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수준에 따른 우울 대응 행동에 관한 연구

        이정숙,명신영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6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of adolescents attending junior 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Namyangju in 2006. For the survey, we used a questionnaire to examine peculiarities based on the population's sociology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eculiarities, a questionnaire for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and depression index (CES-D)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general tendencies of adolescents' level of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showed that adolescents' depression prevalence rate was 41.0%. Second, the level depression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higher than that of junior high students, and that of adolescents whose level of domestic economy is low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not. Third, the study showed that the more depressed the subjects became, the higher their preference of cognitive activity-oriented behaviors and individual activities. Forth, higher is the level of depression, cognitive activity-oriented, object-oriented, or personal-oriented behavior is done more frequently among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Fifth, though inter-personal and normal-level relationships are heplful to depressive and normal-level adolescents respectively, any of those is not helpful very much to major depressive adolescents.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우울할 때 행하는 행동 경향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2006년 남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우울수준 및 우울대응행동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증 유병률은 41.0%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수준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중학생 보다는 고등학생이, 가정경제 수준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우울수준이 높았다. 셋째, 우울대응행동에 있어서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인지활동지향행동과 혼자하는 행동을 선호하는 비율이 더욱 높았다. 넷째, 우울 수준에 따른 우울대응행동 빈도는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인지활동 지향행동, 대물지향행동, 혼자하는 행동을 더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울 수준에 따른 우울 대응행동을 통하여 도움을 받는 정도는 우울증상 청소년은 대인관계지향행동을 통해, 정상수준 청소년은 인지활동 지향행동을 통해 가장 도움을 받으나 주요우울증 청소년은 두범주 모두에서 가장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우울수준과 우울수준에 따른 우울대응행동의 차이, 빈도, 도움정도를 알아 청소년 대상의 심리치료 및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심리사회행동요인을 고려한 우울수준과 음주행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권태연(Kwon Tae-Ye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1

        본 연구는 긴장감소가설과 독성가설을 토대로 우울수준이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행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우울수준과 음주행위의 종단적상호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사회행동적 요인들(흡연량,자아존중감,가족관계만족,사회적친분관계만족)이 우울수준과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2,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종단적인 변화 관계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음주행위 초기값이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수준 초기값이 음주행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주행위 초기값이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심리사회행동적 요인들 중에서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만족수준은 우울수준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난 반면, 흡연량과 사회적친분관계만족은 음주행위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주행위와 우울수준 간의 복합적 관계 기제를 밝히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연구의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based on the tension reduction hypothesis and the intoxication hypothesis considering for path of depressive symptoms on alcohol use and vice versa simultaneously. A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sychosocial behavior factors (i.e. smoking level,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o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Using the data o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for the 1st, 2nd, and 3rd years, this study were estimated us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which is helpful for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itial level of alcohol us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thereby supporting the intoxication hypothesis. Second,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ct as variables with the biggest effect on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whereas other psychosocial behavior factors such as smoking level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exert the largest influence over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in alcohol us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larified the confused relationship mechanism between alcohol us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two.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관광활동과 우울감 : 디지털정보화 수준의 조절효과 및 노인·비노인 비교분석

        박서영(Park Seoyoung),박은경(Park Ene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본 연구는 관광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컴퓨터, 인터넷 사용 등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65세 이상 집단과 65세 미만 집단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7차년도 자료에서 연령에 대해 응답한 11,708명에 대해 조사하였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SPSS 25.0 package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인 우울은 CES-D를 사용하여 우울을 측정하였고 점수가 클수록 우울이 심한 것으로 판정하였고 독립변수인 관광활동은 여행, 소풍 등 관광활동을 여가로 주로 선택하는 경우들을 합하여 연속변수화하였으며 조절변수인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컴퓨터, 인터넷의 활용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유무, 건강상태, 소득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활동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 집단과 65세 미만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디지털정보화수준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65세 미만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셋째,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관광활동과 우울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65세 미만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넷째, 관광활동과 우울 간 디지털정보화 수준의 조절효과에서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유무, 건강상태, 소득이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높을수록 관광과 우울의 관계에서 우울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결과는 65세 미만 집단에서 유의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뉴노멀 시대의 다양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service, such as computer and Internet use, is effective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tourism activities on depress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s aged 65 or older, and those under 65. In the study, 11,708 people who responded by age were surveyed from the 7th year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urism activity was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depression, for both groups, those aged 65 and older and those under 65. Second, digital information service levels were found to have an adverse effect on depression, and these results were only noted for those under 65 years of age. Third,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service was shown to represent an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ctivities and depression, and this was only noted for those under 65 years of age.

      • KCI등재

        우울 증상과 수준에 따른 패시브 센싱의 패턴 조사

        정승민,정경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4

        Passive sensing, which collects behavioral, physi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indices with smart devices in an objective and automatic manner, is recently being explored as a tool for evaluating mental disorders. Among them, studies on depressive disorder are the most commonly performed. Although the expression patterns of depressive disorder may differ according to the symptoms and levels, studies that take this point into account while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sensor data are very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ensor data that is highly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nsor data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 total of 64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rmal, mildly depressed, and severely depres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For a total of 30 days, self-reported data on 9 symptoms of depressive disorder were repeatedly collected 4 times a day. At the same time, a total of 8 sensor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day using a smartphone and a smartwatch, and a total of 14 features were extracted as 4 values ​​per da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erent featur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ch symptom. Some symptoms were found to be related with all features, some symptoms were related with only partial features, and some symptoms were not related with any featur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eatur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nd detailed patterns were different for each featu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패시브 센싱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행동, 생리, 사회, 환경적 지표를 객관적이고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으로, 최근 정신장애 평가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탐색되고 있다. 그 중 우울장애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데, 우울장애는 증상과 수준에 따라 발현 양상이 상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센서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이런 측면에 대한 고려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 증상별 관련이 높은 센서데이터를 규명하고, 우울 수준에 따라 센서데이터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64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우울 수준에 따라 세 가지 집단(정상군, 경도 우울군, 고도 우울군)으로 분류하고, 총 30일간 우울장애의 9개 증상에 대한 자기보고 자료를 1일 4회, 반복적으로 수집하였다. 동시에,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를 사용하여 총 8개의 센서데이터를 항시 수집하였고, 여기서 총 14개의 특성정보를 1일 4개의 값으로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각 증상별로 서로 다른 특성정보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DSM-5에 따른 9개의 증상 중, 2개 증상(흥미 저하, 피로감)은 모든 특성정보와 관련 있고, 5개 증상(우울한 기분, 수면 문제, 집중력 저하, 정신운동 문제, 자살사고)은 일부 특성정보와만 관련 있었지만, 나머지 2개 증상(식욕 문제, 무가치감)은 어떠한 특성정보와도 관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수준에 따라 모든 특성정보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집단 차의 세부양상은 특성정보마다 달랐다. 활동성 및 이동성 지표는 정상군에 더 높게 나타났고, 휴대폰 잠금해제 기록과 평균 수면 시간과의 차이는 우울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화기록과 방문 장소의 개수는 경도 우울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경계 질환자들의 우울 수준 및 우울 요인과 신경인지기능과의 관계성

        조현주,윤영철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depression figure according to diagnosis, and the relation of depression level and depression factors to neuro-cognitive functions. The subjects were 142 patients diagnosed as Alzheimer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patients were given brain MRI, neurological examination,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SNSB),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an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ADL). The depression rate of Alzheimer patients were the highest compared with other group. However, the vascular dementia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level. In higher depression level,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ttention abilities, psychomotor velocities, visual memory, executive function and ADL.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for the GDS was classified 4 factors such as depression, worry, dysphoria, and apathy. The depression factor of GDS was related to the attention, immediate visual recall, and executive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 apathy factor was related to the core symptoms of dementia, such as recall and recognition of memory. Because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dementia patients were often originated from both emotional reaction to their defect and neurological disease itself, the factors of depression might be affected by causes of dementia. So,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dementia patients with depression need appropriate treatment through the evaluation of depression factors.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의 진단에 따라 우울 양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의 우울 수준 및 우울 요인들과 신경인지기능 및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신경과에서 알쯔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경도 인지장애로 진단된 142명의 환자들이다. 이들에게 신경심리검사(SNSB)를 실시하였고, 그 외 노인 우울(GDS), 일상생활기능(ADL)을 평가하였다. 노인 우울척도를 요인분석하여 우울(depression), 걱정(worry), 불쾌감(dysphoria), 무감동(apathy) 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총 48%의 설명량을 보였다. 연구결과, 신경과 환자들 중 알쯔하이머 환자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우울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우울 수준은 혈관성 치매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들 환자 중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주의력, 주의집중능력, 정신운동속도, 시각적 기억력, 실행기능, 일상생활기능의 저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우울 요인들이 관련되는 신경인지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우울 요인은 주의력, 주의집중력, 시각적 즉시회상, 실행기능과 관련되는 반면 무감동 요인은 기억인출 및 재인과 같이 치매의 핵심 증상인 기억 기능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경계 질환자들의 우울증은 정서반응으로 인한 우울 이외에 신경학적 결손으로 유발되는 우울 증상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우울 요인들의 기저 원인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치매 환자들의 우울증은 우울 요인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노인의 우울수준 별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 및 주당 운동시간의 영향력 검증

        정은석,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여 삶의 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고, 주당 운동시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8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4,403명을 선정하였고, Mplus 8.7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5개로 우울 없음 집단, 우울 경향 집단, 경증 우울 집단, 중등도 우울 집단, 중증 우울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우울수준 별 집단 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증 결과, 중등도 우울 집단 vs 중증 우울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의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우울 없음 집단, 우울 경향 집단, 경증 우울 집단, 중등도 우울 집단, 중증 우울 집단 순으로 삶의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주당 운동시간이 우울수준 및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예측하는지 검증한 결과 중증우울, 중등도 우울, 경증우울, 우울 경향 집단에서 우울 없음 집단에 속할 확률과 중증 우울 및 중등도 우울 집단에서 우울 경향 집단에 속할 확률이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경증 우울 집단에서 우울 경향 집단 및 중증 우울 집단에서 경증 우울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본 결과 중증 우울 집단에서 우울 없음 집단으로의 변화를 가장 크게 예측하였다.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group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levels in the elderly, verify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influence of weekly exercise time. For this purpose, 4,403 people aged 65 or older came to mind among the 8th composition study data from the KLoSA, and file analysis was explained using the Mplus 8.7 & Spss 23.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ve latent profiles were named based on the depression levels in the elderly: no depression group, depression tendency group, mild depression group, moderate depression group, and severe depression group.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ife satisfaction of all groups except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vs severe depression group. Th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of no depression group, depression tendency group, mild depression group, moderate depression group, and severe depression group. The results of verifying whether the weekly exercise hours predict changes in the depression levels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 depression group from the severe depression, moderate depression, mild depression, and depression tendency group, an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depression tendency group from the severe depression and moderate depression group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depression tendency group from the mild depression group an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ild depression group from the severe depression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Looking at the specific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ion was the change from the severe depression group to the no depression group.

      • KCI등재

        만성질환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우울궤적 분석

        김윤화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0 생명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진 대상자들의 우울궤적을 고찰하고, 우울궤적 영향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소득수준별로 우울궤적 예측요인이 다른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1차–7차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3개월 이상 만성질환으로 투약 및 투병의 형태로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2,423명을 대상으로 만성질환자들의 소득수준에 따른 우울궤적을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종단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집단에 비해 저소득집단 만성질환자들의 우울수준이 뚜렷하게 더 높았고,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요소들에 더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7년간 선형 관계를 보이며 점점 감소하였고, 집단간 뚜렷한 차이는 7년간의 긴 시간이 지남에도 여전히 저소득집단의 우울이 높은 양상이 그대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정신적인 불평등 양상의 고착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득수준별 다중집단분석 결과는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의 3개의 경로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자들의 우울궤적이 감소하는 현상과 소득수준에 따라 우울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고, 만성질환자들의 우울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실천적, 정책적인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ies of depressive subjects with chronic diseases and identify what are depressed trajectory Factors and validate predictive factors of depression trajectories differ by income level. To this end, 2,42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hronic diseases for 3 months or longer using data from the 1st to 7th year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depressed locus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 and multipl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s a result, the depression level of the low - incom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group, and it was found to be more exposed to socioeconomically weak elements. The depressed group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for seven years and decreased gradu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confirmed by the persistence of the mental inequality pattern in which depressive aspects of the low income group persisted even after a long period of 7 years. The results of multiple group analysis by income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chronic illnesses decreased and the depression difference occurred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the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of chronic illness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상호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정은희 ( Jung Eun H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5 No.-

        본 연구는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한국복지패널자료(2006-2009년)를 활용하여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을 측정하였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분석(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상호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갈등수준이 가구주의 우울수준에, 가구주의 우울수준이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단일방향의 회귀계수는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갈등수준과 가구주 우울수준은 4년 동안 자기회귀계수와 교차지연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체계이론에서 제시하는 가족문제의 상호 순환론적 인과관계가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관계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갈등과 가구주 우울수준의 부정적 상호 순환 관계를 차단하기 위해 개인과 가족에 대한 동시적 접근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level of household head.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of 2006-2009, the study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o test the hypothe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single direction of the impact of family conflict on a head of household`s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vise vers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higher level of family conflict in 2006 caused an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of household head in 2009, controlling gender, age and depression level in 2006. Also,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of household head in 2006 increased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in 2009 fixed with same control variables. The autoregressive and cross-lagged coefficients of family conflict and a head of household`s levels of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4 years. The findings support the family system theory, indicating that there ar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whole family conflict and individual depression level. The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should thus aim to decrease individual`s levels of depression and improve positive family function simultaneously to break the vicious circle.

      • KCI등재

        여성의 대상관계, 수치심,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인숙,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ships and shame on depression, which greatly influences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a total of 353 wome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From the collected data, which were processed with a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the study calculated a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level of each scale,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women’s object relationships, internalized sense of shame,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Finally,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pproach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women’s lower object relation level and depres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internalized shame,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among them. Secon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women’s lower object relation level and shame showed tha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model that object relation influenced shame and then influenced self-silencing and finally influenced the depression of women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partly mediating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nalized shame and self-silencing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depres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women to recover from their depression, counselors must consider their internalized shame and self-silencing strategy as well as their object relation.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성의 대상관계수준, 내면화된 수치심 및 자기침묵이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와 수도권 일대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 총 353명이었다. 자료처리는 대상관계수준, 수치심, 자기침묵, 우울간의 상관분석을 하고, 이들 변인들의 관계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AMOS 5.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대상관계수준과 우울은 의미 있는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고 수치심 및 자기침묵 변인도 우울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대상관계 수준이 낮을수록, 수치심이 클수록, 자기침묵 경향이 클수록, 우울경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낮은 대상관계수준과 수치심 및 자기침묵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수치심을 더 느끼고, 자기침묵 경향도 커지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셋째, 대상관계수준이 수치심에 영향을 주고 수치심이 자기침묵에 영향을 주어 다시 자기침묵이 우울에 차례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적합도가 더 높게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관계 수준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수치심과 자기침묵적 의사소통 패턴을 다룸으로서, 우울 증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방향을 다양화하고, 우울에 대한 예방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

        신선임(Shin Sun-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들 군집유형에 따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 서울지역 대학생 450명을 대상을 실시한 설문지 가운데 4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을 군집분석한 결과, 총 4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1은 ‘갈등적 동기 진로혼란 집단’으로, 군집 2는 ‘내재적 동기 진로결정 집단’으로, 군집 3은 ‘외재적 동기 진로미결정 집단’으로, 군집 4는 ‘외재적 동기 진로결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군집유형에 따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자기비난적 우울은 군집 3이 가장 높았고 군집 1, 군집 4, 군집 2 순이었으며, 군집 3과 군집 1은 군집 2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의존적 우울은 군집 3이 가장 높은 의존적 우울성 향을 보였고 군집 1, 2, 4순이었으며, 군집3은 군집 2와 군집 4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 수준 양상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대한 전공 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역할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llege students manifest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how the cluster typ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affects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The data of 409 college students who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t March, 20017. Cluster analysis using the sub-scal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which is, introversive motivation and extroversive motiva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yielded four cluster types. The first cluster was identified as ‘conflicted motivation and career confused group’. The second cluster was labeled as ‘in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decided group’. The third was ‘ex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undecided group’. The final was ‘ex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decided group’. Analyses on the effects of those cluster types on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revealed: Cluster 3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self-critical depression followed by Cluster 1, 4, and 2. Clusters 3 and 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lf-critical depression than Cluster 2. In dependent depression, Cluster 3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dependent depression followed by Cluster 1, 2, and 4. Clusters 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endent depression than Cluster 2 and 4. These results confirmed classifications of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found to be reinforcing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respective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