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대범,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mpirical test for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using 39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o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of e-learning learner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perceived ease-of-us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nalyz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transf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that reflect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n acceptance of e-learning that is common in corporate education.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hich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external characteristic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studied as external factors. Second, most of the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learning transfer are conducted in a single country. The reliability was enhanced by testing the study models using different samples from 26 countrie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sidered as key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and learning transf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cept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he path of learning transf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addition,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of various countrie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전자책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일(Kim, Kyungil)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전자책을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전자책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전자책 이용지속의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크게 전자책 이용 동기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전자책 이용 동기가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분류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추출된 전자책 이용 동기(상호교류동기, 기분전환동기, 재미/흥미동기)가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분전환동기와 재미/흥미동기가 지각된 용이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교류 동기는 지각된 용이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책 이용 동기(상호교류동기, 기분전환동기, 재미/흥미동기)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자책 이용 동기 중 상호교류동기는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기분전환동기는 지각된 유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자책 이용 동기(상호교류동기, 기분전환동기, 재미/흥미동기)가 전자 책 이용자들의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자책 이용 동기 중 상호교류동기를 제외 하고 기분전환동기와 재미/흥미동기가 전자책 이용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자책 이용과 관련하여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각된 유용성은 전자책 이용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a motive of e-book usage and figure out relationship among the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s subject is sorted into three part: the influence e-book usage motive ha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influence e-book usage motive ha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and the influenc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The result were as followed. First,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the usage motive of e-book(interchang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from this study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influence positively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rchange motive influence negatively on perceived ease of use. Also,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the usage motive of e-book(interchang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from this study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interchange motive among the usage motive of e-book influence positively on perceived usefulness and refreshingness influence negatively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the usage motive of e-book(interchange,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motive) from this study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refreshingness and fun/interest, except interchange, influence positively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Third, relate to usage of e-book, as result of research about how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perceived usefulness doesn't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but perceived ease of use influence positively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book.

      • KCI등재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기대-확인 및 지각된 유용성의 중다매개효과 검증

        윤혜향,임형택,류정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기대-확인과 지각된 유용성이 중다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서울․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의 20세 이상 성인여성학습자 459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기대-확인과 지각된 유용성이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적용하여 기대-확인과 지각된 유용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양호하였다. 둘째, 학습몰입과 삶의 만족도, 학습몰입과 기대-확인, 기대-확인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용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경로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습몰입에서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기대-확인과 지각된 유용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학습몰입이 기대-확인을 증가시키고, 기대-확인이 지각된 유용성을 향상하며, 지각된 유용성이 삶의 만족도를 증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몰입, 기대-확인, 지각된 유용성,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안에서 기대-확인과 지각된 유용성의 중다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습몰입이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이면기제를 밝혔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성인여성학습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대해 가지는 평생교육학적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공항-항공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기술준비도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지각된 유용성, 통제 및 경험평가의 중다매개효과

        문혜영,김영수 한국호텔관광학회 2020 호텔관광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공항-항공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이용고객의 긍정적 기술준비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통제, 경험평가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고객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통제 및 경험평가의 중다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인천국제공항 내 위치한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서비스, 셀프 백드롭 시스템 등 항공사 및 공항 셀프서비스기술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총 3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유효표본 286부를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기술준비도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통제 및 경험평가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팬텀모형을 구성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항-항공사 TBSS 이용고객의 긍정적 기술준비도는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TBSS에 대한 경험평가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통제는 TBSS에 대한 경험평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행동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항-항공사 TBSS에 대한 경험평가는 고객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기술준비도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용성-경험평가, 지각된 통제-경험평가의 매개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공항-항공사의 TBSS에 대한 고객의 행동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서비스의 유용성을 지각시키고 긍정적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시 된다.

      • KCI등재

        생성형 AI 지속이용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플로우, 유용성지각,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를 중심으로

        주지혁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과 확산으로 대중이 AI를 다양하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생성형 AI확산이 개혁확산이론의 조기다수자(early majority)단계에 진입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생성형 AI의 성패는 이용자의 지속이용에 달려있기때문 생성형 AI 지속이용의도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생성형 AI 지속이용의도에 플로우 경험, 유용성지각 및 만족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생성형 AI에 대해서 알고 있거나 사용경험이 있는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에 의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R기반 오픈소스 통계소프트웨어 jamovi SEM을 통해 분석했다. 결과 생성형 AI의 플로우 경험은 유용성지각과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속이용의도에는 유용성지각, 만족 및 유용성지각과 만족을 매개한 간접효과를보였다. 유용성지각은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대해서 영향을 미쳤고 지속이용의도에 만족을 매개한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속이용의도에 대해서 플로우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유용성지각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용자는 생성형 AI 이용으로 플로우 경험을 하게 되고 이 경험은 사용자들에 유용성을 느끼게 하고 유용성지각은 만족으로 이어져 결국 생성형 AI의 지속적 이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generative AI in South Korea. In an environment where generative AI technology is increasinglyaccessible and utilized by the public,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continue useis crucial, as the success of generative AI hinges on continued usage. Methods To investigatethe effect of flow,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generative AI, we analyzed i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 of the studycollected data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for undergraduate andgraduate students who know or have used generative AI and analyzed it using the R-basedopen-source statistical software jamovi SEM. Results The flow of generative AI had a direct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usage,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simultaneously. The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age, and there was alsoan indirect effect mediating satisfaction on intention to continue usage. Finally, satisfactioninfluence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age. Conclusion Users experience flow with usinggenerative AI, and this experience makes users feel it useful, and perceived usefulness leads tosatisfaction, eventually inducing the continuous use of generative AI.

      • KCI등재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영욱(Yungwook Kim),김혜인(Haein Kim),윤소영(Soyoung Y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긍정적인 요인인 지각된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지각된 개인화와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 의도간 관계를 완전 매개 하였다. 즉, 지각된 개인화가 높아질수록 지각된 유용성이 높아지고, 지각된 유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각된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요인인 프라이버시 염려 및 지각된 침입성에 의해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를 가짐으로써 발생하는 조절된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된 침입성에 의한 조절된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침입성이 높아질수록 지각된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맞춤형 광고 활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OBA) Accept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erceived useful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OBA acceptance intention. Specifically, the higher level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resulted in the higher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then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affected OBA acceptance intention. This indirect effect ful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OBA acceptance inten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 mediation effect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negative perceptions about OB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moderated by privacy concern. However, there was the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by perceived invasion.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invasion is, the higher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OBA acceptance intention is. The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oth privacy concern and perceived inva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OBA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과제가치,지각된 유용성, 교수실재감의 영향

        이정민,윤석인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 사이버대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과제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수실재감은 과제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 향상을 위한 학습과정 설계 전략과 함께 교수자의 역할과 행동, 촉진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 valu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in their relationships. As a result, task value an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outcomes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ddition, teaching presence mediated between task valu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outcome. This findings imply that task value, perceived usefulness, and teaching presence should be valued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in Cyber university.

      • KCI등재후보

        개인 특성이 AIS보안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신남(Shin-Nam Lee)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AIS보안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개인특성(컴퓨터 활용도, 이동성, 보안교육, 보안 관심도)과 지각된 유용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대부분은 정보 보호에 관련된 구체적인 노력을 실시하고 있는 구성원을 대상을 하였으며 252부의 설문지를 이용해 SPSS 11.5와 AMOS 4.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특성의 변수들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둘째, 개인특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특성변수(컴퓨터 활용 도, 이동성, 보안교육, 보안 관심도)가 지각된 용이성과 관련이 있음을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회계프로그램이 거래 처리와 업무에 유용한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을 높이게 되면, 회계프로그램의 거래처리 속도와 제공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있다. 넷째, 지각된 유용성은 AIS보안 수용태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회계프로그램이 거래 처리와 업무에 유용한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을 높이게 되면, 회계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AIS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용이성은 정보보안 수용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회계정보시 스템의 지각된 용이성이 향상되었다 하더라도 AIS보안 수용태도가 높아질 수 없음을 시사해 준다. 즉, 회계정보시스템의 사용법이 쉽다거나 타 시스템과 유연하게 작용한다고 하여 사용자가 앞으로도 지속적 으로 회계정보시스템을 사용할 때 AIS 보안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회계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정보보안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개인특성의 중요성을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회계정보시스템을 사용할 때 개인특성(컴퓨터 활용도, 이동성, 보안교육, 보안 관심도)을 고려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특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의해서 매개되므로 회계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회계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유용하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환기시킬 필요가 있으며, AIS보안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변수를 적용하여 추가 및 확장연구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s characteristics(computer utilization, mobility, security training, security interest) on the AIS security receptive attitude. Using survey methods, 25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or hypothesis-testing, they were applied to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using SPSS & AM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s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Individual s characteristics(computer utilization, mobility, security training, security interes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it was shown that individual s characteristics(computer utilization, mobility, security training, security interest) had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e. Third, it was discovered perceived usefulness is important factor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erceived ease. Fourth,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IS security receptive attitude.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AIS security receptive attitud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Finally, perceived ease had negative impact on the AIS security receptive attitud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erceived ease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 AIS security receptive attitude. The limitation on this study was that only mutual effects between factors such as Individual s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AIS security receptive attitude were used and analyzed as survey variables. In future, the study that precisely measures related variables with clear understanding of those measurement factors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옴니채널 환경에서 쇼퍼의 개인차 변인, 유용성 지각, 그리고 만족감 관계에 관한 연구

        박지연 ( Ji-yeon Park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쇼루밍 쇼핑행태를 보이는 쇼퍼들의 개인차 변인을 제시하고 도출한 각 개인차 변인들과 옴니채널의 유용성 지각, 만족간의 관계를 밝혀, 쇼퍼 관점에서의 옴니채널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확장하고 실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지심리학과 소비자 혁신성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시간지각과 창의력을 개인차변인으로 도출하였으며, 특히 시간지각은 미래지향과 현재지향으로, 창의력은 독창적 유연성과 모험적 자유추구로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옴니채널의 유용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옴니채널의 유용성 지각이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옴니채널 쇼핑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196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래지향 시간지각은 옴니채널의 유용성 지각에 긍정적 연향을 미치지만, 현재지향 시간지각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창적 유연성은 옴니채널의 유용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모험적 자유추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옴니채널의 유용성 지각은 만족감에 강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옴니채널 비즈니스 모델 구축시 소비자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Nowadays shoppers can ubiquitously access the internet thanks to an increasing number of digital devices. They expect to be able to consistently, interchangeably and simultaneously use an ever growing number of offline, online and mobile channels and touch points when shopping. Although omni-channel marketing is receiving increased focus in the consumer behavior literature, there is a general lack of theoretical frameworks and empirical research from the shoppers’ perspectives in the omni-channel context, and an even greater dearth related to personal attribu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shopper’s personal attributes focusing on time perception and creativity, in particular classified into future- and present-time perception as for time perception and creative flexibility and adventurous freedom as for creativity; and seco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pper’s personal attributes on perceived usefulness, which may affect satisfaction in the omni-channel shopping. A total of 19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2.0.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s three points. The first is that future time perception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hereas present time perception has not the significant effect on it. The second is that creative flexibility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hereas adventurous freedom has not the significant effect on it. Third, perceived usefulness towards omni-channel has the strong effect on satisfaction. As a result, this study enhances ou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shoppers’ personal attributes,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in the omni-channel context and suggests more effective solutions to establish shoppers’ experience in omnichannel shopping.

      • KCI등재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관련 요인

        최봄이(Bomi Choi),주수산나(Susanna Joo),전혜정(Hey Jung Jun)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로봇은 신체 균형과 근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보행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재활 분야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최근 근력 감퇴를 예방하는 운동 목적의 로봇이 개발되고 있어, 노년기 운동 참여도와 효과성을 증진할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보는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 로봇의 기술수용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of-us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Chen과 Chan(2014)이 기존 이론을 노인세대의 특성에맞추어 확장한 노인기술수용모델(STAM: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였다. 지각된 유용성은 로봇이 자신에게 유용할것으로 인식하는 정도이며, 지각된 용이성은 로봇을 사용하기 편리할 것이라는 인식의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년공학(gerontechnology) 특성, 다차원적 건강 특성을 단계적으로 추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에 어려움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3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노년공학 자기효능감과 불안, 촉진조건이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하지만 노년공학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과는정적 상관을, 지각된 용이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과 성별, 교육수준은 지각된 용이성을 예측하는 요인이었으며, 건강 특성 중 삶 만족도가 높을 때 지각된 유용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수용모델이 적용되는 기술의종류에 따라 핵심 요인 간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년공학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불안감을 낮추기 위한 중재의중요성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of-use (PEOU) about lower limb exoskeletons. Participants are 310 older adults who are 65 or over without cognitive problems. Applying the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TAM) proposed by Chen & Chan (201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Potential predi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ociodemographic, geron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health factors). Results implied that gerontechnology factors are core elements explaining PU and PEOU.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gerontechnology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 Ag e and gender, education, among sociodemographics, was associated with PEOU, partly supporting inequality in technology acceptance. Among health factors, it was significant that when life satisfaction got lower, the level of PU increased.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irical analys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epend on the context of applied technology.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s promoting technology-specific self-efficacy and coping skills for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