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 부부의 주관적 건강궤적 잠재계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봄이(Bomi Choi),전혜정(Hey Jung Jun),송시영(Si Young Song)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2006년)-6차(2016년) 자료를 사용하여 중고령 부부의 주관적 건강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아내와 남편의 주관적 건강 하위계층이 본인과 배우자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두 단계에 걸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잠재성장계층분석(LGCA, Latent Growth Class Analysis)을 수행하여 6개차년도의 주관적 건강궤적을 4가지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하위 집단을 고수준 유지(38%), 악화(28%), 저수준 개선(16%), 저수준 유지 (18%)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표면상 무관회귀분석(SUR,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통해 주관적 건강궤적의 잠재계층이 자신과 배우자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였다. 표면상 무관회귀모형 분석 결과 아내와 남편의 건강궤적 하위집단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일부 유의하였다. 아내는 고수준 유지 집단을 참조집단으로 하였을 때 자신의 건강궤적이 악화, 저수준 유지일 때 자신의 결혼만족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아내는 남편의 주관적 건강이 고수준 유지인 집단과 비교하여 악화, 저수준 유지 집단에 포함될 때 자신의 결혼만족이 낮았다. 남편의 결혼만족 역시 자신과 아내의 건강변화 하위궤적의 영향을 받았다. 남편은 자신과 부인의 건강 하위궤적이 저수준 유지에 포함될 때 고수준 유지집단에 비하여 결혼만족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장기간에 걸친 건강변화의 방향성과 누적효과가 자신과 배우자의 결혼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애 과정이론 및 부부 간 상호의존성을 뒷받침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배우자에 대한 상호의존성 및 자기효과・상대방효과에 대해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atent classes of subjective health trajectory among mid- and old-aged couples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latent classes have actor and partner effects on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Two stages of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first (2006) to the sixth (2016) waves from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irst, subjective health of six consecutive waves was classified into four classes by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LGCA), and each class was named as following: a high maintenance group (38%), reduction group (28%), low-start-mild-increase group (16%), and low maintenance group (18%). Second,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SUR) model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tor effects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latent classes of subjective health trajector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oneself) and the partner effects (the effects of individual latent classes of subjective health trajectory on the spouses’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some actor and partner effects are significant. First, actor effects of health trajectory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found in both wives’ and husbands’ model. With the high maintenance group as reference group, wives had significantly lower marital satisfaction when their subjective health trajectory was decreasing or maintaining lower status. And husbands had significantly lower marital satisfaction when their subjective health was maintaining lower status. Also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lower when their spouses’ subjective health was decreasing or remaining lower status compared to high maintenance group.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lower when their spouses’ subjective health was remaining lower status compared to high maintenanc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life-course theory and marital interdependence that long-term trajectories of health of individuals and their spouses affect marital satisfaction of oneselves and their spouses. This suggests that more advanced studies are needed to consider interdependencies among couples.

      • KCI등재

        은퇴 노인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비교

        최봄이 ( Bomi Choi ),전혜정 ( Hey Jung Jun ),주수산나 ( Susanna Joo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2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retirees in later life and to test whether the degrees of associations increased over time. Method: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from wave 1 (in 2006) to wave 4 (in 2012) was utilized and retirees in later life (65-89 years old, N=402) were analyzed. Latent growth modeling (LGM) and model constraint were applied using Mplus 7.3. Age, sex,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depressive symptoms and elapsed time after retirement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Results: Linear unconditional LGM fitted the data well and showed gradual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Conditional LGM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rom time 1 to time 4. According to model constraint test, the size of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id not change with time. Conclusions: To sum up these results,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nd relatively stable over time among retirees in later life. This study suggests one``s spouse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social convoy among Korean retirees in later life. Therefore, intervention programs targeted toward enhancing marital relationships among retirees`` couples will help them to live a better life.

      • KCI등재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관련 요인

        최봄이(Bomi Choi),주수산나(Susanna Joo),전혜정(Hey Jung Jun)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로봇은 신체 균형과 근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보행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재활 분야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최근 근력 감퇴를 예방하는 운동 목적의 로봇이 개발되고 있어, 노년기 운동 참여도와 효과성을 증진할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보는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 로봇의 기술수용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of-us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Chen과 Chan(2014)이 기존 이론을 노인세대의 특성에맞추어 확장한 노인기술수용모델(STAM: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였다. 지각된 유용성은 로봇이 자신에게 유용할것으로 인식하는 정도이며, 지각된 용이성은 로봇을 사용하기 편리할 것이라는 인식의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년공학(gerontechnology) 특성, 다차원적 건강 특성을 단계적으로 추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에 어려움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3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노년공학 자기효능감과 불안, 촉진조건이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하지만 노년공학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과는정적 상관을, 지각된 용이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과 성별, 교육수준은 지각된 용이성을 예측하는 요인이었으며, 건강 특성 중 삶 만족도가 높을 때 지각된 유용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수용모델이 적용되는 기술의종류에 따라 핵심 요인 간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년공학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불안감을 낮추기 위한 중재의중요성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of-use (PEOU) about lower limb exoskeletons. Participants are 310 older adults who are 65 or over without cognitive problems. Applying the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TAM) proposed by Chen & Chan (201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Potential predi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ociodemographic, geron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health factors). Results implied that gerontechnology factors are core elements explaining PU and PEOU.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gerontechnology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 Ag e and gender, education, among sociodemographics, was associated with PEOU, partly supporting inequality in technology acceptance. Among health factors, it was significant that when life satisfaction got lower, the level of PU increased.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irical analys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epend on the context of applied technology.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s promoting technology-specific self-efficacy and coping skills for anxiety

      • KCI등재

        노인의 운동참여 동기 유형과 관련 요인

        최봄이(Bomi Choi),박하영(Hayoung Park),주수산나(Susanna Joo),임윤묵(Yun Mook Lim),김대은(DaeEun Kim),김창오(Chang O Kim),김광준(Kwang Joon Kim),이창민(Changmin Lee),김윤명(YoonMyung Kim)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3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여 운동참여 동기에 대한 노인의 하위집단을 유형화하고 하위집단의 소속 여부를 예측하는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한다고 보고한 65세 이상 노인 17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자료에대해 잠재계층분석을 수행한 후,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운동참여 동기는 의사 권유, 즐거움, 체중감량, 레저/여가, 건강유지,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6개 항목으로 측정하였으며, 잠재계층의 예측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결혼 지위, 교육수준과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과 삶 만족도, 노화 태도와 지역사회 인식을 투입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3개의 하위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이들 집단의응답패턴 특성에 따라 ‘건강중심형(46.0%)’, ‘재미추구형(46.5%)’, ‘복합동기형(7.5%)’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건강중심형을 참조집단으로한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노화 태도, 성별, 교육수준, 지역사회 인식이 운동참여 동기에 따른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쳤다. 즉 노화태도가 부정적일 때 건강중심형보다 복합동기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여성일 때, 교육수준이 낮을 때, 지역사회 사회문화환경에대한 인식이 긍정적일 때, 건강중심형보다 재미추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대상중심 접근법을 적용하여 한국 노인의운동참여 동기 하위유형을 규명하여 노인 내 이질성을 구체화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motivations toward physical exercise participation among older adults and to examine relevant factors of subgroup membership. The sample was drawn from the online survey data of 179 older adults (aged 65 or above) who reported participating in regular exercise.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applied. Motivations for physical exercise were measured with six indicators including medical recommendations, fun, weight loss, leisure, keeping fit, and social relationship. Potential factors for latent class membership includ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spouse) and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household income), health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attitudes toward aging, and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Results of LCA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s to three subgroups revealed the optimal fit: ‘fitness-oriented (46.0%)’, ‘fun-seeking (46.0%)’, ‘complex motivations (7.5%)’.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s toward aging, gender, education, and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atent class member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lucidated the heterogeneity in older adults based on different patterns of exercise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the field aiming to promote exercise motivation among older adults.

      • KCI등재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 관련 요인

        주수산나 ( Joo¸ Susanna ),최봄이 ( Choi¸ Bomi ),전혜정 ( Jun¸ Heyju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기술수용에 관한 Almere model에 기반하여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에 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인지기능의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 노인 310명이다. 기술수용성은 기술수용태도와 기술사용의향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여부, 가구소득이 포함된다. 건강상태에는 노쇠여부, 만성질환보유여부, 신체건강, 정신건강, 활동제한, 규칙적 운동여부가 포함된다.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대해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이 전체의 71.9%인 반면, 긍정적인 기술사용의향을 가진 사람은 전체의 53.9%로 나타났다. 또한 일하고 있는 노인이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노인이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기술사용의향과 관련해서는 노쇠한 노인과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더 긍정적으로 웨어러블 로봇 사용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기술수용태도를 가진 노인일수록 긍정적인 기술사용의향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levant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for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310 older people who are 65 or older without cognitive impairments. Technology acceptance was measured with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usage intention. Predictors included socioeconom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performed. Result: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71.9% of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while 53.9% reported an intention to use the technology. Older adults who had a job and chronic diseases, and exercised regularly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wearable robots. People with frailty and regular exercise habit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usage intention. Finally, people with a more favorable technology acceptance attitude reported more positive usage in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e primary information on older people’s technology acceptance about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 KCI등재

        노년기 경제활동이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PSM) 과 이중차이(DD) 분석

        송시영(Si Young Song),전혜정(Hey Jung Jun),최봄이(Bomi Choi)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5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의 12차(2017), 13차(2018) 자료를 사용하여 노년기 경제활동이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12차에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13차에는 경제활동을 한 집단(실험집단)과 12, 13차년도 모두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집단(비교집단)간 성향점수가 비슷한 자료를 매칭하여 최종 연구대상을 구성하였다. 둘째, 성향점수매칭으로 도출된 집단 더미변수(실험집단, 비교집단)를 독립변수로 하고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를 각각 종속변수로 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경제활동의 순효과를 보다 타당성 있게 도출하기 위해 실험집단의 결과 변수(우울감, 삶의 만족도)와 실험집단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지 않았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얻게 되는 결과변수 간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이중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활동 참여 시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우울감을 낮추는 긍정적 효과가 일부 뒷받침되었다. 먼저 성향점수 매칭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년기 경제활동이 우울감과는 부적, 삶의 만족도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점수와 이중차이 결합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년기 경제활동에 참여할 때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유의확률 0.1 범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경제활동 참여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택편의와 내생성 문제를 보완하여 노년기 경제활동의 효과를 보다 타당성 있게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on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robust adjustment on selection bias and the endogeneity problem.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Difference-in-Difference (DD) were applied using two waves (2017, 2018)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To perform PSM analysis, the treatment group was selected to include people who transitioned to economic participation within two waves and the control group was selected to include people who did not work on both wav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the matched sample revealed the protectiv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ion on depressive symptom. The beneficial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was also found. DD analyses on the matched samp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ion only on life satisfaction (p <.01).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tly support the health-promoting effects of economic participation among older people with robust statistical methods that control selection bias and the endogeneity proble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policy interventions on job creation projects for older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