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초기 태종의 호학과 세자 교육

        김학재,신창호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King Tae-jong(太宗)’s Love of Learning(好學) and analyzing its influence on his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世子) in the early Chosun Dynasty from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 As a king having a Confucious grounding, King Tae-jong regarded Love of Learning as important, and tried to embody its ideal, namely the rule of virtue(王道) in his life. In other words, King Tae-jong as a Reading-Man(讀書人) was aware of the relation between Love of Learning and its real practice, and strived to fulfill his role as King by practicing the right politics in the real world. King Tae-jong’s emphasis on Love of Learning was reflected on his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King Tae-jong considered Love of Learning as a important virtue and endeavored to apply it to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And yet, the Crown Prince Yang-nyeong(讓寧) didn’t show his Love of Learning, as a result King Tae-jong determined to discrown the Crown Princ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King Tae-jong endured Yang-nyeong’s repeated misdeed and gave a chance to redeem his wrongdoing. Notwithstanding, King Tae-jong’s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failed to achieve his intended goal. It is presumed that this result was caused by Tae-jong’s political and educational behavior that gives ideal superiority over reality in the process of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and succession to the throne despite his Love of Learning as a political leader. 본고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조선시대 태종의 호학(好學)적 면모를 검토하고, 그것이 조선 초기 왕실의 세자 교육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났는지를 정교(政敎)의 차원에서 분석한 것이다. 태종은 유교적 소양을 갖추려는 ‘호학’적 측면을 중시하고 이를 토대로 유교의 이상인 왕도(王道)를 실천하려는 정치지도자의 자세를 견지했다. 무엇보다도 ‘독서인(讀書人)’으로서 호학하며 학문에 힘쓰는 것이 왕도의 실천적 측면과 긴밀히 연결된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했고, 현실에서 올바른 정치를 행하는 작업이 왕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임을 깨닫고 그것을 충실하게 이행하려고 했다. 태종이 호학을 중시한 측면은 그의 세자 교육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세자가 지녀야 할 중요한 덕목의 하나로 호학을 이해하고 이를 세자 교육에 반영하려고 했다. 문제는 세자 양녕(讓寧)이 호학의 면모를 보이지 않았다는 데에서 발생했다. 태종은 호학적 태도를 기반으로 세자 양녕의 거듭된 잘못을 인내하고 개전의 기회를 주면서 후계자 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으나 의도했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지도자로서 호학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세자 교육과 후계자 계승 과정에서 현실을 존중하기보다는 유교적 이상에 치우친 태종의 정교 행위에서 비롯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공자(孔子)의 학문관(學問觀)과 호학정신(好學精神)

        김창환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中國文學 Vol.42 No.-

        孔子非常强調`學`. 孔子身懷`修己治人`的理想, 追求`德治`的實現, 而他認爲實現德治的前提是`修己`, 修己的方法在于`學`. 爲了達到學的理想的結果, 應該`好學`. 本文試圖槪括孔子對于學問所持的見解, 幷通過具體的例子來考察孔子的好學實踐, 從而闡明孔子好學精神的實體. `學`正是恢復及維持上天賦予人類的善良本性的階段. 所以孔子的學問目標是通過在日常生活中盡到自己的職責, 實踐爲人的道理, 來達到完善人格的. 這與在≪論語·學而·7≫中提出的“則以學文”的`學`, 卽以`詩書六藝`爲代表的對于文章的學習是不同的. 對文章的學習僅僅是達到此目的一個部分而已. 孔子的完善人格的學問目標通過學習得以實現. 爲了更好地學習, 好學精神是必須的. 因此, 孔子屢次地强調好學, 幷親身實踐, 而且對別人的好學態度稱贊. 對于孔子的好學精神, 將分成對好學的見解, 好學的效果, 以及親身實踐的好學的例子等方面來加以考察. 孔子關于好學的見解, 在≪論語·學而·14≫“君子, 食无求飽, 居无求安, 敏于事而愼于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的話語中體現得?明顯. 所謂`好學`, 指的是在生活中追求道理, 謹言愼行, 進而讓有道人對自己的實踐是否正確進行批評指正的態度. 孔子篤實地實踐了好學. 可以參見以下四例. 第一, 好問. ≪論語·八佾·15≫中的“每事問”的語句, ?好地說明了孔子的好學精神. 第二, 對于學習的激情及投入. 這種態度, 在≪論語·述而·18≫中的“發憤忘食, 樂以忘憂”的句子中得到了集中的表現. 第三, 隨時隨地獲取學習資料的態度. ≪論語·子張·22≫中, 子貢說“夫子, 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沒有一定的老師的主張, 恰恰從反面說明了把誰都可以當作老師的道理. 第四, 在追求學問過程中的精益求精. ≪史記·孔子世家≫記載了孔子在學琴時的一則?事, 從中可以看出漸漸追求精密的治學態度, 這正是在≪論語·學而·15≫, 子貢所提及的`切磋琢磨`的典范. 孔子正是帶着上述的好學精神來硏究學問及勉勵弟子的. 綜上所述, 可以這樣說, 孔子所强調的好學, 是以“學而時習之”的`學`爲中心, 進行“就有道而正焉”的活動. 人盡管與生俱來的基礎不同, 到達知識的程度也各有差異, 但只要好學, `生知`的聖人也好, `學知`, `困知`的凡人也罷, 都可以一樣地達到儒家所追求的理想的境地, 卽人格的完善. 這種好學精神, 對于今天?學問的人來說, 也可以說是絶對必須的態度.

      • KCI등재

        공자사상에서 호학(好學)의 의미와 중요성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공자사상에서 ‘학(學)’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5세에 ‘학(學)’에 뜻을 두었다.”라고 한 공자의 자술(自述)에서 알 수 있듯, ‘학’은 단순히 목적의 성취를 위한 수단이나 방법,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 자기목적적인 행위이다. 공자에게서 ‘학’은 자기 자신의 변화와 성장, 인간으로서의 완성을 위한 유일하고 확실한 방법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공자에게서 ‘호학(好學)’ 또한 중요한 의미를 함의하게 된다. 호학은 오늘날의 단지 공부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의미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공자에게 호학은 인간 심연의 변화와 성인에의 성취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의미로 공자는 ‘호학’이라는 말을 자기 자신을 특징적으로 표현하는 ‘겸사(謙辭)’인 동시에, 제자를 칭찬하는 ‘찬사(讚辭)’로 사용했다. 공자는 제자를 일률적 잣대로 성취의 정도를 평가하지 않고, 성취의 가능성으로서 ‘호학’을 중시했다. 또한 본인 스스로 원숙한 단계의 성취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스스로를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칭했다. 공자에게서 ‘호학’은 자기 자신을 완성하고 또 타인을 성취시켜주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호학’은 배우는 자에 대한 일률적이고 결과론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개인의 자질과 재능에 따른 자율적 학습과 성취를 고양시킨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중요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In the teachings of Confucius, ‘learning’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ppears by his saying, he himself had aspired learning at the age of 15. ‘Learning’ is not just a means or a demonstra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but a self-purpose act that has sufficient meaning in itself. What ‘Learning’ is to Confucius is the only and certain way to grow, change, and complete oneself. Therefore, ‘Love of Learning’ implies an important meaning. ‘Love of Learning’ does not mean today that it just likes to study. To Confucius, ‘Love of Learning’ implies a change in human abyss and the possibility of a certain achievement in human mind. In this sense, Confucius also uses the word ‘Love of learning’ not only to humble himself, but also to praise his disciples. He did not evaluate his students on a uniform basis, but valued and emphasized ‘Love of Learning’ as the possibility of achievement. He also called himself a person who loved to learn, although he had already reached the self-completion. To Confucius, ‘Love of Learning’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mpleting oneself and others. ‘Love of learning’ may st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day in that it eliminates a uniform and result-oriented assessment of the learner, and enhances individual learning and achievement based on personal qualities and talents.

      • KCI등재

        교사의 직무와 교사의 인성: 『논어』의 ‘호학(好學)’ 개념을 중심으로

        정혜진,민동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e personality that a teacher is expected to have can include a number of competencies. But in view of the duties that a teacher must perform, can you say that a few capabilities are sufficient? If so many of the competencies shown in the Teacher Personality Evaluation-Tool are required in teaching practice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teach them separately, what is the most fundamental quality to relate to all of these competencies? Starting from these questions,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s the concept of 'teacher personality' in existing teacher personality-related studies, and puts forward that with an alternative approach, teacher personality needs to be defined by the practice of teacher education, 'teacher self-cultivation'.This point was looked at in this paper based on the concept of hàoxué(好學)- like learning in" Analects".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ersonality of teachers is not the sum of these and other abilities, but the 'Nature'(心性) that makes them manifest, which is constantly confirmed and established by the long-standing practical efforts of teacher education. 교사가 갖추어야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성에는 수많은 역량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교사가 수행해야 할 직무에 비추어 볼 때 거기에는 도대체 몇 가지 역량이 구비되면 충분하다는 말을 할 수 있겠는가? 교직 인‧적성검사에 나타나 있는 그 많은 역량들이 교직실무에 요구되고 그 요구되는 역량들을 일일이 별도로 가르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면, 이 모든 역량들과 관련을 맺으면서도 그것들을 포괄할 수 있는 가장 으뜸가는 근본 자질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교사의 인성관련 연구들에 나타난 ‘교사의 인성’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교사의 인성은 ‘교사의 인성함양’이라는 교사교육의 실천에 의하여 정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 점을 본 논문에서는 『논어』에 나오는 好學-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의 개념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의하면, 교사의 인성은 이런 저런 여러 능력들의 총합이 아니라, 그런 능력들로 나타나게 하는 ‘심성’으로서, 그것은 오랜 교사교육의 실천적 노력-호학-에 의하여 끊임없이 확인되고 확립되는 것이다.

      • KCI등재

        好學의 관점에서 본 李贄 『焚書』의 문제의식

        이권효(Lee Kwon-hyo)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4

        본 연구는 이지(1527~1602)가 ‘과연 반(反)공자나 반유학의 상징적 인물이었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는 단지 이지라는 한 사람의 유학사상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학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인하고 발현시켜나가야 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와 연결돼 있다. 이지의 『분서』ㆍ『속분서』는 그의 삶과 사상의 성격과 지향점을 잘 보여주는 저작물이지만 이 책에 담긴 550여 편의 다양한 글을 관통하는 문제의식이나 내면적 동기에 대한 탐구는 부족해 보인다. 당시 현실과 치열하게 대결하면서 유학의 위기를 드러내기 위해 방편적으로 제기한 부분이 피상적이거나 인상적으로 이해되면서 그의 사상이 혹세무민이라는 지극히 정서적인 평가에 갇혀버렸을 가능성이 있다. 이 저작물은 이지의 계획적, 체계적 저술이 아니라 수십년 동안 자신이 추구했던 유학의 이상과 현실이 무엇이었는가를 고민한 파편들이므로 그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우선 개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기존의 평가나 규정은 당시 상황에 따른 시대적 편견일 수 있다는 인식론적 반성이 요청된다는 것이다. 『분서』ㆍ『속분서』를 통해 이지는 당시의 사회적 질서였던 유학(주자학)과 그 뿌리인 공자를 단순히 반대하거나 지지하는 태도를 넘어 더 깊은 고민을 보여주려고 했다. 그의 문제의식은 당시의 유학이 현실의 변화에 대처하고 못한 채 경직되고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위기감이었다. 이같은 위기는 곧 삶과 사회의 위기였다. ‘태워버려야 할 책’이라는 뜻의 『분서』는 당시 유학이 놓인 위기 상황을 이지 자신이 절박하게 진단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지는 유학에 바탕을 둔 공동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출구를 공자와 안회의 호학정신에서 찾으려고 한다. 동시에 스스로 호학을 실천하면서 유학의 근본정신에 다가가려고 했다. 그에게 호학은 결코 멈출 수 없는 길(道)이라는 ‘과정’이었다. 공자를 진정으로 배운다는 것은 공자를 맹종하는 것이 아니라 공자가 평생 실천했던 호학으로 돌아갈 때 유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 점에서 이지는 오히려 공자를 가장 철저하게 계승하려고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 “was Li-Zhi(李贄, 1527-1602) a typical person who was against Kong-Zi(孔子) or Confucianism?” In fact, the question is not limited to only Li-zhi himself as a Confucian philosopher but is connected to the fundamental issues of Confucian identity. Although Li-Zhi’s Fenshu(焚書) and Xufenshu(續焚書) describe the aspects of his philosophy and ide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issues or internal motives in nearly 550 writings of the books. It can be possibly assumed that what Li-Zhi tried to suggest as a means to show the crisis of Confucianism would be considered to be superficial and his ideas would be evaluated so emotionally to delude the world and deceive the people. They are a collection of works written by Li-Zhi concerning the Confucian ideas and reality over many years, rather than systematically planned books. For this reason, an open approach is needed to rightly evaluate him. Again, it is required to reflect that the existing evaluations might be based on a biased view in those days. Through his books, Fenshu and Xufenshu, Li-Zhi attempted to expand more efforts beyond his attitudes against or toward Confucianism and Kong-Zi. He focused on the issue that Confucianism did not overcome the change in those days and became dangerously rigid and inactive. The dangerous situation was just connected to the crisis of life and society. The Fenshu, meaning a book to burn, seems to be a symbolic attempt made by Li-Zhi to analyse and suggest the impending crisis of Confucianism in those days. Li-Zhi tried to look for the method of coping with the crisis of the Confucianismbased community, using ‘Fond of Learning(好學)’ by Kong-Zi and Yen -Hui(顔回), and wished to approach the fundamental ideas of 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He considered the ‘Fond of Learning’ as a ‘Process’ of ‘Endless road.’ To truly learn about Kong-Zi is not to follow Kong-Zi blindly, but to return to ‘Fond of learning’ for which Kong-Zi worked during all his life, so as to overcome the crisis of Confucianism. At this point, it seems that Li-Zhi strived to most faithfully learn and follow the discipline of Kong-Zi.

      • KCI등재

        조선 후기 율곡학의 심화와 변용 : 탁기(濁氣)의 선정(善情)에 대한 호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배제성 범한철학회 2023 汎韓哲學 Vol.109 No.2

        현대의 많은 연구자들에게 호학은 율곡의 학설을 전적으로 고수하며 이견을 용납하지 않 았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탁기의 선정에 관한 그들의 논의는 그러한 인식과 충돌한다. 탁한 기가 발할지라도 선한 정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는 주장은 직접적으로 율곡의 주장 과 충돌하며, 특히 퇴율절충의 경향으로 널리 잘 알려진 낙학계의 종장 농암 김창협이 「사단 칠정설」에서 주장한 내용이기도 하다. 호학에 대한 통념은 이들이 탁기의 선정을 받아들이 지 않을 거라는 예측을 유도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고 오히려 이들은 그것을 자기 학 파의 정설로 수용하였다. 여기에는 기의 역할을 중시하는 율곡학의 이론 체계 안에서 인간 의 보편적인 성선을 확립한다는 강력하고 일관된 지향이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심기의 보 편성을 통해서 성선의 확실성을 강화하려 한 낙학의 문제의식과도 맞닿아 있는 지점이기도 했다. 이러한 실상은 조선 후기 율곡학의 철학사적 전개에서의 역동성을 보여주며, 우리들 이 이에 대해 더 열린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Cont emporary r esearchers generally t hink t hat H o school w as v ery ort hodoxy a nd t hat n ever a llow a n i dea o r c laim t hat conflicted w it h Yulgok’s theory. However, their stance and discussion on the matte of good emotions that are composed of turbid material force are not consistent with such u nderst anding. T he c laim t hat t here a re s ome cases i n t hat t urbid material force can be realized as a good emotion seems to conflict directly with Yulgok’s theory. And it was suggested by Kim Changhyup who was a leading s cholar o f N ak s chool w hich h ad a t ense relat ionship wit h H o school. So,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Ho school predicts that Ho school did not accept the claim. But It’s not the case. Ho school accepted the claim as a confirmed view. The reason why they accepted the claim was that they want to reveal the certainty and necessity of the universal goodness of human nature in their theory. This response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 he t heory of Y ulgok school w as d ynamic a nd t hat we n eed a more open-minded approach to this.

      • KCI등재

        수암 권상하 문하의심성 논쟁과 호학의 형성

        김용헌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debates between the disciples of Kwon Sangha(權尙夏)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to identify how mainstream thoughts of Kwon Sangha's School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the disputes. His many disciples, including Han Wonjin(韓元震) and Yi Gan(李柬), gave different opinions on the human mind and the nature of all things. At first the debates began as a free discussion among the disciples, but soon they each tried to be acknowledged by their teacher, Kwon Sangha, that his own theory was correct. As a result, the teacher opposed the opinions of Yi Gan and supported the views of Han Wonjin. Since then, most scholars in the Kwon Sangha school have followed Han Wonjin’s arguments at the will of the teacher. Regarding this rigid academic climate, Yi Gan complained that there should be a free discussion eve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owever, Han Wonjin’s argument, supported by the teacher, was widely recognized among Chungcheong local scholars. As a result, Hohak(湖學), which means the learning of Chungcheong area scholars, was established. Since then, Hohak has maintained its identity, arguing fiercely with Nakhak(洛學), which is the learning of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 two core theories of Hoha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tential of good and evil exists in the mind even when the mind is not working. Second, Since things do not have all five moral natures, the nature of things is different from the human nature. 이 논문은 호학(湖學)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있었던 이간 학설이 어떻게 배제되어갔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17세기 초반 호서 지역의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문하에서는 리기심성론의 세부적인 내용을 두고 논쟁이 시작되었다. 그 논쟁은 먼저 한원진과 최징후(崔徵厚)․한홍조(韓弘祚)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나 이간(李柬)이 한원진(韓元震)의 견해를 비판함으로써 논쟁의 구도가 한원진과 이간을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고 논쟁의 쟁점도 점차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두 가지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쟁 과정에서 변곡점이 된 것은 그들의 스승인 권상하의 개입이다. 권상하는 미발론과 인물성론 모두에서 한원진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제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따르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였다. 심지어 이간에게는 “한원진이 미발일 때 선악의 종자가 있다고 말한 것이 무슨 병통이 있기에 그처럼 꾸짖는가?”라고 하여, 그의 한원진 비판이 못마땅하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 이후 호서 지역에서는 이간과 현상벽(玄尙璧) 등 일부를 제외하고 다수의 학자들이 인물성이론과 미발기질유선악론으로 기울어져 갔다. 이에 대해 이간은 “선생님의 말씀이 한 번 나오면 사방의 학자들이 그것을 확정된 이론으로 여긴다.”면서 경직된 학문 풍토를 비판했으나, 한원진의 견해가 수암 문하의 주류 학설, 즉 호학으로 자리 잡게 되는 대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결과 18세기 초반을 넘어서면서 심성 논쟁의 전선이 자연스럽게 호서의 학자들과 낙하의 학자들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것이 이른바 호락논쟁이다.

      • KCI등재

        임윤지당의 『윤지당유고』에 나타난 안회 연구

        유정은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myunjidang(任允摯堂, 1721-1793) understood and recognized Yan Hui in her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Yungidangyugo』, and what she wanted to learn and practice through Yan Hui. Imyunjidang was the first female Neo-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iggest reason that she is renowned as the first female Neo-Confucian scholar is that her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Yungidangyugo』 has been passed down. Academic activities were the male realm and the preserve of male Sadaebu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she lived. Not only was it taboo for women themselves to write, but also prohibited even for the sake of their family, and reading that goes beyond the cultivation of womanly virtues was considered to be contrary to the duty of women. Nevertheless, Yunjidang wrote many writings expressing her aspiration for Neo-Confucianism and her identity as a Neo-Confucian scholar. She also expressed her will to actively publish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hoping that her own academic results would not be in vain, and the output is 『Yungidangyugo』. Her subjective belief that she tried to become a saint is clearly revealed in 『Yungidangyugo』. Neo-Confucianism led her to realize her human self while recognizing her as a Neo-Confucian scholar throughout her life, and to present her subjective belief as a Neo-Confucian scholar. Yungidang's belief made it possible to secure human universality that saints and criminals are the same in their nature, and furthermore it argues that men and women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rather than being qualitatively different or having superiority or inferiority. In particular, there is a person who led Yungidang to pursue Hohak with her subjective belief as a Neo-Confucian scholar in terms of 『Yungidangyugo』, that is Yan Hui. 『Yungidangyugoo』 contains 35 writings, of which only one is a tribute to one person. Considering that she directly organized her own collection of writings, 「Writing to Admire Yan Zi’s Hohak」 is the only tribute to a person that she wrote in her life. There is no doubt that Yan Hui is the person who made her have a lifelong belief. Then why was Yan Hui? In this study, the reason lies in Yan Hui’s Hohak.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Yungidang who sharpened a knife in her mind as Yan Hui did, in order not to transfer anger to others and not to repeat the same faults, while practicing Hohak. It also shows that Yungidang was ‘Hakijijija(a person who knows by learning)’ who deeply admired Yan Hui, with a firm resolution 'If someone tries once, then I will truly try a thousand times’, while revering Yan Hui as a saint, who was Hakijijija(a person who knows by learning). 본 논문은 임윤지당(任允摯堂)이 그녀의 문집 『윤지당유고』에서 안회(顔回)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인정했는지, 그리고 안회를 통해 윤지당이 배우고, 실천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윤지당은 조선후기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이다. 그녀가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그녀의 문집인 『윤지당유고』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가 살았던 조선시대의 학문 활동은 남성의 영역이었고, 남성사대부의 전유물이었다. 여성이 글을 남기는 것은 여성 자신은 물론 가문을 위해서도 금기시 되었을 뿐만 아니라 부덕(婦德) 함양을 넘어선 독서는 여성의 본분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지당은 성리학에 대한 열망과 성리학자로서의 정체성을 표명하는 다수의 글들을 남겼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학문적 결과가 무의미하게 사라지지 않기를 희망하며 적극적인 문집 발행 의지도 표명하였다. 그 결과물이 『윤지당유고』이다. 『윤지당유고』 속에는 성인이 되고자 노력했던 그녀의 주체적 신념들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성리학은 평생을 통해 그녀를 성리학자라는 인식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나를 자각하고 성리학자로서 주체적 신념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윤지당의 신념은 성인(聖人)과 범인(凡人)은 그 본성에 있어 동일하다는 인간의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였고, 더 나아가 남성과 여성은 질적으로 다르거나 우열의 차이를 가진 존재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주장한다. 특히 『윤지당유고』에서 윤지당이 성리학자로서 주체적 신념을 갖고 호학(好學)할 수 있도록 이끈 인물이 있는데, 바로 안회이다. 『윤지당유고』에는 35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인물 예찬서는 단 1편뿐이다. 자신의 문집을 직접 정리했던 윤지당임을 감안한다면 그녀가 살아생전 지었던 인물 예찬서는 지금 전하는 단 1편 「안자의 호학을 찬하는 글」이 유일하다. 그만큼 윤지당 평생의 신념이 되었던 인물이 안회임은 틀림없다. 그렇다면 윤지당은 왜 안회였을까?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안회의 호학에 두었고, 호학을 실천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노여움을 옮기지 않으며, 같은 허물을 되풀이하지 않으려고 안회가 품었던 마음의 칼날을 함께 품고 살았던 윤지당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 학이지지자(學而知之者)였던 안회를 성인으로 추앙하며, 윤지당 자신도 ‘진실로 남이 한 번 노력하면 나는 천 번 노력한다’는 굳은 다짐으로 안회를 간절히 사모했던 학이지지자 윤지당을 만나볼 수 있다.

      • KCI등재

        『이학집변異學集辨』도가 비판의 특징 - ‘이단’ 비판에 내재된 영남퇴계학파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박원재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8

        『이학집변』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이르는 시기에 활동한 영남의 유학자 류건휴가 쓴 유학의 이단 비판서이다. 류건휴는 정주학의 입장에서 유학의 전통적인 이단인 도道‧불佛은 물론 육왕학을 비롯한 유학 내부의 이질적 학파 그리고 당시 새롭게 등장한 서학까지 집대성하여 다룸으로써 유학의 이단관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이 가운데 도가 부분은 주로 유학의 정체성과 배치되는 도가의 주장에 대해 비판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도와 인의예지의 관계에 대한 시각이라든가 무위無爲에 대한 비판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저자가 추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유학 일반에 대한 수호라기보다 ‘유학-정주학-퇴계학-호학湖學으로 이어지는, 자신이 선택한 도통에 대한 수호이다. 이는 직접적으로 저자 자신의 가학家學 연원에 뿌리를 둔 문제의식이기도 한데, 이 부분이 『이학집변』의 도가비판에 내재되어 있는 중요한 사상사적 맥락이다. Yihak-jipbyeon, written by Ryu Geon-hyu who was a confucian scholar of the Youngnam district between late 18C and early 19C, is a Confucian criticism on heterodoxy. Yihak-jipbyeon provides good resources to study the viewpoint of Ch’eng-Chu School(程朱學) on heterodoxy since it compiled a wide variety of heterodoxy from not only Taoism and Buddhism which were traditional heterodoxies of Confucianism, but also heresies like the doctrines of Ryuk-Wang School(陸王學) and newly-arrived Western Learning(Catholicism). Among them, the chapter on Taoism is mainly focused on the Taoism opinion which collides with Confucian identity. The view on the relation of Tao and Benevolence (仁)‧Righteousness(義)‧Propriety(禮)‧Wisdom(智), and criticism on Wu-wei(無爲) are representative. What author pursue through these studies is ultimately to protect Dao-tong(orthodoxy: 道統) he chose which is continued through ‘Con-Men School(孔孟學)→Ch’eng-Chu School→Toegye School→Daesan School’ rather than the general Confucianism itself. It is directly connected to author’s own awareness of problem which rooted in the origin of academic tradition of his family, and this part is the very important context of idea underlying in the criticism on Taoism of Yihak-jipbyeon.

      • KCI등재후보

        유교문화와 노년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Elderly in Korea are facing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and meaning of old age, were analyzed from two aspects. Especially in old age to a standstill for the misunderstandings and lies the first problem to solve, referring to his own old age Elderly boundaries of the self-proclaimed love of learning (好學), the second, which is called old age by the Elderly understanding of others, or of the third person Elderly roles and reconciliation (和諧) Review the meaning of the problem was through. First, the boundaries of the self-proclaimed love of learning the topic of Elderly in the current Elderly hierarchy in Korea suffered the most serious confusion and opportunity to overcome this internal reflection by none other than the identity of their own, ensuring that the establishment of self can be possible by said. As a first for this methodology to fixing errors on your own is always actively to embrace the attitude that it is important to. Next on his errors and bias control of the acceptance of radical resection and the reason can be related with the others soon means. This reality can maintain such a love of learning for learning as a continuous iterative learning and it will be out by applying in relation to others. Finally, in relation to others, my own passion and interest in how soon can focus on what i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his identity. This situation toward the batter at the same time as the instrument was out of expanding. Next you need to perform the role as the third person Elderly to perform this role in the ultimate reconciliation directive point is based. And such a thesis based on the Confucian culture of Korea and the Elderly society, a misunderstanding of the correct recognition could make a turning point sought. Where old people to identify themselves properly for the current location, from which Elderly role as a focus is not merely dwell on himself. As for this most basic attempt to reach Elderly themselves to the brink of death through the constant activity in their lives doing the best practical attitude. This is no longer Elderly retired underprivileged in society, rather than understanding, openly practice in older people, faithful to his role as a hierarchy that is Elderly. And those who act as their own old age without resorting to these influences naturally played by gifts unto others soon to expand to meet everyone happy when you finally have a community will be able to configure. This is reconciliation 본고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노년이 직면하고 있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다음 두 측면에서 노년의 의미를 분석했다. 특히 노년에 대한 오해와 답보상태로 놓여있는 문제해결을 첫째, 노년이 자기 스스로에게 일컬을 수 있는 자칭노년의 경계와 호학(好學), 둘째, 노년이 타인에 의해서 일컬어지는 노년의 이해, 즉 타칭노년의 역할과 화해(和諧)에 대한 의미를 통해서 문제를 검토했다. 먼저 자칭노년의 경계와 호학의 논제를 현재 한국 사회에서 노년계층이 겪는 가장 심각한 혼란과 이를 극복할 수 계기가 다름아닌 자신의 내면적 성찰을 통한 주체성의 확보, 즉 자기의 확립에 의해서 가능함을 밝혔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자신의 과실을 고치는 것에 있어서 언제나 적극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자세를 마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신의 과오와 편견에 대한 과감한 절제와 통제의 수용은 곧 타인과의 상관적 사유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자신을 존립시켜 줄 수 있는 배움으로서의 호학에 대한 끊임없는 반복학습과 이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적용시켜 나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 자신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얼마나 열정과 관심으로 집중할 수 있는지는 곧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타자의 확충을 위한 계기가 되었다. 다음은 타칭노년으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론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화해(和諧)에 두고 있다. 그리고 이 논지를 토대로 한국 사회의 유교문화와 노년에 대한 오해를 올바로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전환점을 모색했다. 여기서 노년은 자신에 대한 현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로부터 노년으로서 역할론의 초점이 단지 자신에게만 머물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시도로서 노년 스스로가 죽음에 이르기 직전까지 끊임없는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하는 실천적인 태도이다. 이는 노년을 더 이상 우리 사회에서 은퇴한 소외된 계층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게 노년층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충실히 실천하는 계층으로서의 노년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년이 각자의 역할을 누구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자연스럽게 수행해 나감으로써 이같은 영향은 곧바로 타인에게로 확충된다. 그리고 마침내 모두가 만족하는 행복한 공동체 사회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화해(和諧)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