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안정민,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yeoin youths in Central Asia and present the case of Korean language immersion camp for Koryeoin youths.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processes, participant information, and the details of the camp program were discussed in detail. In addition, four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and measu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amp program: satisfacti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ction plan for setting goals after camp, and Korean identity efficacy. Students have generally been high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Korea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In this study, two suggestions were ad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yeoin youths. The systematic pre-management and follow-up management should be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of Koryeoin youth should be continued. 이 논문은 한국어 사용 기회가 거의 없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 청소년의 한국어와 관련한 특징을 살피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8년에 진행된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집중 캠프’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논문이다. 논문에서는 고려인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집중캠프의 목적과 목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행된 현지 인터뷰 및간담회의 과정과 내용, 참가자 정보, 캠프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네 가지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측정했는데, 만족도 조사와 한국어 성취도 평가, 캠프 이후에 자신의 목표를 세우도록 하는 액션 플랜 세우기, 한국어와한민족 정체성 효능감 평가가 그것이다. 학생들은 대체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점에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 한국어 성취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진단 평가에 비해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향상시키고 캠프에서 배운 내용을 고국에 돌아가서도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액션 플랜 세우기의 과정과 결과도 보였다. 새롭게 시도된 고려인 청소년들의 한민족 정체성 효능감에 대한 평가 도구와 내용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보완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두 가지의 제언을 덧붙였다.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의 전과 후에 체계적인 사전 관리과 사후 관리가 지속되어야 한다는것과 고려인 청소년의 학부모와 교사들을 위한 한국어교육도 계속해서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임서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viduality 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scientific viewpoints. It was obviou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ld be established itself as a science just only it improved it's individuality and characteristics. And so,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s and the scientific syst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ther to improved it's individuality and characteristics in actually. As the result of it, we knew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s an interdisciplinary sciences witch could be unified by several sciences. And these kinds of interdisciplinary sciences were organized by one main science which was called b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and many auxiliary sciences such as linguistics, literature, pedagogy, psychology, sociology, etc.. Moreover a main science and many auxiliary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many particular sciences and practical or applied sciences as sub-disciplinary sciences again.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그에 따른 학적 체계를 학문의 의미와 개별 학문의 분화 과정 그리고 그에 대한 학문분류 체계 속에서 탐색해보는데 있다. 그에 따른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의 골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은 학제적 학문으로서 여러 학문들이 한국어문교육을 주제로 기본학문과 보조학문의 관계 속에서 서로 통합되어야 한다. 즉 연구의 동기나 목적에 따라 실용학문이나 응용학문으로서의 한국어문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기본학문으로 하고, 학문의 논리적 순서에 따라 어문, 교육, 한국 등에 관한 기초학문이나 순수학문으로서의 언어학, 문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을 그 보조학문으로 한다. 둘째, 기본학문으로서의 한국어문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는 주제의 특수성에 따라 세부적으로 특수학문의 차원에서 목표, 내용, 평가, 교재, 교수-학습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보조학문으로서의 언어학, 문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은 연구의 목적이나 논리적 순서에 따라 실용학문이나 응용학문을 그 하위 분야로 필요로 한다. 셋째, 한국어문교육과정은 한국어의 의미와 교육 대상의 차이에 따라 모국어(또는 제1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이중 언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제2언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외국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본 국내 대학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

        박나리 ( Na Ree Park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2 No.-

        한국어문학과는 일반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학 전문가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문학은 모국어로서의 국어와 국문학이 아닌,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국문학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이 국어국문학과에 다만 한국어교육적인 요소를 추가한 예로부터 한국어교육에 집중한 경우에 이르기까지 그 변폭이 매우 크다는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한국어문학과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적 제안을 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외 학습자의 수요가 상당하며 한국어문학과의 개설 동인이 되기도 한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현존하는 교육과정을 살피고, 그 문제점을 진단한 후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안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어교육적 요소를 교육과정에서 점차 확대시켜나가고자 할 때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보고자 하였다.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ically, sees Korean language in an objective way. However, curriculum of man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shows no big difference from that of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especially in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hich has been highly increasing for the last several yea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trong necessity for standardization in curriculum is insisted since the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in each college are so great that its graduates, namely, potential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not likely to meet educatee`s general need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culture, etc.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in desig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ed on its own identity and the needs of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are expected to dedicate the standardization.

      • KCI등재후보

        재미동포 저밀집 지역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캠프

        진정란 ( Chong Nan C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9 외국어교육연구 Vol.23 No.2

        이 논문은 재미동포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여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하나로 한국어 캠프를 제안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재미동포들은 주로 서남부와 동북부에 밀집해 살고 있으며 동포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관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양도 이러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포 저밀집지역의 한국어 교육기관은 주말에 진행되는 한국학교가 전담하다시피하고 있으나 그 수도 적고 규모도 작아 교육 소비자인 동포들의 교육적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해당 지역의 동포 자녀들이 한국계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자신감을 갖춘 미국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해 나가는 데 부정적인 작용을 할 염려가 있다. 이에 이러한 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단기간 몰입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언어와 문화를 습득토록 하는 한국어 캠프를 도입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한국어 캠프는 몰입 프로그램의 특징을 가져 학습자들이 자신의 흥미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된 활동을 하면서 즐겁게 언어와 문화에 대한 학습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히 한국에 직접 오지 않고도 한국을 방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동포 자녀들끼리 교류할 기회를 얻음으로 인해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음도 밝혔다. 한국어 캠프의 학습 활동의 구성 요소로 상황별 언어습득이 가능한 활동, 학습자 중심의 열린 활동,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활동, 과제 수행을 위한 활동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적용한 한국어 캠프의 활동과 한국어 캠프의 하루 일과표를 예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an effective program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Korean-American students living in areas with low concentrations of Korean Americans (hereafter "Rare Areas"or RA), such as the mid-west, mid-south and southeastern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Very limited support is available to Korean Americans seeking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these areas. Most existing resources are directed at servicing the large Korean American communities in the southwest and northeast, and this is where most of the institutions offering Korean educational services are located. The learning of their own mother tongue and culture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very positive self-identity for minority peoples in the USA. Hence, it is very important that Korea supports Korean Americans living in RA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caused by their isolation from the large Korean communities so that they can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 suggest that Korean language camps are an effective way to provide Korean Americans living in RA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ith the immersion environment created in a camp, students can learn languag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without experiencing stress or difficulty. In this paper I present a sample one week camp program schedule and activity list.

      • KCI등재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이정희,임채훈,박나리,박진욱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This study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analyzed current state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rovide a basic data that utilized in expanding and activating overseas Korean education. So far,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upported not only by private dimension led with domestic college but state-run foundation. From the 2000s, the growing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culture and the spread of Korean wave increased the dema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eet this global interest, a national led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ject was conducted. In the overseas environment, various factors like curriculum policies, professional manpower,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 facilities are limited to realize high qual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ystemization and practical support plan for the expansion pro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search of resolution to exp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ding from foreign faculty by analyzing overseas Korean studies info of Korea Exchange Foundation and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of offer standing and current state of foreign faculty Korean (Korean study). 본 연구는 해외 한국어 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해외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와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해외 한국어교육은 그간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한 민간 차원에서의 지원과 더불어 국가 주도의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와 더불어 한류의 확산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한국어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세계적 현상에 부응하기 위해 국가 주도의 해외 한국어 사업이 실시되었다. 해외 환경에서 양질의 한국어교육을 실현하기에는 교육과정 정책에서부터 전문 인력, 교육용 콘텐츠, 교육 제반 시설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하겠다. 한국어교육 확대 사업에 대한 국가 차원에서의 체계화 및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대학 중심의 한국어 교육 확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한국 국제 교류 재단의 해외 한국학 데이터베이스 분석과 해외 대학 한국어(한국학) 보급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해외 정규교육기관을 통한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원장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김선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Korean language adoption of overs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directors of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on how to activ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long been centered on adult education through no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continuously expand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are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anks to developing and executing strategic projects centered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past 20 years. In order to continue this atmosphere and to expand the interest in the adoption of Korean as a subje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more countries,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at the Korean government level is needed. The Korean language support progra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 timely move to take a leap forward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where the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recently increased due to the Korean Wave. In order to activate the Korean language ado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ocal universities must first be activated and then expand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In addition, it will focus on the location of Korean companies and the formation of overseas Korean communities, build infra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astly, Korean language adoption programs have to be executed as well as policy suppor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management of schools that have already adopted Korean language as a subject is necessary. To this end,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level and organic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required.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육원장들을 대상으로 해외 한국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이를 바탕으로 해외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채택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오랫동안 비정규교육기관을 통한 성인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던 한국어교육이 지난 20년 동안 정부에서전략적인 사업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정규교육기관에서의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보다 많은 국가의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교과목으로 채택하는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 차원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부가추진하고 있는 초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 채택 지원 사업은 최근 한류 등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있는 해외 현지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지금이 도약을 꾀할 수 있는 적시라고 할 수 있다. 초중등학교의 한국어 채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지 대학을 먼저 활성화한 후 초중등학교로 확대해야 한다. 또한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고, 한국교육원의 설치 확대 및 운영을 활성화해야한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 진출 소재지 및 한인사회 형성지역을 집중 공략하고, 한국어교육을 위한 인프라를구축하면서 한국어교육의 질을 제고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한국어 채택 지원사업을 추진함과 아울러 한국어를 이미 채택한 학교의 관리에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 차원의적극적인 지원과 해외 한국어교육 관련 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과 표준 문법

        양명희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6 No.-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propose its content and rang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Education is the grammar that works as a teaching criteria, and it is not only the norm but also the general and average grammar that reflects the actual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In accordanc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Education should satisfy authenticity and educational usefulness as well as accuracy. Also,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Education should combine theory of Korean linguistics and teaching practice, and should be categorized into separate parts in order to function as a educational grammar to Korean teachers. Moreover, further study and research on colloquial grammar,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lexicon and sentence based on Korean teachers’ attitude is necessary. Grammar of well-formed sentence is not enough to function as educational grammar; therefore, colloquial grammar based on actual usage is essential. 이 글은 한국어교육 표준 문법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그 내용과 범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한국어교육 표준 문법은 준거가 되는 문법인 동시에 일반적이고 평균적인 즉, 실제 사용되는 한국어의 양상을 설명하는 문법을 뜻한다. 이에 따라 한국어교육 표준 문법은 정확성뿐 아니라 실제성과 교육 유용성을 갖추어야 한다. 한국어교육 표준 문법은 한국어교사들에게 지침이 되는 교육 문법으로 기능하기 위해 이론과 실제가 분리되지 않고 상호 연관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발음부터 담화까지 영역별로 구성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구어 문법에 대한 연구와 어휘, 문법의 의미적, 화용적 정보에 대한 연구가 더욱 다양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정형문 중심의 문법은 교육 문법으로 기능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사용에 기반한 구어 문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재외동포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재 편찬 단계 제언

        정형근(Jeong Hyeong ge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1

        이 논문은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편찬 단계 제언에 대한 연구이다. 국내 한국어교육이 독립적인 학문의 체계를 수립하는 양질의 발전을 거듭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은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재외동포 학습자들이 겪는 학습 동기의 저하와 학습 단절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이 제시될 수 있다. 특히 문학작품이 지닌 장점을 교수자료화 하고 이 과정에서 국내 작품 뿐 아니라 재외한인작가들의 문학작품들을 함께 수록하는 것은 언어교육의 차원을 넘어 정체성 교육의 측면에서도 그 교육적 효용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재외한인작가들의 작품에는 각 거주국 별 이주의 신산함과 정착의 과정, 이중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학교재 편찬을 위한 방안으로 크게 3단계의 과정을 제안하였다. 제1단계는 교육내용을 표준화하기 위한 단계로 국내외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에 의한 요구조사와 교육목표와 표준 교육과정의 수립을 제안하였다. 제 2단계는 교재 구성의 단계로 국내외 한국어교사, 한국어교육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한 집필진의 구성, 구체적인 작품 선정 기준의 마련, 국내외 자료의 수집과 분석, 선정된 작품의 체계적인 구성과 그 작품들을 언어교수화 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단계는 최종 감수와 부교재의 제작 단계이다. 한국어교육 전문가와 문학교육 전문가, 재외한국어교육기관의 교사들이 교차 검증을 통해 교재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특히 언어권에 따른 현지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며 다양한 시청각 교재로 구성된 부교재의 제작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이 재외동포 한국어학습자들을 위한 문학교재 편찬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a need and plan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for overseas Koreans learning Korean. As Korean education in the nation has made remarkable growth including its own independent academic system,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has relatively been at a stalemate. Its biggest causes are the lowered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rupted learning of overseas Koreans trying to learn the language. One of educational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problems is to make use of literary works in Korean education. Making literary works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ir advantages and including the works of overseas Korean writers in such teaching materials as well as native Korean writers in the process will have educational utility in the aspect of identity education beyond language education. The works of overseas Korean writers vividly depict the hardship of migration, settlement process, and worries over dual identity by the countries of their current residence.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three-stage plan for the compilation of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Stage 1 for the standard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suggested a needs survey with experts on Korean education home and abroad 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oals and standard curriculums. Stage 2 for the organization of specific teaching materials emphasized the composition of writing staffs with Korean teachers and experts on Korean education home and abroad, criteria to select specific works for the teaching materials,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home and abroad, systematic organization of selected works, and utilization of selected works in the language lessons in the forms of original, annotated, and abstract versions. Finally, the third step is to create a final confirmation and supplementary material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pecialist education professionals, teachers overse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cross-validation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text. It is especially required to reflect the 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where overseas Koreans learning Korean live according to the language groups and make auxiliary teaching materials comprised of various audiovisual data. The study will hopefully offer a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of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for overseas Koreans learning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