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청소년수련시설 공공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강영배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인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427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의용의향, 타인 추천 의향 그리고 청소년수련시설 이용만족도는 청소년의 공공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의향, 타인 추천의향 그리고 청소년수련시설 이용만족도는 편의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의향, 타인 추천 의향 그리고 청소년수련시설 이용만족도는 포용성 및 형평성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의향, 타인 추천의향 그리고 청소년수련시설 이용만족도는 지속가능성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사의 수용적 태도가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학생참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 분석-

        박성준 ( Seong Jun Park ),김주일 ( Ju Ill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용적 태도가 학생참여에 대한 인식을 매개하여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급에 따른 변인 간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1년 아동,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라 교사의 수용적 태도, 학생참여에 대한 인식,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차이가 있었으며 초등학교가 다른 학교급에 비해 주요 변인들의 값이 높았다. 둘째, 교사의 수용적 태도는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참여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수용적 태도와 청소년의 정치효능감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 영향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고등학교에서는 교사의 수용적 태도가 학생참여에 대한 인식을 매개하여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청소년에 대한 교사의 수용적 태도, 민주적 학급운영 및 시민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참여활동이 질적인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은 학교급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정치효능감 증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증대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1)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receptive and youth political efficacy, and 2)school level differences in the above relationships. The 2011 Civic Competencies of Child and Youth in Korea data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engagement perception, and youth political efficacy were significantly varied in the school levels and elementary school level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he three variables than other two school levels. Second, teacher receptive at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youth political efficacy. And student engagement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receptive attitude and youth political efficacy. Lastly, school leve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receptive attitude, student engagement perception and youth political efficacy were found. For high school students, teacher receptive attitude had an indirect effect on youth political efficacy through student engagement perception. Implications for fostering youth political efficacy are discussed.

      • 미래지향적 청소년시설 및 공간 혁신 방안 연구

        김경준,강경균,변나향,이미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새로운 정책 환경 변화와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따른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기능과 역할 변화, 그리고 청소년시설 및 공간 혁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코로나 19 이후에 청소년수련시설과 공간의 재구조화 및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청소년시설·공간 혁신에 대한 수련시설 현장과 청소년의 의견 및 전문가 의견, 그리고 국내·외 혁신 사례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청소년시설ㆍ공간의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자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 의견조사, 청소년 요구조사, 국내·외 사례조사, 전문가 포럼, 전문가 의견조사 등을 주요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 의견조사는 전국 799개 청소년수련시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전수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523 사례가 조사ㆍ분석되었다. 청소년 요구조사는 청소년들의 수련시설의 시설·공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28개의 사례가 조사ㆍ분석되었다. 사례조사는 국내 사례의 경우에는 인터넷 자료조사와 현장 방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혁신사례에 대한 시설·공간 분석과 관련 시설 종사자 대상의 심층면담 분석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외국 사례의 경우에는 미국, 프랑스, 싱가포르의 현지 유학 또는 근무 경험이 있는 청소년전문가가 각 나라별 우수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수련시설별로 혁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생활권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자연권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원, 유스호스텔, 청소년야영장) 등 시설 유형별로 5명 내외의 전문가패널단을 구성하여 4차례에 걸쳐서 정기적인 포럼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청소년시설·공간에 대한 정책 비전과 혁신 방향 및 혁신 주요 내용을 제안하였다. 혁신 비전은 미래지향적 청소년시설ㆍ공간 혁신 방안 마련으로 설정하였다. 혁신방향은 ‘1. 청소년시설의 공공성 회복을 지향해야 한다.’, ‘2. 청소년시설의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3. 시설공간의 청소년 친화성을 강화해야 한다.’, ‘4. 디지털 및 친환경 기술 등 미래지향성을 확대해야 한다.’ 의 4가지로 하였다. 또한 혁신 주요 내용으로는 ‘1. 청소년수련시설 개념 및 범위의 혁신적 변화’, ‘2. 청소년활동시설 유형의 새로운 분류’, ‘3. 지역 및 시설 특성을 반영한 시설·공간의 창출 극대화’, ‘4. 청소년 친화적 시설공간의 확대’, ‘5. 가변적이고 청소년 주도적인 시설ㆍ공간의 구성·배치’, ‘6. 미래지향적인 청소년시설을 위한 시설 기준의 개정’의 6가지로 설정하였다.

      • 새로운 청소년통합지원 체계와 기출청소년쉽터 기능의 탐색

        이민희 한국청소년보호지도학회 2010 청소년보호지도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과제에 대한 연구목표를 가지고 고찰되었다. 즉, 하나는 새로운 정부조직의 개편에 따라 청소년을 지원하는 통합적 체계에 기존 체계의 틀을 벗어나 변화를 요구하는 것과 이러한 새로운 통합지원 체계에 따라 가출청소년쉼터에 그의 기능을 새롭게 부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현행 청소년통합지원체계 중에서 ‘방과후아카데미’와 ‘ CYS-Net’의 문제점과 비효율성을 지적하면서 대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러한 새로운 제안과 연계해서 가정 고 위험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가출청소년쉼터의 새로운 기능의 정립에 대한 문제제기와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되었다. 먼저 새로운 청소년통합지원 체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 동안 소외되었던 청소년활동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복원하여 진취적인 새로운 청소년정책의 패러다임을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정부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강구에 있어서 청소년정책의 정체성을 가장 잘 담보하고 있는 청소년 ‘활동’의 이념 대신 청소년 ‘역량’의 개념을 활동에 대치하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 된다. 셋째, 현재 청소년통합지원체계로 통용되는 CYS-Net의 허브 기관은 반드시 상담관련기관이 되어야만 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수련관이나 가출청소년쉼터도 그 기능을 맡을 수 있다. 넷째, CYS-Net와 함께 청소년정책의 예산을 많이 소모하고 있는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또한 그의 내용과 의미, 대상 및 가치가 정부의 다른 부처 사업들과 중복되어 시행되고 있지는 않은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가출첨소년쉼터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탐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88 의 긴급보호를 위해서는 기존의 단기쉼터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과 아웃리치 동반자사업의 경우에도 기존의 아웃리치 사업을 행하고 있는 일시쉼터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일시쉼터의 수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청소년복지지원법」 에서 가출청소년쉼터의 내용들에 관한 조항이 대폭 확대하여 가출청소년쉼터의 기능과 역할이 수요에 부응하여야 한다. 셋째, 현행 청소년통합지원체계에서 상담관련기관 만 허브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단기쉼터도 대상청소년에 따라 허브기관으로 선정될 필요가 있다. 넷째, 현 한국청소년쉼터협회를 한국청소년쉼터중앙센터로 개편하여 전국의 청소년쉼터를 총괄하고 지원하도록 기구를 확대하여야 한다. 다섯째, 가출청소년의 자립능력 향상을 위한 중장기쉼터의 혁신적 시도와 함께, 현행 교육과학기술부의 Wee CenterY-Wee School을 위탁 영할 수 있도록 가출청소년쉼터의 기능을 확대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영국아일랜드호주의 청소년정책 비교 및 고찰 : 주체, 입법현황, 주요 청소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선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youth policies in England, Ireland and Australia in order to apply the lessons taken to the Korean context.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ary analysis with qualitative approach including the governmental official websites as well as the relevant literatures. Who is in charge of the youth policy is argued and the most recent but important Youth Laws and Regulations were analysed. The influential youth educational policies and youth work policies a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e cas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youth policies is very meaningful however we have to be aware of the own contexts in different countries. Secondly, preparing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global citizenship is urgent task for Korean society. Finally, the voice of young people at risk and immigrant young people(or who has multicultural background) should be heard for the policy makers and policy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영국과 아일랜드, 호주의 청소년정책을 고찰함으로써, 청소년정책의 중요성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을 택하여 각국의 교육 관련정부 부서 홈페이지와 관련 자료의 문헌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각국의 공식적인 청소년관련 부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의 주요 청소년관련 법안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각국의 청소년정책과 교육정책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청소년정책의 배경과 취지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으로는 각국 청소년정책의 다양성과 독립성, 그러나 그 안에 존재하는 청소년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들과, 다문화이해와 소외청소년, 위기청소년에 대한 청소년정책은 연구된 세 나라뿐만 아니라, 한국사회도 경험하고 있는 공통된 과제라는 점이다. 이에 연구자는 한국사회가 점점 좁혀져가는 세계화와 지구화를 인식하고 대비하되, 한국적 상황에 맞는 고유하고 독창적인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청소년정책의 주인공인 청소년 의견수렴의 중요성과 특히 소외청소년과 이민자 청소년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 통합정책 개발 방향 - 법률과 정책 측면에서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

        박진규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통합과 융합이 새로운 추세이자 사회구성원들이 갖는 문제해결의 중요한 접근방식임을 인식하고, 아동과 청소년 부문에서의 새로운 통합방안을 모색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법률적인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청소년과 아동의 통합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의 분석과 비교에 의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청소년 영역에서의 통합적 정책을 강구해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이자 그 가능성에 있어서도 실현될 수 있는 바이다. 다변화하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 성장 과정 중에 청소년기만을 별도로 개념화하기가 쉽지 않고, ‘이것이 청소년이다‘라고 정의내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법률적 정책적 실효성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향후 인구변화 추이도 아동과 청소년 정책이 통합을 이루어내야 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둘째, 법률적인 통합을 이루어 내는 것이 훨씬 더 큰 파급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가능성도 높다 하겠다. 법률적 통합의 방안으로 현행의 아동복지법과 청소년복지지원법을 단일화하는 것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법률적인 통합보다는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는 아동과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정책의 통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들 수 있는 것이 2008년도부터 시행 예정인 제4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08-2012)을 아동청소년정책기본계획(2008-2012)으로 수정하여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the ways of integrated polic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writer admitting that the integration is one of the current trends in every walk in this society. Especially this study is to focus on policy integration in lawful term and in policy-mak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methodology of the approach adopted was the literature analysis. Som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ion of polic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s an un-avoidable trend and requirement in term of decrease in coherent pop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recent years. 2. The lawful integration is the most effective one and necessary one in field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example, the Welfare Act for Children and the Welfare Promotion Act for Adolescents can easily merged into one act, temporary Welfare Promotion Ac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3. The integration in policy-making can be possib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specially the Master Plan for Adolescents for 2008-2012 can be easily modified into the Master Pla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2008-2012.

      • KCI등재

        청소년 성별에 따른 흡연경험 관련변인 연구

        김원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smoking behavior in Korean youth based on Korean Youth Health Data in 2010.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9,844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relevant determinants of smoking behavior in Korean male and female youth. The variables in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impulsiveness, anxiety, self-esteem, self-efficacy, stress, and perception of physical health), ecological factors (parenting, economic support,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family relations, relations to teachers, and peer relations), and gender as a control variabl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impulsiveness,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smoking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both male and female youth.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self-esteem, parenting, relations to teachers, and anxie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moking behavior in male youth, while economic support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moking behavior in female youth. The findings suggested future studies including a list of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grade on smoking behavio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and policies were discussed. 청소년의 흡연 경험 유무와 흡연행동의 예측을 위해 흡연행동 관련 변인을 파악하고 특히 남녀 청소년 간 흡연행동 경험의 비율에 차이를 보이는 것과 관련하여 흡연행동 관련 변인에 있어서도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 청소년 건강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초, 중, 고 청소년 9,844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흡연경험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남녀별 흡연행동 예언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흡연경험 관련요인으로 통제변인(성별), 개인내적․심리적 요인(우울감, 충동성, 불안․긴장,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신체적 건강지각) 및 사회․환경적 요인(부모양육행동, 사회적지지, 경제적 지원, 사회참여, 가족유대, 선생님유대, 친구유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흡연경험 및 흡연행동 예언 변인으로 충동성,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요인이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남녀 청소년 통합모형, 남자 청소년 모형, 여자 청소년 모형 모두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였다. 그 밖의 영향 요인에 대해서는 남녀 청소년 간 차이를 보였다. 남자 청소년은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행동, 선생님과의 유대, 불안․긴장 변인이, 여자청소년은 경제적 지원이 흡연 경험과 흡연행동 여부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흡연 행동에 대한 개인의 충동성 경향과 사회적지지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청소년 흡연행동의 예방이나 비행에 대한 대책 및 정책의 수립에 있어 본 연구 결과의 적용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지역사회 청소년 스포츠 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김정숙,정은주,정현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스포츠 활동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 기능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은 학교체육을 통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스포츠활동이 다양해지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활동이 학교체육 영역에 한정되기보다는 지역사회 영역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기관이 협력하여 청소년 스포츠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청소년 스포츠 활동 지원정책을 분석하고,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또한 청소년 스포츠 활동 활성화 사례분석과 전문가 자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청소년 스포츠활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및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 면담조사, 사례조사(case study) 등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2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스포츠 활동 참여 실태, 학교스포츠클럽 및 지역사회 스포츠 활동 참여 실태, 지역사회 스포츠 활동에 대한 요구 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면담조사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중 면담조사참여에 동의한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과거와 현재 스포츠 활동 참여 경험과 그 의미, 스포츠 활동에 대한 요구수준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청소년 스포츠 활동을 담당하는 2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 및 FGI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청소년 스포츠 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스포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도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분석하였다. 상술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정책과제를 발굴하였고, 최종적으로 3개의 정책과제 영역과 34개의 세부 정책과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Sports activities play a positive role in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peopl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policy agendas that can revitalize youth sports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Most teenagers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held in their schools. However, in order to diversify and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youth sports activities, they need to be expanded to the community domain rather than keeping them limited to the school-level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thus endeavored to seek measures to support youth sports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within the community. To this e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hat support youth sports activities were examined. Furthermore, the current status of and the needs for youth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case studies on youth sports activities and expert advisory surveys were done to analyze the key points and implications when seeking ways to revitalize youth sport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238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ose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status regarding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status concerning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and local community sports centers; and the level of demand for community sports activitie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adolescents who consented to the interview and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s pertained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in the past and present, its significance, and the level of demand for sports activities. Furthermor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argeting 28 experts in charge of youth sports activities to collect views on ways to revitalize youth sport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Lastly, ideal cases that c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deriving policy measures were ascertain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analysis results, the authors identified certain policy agendas, and proposed 34 detailed sub-policy agendas within three main policy domains.

      • 2021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총괄보고서

        김영지,유설희,최홍일,이민희,김진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과 아동・청소년 인권실태분석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인권 현황을 파악하고 인권정책 개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제3기 아동・청소년 인권 연구의 5차년도 과제이다.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인권실태를 파악하고 진전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체계를 마련하라는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시작되어 2017년 제3기 연구부터 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국가승인통계인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여, 아동권리협약에 기반한 ‘아동․청소년인권지표체계’ 115개 지표 항목 중 42개 지표 항목의 결과를 생산하는 데 활용된다. 조사결과는 아동・청소년의 인권실태와 인권상황 진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계열 자료로 축적되고 있으며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MDIS)에 원자료와 통계표를 탑재하고 있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전문가협의회, 워크숍, 의견조사 등을 실시하여 제5․6차 아동권리협약 권고사항 이행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과 인권실태 분석 등을 통해 17개의 주요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최종 산출물은 총괄보고서, 심화분석보고서, 기초분석보고서 등 총 3종이며, 인권데이터의 이론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소논문인 심화분석보고서의 2021년도 주제는 ‘인권인식과 학교문화’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outcomes of the fifth year of the third research project o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Korea and coming up with suggestions for human rights policy development based on monitor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CRC)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This study was launched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to establish a systematic data collection system for assessing the status of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and continuously monitor progress in this area. Starting with the third research project, which began in 2017, monitor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UNCRC has been strengthened. Children’s and Youth Rights Survey (CYRS) has been conducted annually (of students in Korea from the fourth year of elementary school to the final (third) year of high school) since it was designated in 2009 as an Official Statistics (No. 402001) with the aim of producing 42 of the 115 indicators of the child/youth rights indicator system, based on the UNCRC.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ccumulated as time series data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for children and youth and the progress being made in this area, and the raw data and statistical tables are shared with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nd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expert councils, workshops, and opin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5th and 6th Conventions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derive future initiatives. As a final step, 17 major policy initiativ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monitor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analysis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The final output includes a general report, advanced analysis report, and basic statistical report, and the theme of the 2021 advanced analysis report, which is a brief review done to improve the theoretical utilization of human rights data, i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school culture.”

      • KCI등재

        초기 비행청소년과 후기 비행청소년의 비행경로 비교

        박현수(Park Hyun-Soo),정혜원(J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기존 한국사회의 청소년비행을 가장 잘 설명했던 비행친구, 부모애착, 자기통제를 근거로 비행을 시작하는 시점차이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비행을 시작하는 시기에 따라 초기 비행청소년(early starter)와 후기 비행청소년(late starter) 로 구분하여 각각의 비행발달경로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비행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낮은 자기통제력은 초기에 비행에 진입하는 청소년에게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후기에 비행을 진입하는 청소년들에게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초기 비행청소년의 경우 2차년도 이후에 비행친구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비행도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기통제는 비행의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자기통제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2차년도 이후에 비행의 증가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후기 비행청소년의 경우 2차년도 이후에 비행친구의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비행도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의 경우에는 초기 비행청소년이나 후기 비행청소년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number of hypotheses concerning different routes to delinquency. These included the issues of self control, delinquent friends, and parent attachment among adolescents who display an early versus late onset of delinquent behaviors.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on 3441 adolesc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t pathways. Our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even though low selfcontrol in the early stages of delinquent behavior has an influenced on a juvenile who is just starting to be involved in delinquent behavior, it does not appear to have any effect on a juvenile who is involved in delinquent behavior later. Second, the more delinquent friends an early starter acquires into their second year of delinquent behavior, the more delinquent behaviors they engage in. This indicates that self control influences the change rate of delinquent behavior passively. The increasing speed of delinquent behavior for a juvenile with high self control proceeded rapidly after the second year of being engaged in delinquent behavior. The faster the acquisition of delinquent friends for a late starter after the second year, the faster their delinquent behaviors increase. Lastly, both early and late starters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parents attac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