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김건식(KonShi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1

        기술혁신을 포함한 기업의 혁신이 기업과 산업의 성장 및 경쟁우위에 기여한다는 연구는 많으나, 주로 연구개발 집약도 또는 특허로 측정되는 기술적 혁신의 성과 검증에 집중되어왔다. 또한 혁신의 단계 또는 프로세스에 관한 기존 모형들은 대부분 기술 혁신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창출-기술개발-혁신성과 도출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형들은 지식의 창출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거나 기술적인 혁신에 국한된 지식의 변환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혁신 모형을 확장하여 혁신활동부터 기업의 운영성과와 재무적 성과까지를 포괄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경로들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인과적인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활동이 늘어나면 신제품 출시, 공정혁신, 특허출원과 같은 혁신의 성과가 늘어나고, 혁신성과는 기업의 운영성과를 높이며, 운영성과는 매출성장률을 향상시키는 경로가 검증되었다. 둘째, 종속변수가 혁신성과, 기업운영성과, 재무적 성과의 방향으로 혁신의 직접적인 성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혁신활동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혁신성과가 매출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는 소기업이 중기업보다 높으며, 중기업의 경우 혁신성과는 매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대기업의 경우 혁신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혁신의 전유성은 혁신성과, 특허출원건수, 기업운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Extant studies have explained that firm’s innovations including technological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contribute to its competitive advantage and growth, thereby supporting competitiveness and growth of industry. These studies, however, have focused mainly on the role and effect of technological change that is primarily measured by the patent numbers and R&D intensity. Aside from these traditional stream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on the impact by various dimensions of innovation including non-technological innovations. Apart from the discussions on the dimensions and scope of innovation, stages or processes of innovation also have been studied. Extant studies on innovation process model, however, has limited its interests in the structure of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This study have established a comprehensive model embracing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to investigate the causal paths between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Using multi-level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path analysis, this study have found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ocesses from innovative activities to innovation output and outcomes including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t firm level were verified. Secondly, the influence of innovation decreases gradually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direct outputs of the innovation increase in the direction of financial outcomes. Third, the effect of innovation on the sales growth rate is higher for small businesses than for medium-sized businesses. The effect of innovation on the profit rate, however, is significant only for medium-sized businesses. For large businesses, innovation has no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any financial performance at all. Fourth, Fourth, the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innovative performance, patent application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연구논문 :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방식이 혁신유형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태종 ( Tae Jong Leem ),이상완 ( Sang Wan Lee ),김순기 ( Soon Kee Kim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3

        기업은 급변하는 경영환경하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 등을 개선하거나 또는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 등을 창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다. 혁신이 기업의 유지와 성장을 위한 필수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관리회계 분야에서는 혁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며, 특히 관리통제시스템의 이용, 혁신, 그리고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나마 최근에 이루어진 이에 대한 대표적인 두 연구(Bisbe and Otley, 2004; Henri, 2006)에서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 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혁신에 내재되어 있는 서로 다른 성격을 구분하지 않고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방식을 진단적 이용과 상호작용적 이용으로, 혁신유형을 활용적 혁신과 탐험적 혁신으로, 그리고 조직성과를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로 구분한 후에 PMS의 이용, 혁신유형, 그리고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KIS-Value 2010에 등재되어 있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 중에서 종업원 수가 120명 이상인 상위 3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10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는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MS의 진단적 이용은 재무 및 비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도 재무 및 비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MS의 진단적 이용은 활용적 혁신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고,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탐험적 혁신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용적 혁신은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고, 탐험적 혁신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 모두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과 비재무성과간의 관계에서는 탐험적 혁신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PMS의 이용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혁신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혁신 유형에 따라 이를 지원하는 PMS의 이용방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혁신은 기본적으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유형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업이 추구하는 혁신의 유형에 따라 최고경영자가 PMS를 이용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하며, 또한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우위를 지속하고자 하는 기업은 PMS의 진단적 이용과 활용적 혁신뿐만 아니라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과 탐험적 혁신도 추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If a business enterprise is to stay ahead in management environment with competitive edges, it must strive either to improve existing products, services and processes or create new ones. In order to achieve this, continuous innovation is necessary. Despite the fact that innov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survival and the growth of business organization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on innovation in management accounting area and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particularly on the employment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MCS) and innovation and its relation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en the two best known studies(Bisbe and Otley, 2004; Henri, 2006) in this area did not produce consistent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discordance of the results of these two studies is because the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ithout distinguish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attributes of innovation. In this study, therefor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analyz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use of PMS, innovation typ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distinguishing two different us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PMS), namely, diagnostic use and interactive use, two different types of innovation that are exploitative innovation and exploratory innovation, and two different face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For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has been used and distributed to upper 300 companies with more than 120 employees among the companies listed in KIS-Value 2010 as well as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A total of 108 companies returned filled-in questionnaires.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diagnostic use and interactive use of PM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econd, the diagnostic use of P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xploitative innovation while interactive use of P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xploratory innovation. Third, exploitative inno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while exploratory inno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Fourth, exploratory innova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active use of PMS and non- financial performanc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use of PM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it does through innovation and that the type of innov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way how PMS is used. Moreover, innovation basically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ha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innova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way how PMS is implemented by top management has to be flexible to suit the type of innovation the company is pursuing. They also suggest that, if the company i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maintain competitive edges, it must pursue the diagnostic use of PMS combined with exploitative innovation as well as the interactive use of PMS combined with exploratory innovation.

      • KCI등재

        [중소기업/중견기업/소상공인/지역기업]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업특성과 기술혁신성에 따른 R&D 성과에 관한 연구

        현승용 ( Seung Yong Hyun ),최윤석 ( Yoon Seok Cho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R&D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기존 연구에서 기업의 경영환경적 특성의 주요 테마인 환경불확실성, 분권화 뿐만 아니라, 자원기반관점에서 기업의 유 · 무형적 자산과 특성, 정부 지원 등을 동시에 고려하고, 특히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이 R&D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변수들을 포함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기업의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측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경영환경적 특성으로서 외적 구조인 환경불확실성, 내적 구조인 분권화 정도, 외부 자원인 정부지원, 내부 자원인 규모와 업력 등 외생 변수가 기술혁신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2,3,4를 검증한 결과, 내부자원(.299) →환경불확실성(.158) →분권화(.101)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자원 요인이 제일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결국 기업이 오랜 기간 경영활동을 통해 축적한유 · 무형의 자산, 즉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업의 역량이 기술혁신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둘째,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환경불확실성, 분권화, 외부자원, 내부자원 요인은 R&D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6,7,8을 검증한 결과, 이들 각 4개 요인은 R&D성과에 직접적으로 아무런 여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적 특성은 일반적인 경영성과에는 영향을 미칠수 있으나 이보다 선행되는 관점에서 기술혁신성과 관련 있는 R&D 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나타내며, 특히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본연의 기술혁신성을 통한경쟁우위 전략에 더욱 노력을 기올여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이 R&D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9를 검증한 결과 기술혁신성이 R&D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신제품과 특허 등에 관련을 두고 1차적 성과라고 볼 수 있는 R&D 성과를 좌우하는 요인은 여러 경영환경적 특성과 구조적, 자원적 요인으로는 부족하며, 실질적 기업의 기술혁신성의 강화와 이를 뒷받침하는 조직문화가 구축될 때, R&D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시도되지 않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R&D 성과에 관한 연구로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본연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들의 R&D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결정요인을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ype small businesse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their R&D performances.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has considered not only the major themes of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examined in advanced research such as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decentralization but also a company`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characteristics, or governmental support from the aspects of its resource ground as well, and it also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n their R&D performances. For this, the paper formulates its hypotheses as well as its study model including study variables affecting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ype small businesses` R&D performances. In 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ground and study subject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rticle measures each of the study variables through a survey targeting INNOBIZ small businesse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the study figures out correlation among the study variables suggested here in this paper, and to measure variables affecting corporate R&D performances, it applies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for positive analysis. The study will discuss its results drawn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 and analysis procedure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hypo thesis 1,2,3, and 4 that exogenous variables includ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of the external structure,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governmental support of the external resource, and the scale and cooperation of internal resources as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ill influence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here exists greater influence in internal resources (.299), environmental uncertainty (.158), and decentralization (.101) in order. The result that the factor of internal resources has the greatest influence implies that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ccumulated through a company`s long-term management activity, that is, corporate capabilities we can generally think of, work positively on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5,6,7, and 8 that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factor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decentralization, external resources, and internal resources will influence their R&D performances, these four factors do not have any direct influence on R&D performances. This means that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ay affect their general management performances, but from a preceding perspective, they do not show direct influence on R&D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performances. In particular, this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make further efforts for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own original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9 that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will affect their R&D performance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do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D performances. To sum up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factors affecting R&D performances, that is, primary performances in connection with new products or patents still lack to be any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r structural and resource factors. Thus, when a company`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is enhanced practically and its organizational culture supporting it is built, it will be possible to elevate its R&D performances. This study deals with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R&D performances that have not been investigated yet in advanced research.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s on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figures out determinants to improve their R&D performances through empirical research.

      • KCI등재

        기술혁신역량이 기업의 지식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 중소벤처기업 R&D사업을 중심으로

        설동철,박철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Due to the recent mid- to long-term slump and falling growth rates in the global economy, interest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create new products or services as a new alternative to survive and develop in an opaque environmen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enhance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through changes in production methods and business innov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In this atmosphere, we agree that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members so that these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can enhance and sustain thei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how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correlate with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role of network capabilities to organize the strategic activities of enterprise to obtain the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be used for value creation from external networks. In other word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by using network capabilities as parame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innovation capabiliti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by using network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should respond quickly to new changes in an environment where uncertainty has increased, and lead to macro-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overcoming long-term economic downturns so that they can become the nation's new growth engine as well as sustainable growth and survival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amo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no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contrast, it was shown that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fact that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qual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re identified in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utilizing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contrary to a number of studies by thos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ffect financial performance during prior research.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research companies have been out of start-up companies for more than seven years, but sales are less than 10 billion won, and unlike start-up companies,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intangible non-financial performance than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le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by parameters of network capability.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no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no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ameter effects of network competency are limited to when R&D and learning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quantitative financial perform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ameter effects of network competency are limited to when R&D and learning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quantitative financial performance. 최근 글로벌 경제의 중장기적 불황과 성장률 하락에 기인하여, 대내외적으로 불투명한 환경하에서 생존하며 발전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상품을 탄생시키고 생산방식의 변화와 업무 혁신 등으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술혁신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성이 지대하다는 것을 다수가 공감 중이며, 그런 중소벤처기업들이 기업 성과를 높이고 성과의 지속이 가능하도록 구성원들의 기술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지식경영의 성과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기업의 전략적 활동을 조직화하여 가치 창출에 사용될 자원과 조직 능력을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게 하는 네트워크역량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확대 또는 강화해야 하는 영향요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내·외부적인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역량이 중소벤처기업의 네트워크역량을 매개로 삼아, 기술혁신역량이 지식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기술혁신역량을 기반으로 한 경제활동이 코로나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환경에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며, 장기적 경기 침체 극복은 물론이고 거시적 경제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조직의 지속적 성장과 생존뿐 아니라, 국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조직 내 가장 중요한 지식경영성과의 종속변수 설정을 통해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술혁신역량 중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은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기업혁신 활동은 재무적성과 및 비재무적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역량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활동을 하는 중소벤처기업 경영에서 무형적이며 비재무적인 요인 영향성이 확인되는 것은 선행연구 중 기업혁신 활동이 재무적성과에 영향성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와는 반대되는 결과이지만 일부 연구와는 유사한 결과이다. 이런 결과도출의 이유로는 조사기업들 다수의 업력이 7년 이상으로 스타트업 기업은 벗어났으나 매출은 100억 이하인 중소벤처기업들로서 매출 수익 일변도의 스타트업 시점과는 달리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이 재무적인 성과보다 무형적 비재무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기업혁신 활동은 재무와 비재무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은 네트워크역량을 매개변수로 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혁신 활동은 네트워크역량의 매개변수 영향성이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도 비재무적성과에는 영향성이 없었다. 네트워크역량의 매개변수 효과가 나타내는 것은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이 계량적 재무적성과를 도출할 때로 한정됨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들을 토대로 추후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측정에서는 비재무적성과 측정을 강화하도록 하는 정책 시행을 제시하는 바이다.

      • KCI등재

        기술혁신 및 시장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신왕재(Wangjae Shin),김영준(YoungJun Kim)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9

        본 연구는 기업의 시장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장지향성과 기술혁신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십 유형별로 어떤 양상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2021년 6월 - 7월 온라인 방식의 설문을 총 3,173명에게 발송하여 산업 및 직급의 적정한 분포를 고려하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14개의 응답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혁신은 시장지향성이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고객지향성이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은 완전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기술혁신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경쟁자지향성이 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기능간 조정이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은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기술혁신과 기업성과 사이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변혁적리더십과 거래적리더십의 조절효과가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에 대해서는 변혁적리더십만이 시장지향성과 비재무적성과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만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시장지향성과 같이 고객을 중시하는 마케팅 활동을 병행하는 것이 기업의 성과를 크게 할 수 있다는 것과 변혁적리더십/거래적리더십이 기술혁신 및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연구결과로 밝혀졌다. 본 연구가 횡단분석의 한계가 있지만, 학문적으로 기술혁신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시장지향성 및 리더십과 관계를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기술혁신의 실질적인 성공원인을 찾는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는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기술혁신이 기업현장에서 성공하기 위하여 시장지향성 등 마케팅 및 리더십이 어떤 방식으로 현장에 적용되어야 하는 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 of technical innovation in the process in which a company’s market orientation influences its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verify how market orientation and technical innovation are moderated by each type of leadership in the process of affecting corporate performance. For the sample, an online questionnaire was sent to a total of 3,173 people from June to July 2021, considering the proper distribution of industries and positions, and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nd finally 414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s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hypothetical validation accordingly. First, technical inno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in which market orientation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but the mediating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 Second, although technical innova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fully mediated effect in the process of customer orientation affecting financial performance, the mediated effect of technical innovation on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competitor orientation affect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echnical innovation has no mediated effec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chnical innovation on financial performance,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echnical innovation on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between technical innov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bo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Regarding market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t has been found that, rather than pursuing only technical innov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mpany’s performance by concurrently carrying out marketing activities that focus on customers, such as market orient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transactional leadership between technical innovation and market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cross-sectional analysis. However, it is meaningful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to find the actual cause of success of technical innovatio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leadership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echnical innovation at the same time. In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echnical innovation can help to understand how marketing and leadership such as market orient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field in order to succeed in the corporate field.

      • KCI등재후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의 영향

        서리빈 ( Ri Bin Seo ),윤현덕 ( Heon Deok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7 No.4

        혁신활동과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시대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성과창출이 갖는 경제적, 정책적 및 전략적 의미와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들 중소기업이 목표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과 개선은 성과평가의 지속성과 정확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경쟁자의 모방이 어려운 기업특수자원의 개발·확보가 경쟁우위와 성과창출에 기여 한다는 자원 기반관점에 근거하여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는 특허를 포함한 지적재산권의 수, 혁신제품 매출비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과 같은 정량적 혁신성과지표와 함께, 매출액 성장률과 투자대비 수익률과 같은 재무적 기업성과지표를 주요지표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정량적 지표가 자원의 한계성이 높고 혁신의 범위가 좁은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내재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계화된 경영관리능력과 연구개발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 특히 신생벤처기업의 경우에는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확보하고 일련의 혁신 프로세스를 통해 기업성과를 창출하기까지 시간적 격차, 즉 리드타임을 겪게 된다. 이들의 혁신 프로세스가 내포한 높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견주어 볼 때, 측정 가능한 수치적 혁신지표가 가시화되기 어려운 상황 하에서 정량적 평가요소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오히려 지속적인 성과평가를 저해한다. 이는 시장 및 기술변화에 대응하고 신속히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에게 보다 중요한 향후 혁신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간과될 여지가 높다. 또한 자원기반관점에 기반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투입-산출-결과의 혁신 프로세스(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를 구조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주로 중소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만을 분석한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상으로 논의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을 수행하는 가운데 활용 가능한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technological competitiveness)의 측정을 제안하고, 그 도입의 효과성과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해, 앞서 기술한 정량적지표가 갖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정성적 성과지표 도입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기술보증기금이 운용 중인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의 정성적 평가요인을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조작적 정의를 실시,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기술요소에 대하여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이라는 세 가지 기술경쟁력 측정항목을 산정하였다. 다음, 선행연구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주요혁신자원으로 규명된 혁신역량(innovation capabilities)과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을 혁신 프로세스 투입으로, 기술경쟁력을 투입에 따른 산출로, 기업성과(business performance)를 투입과 산출의 결과로서 구조화시킨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벤처기업인증을 획득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총 360개의 유효표본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혁신역량(R&D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전략계획역량, 조직관리역량, 학습역량, 자원배분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모든 하위요소는 기술경쟁력을 대변하는 개발기술요소의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역량을 제외한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하위요소는 기업성과의 증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산출(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기술경쟁력)의 영향관계가 투입-결과(혁신역량/ 기업가적 지향성→기업성과)보다 높은 설명력과 적합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술경쟁력의 세 가지 하위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검증됨과 동시에, 기술경쟁력이 투입(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과 결과(기업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술 경쟁력의 강화를 산출하고, 강화된 기술경쟁력이 기업성과라는 혁신 프로세스 결과를 이끄는 순차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는 연구자가 제안한 기술경쟁력 개념과 측정항목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약한 유의적 영향관계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리드타임 동안에는 기술경쟁력이 전략적 성과관리목표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투입-산출- 결과의 관점으로 구조화된 혁신 프로세스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해당 모형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혁신 잠재력을 반영하는 기술경쟁력 평가의 적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To achieve high performance standards depends on effectively measuring and monitoring company``s performance by reflecting continuously whether a firm reacts and adapts to external changes. A growing number of empirical works support key assertions of the resource-based view (RBV) literature that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riginated from its unique firm-specific resources and inimitable capabilities. Most based on the literature have examined the immediate impact of resources which a firm possesses on performance, and many of them have emphasiz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to measure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high-tec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uffering from lack of resources and managerial expertise usually requires a longer lead time from obtaining resources to achieving anticipated outcomes than expected due to high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During the lead time, the SMEs with insufficient ability to keep evaluating current performance measurement continuously can face a challenge to identify directions for innovation in coping with external changes. In line with RBV,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of innovation process that enables high-tech SMEs to identify the main weaknesses and take corrective measures during R&D periods. Starting from a review of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in SMEs, we propose tha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C) may be a more accurate, key performance indicator of high-tech SMEs than widely accepted indicator, such as innovative product rates, patent numbers, and R&D spending. The concept of TC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echnology Guarantee Fund``s technology rating system that measures technological superiority, marketability and feasibility of a developing technology. In the samples of 360 Korean high-tech SMEs with the Venture Business Certificate issued by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integrated research model structured with innovation capabilities (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TC,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tested through multi-regression model. The results confirms that TC affected positively by ICs and EO should be considered a significant innovation process output that reinforces business performance of high-tech SMEs. Both of ICs-R&D, manufacturing, marketing strategic plann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rning,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y- and EO-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have more positively effect on TC than business performance. Lastly, TC fully mediates the weaker relationships of ICs and EO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s framework of high-tech SMEs, the ICs/EO-TC-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contributes to forming the input-output-outcome mechanism of their innovation process as well a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dapting TC into a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

        경영혁신 유형과 진행수준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원배,이창대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y innovation pattern, introduction and propel stage have differences, and is searching for a solution to most appropriate innovation scheme for company of our country. We classified innovation to management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for this study, and used work circumstance improvement effect for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ales increasing rate and R&D performance for financial performance. Sample companie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is study are innovation carrying, or propelling companies in our country before 2007. By results of this study, work circumstance improvement is not related to management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but financial performance effect is related to the pattern of management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are classification innovation into management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introduction, and investigation on that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y innovation pattern, introduction and propel stage have differences, also presentation of practical innovation application matching for characteristic of company.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영혁신 유형과 경영혁신 도입, 추진단계별로 재무적, 비재무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기업에 가장 적합한 경영혁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경영혁신을 도입·적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을 관리혁신과 기술혁신으로 구분하였고, 비재무적 성과는 업무환경개선효과를 이용하였으며, 재무적 성과는 매출액증가율과 연구개발성과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하기 위한 표본대상은, 2007년 1월 1일 이전 경영혁신을 실시하고 있거나 추진 중인 기업, 서울 및 수도권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관리혁신 및 기술혁신에 관계없이 업무환경은 개선이 이루어지나 재무적성과는 관리혁신 및 기술혁신의 유형에 따라 그 영향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영혁신을 관리혁신과 기술혁신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 도입·추진 단계에 따라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성과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는데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기업의 특성에 따른 경영혁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재무적 성과변수를 매출액 증가율과 연구개발성과변수만을 이용하였고 비재무적 성과는 업무환경개선효과변수를 이용하였다. 보다 다양한 재무비율변수와 비재무적 성과변수를 활용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재무성과변수와 비재무적 성과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국가연구개발 성과 확산시스템

        김계수,이민형,김양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정책연구 Vol.- No.-

        최근 정부연구개발 투자규모가 급속히 증가하여 2004년도의 정부연구개발예산이 7조원에 이르고 정부총괄예산의 4%를 초과하게 되었다. 더구나 앞으로는 정부예산의 7%까지 연구개발예산의 투자확대가 거론되면서 국가연구개발예산의 투자 효율성 및 효과성에 대한 문제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다원적 무한경쟁사회로 진입하면서 우리나라 국가 R&D체제의 중심주제는 투입요소 중심의 효율성 주제에서 점차 국가전략목표, 국가 R&D 성과 등과 관련된 효과성 주제로 전환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 R&D 수행주체에 대한 감독체제도 점차 변하여 90년대까지는 여러 정부부처가 출연연구기관을 산하에 두고 양적 투입요소 중심으로 개별 관리하는 체제가 유지되어 오다가 1999년부터는 성과중심의 자율책임경영을 모토로 하는 범부처적 공동 활용체제의 연구회체제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와 아울러 최근에 와서는 공공부문의 재정개혁을 위한 본격적인 성과중심의 예산관리체제로 진입하게 되었다. 위임에 의한 성과중심 예산관리체제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기획예산처에서는 ‘성과관리제도’를 도입하였고, 2004년에 와서는 참여정부의 재정개혁을 뒷받침하기위한 재정운용의 기본법으로서 1960년대의 예산회계법을 40여년 만에 새로운 ‘국가재정법’으로 대체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국가재정법의 내용은 중장기 국가재정운용계획수립과 자율과 책임을 근간으로 하는 예산 총액배분 자율편성제도, 성과중심의 재정운용, 성과와 예산연계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국가예산체제도 이제 위임에 의한 성과주의 예산관리체제로 본격적인 전환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국가예산체제의 변화에 따라 국가 R&D분야에서도 ‘총괄 예산위임’에 의한 성과예산관리체제로 나아 가게 되면서 최근 과학기술부에 국가 R&D 총괄예산의 조정관리를 위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04년 11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출범시켰다. 그리고 지금까지 개별 부처별로 추진해오던 다양한 국가 R&D사업들을 국가적 차원에서 국가전략목표에 맞도록 재설계하고 국가 R&D성과가 상용화되어 국부창출로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국가 R&D성과의 적극적인 실용화를 통하여 국가 R&D사업이 국부창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 . 상용화 개발 . 국내 상용화 . 수출전략 산업화’하는 전주기적 지원방안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성과중심의 국가 R&D 추진체제’로 본격적인 진입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성과중심의 국가 R&D체제변화에 적합한 새로운 ‘국가 R&D성과 확산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국가 R&D성과 확산시스템은 국가 R&D성과가 국가경쟁력 제고와 국가균형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하는 목적적합성에 중심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시스템은 지금보다 좀더 우수한 양질의 국가 R&D성과창출을 획기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아울러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좀더 체계적인 성과확산을 통한 적극적인 국가 R&D 혁신 장치들이 내장되어 있다. 새로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이러한 규범적 가설의 내용을 요약하면, 국가 R&D성과 확산시스템이 성공적인 기능을 하기 위한 핵심성공요소는 (1)필요한 기술, (2)양질의 기술, (3)유효한 지역 확산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공요소와 관련된 기본 가설에 따라 기존 시스템을 분석 진단하고 새로운 처방에 따른 새로운 정책시스템으로서 성과확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략적 가치는 양질의 성과창출을 위한 성장촉진 정책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확산정책의 균형적 정책기조에 두고 있다. 즉, 새로운 시스템의 기본 설계 틀은 창의적 집중성장 촉진과 균형발전을 위한 적정분배의 조화와 균형에 기초한다. 지금까지는 ‘선택과 집중’에 치우친 국가 R&D 추진정책이었다면,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집중창출과 균형배분의 조화를 지향하는 정책이 되겠다.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은 ‘창의성 극대화를 위한 역량집중’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R&D역량의 지역분배’의 조화를 지향하는 NIS(국가기술혁신시스템)와 RIS(지역혁신시스템)의 균형적 운영시스템에 중심적 가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전략적 가치를 바탕으로 개발한 국가 R&D성과 확산시스템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1. 국가 R&D 총괄사업구조의 전략적 종합목표관리(TMO): Total Management System by Objectives (1) ‘전략사업’과 ‘기초사업’의 균형구조 유지관리 (2) ‘원천기반 사업’과 ‘상시실용화 사업’의 연계구조 유지관리 2. 국가 R&D 증권제도 (NRS): National R&D Security System 3. 개인 지식자본 중심의 수행체제(PKC): Personal Knowledge Capital System (1) 개인지식자본(PKC) 계정운영 (2) 개인지식자본(PKC) 회사운영 4. RRS(지역혁신 책임수행체제): Regional Innovation Responsibility System (1) 연대책임 혁신체제 (2) 자율책임 혁신체제 5. CMC(성과확산시스템의 종합운영시스템): Comprehensive Management Control System 앞에서 언급한 새로운 국가 R&D 성과확산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들이 단일 통합유기체로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운영하는 관리시스템이다. 즉, 지금까지 설명한 4개의 하위시스템을 하나의 단일 통합시스템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개별 구성시스템에 대한 합리적 운영관리도 중요하지만, 각 시스템의 기능이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나의 총괄시스템으로서 종합 운영하는 ‘제대로 된 운전기술’이 더욱 중요하다. TMO에 관한 국가전략목표를 제대로 이해하고 NRS에 의한 펀드유입이 원활한지 조정하면서 PKC 창출동력을 활성화시키는 종합적인 통합시스템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RRS의 자율책임역량이 활성화되어 국가 R&D성과의 확산이 해당 지역의 혁신으로 연결되도록 지속적인 조율이 필요하다. 이러한 CMC의 종합조정 능력의 발휘는 지속적인 성장동력 창출과 일인당 국민 소득 2만 불 고지를 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국가 R&D의 종합전략경영역량이다. 그리고 CMC 핵심기능에는 각 부처들의 다양한 국가 R&D 정책의 목적적합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각 부처의 국가 R&D사업 추진에 대한 성과감독을 통해 종합적 국가 R&D전략의 수정보완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CMC의 최종 임무는 국가 R&D체제의 목적적합성의 유지관리 임무이다. 현재 국가 R&D 추진상황에서 전략적 방향에 수정사항이 생겼는지 아니면 계속 진행해도 되는 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전략적 조정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종합목표관리를 위하여 기초사업과 전략사업의 견실한 균형유지는 제대로 되고 있는지., 실용화 사업의 종합성과와 지역균형발전에의 걸림돌은 어떤 것이 발생했는지, 원천기반사업과 실용화 사업간의 연계성은 건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지. 등등에 관한 국가 R&D추진체제 상의 전반적인 전략적 목표달성에 관한 정책감독 정보를 포괄적으로 창출하여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수시로 보고할 수 있어야 한다. CMC에서는 각 단계별로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정하여 각 시스템의 효율적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정보창출을 위해 ‘국가 R&D 종합경영정보시스템’을 기본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이러한 CMC의 효율적 운영책임은 과학기술혁신본부에 있다. 따라서 혁신본부는 이상과 같은 거시적인 국가 R&D추진상의 전략목표에 관한 ‘변화 관리’의 임무를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혁신본부는 각 부처의 국가 R&D정책수행 결과에 대한 정규적인 평가를 체계적으로 하고 개별 추진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과 이에 대응한 정책적 처방을 내려야 할 것이다. 새로운 국가 R&D성과확산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별 시스템들의 상호 기능적 연계 활동에서 총체적인 시너지효

      • KCI우수등재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혁신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유연우(Yen-Yoo You),노재확(Jae-Whak Roh)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제조업 중심)의 기술혁신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정부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평가모델의 적합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성과’를 기술의 경쟁력 변화 성과, 기술혁신 경영 성과, 기술적 예측성과”를 포함하는 광의의 기술 혁신 성과로 정의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변수는 55개 설명변수를 ‘기술 혁신 능력’, ‘기술사업화능력’, ‘기업의 기술 혁신 경영 능력’의 3가지 대분류 및 중 그리고 소분류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한 결과, 기술혁신능력, 기술사업화능력, 기술혁신경영능력 모두가 기술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기술 혁신 능력은 기술 경쟁력을 높이면서 미래의 사업결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사업화 능력은 기술 경쟁력 변화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 예측성과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당장 경영 수준을 높이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기술 혁신 경영 능력은 기술경쟁력변화성과를 높이면서 기술 혁신을 이끌 수는 있으나 동 기간 내에 기술 경영 성과를 이룰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미래의 기술적 성과를 높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for Inno-biz.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help the government formulate Inno-biz related supporting policies and improve the fitness of evaluation models for Inno-biz.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he outcome of technology innovation” includes technology competitiveness changes, technology forecasting as well as the outcome of technology innovation. For this analysis, 55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and categorized into ability of technology innovation, ability of commercialization, and ability of technology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three variable groups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outcome of technology innovation. Especially ability of technology innovation is highly related to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business in future. The ability of commercialization enhances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predictability in major business indexes; however it doesn’t influence business performance in a short-term period. The ability of technology management enables businesses to forecast technology changes, but doesn’t effect short-term business outcomes.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시장지향성과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대용,박권홍 한국상업교육학회 2010 상업교육연구 Vol.24 No.2

        오늘날 기업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지식창출을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조직의 학습문화 형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최근 조직론연구에서 학습 문화로써 학습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의 인과관계, 시장지향성이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서로들 상이한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학습지향성이 시장지향성,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학습지향성 및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에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는 기계 및 조립금속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했으며 분석기법은 신뢰성 및 타당석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은 시장지향성과 혁신성의 선행변수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장지향성은 혁신성의 선행변수이고 학습지향성과 혁신성 관계를 매개함으로써 부분매개 효과를 가졌다. 셋째, 학습지향성,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관계에 혁신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은 혁신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장지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혁신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중소기업의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필요한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 그리고 혁신성이라는 기업가적 리더십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For the enterprise in today's knowledge society, forming a learn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 to achieve quality improvement of human resource was raised as a big task above all to create knowledge for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Reflecting this trend, the recent study reports that learning orientation as a learn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ult of research, however, suggests the different figures about whether it is influenced b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for finding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innovativeness, corporate performance against top management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which brought forth meaningful results as follow; First, learning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as the proactive variables of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Second, market orientation, as a proactive variable of innovativeness, appeare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y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Accordingly, learning orientat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innovativeness, and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innovativeness through market orient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novativeness was found to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representing that learning orientation played a proactive role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that was argued in the related proactive studies, and also reached a significant result even in an causal relationship on innovativeness of market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