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적(形態的)으로 다른 두 옥수수 (Zea mays L.)의 혼작(混作)이 청예(靑刈)및 종실수량(種實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최봉호,최창열,박종성,이희봉,Choe, Bong Ho,Choi, Chang Yeol,Park, Jong Seong,Lee, Hee B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8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5 No.2

        형태적(形態的)으로 상이(相異)한 다종다얼성(多種多蘖性)인 특성(特性)인 형매교배(兄妹交配)된 IK 교잡종(交雜種)과 무얼성(無蘖性)인 진주옥 교잡종(交雜種)을 공시(供試)하여 청예수량(靑刈收量), 종실수량(種實收量) 및 이와 관련(關聯)된 형질(形質)을 비교(比較)하고자 IK와 진주옥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을 1 : 1, 1 : 2, 1 : 3, 2 : 1, 3 : 1로 혼파(混播)한 것과 IK와 진주옥을 각각(各各) 단작(單作)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된 품종(品種) 모두가 단작(單作)보다 혼작(混作)에서 초장(草長)이 큰 경향(傾向)이었고 진주옥의파종비율(播種比率)을 증가(增價)할수록 IK의 생육(生育)은 저조(低調)한것으로 나타났다. 2. 출현(出現) 후(後) 40 일경(日頃)까지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IK의 분얼수(分蘖數)는 증가(增加)하였는데 IK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많을수록 분얼수(分蘖數)의 증가(增加)가 뚜렷하였다. 3. IK 단작(單作)의 10 a당(當) 청예수량(靑刈收量)은 출사기(出絲期)에서 8,096kg이었고, 호숙기(糊熟期)서는 6,677kg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진주옥 단작(單作)에 비(比)해 각각(各各) 77%와 53%가 증가(增加)되었고 IK와 진주옥의 1 : 1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진주옥 단작(單作)보다 20%가 증가(增加)되었다. 4. 10 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은 진주옥 단작(單作)에서 434kg이었고 IK 단작(單作)은 373kg이었는데 IK와 진주옥을 1 : 1과 1 : 3으로 혼파(混播)한 구(區)에서 IK단작(單作)의 종실수량(種實收量)보다 16%와 13%가 각각(各各) 증가(增價)되었다. 5. IK 도복(倒伏)은 단작(單作)에서 29.2%로 진주옥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증가(增價)할수록 IK 도복(倒伏)이 증가경향(增加碩向)이었는데 IK와 진주옥을 1 : 1 혼파(混播)한 구(區)에서 IK의 도복율(倒伏率)이 10.9%로 크게 경감(輕減)되었다. 6. 진주옥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많을수록 IK의 경직경(莖直俓)이 감소(減少)하였고 착수고(着穗高)는 IK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많을수록 IK의 착수고(着穗高)가 낮아지는 경향(碩向)이었다. 흑조위축병(黑條萎縮病) 리병율(罹病率)은 두 품종(品穩) 모두 파종비율(播種比率)과는 관련(關係)없이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임이 확인(確認)되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terplanting effects of corn, when a corn hybrid with tillers (IK derivaties) was interplanted with a corn hybrid without tillers(Jinjoo Ok). The interplanting ratios of two hybrids, IK and Jinjoo Ok, were 1 to 1, 1 to 2, 1 to 3, 2 to 1, and 3 to 1. The interp1anting effects were compared with monoculture for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1. The plant height was increased when interplanted regardless of the interplanting ratios of the two hybrids. The general growth of IK hybrid was a little hindered when the interplanting ratio of Jinjoo Ok hybrid increased. 2. The number of tillers produced by the IK hybrid increased until 40 days after emergence and appeared to increase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IK hybrid increased. 3. When monocultured, the fresh weight of IK hybrid per 10a was 8,096kg and and 6,677kg at silking and dough stages, respectively and these were 77%, 53% over the fresh weight of Jinjoo Ok at the sarne stages. When IK and Jinjoo Ok hybrids were interplanted in 1 to 1 ratio, the fresh weight of IK was 20% higher than that of Jinjoo Ok monocultured. 4. The highest grain yield per 10a was obtained from the Jinjoo Ok hybrid monocultured and the yield was 434kg. Even the interplanting ratios between IK and Jinjoo Ok were 1 to 1 and 1 to 3, the grain yield of Jinjoo Ok was 16% and 13% over the IK, respectively. 5. Root and stalk lodging of IK hybrid was 29% when monocultured and seemed to increase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Jinjoo Ok increased. The lowest lodging was found when the interplanting ratio of IK and Jinjoo Ok was 1 to 1. 6. Stem diameter of IK hybrid was also decreased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Jinjoo Ok increased. The ear height of IK was lowered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IK was increased. The two hybrids tested seemed to have tolerance to the black streaked dwarf virus(BSDV).

      • KCI등재

        한국 정보통신산업의 생산성 변화에 대한 패널추정

        최봉호(Bong-Ho Choi),김상춘(Sang-Ch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논문은 한국 정보통신산업의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분석방법은 11개의 한국 정보통신산업의 횡단면자료와 8개년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한 패널분석이다. 분석 결과로 전 기간에 걸쳐서 정보통신산업의 노동생산성과 자본생산성, 그리고 총요소생산성은 정(+)의 부호를 나타냈다. 정보통신산업 생산성의 변화는 먼저 총요소생산성은 2008년 이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수준과 경영수준의 향상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노동생산성은 증가했지만 자본생산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본생산성의 감소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한국경제의 주력산업으로서 정보통신산업에 대한 양적투자의 증가에 의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개선되지 못하여 정보통신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hange of productivity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dustry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The method of analysis is panel data analysis based on 11 Korea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dustry cross-section and 8 years time series. The result of estimate shows that producitivity of labor and capital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dustry is positiv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dustry is also positive. but total factor productivity decreased after 2008. In addition, the productivity of labor was increased, but the productivity of capital input was decreased. It means that the productivity of Korea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dustry was not improved despite increasing of labor and capital investment.

      • KCI등재

        우리 나라 인구통계 작성제도의 변천에 관한 고찰

        최봉호(Bong-Ho Choi) 한국인구학회 1997 한국인구학 Vol.20 No.1

        우리 나라에서의 호구통계작성제도는 오래 전부터 운영되고 있었다. 현존하는 기록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촌적제도, 고려ㆍ조선시대의 호구성적 등으로부터의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이러한 호구성적제도는 순수한 통계작성목적보다는 징병ㆍ요역ㆍ세금부과ㆍ신분유지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호구성적제도로부터 작성된 호구통계는 완전성 및 정확성의 측면에서 다소 호구의 누락 등 오차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확한 호구통계파악을 위하여 1896.9.1자로 호구조사 규칙이 제정되었고, 1909년에는 민적법이, 1925년에는 인구센서스가 도입되어 호구통계를 작성할 수 있는 제도가 세분되었다. 오늘날 통계의 날 기념일을 매년 9월 1일로 정한 것도 이와 같은 근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도는 1960년대 초 호적법, 주민등록법의 전면적인 개정으로 정도(精度)높은 호구통계를 작성하는 데까지 이어졌다. The historical study reveals that our ancestors had maintained a system which could produce data on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as well as on thei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such data on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number of births, number of deaths by age & sex, number of in & out migrants were found in an historical document for the year 755. The main purposes of maintaining the system at that time were taxation and conscription. As the system evolves, another function of identifying the legal status of people was also added. Looking into the figures for those days reveals that ommission rates of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were high. Thus, in an effort to obtain a reliable data, the annual population survey system was introduced as of 1 September 1896. This date is now cerebrated as the Statistics Day. Since then, the survey system has been diversified. At the present time, there are three major data sources which produce the statistics on population and households: Civil Registration System(vital statistics), Resident Registration System(migration statistics) and Population Census. However, these three systems are found to have some problems to produce the accurate data. There are some inherent problems in the registration systems such as problems in its coverage, accuracies in contents and timeliness in reporting the vital events and publishing the results. The population census has also non-sampling errors such as errors in coverage, response and non-response. Apart from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there are also conflicting problems arised from having different three data sources. We can find some overlapping problems in laws and difficulties in comparative studies between regions. In the future, these problem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tatistics on population and households.

      • KCI등재

        브렉시트(Brexit)의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

        최봉호(Choi, Bong-Ho),이기환(Lee, Gi-Wha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브렉시트로 인한 세계 거시경제환경의 변화, 특히 당사국인 영국과 EU의 경기 및 환율의 변화가 한국의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2000-2016년의 월별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고 장기적 관계를 위한 공적분 검정과 장기 및 단기 동학적 분석을 위한 VECM모형과 인과성 검정을 위한 VECM인과성 검정을 도입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은 장기적으로는 EU의 경기와 환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영국의 경기와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단기적으로는 EU의 거시경제환경 변수 중 경기 상황보다는 유로화 환율이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친 영향 관계가 더욱 의미가 있는데, 이는 특히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의 경우 더욱 명확하다. 영국도 마찬가지로 경기의 영향은 유의성이 없지만 환율은 한국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관계의 유의성이 커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VECM인과성 검증에서도 잘 나타나 한국 총컨테이너물동량과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은 EU의 유로화환율에, 그리고 영국의 파운드화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해서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 및 EU의 경기 및 환율 변화에 의한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의 영향은 경기 변화보다는 환율변화에 의한 것이 더 크고 주로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집중하는 등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브렉시트 당사국인 영국보다는 EU의 경기 및 환율변화에 의한 영향이 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Brexit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especially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EU and United Kingdom. To do this, we use monthly time series data during 2000-2016, and introduce the analysis method of cointegration test and VECM,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exchange rate of EU and U.K.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ainer volume of Korea is influenced by the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EU in the long run. But the exchang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U.K. influenced on only export container volume of Korea, and the influence of U.K. macroeconomic variables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was not large in the long lun. Second, In the shot run,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especially on export container volume was significant in EU and U.K. To sum up, the influence of EU macroeconomic variables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is larger than that of U.K., and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variable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industrial production variable.

      • KCI등재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의 물동량간 인과관계 분석

        최봉호(Bong-Ho Choi),김상춘(Sang-Choon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심항만인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을 중심으로 각 항만간의 물동량 영향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국내항만간의 무분별한 투자와 경쟁으로 인한 비효율적 항만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 항만 물동량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항만간의 동태적 관계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항 물동량은 상대 항만인 광양항 물동량과 인천항 물동량의 변화 충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고 효과의 지속성도 크지 않다. 광양항 물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산항물동량 충격에 의한 효과가 인천항 물동량 충격 효과 보다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되었다. 인천항 물동량은 광양항 물동량 충격에 의한 효과가 크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 결과 부산항물동량은 부산항 자신의 오차항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며 초기에는 광양항 물동량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점차 인천항 물동량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이 크다. 광양향 물동량은 부산항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인천항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 보다는 크다. 하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인천항 물동량에 의한 기여도가 점차 증가했다. 인천항 물동량은 다른 항만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세 항만 중 가장 크다. 특히 광양항 물동량이 부산항 물동량이 기여하는 부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다른 항만의 물동량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부산항에 대해서는 해외 경쟁 항만과의 경쟁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항만정책을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항과 인천항에 대해서는 독자적인 항만물동량 창출이 가능한 모형을 구축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uality among export and import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Kwangyang, Incheon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test whether time series data is stationary and the model is fitness or not, we put in operation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We apply Granger causality and impulse response and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EC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is not largely influenced by that of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but the trading volume of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is largely influenced by other ports including port of Busan. The result suggest that government has to focus on policy that the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can raise its own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 KCI등재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최봉호(Bong-Ho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및 효율성을 분석하여 국가전체적인 항만시설 및 항만산업 투자 등에 있어 정부의 권역별 항만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최종수요 및 항만산업 생산활동을 기준으로 생산, 부가가치, 취업 등의 유발계수를 도출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 권역의 항만산업은 구조상으로 볼 때 생산액 비중, 입지계수, 부가가치율 등과 같은 주요 경쟁력 지표와 경제적 파급효과에 있어 타 산업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권별로 최종수요에 의한 유발효과와 항만산업의 외생화를 통한 항만산업 생산활동에 의한 유발효과 분석 모두에서 전라권이 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취업유발효과에서 가장 우위에 있으며, 부울경권은 부가가치유발과 취업유발효과에서 약간의 우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항만산업은 생산액과 입지계수의 우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기여도에서는 분석대상 지역 중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 효과 등이 가장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볼 때 정부는 항만산업자체가 주도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서비스산업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권역별로 항만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등 실태를 정확히 분석하여 투자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항만 배후단지와 연계한 항만물류산업단지의 조성과 육성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ses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economic effects of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The analysis on regional economic impacts is conducted in two ways, among which one i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final demand of the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and the other i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industry's production activity with using input-output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has lower value-added rate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Busan-Ulsan regional zone has relatively higher value-added rate than other regional zones. Second, the economic effects of final demand and production activity of the industry are found to be the largest in Jeolla regional zone and the lowest in Sudo regional zone.

      • KCI등재

        국내 주요항만별 항만물동량과 산업성장의 인과관계

        최봉호(Bong-Ho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항만의 화물물동량과 산업성장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각 항만의 지역 산업에의 기여도와 함께 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효율성을 분석하고 항만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안 도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기 인과관계는 부산항, 인천항, 울산항에서 항만물동량이 지역산업성장을 인과하지 않았으며 광양항의 경우도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았다. 하지만 장기인과성은 항만물동량의 지역산업성장으로의 관계가 부산항과 인천항에서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천항은 항만물동량의 지역산업성장으로의 인과관계가 가장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한 항만물동량의 지역산업성장에 대한 구체적 기여도에 있어서는 인천항이 제일 크고 다음으로 광양항, 부산항, 울산항의 순서였다. 따라서 주어진 재원을 현재와 같이 분산 투자함으로써 모든 항만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기 보다는 선택과 집중에 의해 항만간 투자를 조정하여 투자재원의 효율화와 항만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게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현재의 비효율적인 항만관련 투자도 항만물동량이 지역산업성장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ding volume of freight and industrial growth in Korea ports,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test whether time series data is stationary and the model is fitness or not, we put in operation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we apply Granger causality based on an error correction model, Hsiao(1981) method and variance decompos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ent of causality between trading volume of freight and industrial growth is strong in order of Incheon port, Busan port, Gwang Yang port, Ulsan port. We can infer policy suggestions as follows; The port policy of government must be focused on re-adjusting investment among Korea ports and raising competitive power of Korea ports.

      • KCI등재

        한국 항만물류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의 영향

        최봉호(Bong-Ho Choi) 한국무역연구원 2018 무역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growth of port logistics indus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ort hinterland and the creation of port trade volume. The method is based on the vector autoregression model (VAR). We estimate the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s through cointegration tests and estimation of cointegration coefficients. We also analyze on short-term dynamics as well as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s through causality tests,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st error-variance decomposition using error correction model. As a result, foreign investment factors have a positive (+) impact on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long term and short term. In particular, the impact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more immediate and impactful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at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the contribution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larger than that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but it is decreasing with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policy and academic interest on how to link the growth of port logistics industry with the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 KCI등재

        障碍者統計의 改善方案

        崔鳳鎬(Bong-Ho Choi),李承旭(Seung-Wook Lee) 한국인구학회 1994 한국인구학 Vol.17 No.1

        In order for handicapped people to maintain better humane life, it is necessary to get statistics of them in developing appropriate national polic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baseline statistics on regular or occasional basis. It's reason is mainly attributed to attitudes of their family's tendency to conceal any existence of such memeber in the household. As a result, the statistics on the handicapped population is very inaccurate and under satisfaction. We must produce such statistics periodically in time and with accuracy. Thus, this study porposes five methods which, we believe, can produce reliable statistics of the handcapped population : 1) vitalization through enforcement of handicapped information into the registration system, 2) inclusion in population census of items related to handicapped information, 3) improvement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opulation survey scheme, 4) utilization of hospital patients' records for development of the statistics, and 5) an estimation through the labor force survey.

      • KCI등재

        우리나라 戶口調査制度의 歷史的考察

        崔鳳鎬(Bong-Ho Choi) 한국인구학회 1994 한국인구학 Vol.17 No.1

        The historical study reveals that our ancestors had maintained a system which could produce data on population and households. The main purposes of maintaing the system at that time were taxation and conscription. At the present time, however, there are three major data sources which produce the statistics on population and households in Korea : Civil Registration System,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and Population Census. These three systems are found to have some problems. there are some inherent problems in the registration systems, such as problems in its coverage, accuracies in contents and timeliness in reporting the vital events and publishing the results. The population census has also non-sampling erors, such as errors in coverage, respone and nonresponse. Apart from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there are also conflicting problems arised from having three data sources, We can find some overlapping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comparative studies. In the future, these problem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tatistics on population and househ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