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셀레이션 모듈을 활용한 가변적 패션 디자인 연구

        김기쁨,노주현,최윤미 한국생활과학회 2023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2 No.1

        패션업계 및 소비자에 의해 발생하는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실정이고 다양한 생활양식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환경 문제의 대안 제시와 개인의 개성 및 다양성을 흥미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가변적 디자인을 중심 개념으로 모듈형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가변적 패션 디자인의 개념을 디자이너 지정적 가변과 착용자 능동적 가변으로 나누어 표현 방법을 탈부착, 부분 개폐, 기술, 접기 등으로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는 디자이너 지정적 가변 중 모듈을 활용한 탈부착의 표현방법을 선택하여 모듈 패션 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본다. 셋째는 테셀레이션 모듈을 가변적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디자인을 도출한다. 디자인 개발은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이 결합된 준정규 테셀레이션을 모듈로 활용하여 하나의 디자인에 3가지 가변적 디자인이 연출되는 여성복으로 제안한다. 최종 디자인이 나오기 전 샘플 작업 단계에 가상착의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듈의 배치 및 원단 물성을 아바타에 착의하여 확인한 후 실물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을 결합한 준정규 테셀레이션 모듈을 적용하여 단일 도형을 활용한 기존의 모듈디자인보다 다양한 디자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의복 전체를 모듈화 하여 개인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분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동적 디자인이다. 셋째, 모듈을 연결하는 여밈용 부자재는 장식적 요소이며 동시에 새로운 형태 창출이 가능하여 패션의 조형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넷째, 테셀레이션은 패턴 전문지식이 적거나 연령대가 낮아도 쉽게 이해하며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다섯째, 탈부착 모듈의 부분 세탁으로 세탁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모든 변과 각의 크기가 같은 준정규 테셀레이션 모듈로 원단 폐기물 감소 효과가 있다. 여섯째, 하나의 디자인에 다양한 아이템이 제공되는 가변적 디자인을 통해 의복 사용 기한을 늘릴 수 있다.

      • KCI등재

        모듈개념을 적용한 가변형 실내조명 디자인개발

        이승헌(Seungheon Lee),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논문에서는 실내 인테리어에 적용 가능한 조명 디자인을 기본으로 생각하고 연구하였으며 나아가 근린공원에 설치될 공익시설물을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목적도 함께 연구하여 합리적 사용을 추구하는 모듈형 가변식 실내조명 제품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모듈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 수 있는 선행연구 고찰과 실내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조명과 실내에 대한 선행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모듈개념을 적용한 조명디자인의 새로운 컨셉을 도출을 위해 제품실무 개발을 위한 디자인 방향과 프로세스, 제품보관, 조립, 관리가 편리한 모듈 조립형 디자인을 제시하여 향후 조명디자인 개발에 관련된 합리적 유지관리 방향을 살펴보고 새로운 제품디자인개발에 반영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지전략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개념적 전략으로 실내환경 분석단계, 조명유지 보수단계, 가변형 메커니즘단계, 감성활성화 단계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단계적특성은 디자인적인 조형적 아름다운과 접목시켜 MLD(Module Lamp Design) 전략을 제시하여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적용을 모듈제품과 접목시키고 인간의 시각적접근과 바라보며 자유롭게 생각하는 개념적 가치를 담아 MLD인지전략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시켜 개발 하고자 하였다. It is necessary to produce and maintain interior lighting design reasonably and actively. Based on the lighting design applicable to interio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ublic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stalled in neighborhood parks and thereby to suggest a module-type variable interior lighting product design for reasonable use. To achieve that, relevant studies were reviewed to find the basic concepts of a module and the best cases of interior lighting applicable to interior design. To draw a new concept of the lighting design to which the concept of a module is applied, this study suggested the design direction for practical product development and a module-type design featuring easy process, product storage, assembly, and management, analyzed the reasonable maintenanc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and proposed a case of design development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design. Through cognitive strategy process, the design was made. This process, as a conceptual strategy, included the step of interior environment analysis, the step of lighting maintenance, the step of variable mechanism, and the step of emotional activation. These steps were connected with formative beauty of design so as to suggest a MLD(Module Lamp Design) strategy. In this way, this study tried to connect humans free application for a space to a module product and to apply humans visual approach and free conceptual value to MLD cognitive strategy design process for development.

      • KCI등재

        BX디자인을 통한 전략적 체험모듈(SEMs)과 브랜드 관계성 연구 - SK Telecom ‘T’의 BX디자인 차원의 디자인경영 전략 모듈 제안을 중심으로 -

        김세미,손원준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4

        Background: Currently, the flow of marketing is changing to experience marketing which focuses on the rela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he experience marketing is to create a variety of experiences for customers and the overall brand experience is completed through SEMs. To identify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EMs and BX design sector,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hat could maximize customers’ brand experience effectively. In addition, it tired to figure out whether developing and supplying the experience of a BX design sector to improve the brand relationship, is desirable. Methods: This study researched the tendency of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set study question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e empirical research. And it tried to induce study result through the text. Then, it tired to suggest a business strategy in the BX design aspect based on the study result and make the conclusion. Result: The experience levels that showed high correlation in each sector of SEMs and BX design were revealed. The correlation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level for web site and electronic media of BX design sector, in sense level for communication, and in behavior level for joint branding. In addition, the sector that affected the most in the brand relationship of BX design was joint branding.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level of SEMs was affected by supplying means of BX design sector, the participating behavior experience based on supplying customer benefits helped to recognize brands more friendly, and it increased the br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study result, it suggested BX design strategy in the design business asp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 a measure to maximize brand experience and halp to keep the positive bran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연구배경: 현재 마케팅의 흐름은 고객과의 관계적 소통 중심으로 고객체험에 중점을 두는 체험마케팅으로 변화하고 있다. 체험마케팅은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총체적인 체험을 창조해내는 것으로 전략적 체험모듈(SEMs)을 통해 총체적인 브랜드 경험이 완성된다. 본 연구는 전략적 체험 모듈과 BX디자인 영역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소비자의 브랜드경험을 더 효율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브랜드 관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BX디자인 영역의 경험을 중점적으로 발전시키고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의 동향과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실증연구에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연구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BX디자인 측면의 디자인 경영전략모듈을 제안하고 연구의 결론을 내리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략적 체험모듈(SEMs)과 BX디자인의 각 영역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험차원들이 드러났다. BX디자인영역의 웹사이트·전자매체는 인지차원이, 커뮤니케이션은 감각차원이, 공동브랜딩은 행동차원이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X디자인에서 브랜드 관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공동브랜딩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략적 체험모듈의 경험차원은 BX디자인영역의 제공수단들에 영향을 받으며 고객 혜택 제공을 기반으로 한 참여적 행동경험이 브랜드를 보다 친밀하게 인식하게 하고, 이로써 브랜드 관계성 또한 높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경영 측면의 BX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브랜드 체험의 극대화 및 소비자와의 긍정적인 브랜드 관계성을 유지시켜주는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모듈시스템을 활용한 한글디자인

        강화영 ( Kang Hwa-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1 No.-

        우리나라의 활자는 고려의 금속활자를 비롯하여 기술적, 심미적으로 훌륭한 전통 활자체의 유산을 자랑하며, 활판인쇄에서 볼 수 있는 시각적 구성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문자의 본질인 내용을 전달하는 의사소통과 기록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한글디자인의 다양한 자료와 함께 김진평의 한글디자인에서 그리드와 사각형 모듈개념이 적용됨을 살펴보았으며, 한글 활자에 사용된 규칙적인 수평, 수직의 그리드 시스템을 통해 구조적 체계를 살펴보았다. 한글디자인에서 모듈시스템은 한글 글자체를 규칙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활자제작을 가능하게 하며, 일정한 단위의 형태로 공간을 나누어 시각적으로 정리되어 보이게 하고 균형을 잡아 준다. 따라서 모듈시스템의 사용은 20c 중 후반에 호평을 받으며 시각적 구성력을 가진 구조적 체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연구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정사각형, 원형, 삼각형모듈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문자를 배치할 수 있는 표준 단위인 모듈시스템이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한글의 배경을 정리하여 주며, 엄격한 질서를 통해 명확성과 함께 기능적, 조형적 의미를 더해 문자를 배치할 수 있는 표준 단위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정사각형모듈의 질서적 표현과 각이 없어 안정감을 주는 원형모듈, 독특한 형태의 조형성을 보인 삼각형모듈은 한글을 의사 전달 수단 뿐 만아니라 시각 요소의 역할로써 충분히 활용되어 그래픽 디자인과 제품에 응용함으로써 한글글자체가 갖는 기능성과 조형성에 대한 가치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글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며, 앞으로 한글의 꾸준한 개발과 함께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Our letter is proud of the heritage of technically and aesthetically wonderful traditional print type as shown in metal type of Goryeo. Hangeul charged the roles of communication and recording transmitting contents which are essence of letters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visual composition shown in type printing. With such various material of Hangeul design, this study explored that concepts of grid and square module were applied to Hangeul design by Kim Jinpyung. And structural system was investigated through regular horizontal and vertical grid system used in Hangeul alphabet. Module system in Hangeul design makes production of effective type possible by regulating Hangeul letter type and makes one see in visually arranged shape and gives balance by dividing space in a form of certain unit. Accordingly, module system got a favorable review in the middle and later period of the 20th century and made structural system with visual composition possible. The author could know that by applying Korean consonant and vowel to module system of perfect square, circle, and triangle, module system which is a standard unit for arrangement of letter makes background of Hangeul be arranged. And it was known that module system is a standard unit where letter can be arranged adding functional and formative meaning along with clarity through strict order. Especially, these modules-perfect square module expressing good order, circle module giving stable feeling by line without angle, triangle module showing plastic beauty in peculiar form-play the roles not only as a tool of communication but also as a visual factor. By utilizing this advantage and applying to graphic design and products, values of function and formative aspect of Hangeul letter type could be known. Accordingly, based on this study, the author recognized the infinite possibility of Hangeul design and would give efforts to develop various design for industrial development along with continued development of Hangeul forwards.

      • KCI등재

        3D 프린팅의 디자인 특성 연구 - 패션 관련분야 제품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김현주(Kim Hyun Ju),나현신(Na Hyun 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3D 프린터는 디지털 데이터로 디자인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를 모호하게 하는 21세기의 새로운 도구로 부상하였다.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제품 설계, 시제품 제작, 제조·생산, 유통 등이 통합되며 제조업의 민주화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시대의 중심에 3D프린터가 있는 것이다. 이미 3D 프린팅과 관련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제품 역시 활발히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3D 프린팅의 기술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적 감성이 중요시되며 패션과 연관이 있는 인테리어제품, 건축, 예술, 패션 의류 분야에서 3D 프린팅을 이용한 제품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그 특성을 도출하여 향후 패션 관련 제품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3D 프린팅의 디자인 특성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와 두번째로 21세기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가능한 디지털 오가닉 디자인과 디지털 기하학 디자인 특성을 나타낸다. 셋째, 모든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어 한번에 프린팅된 인터커넥티드 디자인 특성을 나타낸다. 넷째, 선택 및 조합 가능 범위가 확대된 모듈디자인 특성을 나타낸다. 다섯째,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평면적 이미지를 입체적 사물로 구현하는 입체변환 디자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처럼 3D 프린팅 제품이 가지는 외적형태뿐 아니라 그 실현 방법 및 내적 특성은 21세기가 추구하는 디자인 특성에 부합하며 디자인의 가능 범위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3D printer is one of the newest technology in 21st century. It expands design area and obscures relation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3D printing technology using digital data leads democratization of manufacturing incorporating prototype, product design,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any related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in progress and/or are comple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3d printing fashion design product through cases analysis of product design which are shown in interior product, architecture, art and fashion clothing areas, and the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case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e technological principle of 3D printer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are studied and those of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are classified. Also product cases relating in fashion areas are collected and analyzed as examples of success cases. As the result, design characteristic of 3D printing products are categorized five different deign types; 1) and 2) digital organic design and digital geometrical design which are only takes by digital technology, 3)interconnected design which is every piec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printed at a time 4) module design expanding changeable range, 5) 3D conversion design which convert 2D image into a 3D product by advanced equipments. Like this, design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are accord with design characteristics of 21st century.

      • KCI등재

        1인 가구를 고려한 가변형 모듈가구의 사용성 평가

        최주영,이은지,박성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flexible modular furnitures through analyzing the usability evaluatio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 usability evaluation of flexible modular furnitures is critical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ecause many of them prefer these furnitures that can form an efficient space that eliminates unnecessary space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through an experiment. Firstly, in literature review,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user evaluation and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ere summarized. Secondly, the usability evaluation factor and detailed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Lastly, the usability was evaluated through questionnaires conducted with experiments on the assembly of a modular furni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79% of respondent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variable modular furniture and 38% of respondents prefer to reassemble flexible modular furniture every three months. Secondly, the item,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ccessibility', 'usability' and 'discovery possibility'. On the other hand, items on 'usability' and 'reliability and value' were relatively low. Lastly, 3 items, 'usability,' 's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herefore, the flexible modular furniture needs to be developed considering seasonal change, the items with low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 of sex. 연구배경 본 연구는 증가하는 1인 가구 거주자를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가변형모듈 가구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1차 문헌연구와 2차 사용성 평가를 통한 실험 및 분석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문헌연구에서는 사용자 평가요소와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성 평가요인과 세부요소를 추출하였다. 2차 사용성 평가는 피 실험자들에게 가변형 모듈가구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체험을 제공했다. 그리고 1차 문헌조사를 통해 작성된 질의 응답지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사용성 평가의 분석은 SPSS Win 20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첫째, ‘가변형 모듈 가구의 다른 타입을 구매할 의사가 있는가’에 대한 질의응답에 대하여 79%의 인원이 구매의사를 나타내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가변형 모듈가구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확인 하였다. 둘째, ‘가변형 모듈 가구의 재조립은 얼마나 자주 하는가’에 대하여 ‘3개월 마다’ 이루어질 것 같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38%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3개월 간격으로 재조립한다는 것은 계절적 활용에 대한 고려를 통해 가구 개발이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분석결과 ‘만족성’, ‘접근가능성’, ‘유용성’, ‘발견가능성’의 항목은 만족도가 높았으나, ‘사용성’과 ‘신뢰성 및 가치’에 대한 항목은 만족도가 낮았다. 따라서 충족되지 않는 항목들에 대하여 향후 가변형 모듈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넷째, 사용성 평가에서 성별에 따른 만족도는 집단 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t-검증 결과 3개의 항목 ‘사용성’, ‘만족성’, ‘접근가능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향후 계획될 1인 가구를 위한 가변형 모듈 가구에 있어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사용성’과 ‘신뢰성 및 가치’를 더 충분히 고려하여 가변형 모듈가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1인 가구를 위한 가변형 모듈가구 개발 시 성별에 따라 고려해야할 항목들에 관해서도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모듈 조립형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

        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현대 사회는 경제적인 성장과 더불어 주민들의 니즈(Needs)를 어떻게 충분하게 반영해야 하는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 공공분야의 욕구는 사회생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필요한 기본요건을 의미하며 사회복지정책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공익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 들어 공공디자인에 대한 시설을 지자체마다 활발하게 설치하여 주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공공서비스를 확대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공디자인은 합리적인 계획과 유지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지역의 근린공원에 설치될 공익시설물을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현황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디자인의 개념을 명확히 하여 근린공간에 설치될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문제점을 파악해 새롭게 디자인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무 개발을 위한 디자인 방향과 공공시설물에 대한 보관, 조립, 관리가 편리한 모듈 조립형 디자인을 제시하여 향후 공공디자인 개발에 관련된 합리적 유지관리 방향을 살펴보고 공공디자인개발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we live in the important age which should reflect needs of residents enough with the economic growth. Desire in the public sector means the basic requirements which are necessary for contemporary men who live in social life and is very important even at the social welfare policy level. Each local government is recently increasing convenience of residents by installing the facilities about public design and is politically promoting expansion of public services to satisfy their public desire. This public design should be installed to make reasonable plans and maintenance be smoothly done.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ecedent studies targeting public interest facilities which will be installed in neighborhood parks of urban areas, grasp design problems of public facilities which will be installed in neighborhood space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design, and apply them by designing them newly. It tries to examine reasonable maintenance direction related to next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by suggesting design direction for this practical development and module assembly typed design that storage, assembly, and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are convenient and suggest cases of design development which can reflect them in public design development policies.

      • NCS을 기반으로 한 학습모듈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 자료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권순관(주저자) ( Soon Kwan Kwon ),오미현(교신저자) ( Mi Hyun Oh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의 학습자가 보다 효율적이고 질 높은 현장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여러 교과목 중 실제 NCS학습모듈을 기반으로 실행했던 [실내디자인 자료조사 분석]의 학습 성취 결과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실내디자인 자료조사 분석]은 학습자가 프로젝트의 목적과 개요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제반 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기획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울 수 있도록 한 학습모듈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궁극적인 목표를 바탕으로 본 대학의 실내디자인과 1학년을 학습자로 선정하여 본 모듈을 학습하도록 한 후 성취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NCS기반의 학습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NCS기반의 학습이 제대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학습모듈의 교육목적이 학생들에게 명확히 전달되어야하며, 동시에 수행하는 시점도 검토되는 것이 필요할 것 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 study to identify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the [interior design materials research] that runs on multiple courses of actual NCS-learning modules so that made this learner is more efficient and high-quality field-based training in Interior Design This module develops capabilities of learners to plan and perform projects by understanding project`s purpose and outline and researching and analyzing relevant matters. Based on this ultimat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chievement results of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at a junior college after they learned about this module. As a result, most of the learners had a difficulty learning about this module. NCS-based learning in order to be operating properly, it should be clearly communicated to students and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review the time to perform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영속적 디자인 솔루션 제안 ; 전자 제품의 모듈화 개념을 기반으로

        정희성,변상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Today, many issues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shortage problem are being occurred because many product wastes are being dumping. Especially, a substantial amount of waste electronics cause serious addit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when it’s replacement products are made and they are incinerated. In oder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the design point of view, designer’s responsibility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was demanded. So sustainable design, recycling design, up-cycling design and eco-design are presented and these design solution attracted people’s attention. But these solution are limited in terms of simple material recycle and fragmentary recycling design. Therefore, in this research, new electronic product design solution about issues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was presented. The concept of long-lasting design that predicts the life cycle of products at the planning step and immediately take action at the end of product life tim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the long-lasting product design consisted of 4 steps. And types of long-lasting product design were conceptualized based on the modularity concept and we can predict the effect of reducing environmental hazards through similar examples. Lastly, main values of suggested long-lasting product design concept were drawn and defined. The lasting design concept can make the life cycle of product repeat without shape change. Therefore we can expect the effect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because it is more environment-friendly design solution 현대는 많은 제품이 만들어지는 동시에 많은 폐 제품들이 버 려지고 있어 환경오염과 자원부족에 대한 이슈들이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막대한 양의 폐 전자제품들은 그 용도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 생산 시나 소각 시에도 심각한 환 경오염을 야기 시킨다. 이러한 환경오염 문제를 디자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디자이너들의 보다 책임 있는 참여가 요구되 었고 이에 지속가능 디자인, 리사이클링 디자인, 업사이클링 디자인과 에코 디자인 등과 같은 디자인적 솔루션이 제시되었 으며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 디자인 솔루션들은 제품의 재료적 재활용이나 재활용 디자인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고 추가적 에너지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 유발 및 프로세스 에 고가의 비용이 지불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환경오염과 자원부족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전자 제품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적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자 제 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품 수명 사이클을 예측하고 종료 시 점에서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적극적 해결안으로 영속적 디자인(Lasting Design) 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 서는 영속적 디자인(Lasting Design)의 프로세스로 호환(互 換) 디자인→해체(解體)→결합(結合)→창조적 변이(變異)의 4 단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모듈화 개념을 바탕으로 제품의 해 체․결합의 조합에 따른 영속적 디자인의 모형을 4가지로 구분 하여 개념화하였으며 유형별 유사 사례에서 영속적 디자인 솔 루션이 반영될 경우 유발되는 환경 보존 효과에 대한 가능성 을 예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영속적 디자인 솔루 션의 주요 가치들을 도출하고 정의하였다. 영속적 디자인은 제품의 외형 변화 없이 제품의 수명 사이클을 반복시킬 수 있 는 보다 친환경적인 솔루션이므로 환경오염 저감 효과를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중소도시 구조물 개선을 위한 교량디자인 개발 연구

        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자생적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민의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도시의 지리적 특성과 이동경로, 경제적인 현황파악, 단순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소주민들이 막연한 문제해결방안을 디자인적 실무방향을 3D 시뮬레이션 렌더링으로 제작하여 도시정책에 대한 가능성이 실질적인 대안으로 거듭날 수 있는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거창군은 환경적 관점에서 교량이 차지하는 상징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며 이러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교량의 공공디자인적인 새로운 디자인 개발은 도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핵심역할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평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중소도시의 도시경쟁력을 재고와 지역과 지역을 연결시켜주는 문화 공간으로서의 교량 재창조사업 방향을 모색하고 지역에 알맞은 교량디자인을 제시하여 향후 공공디자인 개발에 관련된 합리적 유지관리 방향과 그 지역의 상징성 확보를 연구하고 지역개발에서 공공디자인의 역할이 도시의 경쟁력에 대안을 제시하는 사례개발로 실무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량디자인 연구개발 지역으로 선정한 경남 거창군의 핵심 하천인 위천천을 중심으로 교량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교량중심형도시의 상징성을 부각시키고 도시발전을 향상하고자 한다. As a measure to overcome the limit of small city which is weak in spontaneous competitivene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cultural and economic life of dwellers, it analyz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ity, movement path, economic status and other simple problems comprehensively and produced the vague problem solutions for dwellers and the practical direction for design using the 3D simulation rendering in order to suggest the result to change the potential for urban policy into substantial alternative. Geochang-gun selected as research area is evaluated for the place with high symbolic value of bridge in terms of environment, and the new design development for this kind of public design can be the good measure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bridge recreation project which provides the cultural space connecting with other areas and improves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city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bridge design in order to provide the reasonable maintenance direction related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and the achievement of the symbolism of the region and to suggest the examples of public design for the urban competitiveness.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Wicheon-stream in Geochang County, Gyeongsangnam-do selected 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 for bridge design, it is to design the concept design bridge newly emphasizing the symbolism of bridge-oriented city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