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업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스잔,김윤재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uld overcome the crisis and adversity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throug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job adapt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and to contribute to the various problems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confirm this as an empirical research task,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job adap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elected, an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caregivers' As a mediator. So Seoul.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as follows: 291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 area. Firs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occupational caregivers and occupational adaptation were more severe, the higher the maladjustment of the workplace culture, the mor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dversely affected. The emo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information support, the more satisfied and satisfied the job.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of the caregiver and the protective facto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conflict of caregivers, the more unstable the workplac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adapt to work culture, Respec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adap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job adaptation, It is shown that they play mediating role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do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 self -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if caregivers feel satisfaction about their job, they can be less stressed on their jobs,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upport.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caregiver 's immersion into the organization, the l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but the self - efficacy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were not influenced. Based on this,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should strive to stabiliz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nd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by seeking ways to improve conflict resolution and adaptation to the workplace culture so that nursing care workers can adapt to their work.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ct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업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장기적으로는 요양보호사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증적 연구과제로 확인하고자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직업적응 및 이직의도를 선정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업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 경기지역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심할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고 직무에 몰입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하다고 느길수록, 직장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수록 이직의도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직업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 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은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만 매개역할을 하고,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변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평소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긍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되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조직에 몰입하면 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장은 요양보호사들이 보다 직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과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시설운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 경영전략 및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이 학업중단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

        이경민,양경화,이난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위험요인(개인위험요인, 가족위험요인, 또래위험요인, 학교위험요인, 사회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개인보호요인, 가족보호요인, 또래보호요인, 학교보호요인, 사회보호요인)과 자아존중감, 행복감이 학업중단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들 중에서 청소년의 학업중단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고, 청소년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학업중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중고생 562명(중학생 183, 인문계 고등학생 379)이었으며, 이들은 학업중단의식척도,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행복감 척도에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요인들은 학업중단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였고 학업중단의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한 결과 학교위험요인, 개인위험요인, 또래보호요인, 행복감, 사회위험요인, 학교보호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학업중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각각 하위요소별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이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self-esteem, happiness,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adolescents on their academic interruption consciousness, and whether the self-esteem and happiness hav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and protection factors and academic interruption consciousness. Total 562 students (183 middle school, 379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with academic interruption consciousness scale, risk and protection factor scale, and self-esteem scale, happiness scale. After analyzing the impact of self-esteem, happiness,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n academic interruption consciousness of adolescents, it turned out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s school-related risk factor, followed by individual risk factor, peer protection factor, happiness, social risk factor, and school-related protection factor. As a result of Baron&Kenny’s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nd protection factors of adolescents and their academic interruption consciousness, it turned out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partially exi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 factors and academic interruption.

      • KCI등재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인력, 비용, 시설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박상희,유재남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ay and night car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 Among staffing factors, benefit cost factors, and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which factor best explains service satisfaction is to be identifi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rimary caregiver of long-term care insurance day and night care users for the elderly. Some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2021 study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The Function Specialization of the Day and Night Care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as us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staffing factors, benefit cost factors, and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the factor that best explains th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is staffing factor, followed by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and benefit cost factors in that order. In particular, in the staffing fact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communication with the family, and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family were analyzed as determinants that affect service satisfaction. As for the benefit cos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cost of using the servi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In terms of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the latest facilities and sufficient equipment, a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for the elderly to use, and a caring space affected servic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policy and practical directions were suggested, such as strengthening staffing and facility environment standards, appropriateness of benefit costs, and seeking various service payment methods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services provided by day and night care institutions. 본 연구는 보호자의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인력 요인, 비용 요인 및 시설환경 요인 중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어떤 요인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야간보호 이용자의 보호자로서, 2021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야간보호 기능전문화 방안’연구 수행을 위해 수집한 자료 일부를 활용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는 전체 모델 설명력이 51.5%로 나타났다. 인력 요인과 비용 요인 및 시설환경 요인 중에서 보호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인력 요인이며, 그 다음으로 시설환경 요인, 비용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력요인에서 직원의 전문성과 가족과의 의사소통 및 가족들의 의사 반영도는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비용 요인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서비스 이용 비용에 대한 만족감이 클수록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환경 요인에서 최신시설과 장비의 충분성, 어르신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구조 및 배려 공간 등이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야간보호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환경 기준의 강화, 급여비용의 적정성 및 다양한 서비스 지불방법 모색 등 관련 정책적․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김순혜 ( Soon Hy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승산을 높이는 위험요인들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으며,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승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들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같은 수준의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하더라도 보호요인을 확보하고 있는 아동은 피해자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위험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보호요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3개 초등학교 480명을 대상으로 10개의 위험요인과 8개의 보호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8.5%의 아동들이 피해경험집단으로 분류되어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폭력피해경험유무의 관계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승산을 높이는 위험요인은 부모의 잘못된 훈육, 친구비행 그리고 폭력매체접촉이었고,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승산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은 유일하게 친구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떠한 위험요인에 처해있어도 이를 억제해줄 수 있는 보호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내적통제소재, 집 분위기, 교사지지가 강력한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에도 위험요인별 보호요인의 종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위험요인들을 제거하고 보호요인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특히 위험요인을 완화해줄 수 있는 보호요인을 탐색할 때, 위험요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risk/protective factors of the bullied children. Especially real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violence is to be confirmed. Four hundred and forty children from 3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185 samples were categorized as bullied children of school violence. The questionnaire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is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ten risk factors and eight protective factors. For systematic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MANCOVA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risk factors were more than protective factors. And parental ill-treatment, juvenile friend, and violent media exposure were confirmed by risk factors. The most important protective factor was friend`s emotional support. Also family mood, locus of control, and teacher`s emotional support were functioned as protective factors under any risk factor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gram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the prote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중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

        이준기,최웅용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auses of Internet addiction of the adolescents based o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6 adolescents who use the Internet too much and belong to the potential risk group ranging from 4^(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to 3^(rd) grade at the middle school in OOOOO metropolitan city.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self-control scale, family protective factor scale, peer protective factor scale, school protective factor scale, aggressiveness scale, family risk factor scale, peer risk factor scale and school risk factor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results presented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risk factors, Internet addi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ness, family risk factors, school risk factors and peer risk factors, but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tective factors, self control, school protective factor and peer protective factor. However, it had no correlation with family protective factor. Looking at influence of risk factors which were exam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Internet addiction of the adolescents, the positive effects on school risk factor (low academic interest), family risk factor (negative communication), personal risk factor (aggressiveness) and peer risk factor (negative peer pressure) were variables to show a positive influence. Looking at the influence of protective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of the adolescents, personal protective factor (self control) was shown as variables to show the negative influence. Through basic research o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e personal risk factor (aggressiveness), family risk factors (negative communication), school risk factors (low academic attention) were sat as a personal protective factor (self-control) in protective factors as risk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and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uffer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against risk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protective factor had a buffering effect on personal risk factor, but no buffering effects on family risk factor and school risk factor.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청소년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OO광역시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인터넷사용 잠재위험군과 중독사용자군 2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그리고 인터넷중독을 측정하는 척도를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개인 위험요인의 공격성, 학교 위험요인의 낮은 학업관심, 가족 위험요인의 가족 간 부정적 의사소통, 또래 위험요인의 부정적 또래 압력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험요인의 가족 위험요인의 경제․정서지원 결여, 학교 위험요인의 부정적 교사관계, 또래 위험요인의 비행 또래 접촉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은 개인 보호요인의 자기통제력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 중 가족 보호요인의 부모의 관리감독, 학교 보호요인의 학교에 대한 흥미, 교사지지 또래 보호요인의 친한 친구, 또래 지지는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이 청소년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에 어떠한 관계를 맺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18.0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 위험요인(공격성)은 인터넷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인보호요인(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위험요인과 학교위험요인은 개인보호요인(자기통제력)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 · 위험요인 척도 개발

        김용석(Kim, Yongse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도박문제와 관련 있는 다양한 요인을 포괄하는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위험요인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청소년 도박문제 및 문제행동 관련 국내외 문헌 분석, 기존 척도 분석, 도박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주변인 대상 심층면접 등을 실시하여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총 1,536명의 청소년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보호요인 6개와 위험요인 6개가 도출되었다. 이들 12개 하위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그러나 타당도 평가에서 위험요인 중 1개 요인이 일부 보호요인들과 예상과는 다른 관계를 보였고, 보호요인 6개 중 4개가 도박문제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위험요인 척도는 7개 요인(보호요인 2개, 위험요인 5개)과 3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로 결정되었다. 후속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외된 보호요인들을 재평가하고 보호요인을 추가 발굴하여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위험요인 척도의 완성도를 높여주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a risk and protective factor scale for adolescent gambling problem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ncluding gambling, the review on existing similar scales, an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teachers, and social workers. A total of 1,536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a serie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ix risk factors and six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all the 12 subscales showed satisfactor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However, 4 protective factors and 1 risk factor did not have satisfactory validities. The final risk and protective scale for adolescent gambling problems is composed of 2 protective factors and 4 risk factors with 35 items. It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identify more protective factors in order to make the scale more complete.

      • KCI등재후보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분석

        한상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e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s sex risk behavior. A sex impulsivity, a sensation seeking, a negative coping strategy, and a peer pressure as risk factors were presented by a prior researchers. A positive coping strategy, a positive perception on school life, a parent's rearing behavior(father and mother), and a parent-child's communication (father, mother) as protective factors were selected to base on previous studies, and found by researchers that these factors have buffering effect of risk factors on a sex risk behavior. The subjects are 600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D city. Scales for measuring these variables are all eight, such as a sex risk behavior scale constructed of 20 items, a sex impulsivity scale with 12 items, a stress coping strategy(positive, negative) scale constructed of 36 items, a sensation seeking scale with 20 items, a peer pressure scale with 20 items, a positive perception on school life scale with 9 items, a parent's rearing behavior involv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scale with 9 items, a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with 20 items. Statistical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As expected, all risk factors predicted significantly sex risk behavior. The higher risk factors was, the higher sex behavior was found in adolescent. a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2) The result showed that a positive coping strategy, a parent's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aring behavior, a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protective factors have buffering effect of sex impulsivity and sensation seeking on adolescent's sex behavior. This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at considering an treatment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ng adolescent's various risk behaviors is importance. 본 연구는 청소년 성행동을 위험행동으로 규정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험요인은 위험행동의 원인이 되지만,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키는 조절효과를 갖는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위험요인은 성충동, 감각추구성향, 소극적 대처전략, 또래압력 지각이며, 보호요인으로 가정한 것은 적극적 대처전략, 학교에 대한 긍정적 지각, 부모의 감시 및 통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다. 이들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이 실제로 성 위험행동에 영향을 주고, 조절효과를 갖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인문고, 전문계고에서 표집한 총 600명의 청소년들이며, 성 위험행동을 비롯하여 4개의 위험요인과 6개의 보호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총 8개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1단계에서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2단계에서 보호요인의 위험행동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3단계에서 상호작용 검증을 통해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위험요인은 성 위험행동을 의미 있게 설명해 주었으며, 6개의 보호요인은 위험행동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험요인으로 성충동이 투입되었을 때 적극적 대처, 부와의 의사소통, 모와의 의사소통이 각각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나타냄으로서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감각추구성향이 위험요인으로 투입되었을 때는 적극적 대처, 부와 모의 감시 및 통제 양육행동, 부와의 의사소통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성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위험요인으로 성충동, 감각추구성향, 소극적 대처, 또래압력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위험요인의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시켜 주는 보호요인으로는 적극적 대처전략, 부와 모의 감시 및 통제 양육행동,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확인되었다. 청소년 성행동 지도에 있어서 극단적인 위험요인은 계속해서 제거시켜 나가야 하겠지만 이와 더불어 보호요인의 처치를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시켜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김선희(Kim, Sun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집단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아동학대 수준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개입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76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라 3가지 잠재프로파일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위험요인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보호요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위험-저보호(high risk-low protective)’집단 (46%), 아동기 학대경험이 다른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고, 보호요인 수준이 평균보다 낮은 ‘아동기 학대경험-저보호(childhood abuse-low protective)’집단 (5%), 그리고 위험요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보호요인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위험-고보호(low risk-high protective)’집단 (49%)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른 3가지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따라 어린이집 학대 유형별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고위험-저보호’집단 교사의 정서학대 및 방임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반면 ‘저위험-고보호’집단 교사의 정서학대 및 방임의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 한편 신체학대와 성학대의 경우 3가지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린이집 학대 예방을 위한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접근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redicting child abuse in daycar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in child abuse by types of profiles. The sample for this analysis was 760 teachers in daycare centers.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e following ; First, three distinct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redicting child abuse were identified (high risk–low protective, childhood abuse-low protective, and low risk-high protectiv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hild abuse by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eachers who were on low risk–high protective profile showed the lowest level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hile teachers who were on high risk–low protective profile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hysical abuse and sexual abuse by types of profiles.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intervention on daycare center teachers grounded by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 KCI등재후보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 : 개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홍순혜,박윤숙,원미순,Hong, Soon-Hae,Park, Yun-Sook,Won, Mi-S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2 No.-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이 신변보호담당과의 업무부담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인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도모해야 하며 어떤 사회적 기술 습득을 지원해야 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변화를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이 갖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은 그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갖고 있는 장애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20개 항목을 구성하여 148명의 신변보호담당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립능력, 생활태도, 사회문화적 적응, 신변보호담당관의 지원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들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었으며, 4개 요인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장애요인들 중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요인만이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향상되었고 다른 요인들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네 가지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이 지각하는 신변보호 업무량, 업무난이도, 신변보호담당관과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는데, 생활태도와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 태도, 행동 변화를 위한 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personal fact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that obstruct their settlement in South Korean communities. It will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should be changed and what social skill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successfully adjust to South Korea. Personal obstacles were measured by police officers who are providing special protection for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who are in a good position to observe behavi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because they are spending a great deal of time with them. They can even identify the personal obstacles not perceived by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themselves. Twenty-item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personal obstacles and was found to comprise 4 obstructing factors: self-supporting ability related factor, life style related facto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related factor, and attitude toward police officer's support related factor. Among them, self-supporting ability related factor had the highest negative score.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self-support ability and life style related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burden of police officers. Th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of ethical and moral education for the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 KCI등재

        가정외보호유형별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보호요인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강현주(Kang, Hyun Ju),강현아(Kang, Hyun Ah)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 세 가지 보호유형 집단별(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로 분석하고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의 제1, 2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4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을 보호유형별로 양육시설, 그룹홈, 위탁가정 집단으로 나누어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동 개인 내적 보호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이 모델에 포함되었고, 양육자 보호요인으로는 친부모 애착, 현양육자 관계를, 가족 외부 지지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긍정적 친구관계가 포함되었다.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1년 후의 가해행동 간 인과관계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미한 영향을 보인 보호요인의 경우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pick-a-point 접근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세 가지 보호유형 중, 시설아동집단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1년 후의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홈과 가정위탁아동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아동집단에서 아동의 자기표현력이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유의미한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룹홈과 가정위탁아동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가정외보호아동의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개입 필요성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for each group of different out-of-home care types: institutional care, group home, and foster care.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d the protective factors for children in each type of the care.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 (PSKCOC), we utilized a sample of 458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wave surveys. As possible protective factors, this study examined internal, caregiver, and external support-related fac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ick-a-point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hree groups of childr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f children was shown to influence violence perpetration only in the institutional care group. Second, among examined possible protective factors, only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among the institutional care group showed buffering effects of victim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