthly, we need to learn from the achievements and advantages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in the public sphere, and adjust China's public sphere development policy by summarizing its laws and regulations to improve the scheme.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국 공공문화서비스 발전에 기존하는 문제를 고찰하고 고찰결과를 근거로 공공문화서비스 보장법 내용을 분석한다. 또한, 한국 공공분야 법률 내용의 장점과 결합하고 중국 법률 내용의 단점을 개선한다. 이를 통해 중국「공공문화서비스 보장법」 개선하기 위해 기존문제를 해결하고 공공문화서비스 발전품질 높이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공공문화, 공공문화서비스 등 용어의 정의를 제시하고 중국・한국 공공분야 법률의발전 상황을 파악한다. 둘째, 공공문화서비스의 기존 문제점을 정리하며, 중국・한국 공공분야 법률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를통해 장단점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셋째, 한국 공공분야 법률 내용과 결합된「공공문화서비스 보장법」 개선 제안(안)을 제시한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전문가 조언을 결합하고 공공문화 서비스 보장법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언한다. (결과) 분석 결과로서는 중국 공공문화서비스의 발전 과정에는 지역별 공공문화서비스 발전의 형평성 문제, 공공문화서비스 발전 내용의불균형 문제, 농촌 지역 공공문화 시설 부족 문제, 공공문화서비스 발전 경제에 의존문제, 공공문화서비스 기초투입 부족 문제, 공공문화서비스체계 미흡 문제, 공공문화 서비스 발전의 지속성 문제, 공공문화 서비스 발전수준 낮은 문제, 공공문화 서비스 사회참여 부족 문제, 공공문화 서비스 전문인력 부족 문제 등이 파악되었다. 전문가 분석에서는 「공공문화서비스 보장법」 개선제안의 목적성, 유효성, 타당성이 높게 평가된 반면, 완전성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음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문제에 해당하는 조례의 내용을 조정하고 법률의 조정을 통해 문제의 해결을 촉진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공공문화서비스 발전의 문제점 중 일부는 한국 공공디자인법의 내용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수정할 수 있었다. 셋째, 중앙정부·국무원은 공공문화서비스 발전 성과를 평가한 뒤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공공문화서비스 정책을 조정하고 공공문화서비스 법규를 개선하는등 공공문화서비스 전담 연구부서가 개설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넷째, 다른 선진국의 공공분야 발전 결과를 참고하여그 장점을 벤치마킹하여 그들의 법률 및 법규 내용을 취합된 중국 공공분야의 발전 정책 개선안을 통해 기존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ROBLEM-DEFINITION FRAMEWORK FOR LOCAL PUBLIC SERVICE DESIGN

        Chorong Kim,Ki-Young Nam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Service design has been introduced as a key driver for public service innov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foundation of how service design should be applied in public area. There are hardly considerations of public administration who is the substantive provider of public service. It widens a gap between service design approach for public area and actual public administration. The study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problem-definition for local public service design in a way of bridging the gap.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was articu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context. The area of public service for service design was scoped by content analysis: the service that based on citizen’s daily life, has a series of process and various stakeholders involve in by integrating service design and public administrative perspective. Subsequently, the concept of design-led problem- definition was identified from the theories of problem solving methodology. Finally, the framework for identifying specific problem space of service providers, related service and users in comprehensive current state of the problem was established to optimize the concept of problem-definition in local public service design.

      • KCI등재

        프랑스 행정법상 공공서비스 법제 수용에 관한 연구-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

        오승종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0 No.4

        The public service legislation in France is the system established by the precedent covering the dispute related to public service for more than a century accumulated in Conseil d'Etat and Tribunal des Conflits. As South Korea considers the administration as the largest service, South Korea should refer to the public service legislation of France and should develop the legislation regulating the public service field. As the initial step for the public service, When examining whether the childcare service provided based on Infant Care Act applies to the public service as the first step for developing legislation, the followings explain about the childcare service and the public service. The concept of the public service in France requires three elements. The objective standard has the element of ‘public interest’.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has the element of ‘public corporation or private person’. Lastly, the practical standard has the element of ‘governance by public law’. The childcare service is in accordance with three elements of the public service concept. In objective standard, Infant Care Act regulates the childcare service as the national duty and the childcare can be regarded as the public activity. The implementation of the childcare service is conducted by the nation or private person and it satisfies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In addition, in practical standard, Infant Care Act provides authority to administrative agency in order to allow administrative agency to determine the administrative restriction or availability of childcare service. Therefore, it can be acknowledged that the childcare service utilization relation is under the regulation of the public law. As the childcare service is regarded as the public service, the public service utilization relation can be applied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ublic service such as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principle of equality, and principle of adaptability. 프랑스에서의 공공서비스 법제는 Conseil d'Etat 및 관할쟁의재판소(Tribunal des Conflits)가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의 공공서비스 관련 분쟁을 다룬 판례들이 집적되어 형성된 제도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행정을 최대의 서비스로 간주하고 있는 이상, 프랑스의 공공서비스 법제를 참고하여 공공서비스에 해당되는 영역을 규율하는 법제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그에 대한 첫걸음으로서 영유아보육법을 근거로 제공되는 보육서비스가 공공서비스에 해당되는지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랑스에서의 공공서비스 개념은 “일반적으로 공법인 또는 사인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익활동으로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공법의 적용을 받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공공서비스의 개념은 세 가지 요소를 필요로 한다. 목적의 기준에서는 “공익”, 기관의 기준에서는 “공법인 또는 사인”, 실질적 기준에서는 “공법의 지배”를 요소로 한다. 보육서비스는 공공서비스의 개념 3요소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목적의 기준에서 영유아보육법은 보육서비스를 국가의 의무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공익적 활동이라 할 수 있고, 보육서비스 수행주체는 국가 또는 사인이므로 기관의 관점도 충족한다고 할 수 있으며, 실질적 기준에서 영유아보육법은 행정청의 어린이집에 대한 행정상 제제나 보육서비스 이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행정청에 부여하고 있다는 것 등에서 보육서비스 이용관계가 공법의 규율 하에 있다는 것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육서비스를 공공서비스로 볼 수 있는 이상, 보육서비스 이용관계에는 공공서비스의 기본원칙인 계속성 원칙, 평등성 원칙, 적응성 원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공공서비스론의 관점에서 경찰서비스의 개혁방안

        이병종(Lee Byung J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4

        전통적 행정은 능률성과 합리성을 목표로 하면서, 공무원이 행정서비스를 직접 전달하고 정치인에 대해 책임을 지는 계층제 구조와 관료제가 중심인 정치행정이원론의 구조였다. 그러나 뒤이어 등장한 신공공관리론은 생산성을 중요시하고, 시민을 고객화함으로 고객만족이 중요시되고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지향하였다. 최근 등장한 신공공서비스론은 민주적 가치, 시민권 그리고 봉사에 가치를 두면서 시민을 고객이 아닌 주인으로서 진정한 봉사를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서비스의 흐름도 행정서비스와 마찬가지이다. 경찰은 정치적 모델과 법률적 모델을 거쳐서 오늘날 지역사회경찰활동이 목표가 되고 있다. 지역사회경찰활동은 시민의 참여를 통한 범죄예방, 재량권의 확대와 분권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민주경찰은 민주주의의 정신과 인권, 시민권 존중 그리고 민주적인 경찰활동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이들 삼자의 이상과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신공공서비스의 이론과 경찰서비스의 발전을 조명해 봄으로써 경찰서비스에서 민주경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수립함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른 경찰서비스의 개혁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의 시민에 대한 서비스의 개선이 요구된다. 국민을 존경과 예의로 대하고, 권위적 행태를 불식하고, 과학적 기법의 활용이 요망된다. 경찰활동에서는 준법은 물론이고 시민의 정서와 관습을 배려하고, 경찰의 의사결정에 시민이 참여토록하며, 민원분야에서는 민간인 활용의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시민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절제된 무력의 사용이 요망된다. 둘째, 경찰조직 관리의 혁신이 필요하다. 경찰조직과 업무를 재설계하여, 경찰기관을 학습조직화하고, 성공적인 조직변화의 달성을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아울러 현장순회업무를 강화함으로써 경찰업무 방식의 개선이 요구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적 의지와 지지이다. 시민의 인권보호는 경찰관에 대한 교육훈련으로만 달성될 수는 없고 최고 관리자의 실천이 요구된다. 셋째, 경찰인사관리의 개선이 필요하다. 좋은 경찰관의 채용을 위해서는 '솎아뽑기', 배경조사 및 인성검사의 강화와 채용시험의 개선이 요구된다. 면접은 민관협동체제로 운영하고, 적극적 모집전략이 필요하다. 교육ㆍ훈련에서는 인본주의에 대한 가치와 서비스 철학의 함양, 전문교관과 피교육자가 상호 참여하는 성인교육, 교양교육의 강화, 평생교육을 위한 연계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수요자중심이 되는 역량기반교육훈련이 되어야 한다. 승진의 경우 '특정업무센터'의 도입, 근무성적평정 시 지역주민의 참여와 주민만족도의 반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찰관과 경찰기관에 대하여 책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고결한 명분은 법을 왜곡하는 것임으로 척결되어야 하며, 경찰관의 일탈행위에 대한 시민고발사건에 대해서는 시민이 참가하는 시민조사제가 조기에 도입되어야 한다. The Old Public Administration had primarily focused and sought the greatest possible efficiency in its operation and targeted efficiency as well as rationality. The public employees delivered their services by themselves and were responsible to the politicians concerned under the bureaucratic hierarchy and there was the distinction between politics(or policy) and administration. Following the Old Public Administration, the New Public Management pursued productivity as a first priority and regarded the citizens as the customers to use private sector and business approaches in the public sector. In this regard,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is a key issue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to run government like a business and small in its scope and size. In a recent days, the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has presented itself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way of conducting the public's business and focused on democratic values. democratic citizenship,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serving to people, bestowing high values on the citizens as masters, not customers. Police service is in the same trend as the public service goes along with the mentioned change of science and democracy and efficiency are the main leading factors in the fields. In the view of American police history, at first the Political Model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Legalistic Model and finally the Community Policing anchored. Community policing is the logical combination of more than 30 years of police effectiveness research and decades of experimentation with police-community relations programs,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nd team policing. In point of the both tracks between the police and the public science, the cores and visions of community policing and the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are very close. Consequently, this analysis aims at classifying the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theory in detail and police reforms can be found and accomplished,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the theory. Police reform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police service to people should be improved. In the past, police role was regarded law or rule enforcement but today requested a lot of public services. The ordinary citizens who are in the police blue line and the others should be respected without suspicion and cynicism because they are entitled to receive the police service properly. In order to fulfill the legitimacy, policemen should be sticked to laws concerned but they must also consider customs and emotions of the people. For democratic policing, police should be given cares to dignity of human beings, transparency of decision-making, minimum use of deadly force and the organization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democracy. Second, innovation of police organization is needed. The design of police organization be based on flexibility, decentralization and enlargement of discretion and be responsible to prompt responses to calls from people. The police be become a learning institution to perform continuous improvements and passional leadership, encouragement of employee motivation, protection of innovative integrity and support from people are necessary elements for success of police innovation. Third, good policemen are very important for improvement of police personnel management and recruiting and developing them are of great value. The good policemen exercise their authority, if necessary and are glad to be responsible and be ready for compliance with the requests of people, that means they be problem-solvers. Accordingly, recruitment, education, training and promotion of police personnel be underlined in the mentioned direction to proceed. Last, liability of policemen and police agencies be secured. Noble-cause corruption be abolished whatever their motivations are since it bends laws at their wills. Civilian review is an effort to control police behavior by establishing an external form of review for allegations of polic

      • KCI등재

        인터넷 시대 공공서비스 제공의 다원화 개혁 및 제도적 보장

        장진화 한중법학회 2019 中國法硏究 Vol.37 No.-

        장기적으로 중국의 공공서비스 제공은 정부를 대표로 하는 공공 부서가 독점하고 있다. 개혁개방이 심층화 되면서 민간 자본, 외국자본 및 사회조직이 참여하면서 공공서비스 제공이 다원화 형태를 보여주게 되었다. 인터넷 시대는 새로운 기술의 영향을 받는 동시에 공유경제의 번창을 빌어 공공서비스 제공의 다원화가 더욱 활발하게 되어 정부는 기존의 공공 제품의 서비스 제공 방식에 대하여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인터넷 + 공공서비스”에서 공공서비스의 의는 단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대중과 공적부서 간의 소통을 강화하거나 공적부서가 공공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전자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인터넷 경제의 발전이 안겨준 신형 상업 모드가 공공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근본적인 혁신적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공적 직무 부서로서 제 때에 이용이 가능한 새로운 기술, 새로운 방식을 활용하여 공공서비스 제공의 다원화 개혁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로써 점차적으로 핵심적이지 않고 우세가 없는 공공서비스 제공에서 정부의 역할을 빼내고 정부가 공공서비스 제공을 독점하고 있는 국면을 변경하여야 한다. 이와 동시에 개혁개방의 성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반드시 법률적인 보장을 마련하여야 한다. 공권력이 공공서비스에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를 규제하여 공권력의 과분한 개입을 피면하여야 한다. 또한 시장주체의 자체적 우세를 격려하여 그들이 공공서비스 제공에 더욱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제도적으로 모든 유형의 시장주체가 공공서비스 제공자가 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와 동시에 제도적으로 정부의 종국적인 책임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징벌성 배상”조항을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양질의 시장주체를 격려하고 인터넷 기술을 결합하여 공공서비스 감독 시스템을 강화하고 절차의 투명도를 향상하여야 한다. 각 절차와 분야에서의 감독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여 권력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단계에 대한 감독을 하여 각 주체의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여야 한다. 이로써 공공서비스의 제공 효율을 향상하고 사회 공공이익의 최대화를 이루는 공적 목표를 실현하여야 한다. For a long time, the supply of public services in China has in fact been monopolized by the public sector represented by the government. With the deepening of reform,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apital, foreign capital and social organizations makes the supply of public services diversified. In the Internet era, influenced by new technological conditions and the prosperity of the sharing economy, the government may need to re-examine the existing supply of public goods and services. The meaning of “Internet + public service” to the supply of public services is not only that the Internet as a means of technology greatly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ublic sector, but also provides an electronic platform for the public sector to purchase public services, and more importantly, the root change significance of the new business model for public service supply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Economy. As a public function department, the government should identify the new technologies and modes available in time, deepen the reform of public service diversification, and gradually extricate itself from non-core and non-dominant public service supply, break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government monopolizes public service suppl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nsolidate and deepen the achievements of the reform, we must guarantee the system in law, regulate the supply of public power in the field of public service, avoid excessive interference of public power, encourage market participants to take advantage of their own advantages, participate in public service supply activities effectively, and ensure that any market participant ha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public service provider in system.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final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in terms of system construction. We can consider reverse incentives to market participants through the “punitive damages” clause, and further improve the supervision and guarantee system of public services, improve process transparency, give full play to the role of supervision in all aspects, so that supervision covers all aspects of the exercise of power and the division of specific responsibilities. In all aspects, ultimately achieve the public welfare goal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ublic service supply and meeting the needs of maximizing social public interests.

      • 행정서비스헌장제와 사후참여관리방안

        김미경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3 地方行政硏究 Vol.17 No.2

        The idea of enhancing participation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s hardly new. In fact, it has been one of the recurring themes both in administrative and more general reform efforts for the public sector. A number of countries already had made significant advances in improving participation in their administrations prior to the comtemporary round of reforms. A number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enhance the involvement of workers within their organizations and to make the climate in public organizations more participatory. For better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create mechanisms through whic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all directions, not just from top to bottom, are encouraged. Quality in the delivery of public-sector services depends to some extent upon cooperation in production rather than on government employees simply delivering the services. If social service programs are to be effective, beneficiaries must ultimately want to change some of their behaviors and the only really effective and efficient service programs are those that dem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passivity from the client. The Public Service Charter is a kind of participatory management program in administrative reform. The Public Servlce Charter in Korea is to satisfy citizens through the promotion of quality public services. The Public Service Charter helps people understand what a public organization does, what to expect by way of service, how to contact it and how to seek a remedy if something goes wrong. The Public Service Charter does not in itself create new legal rights. Rather, it helps People claim existing rights, and may substantiate new rights that are enforceable through non-legal means. The Public Service Charter helps public servants, too, by setting out clearly the services their organization provides. Their main audience, however, is the general public, who is the target of service delivery. The Public Service Charter operates two levels of participation. The first is pre-participation, that is customer opinion research. The other is post-participation, which is a survey on customer satisfaction. After practicing the public service standards,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asking customers about the rea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ervice standards is a facile too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This paper proposes post-participatory management, which is an institutional method for improvement of public service quality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the Public Service Charter.

      • KCI등재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비스 주체에 따른 공공성의 내용을 중심으로-

        양성욱 ( Seong Wook Yang ),노연희 ( Yeon Hee Rh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성은 최근의 사회서비스 영역의 시장화 경향하에서 사회서비스가 담보해야 하는 핵심적 내용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공공성은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고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의 다의성이나 모호성은 사회서비스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의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성이 사회서비스의 영역에서 어떻게 논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서비스 전달방식의 시장화라는 현실상황하에서 다양한 서비스 주체에 따라 어떤 내용의 공공성이 요구되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을 서비스 수혜자의 범위, 수혜자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내용의 구성과 규제, 사회통합 등의 사회적 목적 달성,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사이의 신뢰를 포함하는 사회서비스의 대한 신뢰형성, 재정적 책임성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공공영역 그리고 비영리·영리-민간영역 등 각 주체별로 주로 요구되는 공공성의 구체적인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에서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경험적 논의의 기반을 제공하였고, 실천적 측면에서는 비영리·영리 민간영역에서 사회서비스가 본래의 목적달성의 수단으로서 공공성을 적용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publicness be one of the key elements of social services even under the current social service marketization. Although publicness has been discussed in different ways in various academic areas, there is no consensus of what publicness really means, especially in social services. Therefore, reviewing discussions on publicness,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commonly shared aspects of publicness, and ultimately to suggest meanings of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iscuss whether different types of social service producers require different types of publicness under the context of welfare mix and social service marketization. The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is related to various aspects: the scope of service recipients, trust toward social services, appropriate composition of services, social integration,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accountability.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fic meaning and contents of publicness can be used in different ways for each social service producer, such as public, nonprofit, or profit sector. The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further empirical studies on publicness academically and for implementation of publicnes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s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