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의 비선형 관계분석

        최돈승(Don-Seung Choi),고성은(Sung-Eun Koh),강호상(Ho-Sang Ka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의 비선형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지만 두 변수 사이의 비선형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OECD국가와 ASEAN+3국가를 대상으로 두 변수 사이의 비선형 관계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비선형 관계를 분석하기에 앞서 선형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은행 중심 시스템의 대리변수인 GDP대비 은행부문 국내신용은 경제성장률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시장 중심 시스템의 대리변수인 GDP대비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경제성장률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선형 관계 분석에서는 GDP대비 은행부문 국내신용은 일정수준이 지나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GDP대비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반대로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행 중심 시스템과 경제성장이 U자형 관계를 갖지만 시장 중심 시스템과 경제성장은 역U자형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ASEAN+3국가보다 소득분포가 유사하고 고소득 국가라고 할 수 있는 OECD국가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은행 중심 시스템의 역할이 감소하는 반면 시장 중심 시스템의 역할이 증가하지만 일정한 단계를 넘어서면 이러한 경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반대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using parametric panel data analyses. Though the variety of literatures discu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studies regarding the nonlinear effects of financial development on economic growth are still worse off. Thus, we compared the analyses results of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development of financial system and economic growth using data of OECD and ASEAN+3. As a result of linear analyses prior analyzing the nonlinear relationships, market value of listed companies (% of GDP) as market-based system positively affects on economic growth while domestic credit provided by banking sector(% of GDP) as bank-based system has significantly the negative effects. However, form the nonlinear analyses, this paper found that they have opposite effects on economic growth over certain extents. That is, these findings mean that bank-based system and economic growth have U-shaped relationship while market-based system and economic growth have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Furthermore, these nonlinear relationships are more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OECD, which consist of developed countries with high income leve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are likely to vary by income levels of countries.

      • KCI등재

        기업 조세회피와 세무위험 간 비선형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심해린,최기호 한국세무회계학회 2023 세무회계연구 Vol.- No.76

        [Purpose] Tax avoidance and tax risk have traditionally been perceived as a trade-off. However, as some opposite empirical evidence has been reported recently, conflicting views have been presented that firms with the ability to manage tax risk well engage more in tax avoidance. From this perspective, it seems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are empirically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is study integrates these two contradicting perspectives and proposes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voidance and tax risk. If the level of tax avoidance is within a certain range, the level of tax avoida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bility to manage tax risk. On the other hand, if a firm aggressively increases tax avoidance beyond the limits of manageable tax risk, tax risk may increase with tax avoidance.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avoidance and tax risk using a sample of 5,201 firm-year observations from 916 nonfinancial listed firms in Korea in the period 2003-2018. Tax avoidance is measured as one-year (short-term) and five-year (long-term) effective tax rates, and tax risk is measured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annual effective tax rates over the five-year period. [Findings] We fin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tax avoidance and tax risk. We also find that this negative correlation is mitigated by increasing both the incremental tax avoidance and the incremental tax risk in situations where the level of tax avoidance is high, indicating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voidance and tax risk.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in that it suggests a new perspective on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voidance and tax risk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avoidance and tax risk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ax avoidance. [연구목적] 전통적으로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은 상충관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았지만, 이에 반하는 실증증거들이 제시되면서 세무위험을 잘 관리할 수 있는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인조세회피를 수행한다는 상반된 관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은 실증적으로 보완관계에 놓인 것처럼 보일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관점을 통합하여 기업의 조세회피와 세무위험 간에 비선형관계가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한다. 즉, 조세회피 수준이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기업이 세무위험을 낮은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는능력과 조세회피 전략을 수행하는 눙력이 비례할 수 있으나, 세무위험을 낮은 수준에서 관리하는 데에 한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계속적으로 조세회피를 늘리게 되면 세무위험은 조세회피와 함께 증가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조세회피와 세무위험 간 비선형관계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03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내 상장기업5,201개 기업연도 표본을 이용하여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세회피는1년(단기) 및 5년(장기) 유효세율, 세무위험은 5년간 유효세율의 표준편차로 측정하였으며, OLS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기업 조세회피와 세무위험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조세회피 수준이 높은 상황에서는 증분 조세회피와 증분 세무위험이 함께 증가함으로써 이러한 음(-)의 상관관계가 완화됨을 발견하였다. 즉, 기업 조세회피와 세무위험 간의 비선형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조세회피 수준에 따라 기업 조세회피와 세무위험 간의 관계가 차별화될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통해 양자 간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요한 의의를 가진다. 실무적으로는 과세당국이 세무조사를 수행하고 기업의 경영진 및 실무자들이 세무계획을 수행함에 있어서 조세회피 뿐만 아니라 세무위험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집단 다양성과 사회적 응집성의 관계: 비선형관계의 탐색

        성지영 ( Jee Young Se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집단 다양성 중 인구통계적 다양성의 대표적인 세 가지 차원, 즉 연령, 성별, 직급 다양성이 집단의 사회적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다양성은 집단 내의 구성원들 간에 존재하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차이의 정도를 반영하는 사회적 범주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사회적 응집성은 팀 구성원들이 정서적으로 서로 밀착되고 집단에 몰입하는 정도를 말하며(Carless & De Paola, 2000), 일반적으로 집단 응집성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다양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기업의 경영 환경 속에서 이러한 다양성이 집단의 응집성,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인 측면의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연구를 위해 어느 한 선박제조 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27개 팀에 속한 187명의 종업원과 그 팀장들이었다. 지금까지 집단 다양성이 집단의 성과 등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왔다. 즉 집단 다양성과 집단의 성과나 유효성 등 결과변수간의 관계를 토의한 선행연구들은 부정적 효과와 함께 긍정적 효과를 제시하는 등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an Knippenberg와 그의 동료들(2004)이 제시한 `범주-정교화 모형(categorization-elaboration model: CEM)`을 기초로 하여 연령, 성별, 그리고 직급의 다양성과 팀 구성원들의 사회적 응집성이 선형관계가 아닌 비선형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다양성은 성과에 긍정적 효과뿐만 아니라 부정적 효과도 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집단 다양성과 팀 응집성과의 관계를 선형관계가 아닌 비선형관계(이 분석에서는 역U자 모형)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적정 수준의 집단 다양성이 집단의 사회적 응집성을 높일 수 있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집단 다양성의 각차원인 연령 다양성, 성별 다양성, 직급 다양성들 간에도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추가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집단 다양성(직급 다양성)과 집단의 사회적 응집성은 역 U자형인 비선형관계를 보였다. 이 과정에서 연령 다양성과 성별 다양성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갖는 중요한 의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팀의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적정 수준의 다양성이 존재할 때 사회적 응집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이다. 물론 적정 수준의 다양성은 각 기업의 현실에 따라 다르고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한 팀에서 다양성이 지나치게 높거나 지나치게 낮으면 오히려 팀의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팀의 규모나 실정에 맞게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찾아 팀 구성원을 선발하거나 배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로 인구통계학적 다양성과 집단 내에서 사회적 응집성 간에 역 U자형 관계가 존재한다면 관리자는 집단 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적정 수준의 다양성이 존재하도록 집단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적정 수준의 직급 다양성이 집단의 사회적 응집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최대의 효과를 줄 수 있다면 팀을 설계할 때에도 이 점을 감안하여 사원에서부터 대리, 과장, 부장 등 여러 직급의 팀 구성원들이 함께 일할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팀을 운영하는 방법일 것이다. 특히 팀의 규모가 소규모가 아닌 경우는 여러 직급의 팀 구성원들이 함께 일할 수 있는 팀으로 배치한다면 팀의 사회적 응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성은 서로 다른 다양성 차원(예, 연령 다양성, 성별 다양성)들 간에도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각 차원을 잘 관리하면 긍정적 방향으로 상승 작용하여 팀이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긍정적 상승 작용과 더불어, 다양성의 각 차원들끼리 부정적 방향으로 상승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관리자들은 팀의 구성 및 배치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팀의 사회적 응집성뿐만 아니라 팀 효능감(team efficacy), 팀의 유효성, 그리고 팀의 성과까지 함께 고려하여 집단 다양성의 비선형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도 함께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tends and enhances explanations of how work group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social cohesion in teams. This study developed a framework to predict social cohesion as viewed from social categorization and information-decision making perspectives, and proposes that work group diversity influences important team outcome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ree dimensions of diversity― age, gender and rank (hierarchical status)―on social cohesion in 27 teams of a marine transport company in South Korea.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group diversity and group outcomes has produced inconsistent results. This study addresses this issu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group diversity and social cohesion that is particularly relevant when considering group composition. It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group diversity and social cohesion is curvilinear in n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s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rank diversity and group social cohesion. As rank diversity increases, the intensity of social cohesion at the group level is raised, but only up to a certain point and beyond that, social cohesion is expected to reduce. This result implies that a high level of rank diversity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a high level of group social cohesion. As to the effect of age diversity and gender diversity on group social cohesion, no significant curvi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both age and gender diversity and social cohe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diversity and gender diversity on group social cohesion was found significant. Age diversity and gender diversity interacted to affect group social cohesion in such a way that the effect of age diversity on group social cohesion was stronger when gender diversity is low than when gender diversity is high.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diversity and rank diversity on group social cohesion was only marginally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diversity and rank diversity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effect of gender diversity on group social cohesion is much greater when age diversity is high than when age diversity is low. In other words, when gender diversity is low, groups with higher age diversity show much lower level of group social cohesion than the groups with lower age diversity. But when gender diversity is high, little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low and high age diversity groups in their social cohesion. In sum, this study reported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work group diversity and social cohesion. After passing that peak of rank diversity, higher rank diversity does not enhance, but hampers, the degree of group social cohes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sub-dimensions of socio-demographic diversity interactively affect group outcom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ge diversity and gender diversity interact to affect group social cohe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diversity and gender diversity on group social cohesion needs more expla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ndered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demographic diversity on group outcomes. It provided an alternative way of explaining the effect of diversity in work teams on group social cohesion. In the context of work group divers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dimensions of diversity.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both diversity and group cohesion. Theoretically, this study combined the information/decision-making and social categorization perspectives into the categorization-elaboration model (CEM). With respect to diversity, demographic diversity constitutes a valuable source of variability. The synergistic effect of sub-dimensions of demographic diversity catalyzes group social cohesion. To extend these results further, it would be of great interest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group social cohesion more systematic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outcomes of demographic diversity. The benefits of team diversity may be enhanced by encouraging enlarged pools of ideas and competing perspectives in team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감정노동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라포르와 감정노동의 비선형 관계 검증

        곽묘묘,황호영,강승완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인 라포르의 비선형관계와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의 결과요인인 직무스트레스, 감정적 고갈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감정노동 및 라포르의 비선형관계를 Amos 18.0을 활용하여 검증한 결과 라포르 및 표면행위는 역U자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라포르 즐거운 관계 경우는 심층행위와 정(+)의 선형관계, 정(+)의 비선형관계 라포르 개인적 유대감 경우는 심층행위와 정(+)의 선형관계가 있었다. 또한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감정적 고갈의 관계를 SPSS 18.0(PROCESS)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표면행위는 심층행위보다 더 많은 직무스트레스와 감정적 고갈을 야기하고,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감정적 고갈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비스 종업원들이 표면행위보다 심층행위를 더 많이 수행할 수 있도록 라포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 종업원들의 감정고갈을 감소시키려면 직무스트레스 관리 및 표면행위에서 심층행위로의 전환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적 관계: 조절 초점과 자율성지지 환경의 조절효과

        정예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factor (regulatory focu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factor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LMX would have a curvilinea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ch a relationship would vary across the type of regulatory focus and the level of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To test the hypotheses,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using a sample of 209 Korean employee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was nonsignificant. Regulatory focus was found to moder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for employees with a prevention focus, psychological well-being decreased as LMX increased; this trend was attenuated when the level of LMX was moderate to high. In Study 2, a two-wave study was conducted among 292 Korean employees over a 2-month tim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was nonsignificant.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was low than high.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d to enhanc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right and dark side effects of LMX on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by exploring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effective behavioral guideline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 that strengthen and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LMX on employees’ outcomes.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개인적 요인(조절 초점) 및 조직 환경적 요인(자율성지지 환경)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리더-구성원교환 관계는 심리적 안녕감과 비선형적 관계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개인의 조절 초점 유형과 조직의 자율성지지환경 수준에 따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적 관계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직장인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 1을 수행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직무관련 정서적 안녕감)의 비선형적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초점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예방 초점일 때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높아질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감소하다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중간수준 이상이 되면 이 경향성이 점차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직장인 292명을 대상으로 양 시점 자료를수집하여 단기 종단 설문 연구(연구 2)를 수행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삶 만족)의 비선형적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지지 환경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율성지지 환경 수준이 높을 때 보다 낮을 때 리더-구성원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역 U자형 비선형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 간 비선형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리더-구성원교환 관계가 가지는 양면적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강화 또는 완화하는 개인 특성 및 조직 환경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조직 관리에유효한 행동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의 비선형 관계 분석 : 소득수준에 따른 국가 간 비교분석

        최돈승,조장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의 비선형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연구목적이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다루고 있지만 두 변수의 관계를 선형이 아닌 비선형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다수의 선행연구가 금융시장의 발전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심화될 때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금 융시장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만을 미칠 수는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두 변수 사이의 비선형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53개 국가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금융위기를 고려하지 않고 2001 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 사이에는 유의한 U자형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는 금융시장이 일정수준까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수준을 넘어서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소득수준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고소득 국가에서 두 변수간의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간 및 저소득 국가에 서는 유의한 U자형 관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고소득 국가에서만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 간에 유의한 U자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간 및 저소득 국가에서는 어떠한 유의한 관계도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에는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 사이에 어떤한 유의한 관계도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결과는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은 일관된 관계를 갖지 않으며, 소득수준에 따라 다른 관계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 금융시장의 발전은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금융시장의 긍정적 역할이 실물경제에 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arekt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Many previous papers have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 and economic growth. Studie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a nonlinear rather than linear manner may be insufficient.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argue that the allocation of resource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s, and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s is positive for economic growth in that economic uncertainty can expand when volatility in the financial markets intensifies. It cannot be influenced. Notic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es using data from 2001 to 2016 in 53 countri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from 2001 to 2016,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 and economic growth.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come level separate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high-income countries, but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U-shaped relationship was maintained i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Third,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ly high-income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hereas i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Four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se results show that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do not have a consistent relationship, and income This means that various relationships can be deriv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growth, suggesting that the positive role of the financial market,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l economy.

      • KCI등재

        중국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라포르와 감정노동의 비선형 관계 검증

        곽묘묘,김미옥,노미오,황호영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3

        [Purpose]This research examine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rappor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Methodology]By reviewing preceding research, we created four hypotheses. In order to verify hypotheses,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then,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rapport was verified by SP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was verified by SPSS18.0(PROCESS). [Findings]We find a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rapport and surface act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apport and deep acting. In addition, we determined that the effect of rapport on deep acting is increasing at an increasing rate. We also find the surface acting result in more higher job stress than deep act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Implications]This study suggests that leader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rapport of employees to perform more deep acting than surface acting. Furthermore, in order to decreasing emotional exhaustion, it’s need to prepare switch program from surface acting to deep acting. [연구목적]본 연구는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인 라포르의 비선형관계와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의 결과요인인 직무스트레스, 감정적 고갈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총 4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에 의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타당성, 신뢰성,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감정노동 및 라포르의 비선형관계와 감정노동 및 직무 스트레스, 감정적 고갈의 관계를 SPSS 18.0(PROCES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라포르 및 표면행위는 역U자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라포르 및 심층행위는 정(+)의 선형관계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또한 라포르 및 심층행위의 추가적인 비선형관계 분석결과에 따라 라포르 및 심층행위는 Increasing returns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표면행위는 심층행위보다 더 많은 직무스트레스와 감정적 고갈을 야기하고,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감정적 고갈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따라서 서비스 종업원들이 표면행위보다 심층행위를 더 많이 수행할 수 있도록 라포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 종업원들의 감정고갈을 감소시키려면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표면행위에서 심층행위로의 전환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KCI등재

        팀 내 개인간 인구통계학적 비유사성과 개인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비선형효과를 중심으로

        성지영(Jee Young Seong)박원우(Won-Woo Park)윤석화(Seokhwa Yun)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내 개인이 다른 사람과 차이나는 정도 즉, 개인간 인구통계학적 비유사성(demographic dissimilarity) 혹은 관계적 인구통계(relational demography)가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기범주화 관점(self-categorization perspective)과 유사성/매력 관점(similarity/attraction perspective) 및 정보/의사결정관점(information/decision-making perspective)을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성별, 직급, 그리고 근속년수의 네 가지 측면에서 팀 내 구성원들 간의 관계적 인구통계를 분석하였고, 이들과 성과와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비유사성 및 근속년수 비유사성과 개인성과 간의 관계는 약한 역 U자형 형태, 비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다양성(diversity) 연구에서 성과와의 비선형관계를 제시하는 연구들과 일치되는 결과이다. 이로써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적정 수준의 다양성 또는 비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성과관리의 책임을 지고 있는 관리자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adopting work group arrangements such as cross-functional project teams that incorporate differences in functional or educational background (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Diversity is also introduced into work groups by mergers, acquisitions and joint ventures. As a result, managing diversity forms a major challenge for organizations. In this context, considerab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in work groups, and the consequences that arise (e.g., Chatman et al., 1998). Although diversity is a group characteristic, there is a stream of research on what is called relational demography (Chattopadgyay et al., 2004; Tsui & O’Reilly, 1989), which focuses on the effects of individuals’ similarity to their work group (e.g., Chatman & Flynn, 2001; Chattopadhyay, 1999) or to their leader (e.g., Tsui et al., 2002) as predictors of individual outcomes (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A recent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is based largely on two related theories: what has been termed social identity theory (Tajfel & Turner, 1986) 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Turner, 1987). The key questions in diversity or relational demography research are how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work group members affect individual outcomes or group processes and performance (e.g., van Knippenberg & Schippers, 2007). In this vein, our study explores how the relational demography in work teams can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In contrast to the social categorization perspective, the information/decision-making perspective emphasizes the positive effects of work group diversity. To integrate these opposing perspectives, van Knippenberg et al.(2001) propose the Categorization-Elaboration Model (CEM). This model posits that social category diversity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because idea that the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might be curvilinear. The potentially positive effects of the relational demography on individual performance may only apply at a certain level, beyond which the lack of a common frame of reference may obstruct or prevent a full appreciation of all group members’ contributions. Thu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made: H1 : Demographic dissimilarity (Relational demography in work group)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a : Age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b : Gender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c : Rank (hierarchical status)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H1d : Tenure dissimilarity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We collected data from a private-sector firm. Participants comprised 130 employees from an electronic company located in Seoul. Relational demography and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ersonnel records and documents of the company. We used performance appraisal ratings from supervisors and execu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mographic dissimilarity (relational demography in work group) will have an inverted U-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to individual performance.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Hypothesis 1b and Hypothesis 1d.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upport Hypothesis 1a and Hypothesis 1c. As noted above,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curvilinear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on individual performance. The lack of significant curvilinear effects for age and rank dissimilarity might be explained by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which these relational differences are embedded. The workforce at this firm had a high proportion of men (85%).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salience of demographic attributes as social categori

      • 조직 내 사회적 관계의 호혜성(reciprocity)이 직무성과와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정명호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4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3

        조직구조가 수평화 됨에 따라 구성원 간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구성원들이 맺고 있는 관계의 호혜성(reciprocity)을 가정하고 있으나, 실제 사람들이 주고받는 자원의 양과 질은 비대칭적(asymmetric)이다. 특히, 성과주의와 경쟁이 만연한 현대 조직의 구성원들은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방을 이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회주의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행동이 증가함에 따라 호혜적 관계는 위협을 받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의 각종 재난, 경제적 위기와 더불어 강도 높은 조직변화와 고용 불안정성 등 조직 내 요인으로 인해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이 주관적인 성과지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직 내 사회적 관계의 성격 역시 구성원의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의 비대칭성에 주목하여, 관계의 호혜성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성과와 정서적 안녕(affective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상이한 자원을 교환하는 업무조언 네트워크와 친교 네트워크에서 사회적 관계의 호혜성이 직무성과와 정서적 안녕에 차별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먼저,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제공하는 자원보다 수혜 받는 자원이 많은 비대칭적인 관계는 업무조언 관계와 친교관계 모두에서 직무성과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반면, 개인의 주관적 정서에 따라 결정되는 정서적 안녕은 사회적 관계의 비대칭성과 역 U자형의 곡선적(curvilinear) 관계를 가질 것으로 보았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 11개 기업, 26개 팀의 108명의 네트워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측과 반대로, 업무조언 관계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수혜 받는 자원이 자신이 제공하는 자원보다 많아질수록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친교관계에서는 타인으로부터 획득하는 자원이 제공하는 자원보다 많아질수록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한편, 업무조언 관계와 친교관계 모두에서 자신이 타인에게 제공하는 자원보다 수혜 받는 자원이 많아질수록 정서적 안녕이 증가하였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정서적 안녕이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계의 호혜성과 구성원의 정서적 안녕 간의 역U자형 관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직 내 사회적 관계를 단순히 비용과 이익을 고려한 경제적 교환관계로 보는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고, 호혜성의 규범을 지키고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직무성과와 구성원 안녕에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의의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이 조직 내 네트워크 및 조직관리에 미치는 효과와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제조업 생산과 기상충격 간 비선형 관계 분석

        조하현(Hahyun Jo),신동현(Donghyun Shin),장민우(Minwoo Ja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및 불쾌지수 등과 같은 기상충격들과 한국의 제조업 생산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확인하고, 비선형 관계에 구조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1995년 2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월별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기온, 불쾌지수와 같은 기상충격들은 특정 임계치를 기준으로 임계치 이하에서는 제조업 생산과 양의 관계를, 임계치 이상에서는 제조업 생산과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습도, 강수량 등과 같은 기상변수들은 임계치 이상에서만 제조업 생산과 음의 관계를 가지나 임계치 이하에서는 제조업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제조업 생산에 대한 기상충격의 효과는 중소기업 제조업의 업종별 생산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 생산과 기상충격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제조업 생산과 기상충격들간의 비선형 관계를 결정하는 임계치는 기상변수와 기업 규모, 제조업 업종 등에 따라 모두 달라지며, 임계치 이상과 이하의 기상충격이 생산에 미치는 효과는 비대칭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충격이 제조업 생산으로 전달되는 경로가 노동생산성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대기업에 비해서 노동집약도가 높은 중소기업의 제조업 생산이 상대적으로 기상충격에 더 민감한지를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제조업 생산과 기상충격들 간의 관계는 구조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기업 제조업 생산은 구조변화 시점 이후에 기상충격에 대해서 보다 더 민감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제조업 생산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기상충격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근로 환경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임계치 이상의 기상충격 효과가 커지는 하절기에는 휴가나 근로시간 조정 등을 통해서 기상충격의 효과를 분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지나친 냉·난방 규제는 제조업 생산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climates shocks. In producti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discomfort index(DI) and precipitation have asymmetric effects on small businesses, large corporations, and total manufacturing.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numbers of production of small business manufacturing sectors are influenced by asymmetric climate shocks. Below the threshold, temperature and DI shocks have positive effects on manufacturing production. In the case of humidity and precipitation, manufacturing production decreases by positive shock only higher than the threshold. Small business manufacturing production is more sensitive to climate shocks than large corporation or total manufacturing, especially for climate shocks below the threshold. Analysis of structural breaks shows that one structural break occurred in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climate shocks of large corporation and total manufacturing. Since structural break time, production of large corporation manufacturing has been affected more easily by climate shocks. On the other hand, total manufacturing production has been less sensitive to climate sho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