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교육과 기술특화교육의 기술혁신 및 경제성장효과

        김상춘(Sang Choon Kim),최봉호(Bong-Ho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가계의 학교교육투자와 기업의 기술특화교육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동시에 고려한 제2세대 기술혁신기반 경제성장모형을 구축하고 학교교육과 기술특화교육 각각의 기술혁신 및 경제성장효과, 두 교육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기술혁신에 따른 두 교육포트폴리오 구성의 변화 등에 대해 분석한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 기술특화교육의 각각의 경제성장효과는 비선형의 “역-U”형이다. 둘째, 성장극대화를 위한 학교교육의 수준은 기업 이익극대화를 위한 학교교육의 수준 보다 항상 크다. 셋째, 성장극대화를 위한 학교교육의 수준은 기술특화교육에 대체적 관계에 있다. 넷째, 학교교육의 기술특화교육에 대한 영향은 “U”형으로 기업 이윤극대화 측면에서는 낮은 수준의 학교교육은 기술특화교육에 대체적이며, 높은 수준의 학교교육은 기술특화교육에 보완적이다. 다섯째, 기술혁신이 강화될수록 기술특화교육 대비 학교교육이 더욱 강화된다. This paper introduces household’s decision for schooling and firm’s decision for technology-specific training together into the second generation model of endogenous innovation, and analyses how schooling and technology-specific training interact each other, how they respectively affect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and also how the portfolio mix of schooling and technology-specific training changes as economy becomes more innovativ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ing and technology-specific training both have “inverted-U” shape growth effects. Second, schooling investment per labor required for growth maximization is always greater than that for firm profit maximization. Third, the optimal schooling for growth maximization decreases with technology-specific training. Fourth, the schooling effect on technology-specific training is “U” shaped, so that for firm’s profit maximization schooling is substitutable for technology-specific training at the relatively lower level of schooling but complementary at its relatively higher level. Fifth, as economy becomes more innovative, the portfolio mix of education changes in favor of schooling.

      • KCI등재

        화법교육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개념과 내용의 수용 방안

        정상섭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은 다른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개인 사이의 감정 및 의견을 효율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의사소통 기술은 아동의 사회적 관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화법 기술이지만 국어과의 화법교육에서는 연구가 많지 않은 분야이다. 최근 화법교육 분야에서 대화자 상호간의 원만한 인간관계의 유지와 사회적 갈등 해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이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은 새로운 화법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은 친교적 화법의 기술이기 때문에 대인관계의 화법에 적절하고 구체적인 대화의 현장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화법의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폭을 넓혀주고 협동적 태도 의식을 기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화법교육으로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대화전략으로 활용하는 방안, 태도의 교육내용으로 활용하는 방안, 다양한 연습활동 등으로 이용하는 방안이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이 화법교육에 이용이 된다면 화법교육의 폭과 넓이를 보다 확대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또한 화법교육이 단순한 말하기, 듣기 교육이 아니라 전인교육, 인성교육, 사회성 개발 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 on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It focuses on the concept and contents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 and is investigated the way in which we apply them to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re-conceptualized Social Communication Skill on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Social Communication Skill is a positive effects of a communi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failure in sympathizing with other people and expressing their emotion , and also to help those students better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and therefore help grow untroubled. Finally, I suggest that Social Communication Skills can be used through communication strategic, instruction of an attitude, oral exercise for applying to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주제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함형인,김기열,이창훈,김기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주제중심 STEAM 교육의 바람직한 사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TEAM 교육, 주제중심 통합 학습,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모형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문헌고찰에 터하여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수업과 현장수업을 통해 2차례 수정․보완을 하였으며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최종 완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주제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준비, 개발, 실행, 평가 단계의 4단계로 제시하였다. 준비단계는 통합유형의 선정, 교육과정 분석, 주제 선정 준거 도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발단계는 주제 선정, 교육목표 설정, 학습내용 선정, 학습내용 조직, 수업목표 진술, 내용 구성 및 작성으로 제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며, 평가단계에서는 전문가와 학생에 의한 평가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둘째, 중학교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용 자료와 교사용 자료로 구성되었다. 학생용 자료는 크게 프로그램 안내, 기초 탄탄,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사용 자료는 프로그램 요약, 주제 개요, STEAM 과목 및 학습 준거, 교수학습과정안, 평가 등을 포함하였다. 셋째, 중학교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타당도 검사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사에서 5점 만점 중 평균 4.47점으로 나타나 내용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select the them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unit in the technology studies in order to provide desirable cases of STEAM integrated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unit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to develop the STEAM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of the selected theme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dur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t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studies presented roughly 4 stages: the preparation stage, the development stage, the practice stage and the improvement stage. The preparation stage is composed of the selection of integration types,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derivation of theme selection criteria, and the development stage presented the selection of themes, establishing educational objectives, the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 the preparation of the theme net,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 the state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composition and preparation of content. In the practice stage, the developed program is put into practice for the students, and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program i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evaluations made by the specialists and students based on the practiced program. Second, the developed STEAM program was developed into the program summary map, the textbook for students, teachers’ manual an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etc., and after the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experts’ verification, i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es. Third, the results of the learners’ evaluation of the developed STEAM program showe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high with the average score of the entire questions being 4.03 on a five-point scale. As the teachers also evaluated the developed STEAM program as very effective, the opinions of learners and teachers were collected and the program was finally improved and completed

      • KCI등재후보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술과 발명’ 단원을 중심으로 -

        송나래,김영민,김기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의 RESP 교육모형을 적용 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도움이 되고, 발명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불 러일으킬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 로그램 개발을 위한 절차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 중학교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놀 이터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기술적·공학적 특징 찾기, 놀이터에서 벌어진 일, 우리만의 안전하고 재 미있는 놀이터 만들기로 구성되었다. 셋째, 중학교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교 사용 자료와 학생용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중학교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은 전문가 집단의 협의와 전문가 타당도 검사, 예비수업과 현장수업에서 학생들의 평가를 통해 프로 그램이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인 프로그램을 완성함으로써 타당함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RESP educational model in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rocedur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in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was developed. Second,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was composed of finding scientific principles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hidden in the playground, what happened in the playground, and making our own safe and interesting playground. Third,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was composed of materials for teachers and materials for students. The materials for students ware composed of the program guide,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ch domain. The materials for teachers included the summary of the program, the outline of the 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and evaluation. Fourth,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was prov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and finally completing the program by conducting consultation with the group of specialists, validity tests on specialists, and students’ evaluation in preliminary and field classes. Fifth, the results of actually applying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showed that the program aroused students’ interest and invention learning motivation was enhanced.

      • KCI등재후보

        중등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생명기술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이상봉,정진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3

        중등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생명기술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 시기별 교육목표와 내용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등학교 기술교과서에 나타난 생명기술 관련 교육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목표와 내용의 변천을 시기별로 조사, 정리, 분석하고 교육목표와 내용의 관련성을 구명함으로써 앞으로 생명 기술 교육목표와 내용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중학교 생명기술의 영역별 교육목표와 내용의 관련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정의적 영역의 목표와 내용은 3차․4차 교육과정에서 목표를 제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혀 제시되지 못했다. 고등학교 생명기술의 경우 제 4차 교육과정에 기술과목이 산업기술로 변경되면서 기존의 공업 분야의 기술뿐만 아니라 농업, 수산업, 해양 분야의 기술까지 확대하여 교육의 대상영역으로 포함하여 왔으며 현재까지 생명기술을 위한 교육목표가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중등학교 기술교과에서 생명기술의 목표와 내용은 기술학에 터한 체제적 접근을 통해 목표와 내용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교육으로서의 생명기술 교육목표와 내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execu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round the middle school․high school texts in order to analyze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bio technology's objectives and contents in technology curriculum at middle school․high school and clarify the rel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per each period. This study is procee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in the bio technology as surveying, arrang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hange of contents at each period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based on analyz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As a study's result, it indicates the high rel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at each field of the bio technology in the middle school, but never indicate the objective and content on affective area except to present the objective in the 3rd and 4th curriculum. In general,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middle school bio technology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cognitive area and mental-kinetic area, and doesn't indicate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 in affective area. In case to the bio technology in the high school, as the technology(subject) changes the industrial technology, it includes to expand the technology of agriculture, fisheries, marines field as well as the existing industry field and never stated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bio technology because it had never presented the educational objective for bio technology until now. The objectives and contents in technology of the middle school make the selection of objectives and contents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is study, and it'll be proceeded the following studies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as the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북한 기술교육의 역사와 교육적 의미 탐색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4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DPRK) technical education has changed with the times. DPRK, which advocated socialist education after liberation from Japan, puts a lot of effort into technology education projects because it needed engineers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working-learning education system" paved the way for comprehensive technical education. It also sought to combine general and technical educ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factory university in 1960 and the Technology Obligatory Education System in 1967. Since then, however, technical education has been divided into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and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aiming for expertise of ‘training practical talent.’ During Kim Jong-un's period, with the emergence of advanced technical middle school and the adoption of the Occup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ct,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was strengthened. It can be confirmed that DPRK's technical education means expans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aims for a personality education perspectiv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humanities. In addition, given the narrowing of the gap with the Republic of Korea's education system, it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topic in the field of edu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북한의 기술교육은 시대에 따라 그 성격을 달리 해왔다. 해방 이후 사회주의교육을 표방한 북한은 전후 복구 시기 기술자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기술교육 사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리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가 도입되면서 종합기술교육으로서의 기틀을 다진다. 또한 1960년 공장대학의 창설, 1967년 기술의무교육제를 통해 일반교육과 기술교육의 결합을 꾀했다. 그러나 이후 과학기술교육과 직업기술교육으로 그 개념이 구분되면서 ‘실천형 인재 양성’이라는 전문성을 지향하고 있다. 김정은 시기, 교육 제도 개선에 의해 기술고급중학교가 등장하고, 직업기술교육법이 채택되면서 중등교육에서의 직업기술교육이 강화된다. 이러한 북한 기술교육의 흐름은 실천 지식의 확장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인문학과의 연결성을 통한 인성교육적 관점을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남한의 교육제도와의 간극이 좁아지는 모습을 볼 때, 향후 한반도 교육 분야의 중요한 화두가 될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김현정,이창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설문지는 권역별 기술교사들(2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1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기술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 술교육이 공학과 기술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타 교과에 비해 비형식 교육 프로그램이 적고,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기술교육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기술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비형식 기술교육 기관의 기술교사 연수 주제로는 ‘생활 속의 기술’과 ‘최신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 산업체 기술자, 연구원, 교수들의 인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6시간의 체험이나 캠 프 유형의 프로그램과 ‘생활 속 기술’, ‘최신 공학 기술’ 관련 주제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 램은 학생들에게 기술교과나 이공계 진로에 대해 흥미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gy teachers and 189 of them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chnolog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technology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education motivat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resen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ve less informal education program than other subjects do. Thus, they answer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 subject is very necessary. Third, technology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can solve some restrictions of current technology educations and variou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they perceived the high levels of needs for various teacher-training-program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Fourth,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at teacher, engineer, researcher and professor should be utilized for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lso, when conducting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some kind of informal programs including camps and subject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At the end, they perceiv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s.

      • 경기도기술학교 ·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취업성과분석

        박충훈,오재호,조경훈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경기도기술학교와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는 경기도 내의 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청년취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 교육기관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취업교육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과 취업교육을 수료한 이후의 취업현황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교육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둘째, 경기도기술학교와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취업교육에 대한 현황 및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셋째, 경기도기술학교와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에서 취업교육을 수료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취업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취업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별 조사대상에 대한 사례분석을 종합하여 경기도 취업교육 제도에 대한 만족도와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2013년에 1년 과정의 취업교육을 받은 경기도기술학교 및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의 교육생 15명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우선 취업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의 내용과 교육의 기간, 그리고 교육 강사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의 방법과 교육시설, 취업알선서비스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불만스러운 인식이 약간 더 많았다. 한편, 취업교육을 통해 원하는 자격증을 취득하였는지에 대하여 대체로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취업 이후에도 충분히 원하는 직업을 얻지 못하였거나 원하는 수준의 근로조건을 달성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볼 수 있다. 경기도기술학교와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의 취업교육을 수료한 다수의 사례 대상자들이 정규직이었으며, 정규직 및 계약직을 막론하고 다수의 대상자가 100만원과 200만원 사이의 월급을 받는 것으로 밝혀져 소득이 충분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취업교육을 통해 취업에 성공하여 근로하고 있는 직장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15건의 사례 중 이직 5건, 퇴직 1건으로 나타났는데, 이직의 경우 더 나은 근로조건을 위하여 동일한 분야로 이직한 경우가 다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교육 기간의 조정 및 교육 과정의 세부화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으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생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취향과 목표에 따라서 필요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업에 성공한 대다수의 교육수료생들이 양질의 일자리로 보기 어려운 직장에 취업한 것을 보았을 때, 단순히 성과를 위하여 수료 직후 취업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개인이 만족하면서 안정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일자리를 발굴 ·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취업교육을 내실화 있게 강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던 내용과 같은 교육생에 대한 추적조사와 관리가 제도적으로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경기도의 경제활성화와 도민의 생활안정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교육 · 시설의 최신화와 학습 분위기 제고, 양질의 일자리 발굴 등이 모두 필요할 것이나, 이는 경기도기술학교와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가 교육수료생에 대한 장기간의 추적 조사에 따른 대응으로 자연스럽게 해소 · 극복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job training of Gyeonggido Technical Institute and Gyeonggi Industrial Technology Education Center. For this purpose, the recognition of students for employment training, employment status, and possible improvements were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one year 15 cases of students receiving job training in 2013 of GTT and GITE.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of job training a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s of education, duration, the instructors is generally high. However, complaints were about the adequacy of the training methods and facilities, job placement services. It was generally perceived as unsatisfactory to whether to acquire the desired qualification through employment training. The number of job training graduates were in full-time employment, but many consumers have been found to be subjected to low levels of salary. The results for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training, detail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period has been found not so necessary. But it was confirmed that requir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the trainees should allow you to acquire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and goals. As well as individuals who can be satisfie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jobs that can lead a stable life. In order to allow management substantiality of job training,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follow-up and management of trainees. This is ultimately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ability of the Gyeonggi Province of the economy and living citizens.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술 개념과 과정의 학습에 관한 기술교육의 가치

        박경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개념과 과정 (Technology Concepts and Processes) 학습에 있어 초등기술교육의 가치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기술 개념을 어떻게 학습하는가? 둘째, 초등학생들이 기술 과정을 어떻게 학습하는가?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 데이터는 5개월에 걸쳐 수집된 관찰, 교사와 학생과의 공식-비공식적 면담, 학생 활동에 관련된 문서, 교사의 교수-학습에 관련된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수집되었고, 귀납적 분석과 구성주의적 관점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은 초등학생들에게 구성주의를 통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였다. 둘째, 기술교육은 초등학생들에게 유의미한 hands-on 활동을 제공하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기술’을 만들기, 발명, 새로운 것, 컴퓨터로 개념화하고 있었으며, 기술 활동을 재미있고 흥미로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폭넓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교육의 실행을 위한 초등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기술교육의 가치를 알기 위한 기술 개념과 과정 학습에 관한 기술교육자들의 후속 연구가 필요시 된다.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시기별 통신기술의 교육목표와 내용의 분석

        이상봉(Sangbong Yi),임휘(Huiy L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제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주어진 정보를 가공하여 처리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 사회에서 갖춰야 할 기본적 소양이다. 이를 위한 교육이 중학교, 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술교육 시기별로 통신기술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변천을 분석하여 상호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통신기술 관련 기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교육 시기별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통신기술 교육의 방향과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기술교육 제1기에서 제3기까지는 제도, 전기 및 전자 관련 교육이 주를 이루며 공업 교육적 성격이 강하다. 반면, 제4기부터는 본격적으로 통신기술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강조하기 시작하였으며, 제8기부터는 정보통신에 초점을 맞추어 정보 처리 능력, 정보통신 관련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 등을 강조하였다. 고등학교 기술교육 또한 제1기부터 제3기까지는 전기 및 전자 관련 교육이 주를 이루며 공업 교육적 성격이 강하다. 반면, 제4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컴퓨터와 정보통신 관련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제6기와 제7기에는 ‘정보’ 관련 과목이 독립 과목으로 신설되어 ‘기술’ 교과에서 통신기술을 다루지 않았다. 제8기에는 정보통신기술 관련 문제해결 체험활동, 제9기에는 정보통신기술 시스템을 통해 기술교육의 특성에 맞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였으나 그 비중은 굉장히 적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고등학교 기술교과에서 통신기술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기술학에 터한 체제적 접근으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교육으로써의 통신기술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rections for communication technology-related technology education by analyzing transition in communication technology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From the first to third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electrical and electronic-related education is the main focus, and industrial education is strong. On the other hand, from the 4th period,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began to be emphasized, and from the 8th period,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and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as emphasized.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s also dominated by electricity and electronics-related education from the 1st to the 3rd, and has a strong industrial education character. On the other hand, from the 4th perio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related to computer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in earnest, and in the 6th and 7th periods, information related subjects were newly established as independent subjects, so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not dealt with. In the 8th period, problem-solving experience activitie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re presented, and in the 9th perio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presented, but the proportion was very small. Based on this study,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to technology in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as gener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