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8주간 태권체조 운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정화,최승준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의 수준을 알아보고 태권체조 운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 아동은 A시에 거주하는 발달장애 아동 중 기본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가 가능하고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발달장애 초등학생 아동 24명으로, 태권체조 참여 집단 8명, 학교체육참여 집단 8명, 통제 집단 8명을 무선할당 하여 3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공된 태권체조 운동은Gallahue의 운동발달 단계에 따라 활동 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기본움직임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태권체조 동작을 접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안전을 고려하고 실제 참여 시간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2년 이상인 특수체육 전공 박사 과정 1명과체육학과 석사 과정 2명이 90분 수업 기준 매주 2회 8주 동안 지도하였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능력의 수준을 알아보고 운동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기 위하여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를 사용하여 운동협응 능력을 운동 참여 전, 후를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운동 중재 참여 그룹과 학교체육 참여 그룹, 통제 집단의 차이를 규명하고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 중재 참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과 사후검증(contrast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 아동은 비장애 아동에 비하여 운동협응 능력이 현저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8주간 태권체조 운동에 참여한아동들의 운동협응 능력은 다른 비교 집단 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태권체조 운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 개선을 위한운동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of exercise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8 weeks Taekwon gymnastics program on the exercise coordination. Total 24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11~16 yrs) were participa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Taekwon gymnastics(TA, n=8), physical education(PA, n=8), and control group(n=8). All study participant performed their respective activity program for 8 weeks (2 times/week, 90 min/session). The Activity theme and contents of Taekwon gymnastics were chosen considering the exercise development levels of Gallahu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exercise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a 3X2 repeated measure ANOVA with post-hoccon contrast test (p<0.05) to identify the statistical differences. At the baselin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howed very low ability of exercise coordination compared to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less than 5% of bottom line). After 8 weeks Taekwon gymnastic programs, TK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manual dexterity, balance, and total test score(p<0.05). While TK and PA groups, both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n aiming and catching task. In conclusion, 8 weeks of Taekwon gymnastics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exercise coordin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연구

        박주연,박재국,김영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I(Sensory Integration) function with Performances of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ccording to sex, age, and type of disability of CDD(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correlation of the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69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78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5 to 7 years. In order to get information, I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speech-language treatment center, children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hospital and handicapped welfare center in Pusan and Ulsan and carried it out children’s par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1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ctical sensitivity, taste/smell sensitivity, auditory filtering, visual/auditory sensitivity, and total score according to age of children. And then, the result of comparison showed 5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ditory sensitivity and visual/auditory sensitivity with type of disability. Second, there were 5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lysis of performances of ADL according to age and type of disability with CDD. And according to their age, the more grew old, the more increased their abilities in all categories. But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y,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Third, The correlation of SI function and Performances of ADL with CDD showed that there were 0.1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7 categories, total score of SSP and 4 categories, total score of PEDI(self-care). That is to say, the lower SI function, the lower Performances of ADL and the higher SI function, the higher Performances of ADL. The conclusion was showed that when CDD get SI Treatment, teacher and therapist consider their age and type of disorder. Also, when CDD get training of ADL, teacher and therapist consider their sex, age and type of disorder. And I think that When CDD get training of ADL, if teacher and therapist consider the SI function of CDD, the ADL ability of CDD will improve.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특성과 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중재 방법을 구안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울산지역 언어치료실 및 아동발달센터, 대학병원, 장애인복지관에 다니고 있는 만 5세에서 7세의 발달장애아동 부모(N-147)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은 감각통합기능이 전반적으로‘확연한 문제군’에 속하였으며, 하위 영역 중 특히 촉각 민감성, 맛/냄새 민감성, 청각여과하기, 시각/청각 민감성에서 연령이 향상되어짐에 따라 감각통합기능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유형에 따라서는 하위 영역 중 청각여과하기와 시각/청각 민감성 영역에서 지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기능이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보다 다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전반적 일상생활활동은 4가지 영역(식사, 위생관리, 착탈의, 배변조절 및 화장실 사용) 모두 50~60%의 수행정도를 보임으로써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 영역 중 식사하기와 배변조절 및 화장실 사용 영역이 위생관리 및 착탈의 영역보다 다소 수행능력이 좋았다. 한편 일상생활활동의 4가지 영역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행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장애유형 중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이 지적장애 아동보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감각통합기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높고, 감각통합기능이 낮을수록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낮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조기에 감각통합훈련을 실시하되 각 장애가 나타내는 고유한 특성과 감각통합기능 특성을 반영하여 일상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훈련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겠다. 즉 청각과 시각 영역에서의 민감성을 보이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는 그러한 감각 자극을 조절한 감각통합활동이, 소근육에서의 문제를 많이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에게는 그러한 영역의 활동을 적용한 감각통합활동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인영,이재신,차태현,유두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충청 및 전라지역에서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소아장애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부담감은 가족부담감 측정도구와 삶 의 질은 삶의 질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삶의 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발달장애아동의 대소변 조절과 위생관리는 부모의 부담감에 중요한 영향을 주 었으며, 발달장애아동의 위생관리, 화장실이용, 대소변조절은 부모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부모의 부담감 감소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에 대한 치료적 중재와 교육, 면담 프로그램이 작업치료사들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heck the impact of the daily performance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Methods : 12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argeted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o measure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used evaluativ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The burden of parents was measured by Family Burden Questionnaire and the quality of life by Beach Center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impact of a child's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developmental disability on the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Results :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a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urden of the paren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hygiene and bowel & bladder contro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parent's burden, while hygiene, toileting, and bowel & bladder contro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Conclusion : It has been shown that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a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a major influence on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erapeutic intervention, education and interview programs for daily lif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 to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by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

        강현진,장문영,김경미,Kang, Hyun-Jin,Chang, Moon-Young,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에서 6세의 전반적발달장애로 진단받은 아동과 만 4세에서 6세 사이의 일반적 아동이다. 연구도구는 자폐아동의 섭식행동 체크리스트(Brief Autism Mealtime Behavior Inventory: BAMBI), The Sensory Checklist의 Food 영역, 감각에 대한 아동의 반응 질문지(Short Sensory Profile: SSP)이다. 전반적 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관을 통해 실시하였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설문지 45부와 일반아동의 설문지 109부를 분석하여 감각처리, 섭식행동, 구강섭식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감각처리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섭식특성인 섭식행동과 구강섭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은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섭식행동의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맛/냄새민감성, 청각여과하기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섭식행동의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감각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과소반응/자극추구행동, 청각여과하기와 구강섭식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을 비교하고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섭식행동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terms of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oral feeding.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normal children and those who have diagnosis of a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ged from 4 to 6.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composed of Short Sensory Profile (SSP), Brief Autism Mealtime Behavior Inventory (BAMBI) and Food Items of the Sensory Checklist. Data collection was done by a professional survey institute located in 10 cities including Busan, South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55 parent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survey institutes. Total 263 answers were collected out of 455 questionnaires (62%) and 154 answers were used in data analysis. Out of 154 answers, 45 were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09 were for normal children. Data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such as eating behavior and oral feeding. Result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all area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p<.05).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eating behavior (p=0.881) and oral feeding (p=0.324). 3.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a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t is foun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eating behavior and oral feeding (r=-0.384, p<.01). 4. A remarkabl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eating behavior especially in taste/smell sensitivity (r=-0.6, p<.01) and auditory filtering (r=-0.326, p<.05).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oral feeding was most significant in under responsiveness/seeking sensation (r=-0.372, p<.05) and auditory filtering (r=-0.382, p<.05).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some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This information can be useful to develop a program to intervene eat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사정 모형과 과정에 대한 고찰

        유경미 한국발달장애학회 2008 발달장애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일반적인 사정의 개념과 사정의 유의점을 논의하고, 다양한 관점접근에서의 사정모형과 과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발달장애아동을 사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적절한 교육을 주장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 및 과정이 한다. 결론적으로 발달장애아동의 문제를 진단 및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과 사정과정은 첫째, 발달장애아동의 유형에 대한 명확한 분류가 전제된 후 이루어져야 하고, 아동의 장애 특성에 따라 적합한 사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진단은 형식적 사정과 비형식적 사정을 포함하여 초학문적 팀 접근을 통해 선정되어야 한다. 셋째, 발달장애아동 사정과정은 교육학적&#8228;심리학적&#8228;생태학적&#8228;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총체적인 사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삶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유강민,손영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4

        This study presents the conditions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motional life and explores the meaning of their emotional experience by hermeneutic inquiring method as a reflective praxis. That is,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xistential circumstances in the life-Worlds where they have leaded their life and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as the result of them by the hermeneutic inquiry. In the study I would enlarge and reconstruct my new horizon by my endless reflection and criticism through open mind on my present horizon, and in addition, in the process, understand the meaning of intersubjective relative experience with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I would scrutinize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motional life from the ontological-hermeneutic viewpoint going beyond the reductional, positivistic, and functionalistic one. For the study, I select four children staying in J city and gather some materials for the study from them by literature analyses on the subject, participative observation of them, non-structural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them, and interpret the materials from September 2010 to June 2012. In order to underst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motional life, I write some texts based on my observation journals to describ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veryday life and their friendship with peers, and my interview manuscripts with their parents. And then I interpret those texts searching for rich and deep mea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o interpret and signify the texts concerning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motional life are as followed. Firstly,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emotional aspects are faithful to their own sentiment and often remain in secrecy because of their not fixed, free and flexible traits. Secondly, th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thinking systems border on their instincts and present their free thinking traits without restraint.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thought and cognition show their naive and unaffected human nature. Thirdly, th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experience and practice their attachment and deviation, and phroneses such as imitations and order. Their behavioral modes and expressive behaviour are another mode of emotive experience.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삶에 대한 논문으로 실천적 학문인 해석학적 연구 방법을 원용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삶에 대한 현상과 그 의미를 해석학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이 삶을 영위하는 생활세계 내에서의 실존적 상황과 그 교육적 함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해석학적인 탐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 활동에서 발달장애 아동과의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통하여 경험의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9월부터 2012년 6월까지 J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4명을 대상으로 문헌분석, 참여관찰, 비구조적 면담, 협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자가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삶에 대한 텍스트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한 결과는 첫째,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는 자유롭고 유동적이며 탄력적이어서 그들의 감정에 충실하고 자신들의 비밀스러운 세계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의 사고 체계는 본능에 가깝고 자유분방하며 발달장애 아동의 사고와 인지 자체는 인간 본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발달장애 아동은 스스로의 행동 속에서 집착과 일탈, 모방과 질서 등의 실천적 지혜를 경험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 양식과 표현 행위는 또 다른 정서적 경험의 표현 양식이었다.

      • KCI등재

        북한 아동기 발달장애 진단 및 지원 서비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미선(Lee, Mi sun),이경숙(Kyung-Sook Lee)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는 북한의 아동기 발달장애 진단 및 지원 서비스 현황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 장애인 관련 논문과 북한에서 발간되어 유입되는 각종 문헌과 법률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북한에서는 아동기 발달장애를 지능장애, 발육조절장애어린이, 자폐증을 포함한 ‘발육장애어린이’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북한의 아동기 발달장애를 진단하는 진단체계는 세계보건기구가 발간하는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국제질병분류)-10를 사용하고 있으며, 지적장애와 자폐증에 대한 진단도구가 있으나 남한과 국제사회에 비해 매우 미비한 수준이다. 북한 아동기 발달장애 지원서비스 관련법령으로는 장애자보호법, 아동권리보장법, 어린이보육교양법이 있다. 북한 아동기 발달장애를 위한 지원서비스 전달체계는 조선장애어린이회복원, 문수기능회복원, 옥류아동병원을 중심으로 현재 평양에만 구축되어 있다. 또한 북한 아동기 발달장애를 위한 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은 현재 공교육 과정에서 양성되고 있지 않으며,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워크샵과 북한 내부적인 세미나로 확충해가고 있다. 향후 국내 아동기 발달장애 학계에서는 남북한 관계개선 및 교류협력 시기에 대비하여 북한의 아동기 발달장애 영역에 대한 이해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제안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diagnosis and support services for childhoo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papers on the disabled North Koreans and various documents and laws published in North Korea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orth Korea defines childhoo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including intellectual disability, developmental regulation disorders, and autism. Also the diagnostic system for childhood developmental disorders in North Korea uses 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 publis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re are diagnostic t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but the system is very small compared to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orth Korea is not known precisely, and laws related to support services include the Disabled Persons Protection Act, the Children s Rights Guarantee Act, and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Act. North Korea s support service delivery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hildhood is currently only established in Pyongyang, centering on the Joseon Disabled Children Restoration Center, Munsu Function Restoration Center, and Okryu Children s Hospital. In addition, human resources providing support servic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orth Korea are not currently being fostered in public education courses, and are being expanded through workshops and internal seminars in North Korea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future, academia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hildhood needs to discuss ways to understand and support North Korean children s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timing of exchange and cooperation.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가족을 위한 지원

        전혜인(Jeon, Hae In) 한국자폐학회 2006 자폐성 장애연구 Vol.6 No.1

        다른 유형의 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가족들과 비교하여 발달장애아동의 가족들은 자녀를 양육하며 생활하는 일상생활면에서, 또한 정서적인 면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에 따라 다르게 겪게 되는 부모의 경험과 스트레스에 대해 일반적인 가족지원을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여타 장애아동 가족의 어려움과 특별히 구분되는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발달장애아동 가족에게 적합한 지원제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장애유형의 장애아동의 가족을 위한 지원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발달장애아동의 가족들에게 요구되는 가족지원의 내용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발달장애아동의 가족들을 위한 지원은 발달장애아동 가족들의 요구에 적합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심리 정서적 지원과, 사회 제도적 지원, 양육 및 교육과 관련된 지원이 포함된다.

      • KCI등재

        모-아 음악극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과 양육자의 심리 및 행동 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은주,김경숙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mother-child musical play activities affect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Caregiv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7 to 12 and Caregivers, and 6 pairs of experimental groups and 6 pairs of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rom among applic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Center A located in Incheon for a total of eight times,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for four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take any treatment except for interaction in daily life. As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K-PSI" and "Ego-Resilience Scal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K-MBRS & K-CBRS" and "MT-MAP" were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children and Caregiv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Each time, three people, including a researcher and two music therapists, observ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 evaluation scal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ar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reactivity and efficiency among the sub-areas of K-MBR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e and social behavior of children in K-CBRS (p<.05). Second, in the parenting stress analysis of Caregivers with disabilities, the parenting stress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p<).05), the magnetic elastic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and the magnetic elasticity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MT-MAP analysi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ll six sub-areas of communication skills, cognitive skills, exercise skills, emotional skills, social skills, and music skills (p<.05). Therefore, it suggests that mother-child musical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y and emo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arers, and were effective in changing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 and overal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모-아 음악극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과 양육자의 심리 및 행동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만 7∼12세의 발달장애 아동과 그 양육자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신청자 중에서 실험집단 6쌍과 통제집단 6쌍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천에 위치한 A 센터에서 4주간 주 2회 120분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통제집단은 일상생활에서의 상호교류 외에는 아무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로는 '양육 스트레스 검사(K-PSI)'와 '장애 부모 자아 탄력성 검사(Ego-Resiliency Scale)'를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아동과 양육자의 변화 측정을 위해 '모-아 상호작용 행동 평가(K-MBRS & K-CBRS)'와 '발달장애아동 음악치료 진단평가(MT-MAP)'를 매회 연구자와 음악치료사 2명 등 3인이 관찰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발달장애 아동과 양육자의 모-아 상호작용 행동 평정척도 분석 결과, K-MBRS의 하위영역 중 부모의 반응성, 효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K-CBRS의 하위영역인 아동의 활동적 행동, 사회적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장애아동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 분석에서 통제집단의 양육 스트레스가 실험집단의 스트레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실험집단의 자아 탄력성은 높아지고 통제집단의 자아 탄력성은 낮아진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셋째, 발달장애 아동의 MT-MAP 분석 결과, 의사소통 기술, 인지 기술, 운동 기술, 정서 기술, 사회 기술, 음악 기술의 총 6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모-아 음악극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과 양육자의 심리·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모-아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와 발달장애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

        전주영(Jeon, JuYoung),조민경(Jo, MinKyoung),김해영(Kim, HaeYoung),이은혜(Lee, EunHye),김수경(Kim, SuKyou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전 및 충남 소재의 6~8세의 학령전기 아동들(일반아동 15명, 발달장애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Ⅱ)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손의 기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테일러손 기능 검사(Jebsen & 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사용하였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우세손 기능, 전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반아동과 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우세손 기능은 각각 연령, 연령과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시지각 발달은 연령과 기관, 우세손 기능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우세손) 사이에 상관성이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 사이에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 및 손 기능에 차이가 있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일부 영역은 발달장애 아동보다 우세하다. 일반아동 및 전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우세손)은 일반적 특성(연령, 기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의 시지각과 손기능의 발달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절한 교육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From 20 October through 17 November in 2006, we visited 2 kindergartens, 2 elementary schools, 1 special school in Dae-jeon and Chung-nam.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childrens(15 typically developing and 15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6~8 years old).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 Ⅱ)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tool for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Jebson & Taylor hand function test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tool for hand func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ubjects' performance on K-DTVP Ⅱ and Jebsen & Taylor hand function test. Visual perception and dominant hand of normal children on general charac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e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 that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dominant hand function of total children, but not in same general charac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dominant hand fun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total children.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normal 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as different. Some parts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better tha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dominant hand) of normal and total children were different on some of general characters. Correlation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dominant hand)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found out but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i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ere not foun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