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ㆍ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

        박종숙(Park Jeong Sook),이미숙(Misuk Lee)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특수학급의 부모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수학급이 있는 17개 학교를 선정하여, 특수학급 교사를 통해 부모 12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100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특수학급의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이해 정도, 진로와 직업에 대한 의사결정의 의논 상대, 진로 및 직업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진로 및 직업 교육의 시기,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도움 정도, 학교에서 진로 및 직업 교육 개선을 위한 방안, 가정에서 진로 및 직업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부모의 진로 및 직업적 요구를 파악하여 진로 및 직업교육의 내용을 직업재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으로 확대하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과 가족중심의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the perception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their parent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to 120 parents in 17 schools which have special classes, and then 100 gathered surveys were used as analyzing material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gree of parents’ understanding abou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classes, the discussion partner for decision of career and vocation, teachers’ role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tim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degree of support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way for improv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way to carry ou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t home were presented. Finally, for further research, through figuring out the needs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need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es of the content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not only vocational rehabilitation but also independence in daily and social life, and the program of family-center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nvigorated.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실천적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조규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actical measures for how to apply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to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existing transition education model, the study has searched for practical activities to meet the demands of today's newly changing transition educa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practical activities to the curriculum which have been demanded in the field of transition education was reviewed while another applicability and appropricacy to the curriculum of 2010 were discussed. All those processes were for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transition education reform.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measure for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were looked into, counselling for choosing a career, carrying out of a work experience, improving the job awareness, guiding the students to a proper job choice as well as a social activity, providing an environmental support via a local network and at school, and a total support through a systematic ITP were came up as the practical measures which would make the students live an independent social life by allowing them to form a sense of independence inside themselves. How to form an independence inside the students, how to offer an effective environmental support and how to make the students realize an affluent life in a community were induced as problems for the practical measures.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에게 제공되는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사회로 전환하는 실천적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연구이다. 전환교육 모형을 분석하여 변화되는 새로운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요구하는 실천적 활동을 탐색하였다.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요구하는 실천적 활동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여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진로 및 직업교육 요구하는 실천적 활동으로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주체성 형성을 통하여 주체적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직업교육과 진로상담 그리고 현장실습의 실시, 직업인식 및 직업의 선택 결정 그리고 사회참여의 과정의 실질적 진행, 지역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경적 지원, 학교 내의 환경적 지원, 체계적인 ITP 통한 종합적 지원 등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 실행방안에 관한 교사인식

        박영근,윤형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직업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된 정부정책, 직업 관련 인사들의 협력, 진로 및 직업지도 내실화를 위한 개선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전환교육 실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3 혹은 전공과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및 직업교육을 5년 이상 실행해오고 있으며,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하여 실제 수행의 질이 높은 것으로 추천받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외에도 실제로 직업교육 현장을 관찰하였다. 면담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및 직업 지도를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진로ㆍ직업 내실화를 위한 정부 정책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책의 효과로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ㆍ직업교육 질 향상과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자립과 취업률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있는데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일자리의 양적인 확대가 아니라 질적인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직업 담당 교사들은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해서는 부모, 교장, 사업장 동료, 정부관련 기관 등의 관련 인사들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뿐만 아니라, 장애 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지도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교 업무의 경감과 직업교육 전담 인력확보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 KCI등재

        저시력인이 경험한 고등학교과정의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재

        백지윤,이해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persons with severe low vision. To do this, six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general school, the visually impaired school, and the low vision special class we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school was organized by career education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counseling in accordance with grade level, but it was meaningless for low vision students. Second,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visually impaired school centered on fictitious education and university counseling. In the counseling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diversity of career choice case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accumulated in the visually handicapped school, it served as a strength in providing meaningful information to the realistic low vision man through guidance of the stable career and career. However, it was not enough for the challenging attempts of individual interest.Third, in the low vision special class, it is a class composed of low vision students in particular, and the higher education counsel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ow vision students consists of ma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information on the career choice of the previous graduate, the student can choose the course based on the counseling. On the other hand, it was somewhat w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 저시력인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시기의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한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반학교, 저시력학급, 시각장애학교에서경험으로 도출된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반고등학교의 진로 및 직업교육은 성적수준에 맞춘 대학진학상담을 중심으로 진로교과가 편성되어 구성되었으나, 저시력학생에게는 무의미했다. 둘째, 저시력학급에서는 특정적으로 저시력학생으로 구성된 학급인 만큼 저시력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진학상담이주요 진로 및 직업교육으로 구성된다. 선행 졸업자의 진로선택에 대한 누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진학상담을 토대로 학생은 이를 반영하여 진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반면, 저시력학생의 적성 및 흥미를 고려한 진로선택에는 다소 미약했다. 셋째, 시각장애학교에서의학령기 진로 및 직업교육은 이료교육과 대학진학 상담이 중심이 되었다. 시각장애학교에서누적된 시각장애인의 진로 선택사례의 다양성을 토대로 하여 실시된 진학상담에서는 안정적인 진로와 직업에 대한 교사의 안내로 현실적인 저시력인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한다는점에서는 강점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개인의 흥미에 대한 도전적 시도에는 미흡했다

      • KCI등재

        터키의 직업교육훈련 체제 분석 연구

        박윤희(Yoonhee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터키의 직업교육훈련 체제 및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 터키가 직면해 있는 직업교육훈련 과제와 이슈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 발전을 위해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터키의 교육체계는 크게 ‘형식 교육(formal education)’과 ‘비형식 교육(non-formal education)’으로 구분되며, 이들 교육활동은 교육부(Ministry of National Education)가 담당하고 있다. 형식교육은 학령전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의 4개 수준으로 이루어지며, 비형식 교육은 공공교육, 도제훈련, 그리고 원격교육을 통해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터키의 직업교육훈련은 정규교육 영역에서는 중등교육 단계와 중등교육 이후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정규교육 이외의 영역에서는 비형식 교육 형태로 주로 도제훈련을 통해 실시된다. 또한 최근 터키는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인력의 경쟁력강화를 위하여 노동시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양질의 인력을 양성하고, 유럽연합 (EU) 기준에 상응하도록 직업교육훈련 체제를 개혁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터키는 성별 및 지역간 교육격차 문제점 해결, 여학생들의 중등교육참여율 제고 및 중도 탈락률 억제, 직업교육의 활성화, 교육과 노동시장간의 연계성 부족, 직업교육훈련의 질 제고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함으로써 직업교육훈련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Turkey is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one of emerging economies due to their growing importance in the world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system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Korean VET. The study describes major features of Turkish VET system, including Turkish education system, the governance system of VET(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VET), the delivery system of VET(VET institutions), curriculum development, and career guidance. In addition, it discusses major issues Turkey faces with respect to building a national VET system and other human resource issues which are crucial to sustainable growth of this country. Turkey has paid attention to modernize the VET system. However, many issues needed to be solved remain: the gaps among gender and regions, the low enrollment rate and high drop-out rate of girls, a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stud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lack of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and a low quality of VET. Turkish government tri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by improving VET system and practices.

      • KCI등재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연구

        정주영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choice and decision-mak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ex, grade, university entrance, stop-out, double major), university factor(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career program'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job value facto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high grade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entered the desired major have chosen the career. In addition,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in health welfare service and counseling with professor about career have chosen the career. Second,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high grades, double major, and high level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have chosen career path with low relevance to their majors. University students who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career and related personal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dmitted to the desired department, have chosen career paths that are highly related to their majo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것으로, 서울지역 4년제 대학 중 8곳(국·공립 및 사립대학)을 임의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개인요인(성별, 학년, 계열, 입학전형, 본인이 원하는 대학 또는 학과에의 입학여부, 휴학계획, 복수전공 계획), 대학요인(전공만족도, 대학교육서비스 참여 및 만족도, 진로프로그램 참여 및 만족도, 교수와의 면담), 직업가치관 요인으로 주요 요인을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남학생’일수록, ‘학년이 높아질수록’, ‘원하는 학과에 진학’했을수록, 대학교육서비스 중 ‘건강복지 서비스’에 만족할수록, ‘진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할수록’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대학 졸업 이후의 진로를 결정하였을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학년이 높아질수록’, ‘복수전공을 계획’한 대학생일수록, ‘심리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전공분야와 연관성이 ‘낮은’ 진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고, ‘전공분야와 관련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진로관련 개인 및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의 만족도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원하는 학과에 입학한 대학생’일수록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전공분야와의 연관성이 ‘높은’ 진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직종 상황평가 도구 개발

        박상희,박정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vocational skills required by the industry standard for preparing and anticipating future career prepar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developed situational assessment to assess standard vocation capacity. Research methods were the standard vocation capacity-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is. and finally it has been complemented by a modified standard vocation capacity through professional consultation and expert advice. It devised the tools and manuals that can be evaluated in a simulated work environment based on it Situation assessment system is easy to identify availableness for employment through authentic assessment of the vocational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이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직종 상황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직업능력표준을 문헌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둘째, 분석한 직업능력표준에 맞게 직종 상황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직업능력표준 개발과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하였고, 개별 맞춤식 직종 상황평가 도구 개발을 위해 이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협의와 전문가 자문을 거처 최종적으로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고, 이를 토대로 모의작업환경에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직종상황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직종 상황평가 시스템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직능에 대한 실제적 평가를 통해 취업 가능 직종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접근으로 장애학생의 직종 관련 능력을 평가할 수 있고, 평가결과의 누적을 통해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정신지체,자폐성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0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송소현 ( So Hyun Song ),유애란 ( Ae Ran Y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 110편과 학술지 62편을 선정하여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분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연구들은 전환교육이 시작된 1990년대 중반부터 증가하였고 2005년도 이후부터 최고조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시행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정 이후 더욱 다양한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추후 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자면, 단순한 실태 및 요구분석, 인식연구 등의 연구에서 실제적 현장적용을 통한 이론적 모델 정립과 질적 연구방법의 확대 및 연구주제와 종속변인의 다양화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search trend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y analyzing 110 thesis and 62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0 in Korea. Selected papers targeted research methods, study, research subjects, research in the field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tudies are increased from since the mid 1990s the beginning of transition education and most increased since 2005. In addition to, various research topics and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have been activated, After the Enforcement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and revis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ut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Should be expanded to established theoretical models and qualitative research, instead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nvestigation on recognition.

      • KCI등재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현,이숙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12명이 참여하여 총 12회기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변화척도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직업준비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및 직업준비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to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One group pretest-pos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the total social skill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cal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total employment readines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nclusion: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kill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 KCI등재

        중등 발달장애 학생의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 개발 및 활용

        서효정,박윤정,신소은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2

        This article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to support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to establish the basis for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n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field. First, we analyzed the framework of the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CCR) in the United States. A total of 20 experts in the field of transition education participated in Delphi surveys on content validity and field suitability to modify the U.S. CCR framework, and to make it adequate for a domestic situation. In consequence of the iterative refinement process, the Korean version of the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framework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nd included 6 domains, 16 subcategories, and 58 indicators. Seco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unit objectives of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using the proposed framework. The relevance rate between the developed CCR framework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low at 29.3% in total, and only 11 out of 16 subcategories were related to the unit objectives. Based on the results, the article provides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CCR framework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for enhancing efforts to improve student capacities for college. 이 연구는 중등 발달장애 학생들의 대학 진학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현재의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하고, 개발된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를 분석함으로써 중등 교육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미국의 진학 및 진로를 위한 준비 역량(College and Career Readiness, CCR) 체계를 분석하고 전환교육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및 현장적합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여 국내 상황에 맞게 CCR 체계를 수정·보완하였다. 그 결과, 6개 대영역, 16개 하위영역, 58개의 세부요소로 구성된 중등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중등 발달장애 학생의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를 활용하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 단원목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과의 관련성 비율은 전체 29.3%로 다소 낮은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전체 16개 하위영역 중 11개 하위영역만이 단원목표와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의 개발 의미와 중등 발달장애 학생들의 대학 진학 준비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