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 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옥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e development of ‘global village’ in the 21st century demand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that has depended up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current figure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youth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ISS) developed by Chen and Starosta was administered to 310 youth attending University located at Kyunggi province in Korea. Using t-test and ANOVA, the mea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mong groups based upon gender, staying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length of stay in foreign countries, level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has been analyzed. It found that college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showed highist scores in the section of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 ISS that was composed of five sections; ① interaction engagement, ②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③ interaction confidence, ④ interaction enjoyment, ⑤ interaction attentiveness. It also found that the mean differenc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scor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were meaningful in the section of interaction engagement and interaction confidence. And the mean differenc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scores between the groups of having experiences of stay in foreign countries and no experience group of stay were meaningful.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 discussed the possibile ways to improve intercultural sensitivity for college students and proposed some possible theme for further studies.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본 연구는 21세기의 세계화된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문화간 감수성을 측정,분석한 연구이다. 청소년의 문화간 감수성은 Chen과 Starosta에 의해 개발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측정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학년에 재학 중인 297명의 대학생들이었다. 개인별 특성(성별, 해외체류경험, 체류기간, 외국어 사용능력)에 따른 집단 간의 문화간 감수성 차이를 t 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청소년들의 문화간 감수성은 문화간 감수성의 5개 영역(상호작용 참여,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 상호작용 향유, 상호작용 주의)중 문화차이 존중의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외국어 사용 능력정도는 상호작용 주의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 일부 문항들에서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해외 체류경험은 상호작용 참여와 상호작용 자신의 영역의 일부 항목들에서 집단 간 평균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해외체류기간과 성별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의 차이는 5개의 영역 어디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자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국어 사용능력과 해외체류경험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의 차이가 가지는 함의에 대한 논의를 통해 문화간 감수성 증진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이 다양한 형태의 타문화 접촉 경험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 발달 및 평가 방안 탐색

        배재정(Bae Jae-J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Bennett의 다문화적 감수성 발달 모델(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MIS)과 Hammer의 다문화적 발달 도구(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IDI)를 통해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평가하고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ennett의 DMIS는 다문화적 감수성의 발달적 과정에 관하여 가장 잘 알려진 구성주의적 이론이며, 자민족중심주의에서 민족상대주의에 이르는 여섯 단계들로 다문화적 감수성의 예측 가능한 발달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Hammer의 다문화적 발달 도구(Intercultural Developmental Inventory, IDI)는 DMIS에 근거하여 다문화적 감수성을 객관적이고 양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보고식의 설문지이다. IDI는 프로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질적 분석까지 가능한 도구이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다문화적 감수성을 측정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DMIS와 IDI를 사용해오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IDI의 타당도 검증만 실시되었으며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의 평가와 증진을 위해 그 적용과 활용은 아직 미비하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여러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DMIS와 IDI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평가하고, 그에 적합한 맞춤식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적용되어짐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발달시키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적 감수성의 통합적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IDI에 기초하여 다문화적 감수성의 전반적인 발달단계를 평가하는 것은 물론 DMIS에 근거하여 다문화적 감수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평가한 후 이후의 훈련프로그램 및 개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유아다문화 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DMIS와 IDI에 근거한 평가 모형을 활용한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DMIS and IDI to facilitate and assess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meet this purpose, firstly, the author introduces the Development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DMIS), Bennett(1993)'s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IDI), a 50-item psychometric self-report instrument using five-point Likert scale based on DMIS for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Secondly, the author describes that DMIS and IDI are beneficial to measur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raining teachers, designing the tailored program, and assessing outcomes of training programs. Finally, the author suggests the integrating model of evaluation for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o stresses futher study about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MIS and IDI for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상호문화적 감수성을 위한 소설교육 연구

        장현정,우신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study was started with the aim of creating conflicts and confusion among youths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due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the nation that have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In particular, he noted the development of mutual cultural sensitivity emphasized by Chen(1997) and Bennett(2005) as educational measures to resolve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arising from the influx of different cultures into a society. The novel education of novel text to a large number of ordinary learners was conducted to encourage the learner to improve literary ability. This ultimately constitutes the cultivation of intercultural sensitiviti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literary culture." First, we defined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Bennett's development stage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redefining the name of each step with 'denial to difference', 'defence against difference', 'minimization to difference', 'acceptance to difference' and 'integration to difference'. And we analyzed the content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shown in 'Good to be Born in this World' and also analyzed the high school learners who are subject to the actual teaching study together to design specific education methods. The Learner Response-Based Learning Method was chosen as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to foster intercultural sensitivity. It was reconstructed and used as a step 'Formation of Responses → Clarification of Mutual Cultural Sensitivity through Sharing Responses → Deepening Responses through Writing Appreciation Documents'. Further, the quantitative analysis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pre-class survey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ssessment report were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e learners was fostered. 이 연구는 이제 막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청소년들이 미래의 사회 구성원으로서겪는 갈등과 혼란을 최소화하길 바라며 시작했다. 그간 일반적으로 시행된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소수자에대한 교육에서 벗어나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수자에 대한 교육을 통해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조성하여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특히 서로 다른 문화가 한 사회 안에 유입되며일어나는 갈등과 오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으로 Chen(1997)과 Bennett(2005)이 강조한 상호문화적 감수성함양에 주목했다. 다수의 일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설 텍스트를 매개로 한 소설교육을 하여 학습자의 문학 능력의향상을 유도했다. 이는 궁극적으로 문학적 문화의 고양을 통한 상호문화적 감수성의 함양을 이루고, 둘은 계속해서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학습자가 다문화 사회에서 충분히 기능하는 일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왔다. 먼저‘상호문화적 감수성’을 정의하고 Bennett의 상호문화적 감수성 발달단계(DMIS)의 단계별 특징을 설명하며, 각 단계의명칭을 ‘차이에 대한 부정’, ‘차이에 대한 방어’, ‘차이에 대한 최소화’, ‘차이에 대한 수용’, 차이에 대한 적응’, ‘차이에대한 통합’으로 재정의했다. 그리고 박완서의 소설『이 세상에 태어나길 참 잘했다』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감수성내용을 분석하고, 실제 교수학습을 할 대상인 Y고등학교 학습자들도 함께 분석하여 구체적 교수학습 방법 설계를마련하였다. 상호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자 반응중심 학습법’을 선택하되, ‘반응의 형성→ 반응의 공유를 통한 상호문화적 감수성 명료화 → 감상문 쓰기를 통한 반응의 심화’ 3단계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 전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양적 분석과 감상문을 분석한 질적 분석을 통해학습자의 상호문화적 감수성이 함양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다문화 교육에서 가지는 연구사적 의의는 첫째, 다수의 일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교육이라는점이다. 이는 주로 초등교육과정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호문화 교육의 층을 중등교육과정까지 확대하여학습자가 다문화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 수 있는 역량의향상을 꾀한다. 둘째, 2015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로 제안하는 ‘다문화 교육’을 국어교육이 어떻게 효율적·효과적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소설교육을 통한 문학 능력의 증진을 통해 상호문화적 감수성을함양하여 문학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문학적 문화의 고양’을 실현하고자 했다. 이는 ‘다문화 교육’에서 ‘국어교육’이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앞으로 더 발전시켜야 할지를 고민할 때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의 한국어문화교육 현황과 문화간 감수성 연구

        천수연(Chun So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의 문화간 감수성의 정도를 측정하고, 한국어문화교육의 정도와 문화간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2018년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 양식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총 53명의 결혼이민자의 문화간 감수성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 문항은 Chen & Starosta(2000)에 의해 개발된 문화간 감수성 척도를 사용하여, 이를 SPSSWIN 24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의 문화간 감수성은 5.0점 만점에서 평균 3.61로 높은 문화간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외국어와 타문화의 학습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문화간 감수성이 향상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문화교육 정도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과의 정적인 상관관계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한국으로의 이주 후 한국어문화교육을 받은 기간 2년 기점으로 오히려 문화간 감수성의 정도가 낮아지며, 타문화에 대한 폐쇄적인 경향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찾아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결혼이민자들의 문화간 감수성과 문화적응 주기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 방안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요구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survey for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rm from 14 May 2018 to 28 May 2018, and a total of 53 marriage immigrants collected intercultural sensitivity studies. Using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developed by Chen & Starosta (2000), a total of 53 marriage immigra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he SPSSWIN 24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it could be revealed that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have a high intercultural sensibility with an average of 3.61 out of 5 points. Also,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show that the intercultural sensibility between cultures improves as the learning period of foreign languages and other cultures increases, this study did not fi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cultural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culture education, b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ensitivity between cultures decreased and a tendency toward closure toward other cultures appeared from the two years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after relocation to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necessity of designing various educational plans in consideratio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adaptation cycle of marriage immigrants is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Develop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a Korean College Context

        Lee, Youn-Kyoung(이윤경),Park, Boon-Joo(박분주) 신영어영문학회 2019 신영어영문학 Vol.73 No.-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culture instruction affected Korean colle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how the students perceived culture instruction to develop thei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study involved 59 participants, enrolling in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Chen and Starosta’s (2000) revised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ulture instruction based on the current instructional mode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ing the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p<.001) except for the dimension of intercultural enjoyment. The students’ interview data also revealed that culture instruction was beneficial to develop Korean colle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y considered theoretical approach and cultural contents to understand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differences effective and useful to develop cross-cultural awareness. The present study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current literature on Korean colle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by providing th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of the beneficial effects of culture instruction.

      • KCI등재

        해외 경험이 상호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강비아 ( Bia Kang ),장효청 ( Xiaoqing Zha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상호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상호문화 감수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여행, 어학연수, 취업 등 개인의 해외 경험이 상호문화 감수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영향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에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상호문화 감수성 척도(ISS)를 사용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후 면담에 동의한 6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개인의 해외 경험은 성별, 나이, 학력, 체류 기간, 체류 유형에 관계 없이 상호문화 감수성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상호작용 참여와 상호작용 자신감의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심층면담 결과 자존감, 자기점검, 열린마음, 공감, 상호작용 참여, 판단중지의 태도를 발견하였다. 결론 및 제언: 개인의 해외 경험은 상호문화 감수성과 유의미한 관계에 있으며, 개인은 해외에서 문화적 소수자의 위치성을 경험하며 타문화에 대한 이해에 앞서 인정의 태도를 자연스럽게 실천하고 학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의 제한적 요인이 있으나 시의성에 의미가 있고 향후 연구대상 규모를 확대 및 세분화한 연구가 제안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n individual’s experience abroad affects intercultural sensitivity, as Korea has become an intercultural society and interest in intercultural sensitivity has increased.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70 adults in Seoul using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IS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rticipants who agreed to the interview. Individual overseas experiences affect intercultural sensitivity regardless of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length of stay, and type of stay. Among the various factors, interacti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confidence factors were influenced, and self-esteem, self-examination, open mind, empathy, interaction participation, and suspending judgment were found in the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an individual’s experience abroad affects their intercultural sensitivity. Because they experience the positionality of cultural minorities, they tried to learn and practice an attitude of recognition rather than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lthough this study has the limiting factors of the survey, it is still a meaningful study. In the future, it is proposed to expand the size of the research subject and conduct a subdivided study.

      • KCI등재

        The Latent Structure L2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EFL Students

        배지영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2 영어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explored L2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te elementary to early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variable structure of L2 literacy abilities, including fluency,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abilities,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which involves interaction engagement,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teraction confidence, interaction enjoyment,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non-experimental, correlational design. One hundred twenty-two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one hundred forty 7th and 8th graders in middle school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one measurement model of L2 general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se two latent factor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four indicators of literacy ability (fluency,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were strong predictors of L2 learners’ literacy achievement. Likewise, four indicators (interaction engagement,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teraction confidence,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were highly correlated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but interaction enjoyment was not correlated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refore, interaction enjoyment was removed from the measurement model of literac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The Latent Structure L2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EFL Students

        Ji-Yong Bae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2 영어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explored L2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te elementary to early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variable structure of L2 literacy abilities, including fluency,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abilities,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which involves interaction engagement,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teraction confidence, interaction enjoyment,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non-experimental, correlational design. One hundred twenty-two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one hundred forty 7<sup>th</sup> and 8<sup>th</sup> graders in middle school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one measurement model of L2 general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se two latent factor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four indicators of literacy ability (fluency,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were strong predictors of L2 learners’ literacy achievement. Likewise, four indicators (interaction engagement,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teraction confidence,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were highly correlated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but interaction enjoyment was not correlated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refore, interaction enjoyment was removed from the measurement model of literac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Develop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a Korean College Context

        이윤경,박분주 신영어영문학회 2019 신영어영문학 Vol.73 No.-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culture instruction affected Korean colle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how the students perceived culture instruction to develop thei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study involved 59 participants, enrolling in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Chen and Starosta’s (2000) revised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ulture instruction based on the current instructional mode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ing the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p<.001) except for the dimension of intercultural enjoyment. The students’ interview data also revealed that culture instruction was beneficial to develop Korean colle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y considered theoretical approach and cultural contents to understand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differences effective and useful to develop cross-cultural awareness. The present study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current literature on Korean colle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by providing th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of the beneficial effects of culture instruc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감수성 및 발달 방안 연구

        이보름 ( Borem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급증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감수성과 발달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상호문화 감수성 이론적인 개념의 특징들을 비교해 보았다. 문헌 및 선행 연구를 종합하여 4단계에 따라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감수성 발달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문화 감수성을 지닌 한국어 교원들을 양성하고 더 나아가 상호문화 감수성이 담긴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발판이 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상호문화 감수성에 대한 이론적인 제시로 그치게 되어 추후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감수성이 학습이나 교재 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rcultural cultural sensitivity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foreign students who are rapidly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we compared the features of the theoretical concep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t was intended to design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four stages of comprehensiv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be a foundation for fostering Korean teachers with intercultural cultural sensitivity and further developing textbooks containing mutual cultural sensitivity. However, in this study, it is only a theoretical presentation of intercultural culture sensitivity, so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how the Intercultural culture sensitivity of Korean teachers affects learning or development of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