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현대 선교 모색

        장훈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6 No.1

        The world is currently suffering from terrorism and violence, starvation and infectious disease, wars and refugees. People are building up the knowledge needed for social transformation that will crate more sustainable cities, mobility systems, food supplies and low-carbon energy with hope that geopolitical divisions, the diversity and plurality of theology, and new technologies will save themselves, the church community and the world. Under these times, the mission of church and theology lies in giving all the people of the world true hope by making “the bible” become “the word”, and by proclaiming “the word” on the pulpit. Recently, theology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World Church has been of theological diversity and plurality, as theology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s emerging around the world. And most of these theologies try to understand spiritual parts through intelligent and rational perspective, so they should be regarded as having already been speculative, and there is the high possibility of breaking away from the Bible-based belief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eformed Life Theology(RLT), which proposed a new direction for world churches, Korean churches, and theological world, has declared and expanded the word ‘the Bible is the answer’ and the life-saving gospel as the best theology. RLT is a theological restoration movement that has ruled out speculative theology, and whose supreme goal is to save the life of one soul and to embody the Kingdom of God. In this regard, RLT itself could be a solution to speculative theology.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a movement of faith, a movement of theological restoration, a movement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a movement of spiritual life, a movement of the Kingdom of God, a movement of sharing, a movement of prayer and the Holy Spirit) as a way to save the life by RL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nge in the field of theological education’ and ‘word-centered restoration movement, not theory-based’ in theological education.’ However, RLT itself can not be seen as a complete solution to these problems. In other words, if there is no practice, RLT is just one of vain theologies. Therefore, the important task of RLT is to figure out how the movement of RLT is affecting the divided modern society and the modern mission, and to provide concrete ways for establishing the scope of missions at the affected missional fiel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situation in which Christianity is spread around the world but can not save a soul, and to examine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RLT. 세계는 현재 테러와 폭력, 기아와 전염병, 전쟁, 난민으로 고통받고 있다. 사람들은 지정학적 분열과 신학의 다양성과 복수성, 새로운 기술이 자신과 교회공동체, 세계를 구원하여 주리라는 희망을 품으면서 더 지속 가능한 도시, 모빌리티 체제, 식량 공급, 저탄소 에너지를 창출해 줄 사회적 변환에 필요한 지식을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교회와 신학의 사명은 온 세상의 모든 민족에게 “성경”이 말씀이 되게 하고 강단에서 선포되는 설교의 말씀이 말씀 되게 하여 참된 희망을 주는 것에 있다. 최근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의 신학은 전 세계적으로 각 지역의 특징이 담긴 신학이 나타나고 있어 신학적 다양성과 복수성을 띠고 있다. 그리고 이 신학들은 대부분 신학을 지적이면서 합리적 시각을 통해 영적인 부분을 이해하려고 하므로 이미 사변화된 것으로 보아야 하며, 성경을 기본으로 하는 신앙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21세기 들어 세계교회와 한국교회, 신학계에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경이 답이다’라는 말과 생명을 살리는 복음을 최고의 신학으로 여기고 이를 선포하고 확장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사변화된 신학을 배제하고, 한 영혼의 생명을 살리고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일을 최고의 목표로 둔 신학회복운동이다. 이러한 점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 자체가 신학의 사변화에 대한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이 펼치는 생명을 살리는 방안인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회개용서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나라운동, 나눔운동, 기도성령운동의 7대 실천운동들은‘신학교육 현장의 변화’,‘신학교육 현장에서 이론이 아닌 말씀 중심의 회복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많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다. 그러나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존재 자체가 이러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다고는 볼 수 없다. 다시 말해 실천이 없으면 개혁주의생명신학 또한 헛된 신학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이 분열된 현대사회와 현대 선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는 일과, 그 영향을 받은 선교현장에서 사역의 범위를 정착시키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고에서는 그리스도교가 세계에 전파되었음에도 한 영혼을 구원하지 못하는 상황의 원인을 파악해보고, 이에 대한 방안을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國際法上 生命工學技術의 知的財產權保護와 持續可能한 開發

        심영규(Young-Gyoo Shim) 대한국제법학회 2003 國際法學會論叢 Vol.48 No.2

        현대생명공학기술 발전은 식량안보, 기아, 보건, 영양, 빈곤, 의료, 에너지, 환경보호, 지속가능한 개발 등 인류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난제들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최근의 첨단유전공학기술 혁신과 다양한 GMOs의 출현은 인류에게 생명공학기술의 법적 보호범위와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의 의미와 범위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생명공학기술의 적용 결과 야기될 수 있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고려하면 생명공학기술의 지적재산권 보호범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그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도 더욱 신중한 고려를 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의 생명공학기술 혁명에 비춘 진화적 관점에서, 모든 지속가능한 개발 관련요소를 통합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을 재해석할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진화적 접근방식은 천연자원, 농업생물자원 및 인간유전자를 포함하는 생물다양성의 보존, 생물자원 및 유전자원의 제공ㆍ이용ㆍ개발과 관련된 당사자간 형평성 증진, 기본적인 규범정책도구로서 환경친화적 특허요건,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권과 기술이전 및 토착지식의 보호 등의 쟁점을 모두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을 통합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생명공학기술의 상업적 적용과 그에 대한 법적 보호의 규제에 관한 통일적인 합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지적재산권보호에 관한 기존의 국제법제도가 인간의 유전자원을 포함하는 지구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증진하고 자원의 상업적 이용으로부터 추출되는 이익의 공평한 분배를 보장하는데 적절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생명공학기술의 지적재산권보호에 관한 국제법 체계의 재건축을 위한 장래의 협상은 환경, 생물다양성, 형평성 및 인류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에 더욱 우호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It is expected that modem biotechnological developments will play a very significant role in settling many intractable problems which human society is facing such as food security, famine, health, nutrition, poverty, medicine, energy, environmental protection, sustainable development, etc. However, recently advanced biotechnological innovations, including genetic engineering and its resulting genetically modified products, which we have never experienced, urge us to rethink the meaning and scop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novel contexts of this biotechnological millennium.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both probable promises and perils resulting from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of biotechnology should take into more careful account the social impacts as well as the economic values of it. In this respect, evolutionary interpretation of biotechn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ight of recent biotechnological revolutions that incorporates all of sustainable development-relevant factors is more needed. This evolutionary approach will cover the issues of prote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ranging over natural, agricultural, and human genetic resources; promotion of equity between the parties; patentable subject matter as a fundamental policy tool; access to genetic resources; technology transfer; and protection of indigenous knowledge. As of now, however, despite international effort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there has not existed uniform consensus concerning regulations on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and legal protection for them. In particular, the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regimes for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eem to be somewhat inappropriate to secure sustainable use of global biological materials including human genetic resources or guarantee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derived from exploitation of the biological resources. In this regard, I hope that future negotiations for rebuilding international legal systems for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of biotechnology will be more favourable to the environment, biodiversity, equ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global society.

      • KCI등재

        해양생명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호를 위한 법적 과제

        윤영민,이윤철 한국해사법학회 2010 해사법연구 Vol.22 No.3

        1993년 생물다양성협약이 발효된 이후, 세계 각국은 생명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무한한 개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해양생명 자원을 포함한 생명자원의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해양 생명자원의 확보를 위한 이러한 노력은 국내에서도 시도되고 있는데, 그 예로 국토해양부와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 각각 해양생명자원과 관련된 새로운 법안을 발의하였다. 하지만, 이 법안들은 상당부분 중복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해양환경 관리에 대한 업무분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양생명자원의 보호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현행법을 개정하거나 새로운 법률의 제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동시에, 해양생명자원을 포함한 해양환경 관리의 일원화를 위한 노력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marine bio-resources was well known to the world at present. With the effectua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in 1993, States are focusing their effort on acquiring the bio-resources, especially the marine bio-resources which have a vast potential for development. These efforts for the marine bio-resources are attempting in Korea.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oved new laws about marine bio-resources in this year respectively. However, there's a huge overlap between these laws. It is because of uncertain proper division of the authority for the management of marine environment. For a conservation and an effective management of marine bio-resources, we should make an attempt to modify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r to enact new one. At the same time, the effort for the unification of management of marine environment including marine bio-resources is required.

      • KCI등재

        ‘생명의 연속성’ 관련 개념의 통합적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안주현,전상학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5 현장과학교육 Vol.9 No.3

        Confluent and integrated education has been a big issue in the science education. In 2009 revised-curriculum, a fused science textbook was made based on evolution, and in 2015 revision plan of curriculum, connected and integrated education are being emphasized. In this review, we analyzed the continuity of life unit in the previous curriculums and tried to suggest integrated and connected education for these subjects of this unit. The curriculum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dealt with the subjects of the continuity of life in a unit, while those subjects were separated from the seventh curriculum. However, genetic materials are transferred to offsprings through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and an organism develops to an adult by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So it is necessary to sequentially deal with reproduction and heredity, gene expression and its regulation, then development in an unit for integrated and connected education. In addition, as reproduction provides the genetic diversity by chromosome rearrangement and cross-over and evolution is a change in the body plan, reproduction, heredity and gene expression, development and 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As animal diversity is due to evolution, it can be unified into the continuity of life unit in a broad sense. So in the newly developed curriculum, it the efforts are required that all related subjects are to be contained in a unit for integrated learning. 과학 분야에서 융합 및 통합교육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합형 ‘과학’ 과목을 신설하여 과학 분야에서 진화를 매개로 한 융합교육과정을 시도해 왔으며, 현재 개정작업 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연계학습 및 통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던 ‘생명의 연속성’을 분석하고 통합적 연계학습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1차부터 6차까지의 교육과정에서는 생명의 연속성을 같은 단원 내에서 다루었으나, 7차 교육과정부터는 분리되었다. 하지만 ‘생식과 발생’을 통해 유전물질의 전달이 일어나고,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을 통해 발생이 진행된다는 측면에서 ‘생식과 발생’, ‘전달 유전학’ 및 ‘분자생물학’ 분야는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생식과 유전현상을 함께 다루고, 발생과 유전자 발현 조절과정을 다룬다면 자연스러운 연계 학습이 될 수 있다. 또한 생식 과정을 통해 제공된 유전자의 다양성이 자연선택의 핵심적인 기초를 제공해주며, 진화 과정을 통해 생물의 다양성이 증가되어왔기 때문에 좀 더 넓게는 생식 및 유전, 유전자의 작용 및 발생을 다룬 후 ‘진화’ 및 ‘생물의 다양성’을 다룬다면 ‘생명의 연속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통합형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그 동안 소외되었던 생식과 발생이 갖는 생명과학적 중요성과 생명의 연속성에 갖는 핵심적인 위치를 깊이 있게 고려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의 연속성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현대생명공학기술(現代生命工學技術)의 발전과 국제법상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의 재검토

        심영규 ( Young Gyoo Shim ) 법조협회 2003 法曹 Vol.52 No.12

        지난 20세기 중반 이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현대생명공학기술은 인류의 복지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첨단유전공학기술의 적용 결과 생물·유전자원 및 자연진화법칙의 인위적인 변형이 가능하게 되면서 국내적·국제적으로 특유의 다양한 법적 쟁점이 양산되고 있다. 현대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을 둘러싼 법적 쟁점들은 주로 생명공학기술 발명품에 대한 지적재산권보호의 강화 및 세계화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관한 논의과정에서 현대생명공학기술이 지구상태계환경에 미칠 영향, 특히 생물다양성보존을 중심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개발 문제가 국제법상 핵심적인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근래 국제사회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규범적 목표에 관해서는 일정한 합의에 접근하고 있으나, 현대생명공학기술혁명에 비추어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은 여전히 불완전하거나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첨단유전자조작 및 복제기술의 발전, 다양한 유전자변형 동식물의 출현, 인간유전체의 상업적 이용 등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생명공학기술 밀레니엄(millennium) 시대를 맞아 지속가능한 개발 역시 일반적인 생물자원은 물론 인간의 유전자원과 복제생명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개념으로 재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생명공동체와 공동선

        황희숙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논집 Vol.47 No.-

        오늘날 전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는 환경재앙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생태 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이 글은 인간의 공동체와 공동선에 대한 해명을 바탕으로, 그것을 생명공동체에 확장하고자 했다. 먼저 인간 공동체를 보면, 그것을 이루는 인간들 개개인의 사적 이익은 물론, 공익의 증진만으로는 공동체 유지에 충분치 않 다. ‘공동선’의 개념은 ‘공익’의 개념과는 구분될 수 있고, 공동체의 안전, 통합성, 핵심가치들의 보존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목적 즉 ‘좋은 삶’이나 번영을 의미한다. 생명공동체의 경우 으뜸가는 가치는 생물종 간의 공생, 생태계 자체의 ‘지속가능성’이다. 그러므로 생명공동체의 공동선은 공동체 자체의 안전성 유지, 구성원의 행복과 같은 가치의 보존을 가리키게 된다. 이런 공동선, 공동체의 목적은 인간이 ‘인간종중심주의’를 버리고 자연과의 공존, 화해관계를 모색함에 의 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글은 레오폴드(A. Leopold) 가 제안한 ‘토지윤리’를 생명공 동체의 공동선의 관점으로 해석했다. 나아가 공동체의 보존과 지속을 위한 실질적 방책을 논하면서 ‘생태 지역주의’를 제안했다. 생명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생 물종 다양성이 중요하며, 역사적으로 여성이, 여성의 토착지식과 노동이 이 다양성 을 보존하는 데 기여해왔음을 주장했다.

      • KCI등재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holarchic holism)와 수운의 시(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

        최민자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3 No.-

        This study is to consider comparatively the integral vision in Ken Wilber’s holarchic holism and Suun’s idea of 「Si」and to clarify its practical implication. It is indeed meaningful in that this comparative study enables to present the vision of integral paradigm and integrative learning and to contribute to the embodiment of global life community by raising an insight into the oneness of life. We also can find its meaning in that such comparative consideration for the integral vision enables to get out of narrow-mindedness of a mechanistic and reductionistic world view based on the dichotomy of subject and object and to operate as a factor of deriving the advent of life age by urging paradigm shift to the universal holistic vision. Ken Wilber, transpersonal psychologist and postmodernist, uses the term ’integral’ as implying a true unity-in-diversity. In a word, consciousness and matter, interior and exterior, self and world, are of One Taste. Suun Je-u Choe’s philosophy of 「si」 which has ‘the triad structure of life’ also shows lucidly the dynamic nature of holistic life. Wilber’s Holarchic Kosmology and Suun’s philosophy of 「si」 assume the oneness of the totality of all things, that is, the great all-including whole. In other words, their view reveals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mutually interconnected and thus form the holarchic multi-dimensional web of life. Wilber and Suun’s integral vision is derived from their holarchic holism and nondual world view. The necessity of the integral vis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old mechanistic world view reflects no more today’s real world in which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phenomena are mutually interrelated and interconnected, and offers no more a useful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Thus, self-reflection on modern instrumental reason and instrumental rationalism has come to be urged and the necessity of paradigm shift to be emphasized and thus has been arisen the necessity of reinterpretation of world by the integral vision. Spiritual, but not religious――in this word lies the possibility of global life community. 본 연구는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와 수운의 「시(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을 비교 고찰하고 그 실천적 함의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교론적 연구는 통합 패러다임과 통합 학문의 비전을 제시하고,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고함으로써 지구생명공동체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이들 통합적 비전에 대한 비교론적 고찰은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에 근거한 기계론적․환원론적 세계관의 편협성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전일적 시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함으로써 생명시대의 도래를 추동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초개인심리학자이자 포스트모더니스트인 켄 윌버는 ‘통합적(integral)’이란 용어를 ’다양성 속의 통일(unity-in-diversity)’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한마디로 의식과 물질, 내면과 외면, 자아와 세계, 주관과 객관이 모두 ‘한맛(One Taste)’이라는 것이다. ‘생명의 3화음적 구조(the triad structure of life)’를 갖는 수운 최제우의 「시(侍)」철학 또한 전일적인 생명의 역동적 본질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윌버의 홀라키적 우주론(Holarchic Kosmology)과 수운의 「시(侍)」철학은 만물의 전체적인 전일성, 즉 모든 것을 포괄하는 거대한 전체를 상정한다. 다시 말해 이 우주 속의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어 홀라키적인 다차원적 생명의 그물망을 형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윌버와 수운의 통합적 비전은 그들의 홀라키적 전일주의와 비이원론적인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통합적 비전의 필요성은 낡은 기계론적 세계관의 관점이 더 이상은 생물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현상이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오늘의 실제 세계를 반영하지도, 문제해결의 유익한 단서를 제공하지도 못한다는 사실에 있다. 하여 근대의 ‘도구적 이성’과 ‘도구적 합리주의’에 대한 자기반성이 촉구되고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역설되면서 통합적 비전에 의해 세계가 재해석될 필요가 생겨난 것이다. ‘영적인, 그러나 종교적이지 않은’――이 말 속에 지구생명공동체의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생물다양성 및 생명공학 관련 국내적ㆍ국제적 규범체계에 관한 고찰

        박수진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의생명과학과 법 Vol.2 N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not only draws the attention to the actual and potential value of the biological resources but also causes the concern about biodiversity and safety of human beings. In other words, human beings have received unlimited benefit from biotechnology but at the same time have been faced with moral, ethical and legal dilemma from its development. Biological resources, the vital resources for human beings,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ecosystem and require the balance between use and conservation. However,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biological resources and the biodiversity itself has decreased while the pressure of human beings demand for biological resources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species facing extinction has considerably grown and the balance of ecosystem has already been disturbed. In order to address such challenge, the regulatory scop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has more and more expand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At the same time, the domestic law making process for compliance of such conventions has been actively made at the national level of the Parties to those conven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way forward in our addressing the biodiversity and biotechnology issues through investigating major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relevant domestic legal systems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 生命工學과 國際環境保護

        이재곤 忠南大學校 法學硏究所 2004 法學硏究 Vol.15 No.1

        Since its beginning in 1973, Bio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resulted in many products which have been expected to solve many serious problems such as famine, disea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so suspected to bring various risk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is article analyzes the issues and problems arising from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such as biosafety, the protection of biodiversity and genetic resources, the regulation of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the protection of biodiversity.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endeavoring to solve or regulate the problems appropriately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conclusion of international treaties, adoption of soft-law resolutions and hold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Inter-government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WIPO, FAO, WTO and UNEP, have played important role in making some advance. For example, Biodiversity Convention, Cartagena Biosafety Protocol, Bonn Guideline for Access and Benefit Sharing, FAO Treaty on Food and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can be illustrated as results of the endeavoring. However, there might be yet long way to go to arrive at the position where biotechnology can be useful for the international protection of environment without risks and the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stakeholders.

      • KCI등재

        생물다양성 및 생명공학 관련 국내적․국제적 규범체계에 관한 고찰

        박수진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의생명과학과 법 Vol.2 N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not only draws the attention to the actual and potential value of the biological resources but also causes the concern about biodiversity and safety of human beings. In other words, human beings have received unlimited benefit from biotechnology but at the same time have been faced with moral, ethical and legal dilemma from its development. Biological resources, the vital resources for human beings,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ecosystem and require the balance between use and conservation. However,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biological resources and the biodiversity itself has decreased while the pressure of human beings demand for biological resources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species facing extinction has considerably grown and the balance of ecosystem has already been disturbed. In order to address such challenge, the regulatory scop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has more and more expand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At the same time, the domestic law making process for compliance of such conventions has been actively made at the national level of the Parties to those conven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way forward in our addressing the biodiversity and biotechnology issues through investigating major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relevant domestic legal systems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