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이경진,최진영,장신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자신의 핵심역량을 어느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핵심역량 수준이 초등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능동적 전문성의 관점에서 교수역량, 평가역량, 생활지도역량, 학급경영역량, 전문성개발역량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핵심역량들을 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수행, 태도별로 추출하였다. 이러한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핵심역량 별 평균이 모두 3점대로 나타나 초등교사들은 대체적으로 각 핵심역량을 어느 정도는 갖추고 있으나 충분하지는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수행, 태도역량을 비교할 때, 지식의 경우는 교수역량과 평가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지도역량, 학급경영역량, 전문성개발역량들의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수행의 경우는 학급경영역량 수준이 다른 역량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태도의 경우, 모든 역량에서 지식 및 수행에 비해 평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교직경력집단 별로 핵심역량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교직경력이 높아질수록 핵심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의 경우 교직경력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의 평균 차이가 가장 확실하게 나타나는 반면, 태도의 경우 교직경력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의 평균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특히 4년 미만 교사들의 경우, 지식역량에 있어 다른 교사경력집단에 비해 평균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역량의 경우 지식 및 수행 역량의 평균이 다른 역량들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정제영,김갑성,강태훈,류성창,윤홍주,선미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중등 신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이 무엇인지, 어떤 직무 역량이 우선적으로 필요한지, 그리고 미래 관점에서 교사에게 요청되는 직무 역량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중등 신임교사들의 직무 역량 강화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임교사 및 현직교사의 직무 역 량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10개 영역 81개 역량으로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을 선정하여 전국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공히 신임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의 우선순위는 생활지도 및 상담,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역량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래 관점에서 중등 신임교사에게 요구 되는 직무 역량은 중·고등학교 공통적으로 실제 문제해결력, 관계 형성 능력, 의사소통 능력, 공동 작업 능력, 갈등관리 능력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라 중등 신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 우선순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신임교사의 전 문적 역량이 제고될 수 있도록 현직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임교사의 전문적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에 입직하여 적응하는데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 다. 셋째, 신임교사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주변 동료교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도움 을 줄 수 있는 학교 문화가 중요하다. 넷째, 신임교사의 안정적인 정착과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 들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우수한 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needs assessment of new teacher’s job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nd so this study suggests new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ir job skills. 81 competencies of 10 areas were selected as secondary job skills of new teachers were conducted a survey of school teachers in Korea. As the result of survey, the priority of job competencies required of new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in conjunction with parents and the community in middle and high school mutually. For future competence of high school teachers, the actual problem solving skill, relationship skill, communication skill, collaboration skill,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 appeared to be needed.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practical suggestions like these; First, on-the-job training need to be strengthened for the expertise of new teacher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new teachers to adapt the school, there need to analyze the problem and situation of new teachers. Third, it is more important to change the school culture to help the new teachers. Fourth, there is a need to identify and spread a good new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및 교사인식 분석

        안홍선(Ahn Hong Seon),박현주(Park Hyun Joo),윤초희(Yoon Cho 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 개념에 기초하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개발 및 정의하고, 그에 대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의 핵심역량 및 교사의 역량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론적·개념적 맥락에서 교사의 핵심역량을 구안하고, 이에 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인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수정하고 정교화하였다. 또한, 현직 교사와 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곤란도, 그리고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현재의 양성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수업 역량, 학생 공감 역량, 의사소통 역량, 교육공동체 형성 역량, 교사정체성 개발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는 양성교육에서 여전히 교과를 가르치기 위한 지식과 기술에 편중된 기능주의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학교 교육과정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개정된 것과 호응하여, 교사교육에서도 교과나 직무 중심의 지식ㆍ기술교육을 벗어나 태도나 가치지향 등을 포함하는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are (a) to develop and defin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b) to examine how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proposed constructs of key competencie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we reviewed extant literature about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developed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view. Next, initial conceptions of key competencies were revised and refined through two delphi studies. Finally, we examine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of competencies, difficulty in performing competencies, and the extent of contributions of current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to competencies. The fiv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instruction competency, empathy competency, ability to build education community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competency.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curriculum is perceived to hold functionalistic perspective which mainly focuses on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omprehensive competency approach into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손성호 ( Sungho Son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교사의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핵심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의 생애주기를 적응기, 자립기, 성찰기 세단계로 구분하고 역량모델링과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의 연구방법의 2가지 방법을 단계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핵심역량을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군, 상담/ 학급운영 역량군, 학교업무/ 행정 역량군, 교사소양 역량군으로 구분하였고, 생애주기별로 적응기 핵심역량 12개, 자립기 핵심역량 11개, 성찰기 핵심역량 14개, 교사소양 공통 핵심역량 5개가 도출되었다. 또한 각 핵심역량별로 역량정의와 평균 3~4개의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총 42개의 핵심역량 정의와 행동지표로 규명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필수역량과 기본역량을 바탕으로 생애주기별로 필수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을 개발하였는데, 적응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적응기 초·중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자립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자립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성찰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성찰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프로파일은 각 교육과정 콘텐츠별로 교육과정 정의, 대상, 해당역량, 행동지표, 역량개발 주제어(Keyword), 역량개발방법, 교육목표 등을 명세화하여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원평가제도, 학습연구년제, 수석교사제 등 다양한 정책적 분야에 활용됨으로써 교사의 핵심역량 강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nd behavior indexes required in each phase of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and develop curriculums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consists of three phases; adaptation, independence and reflection.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xpertise in curriculum & lessons, counseling & class management, school affairs & administration, and teachers` qualifications. competencies. As to each phase of teachers` career cycle, 12 key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the adaptation phase, followed by 11 competencies for the independence phase, 14 competencies for the reflection phase and 5 common, key competencies for teachers` qualifications.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3~4 behavior indexe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42 key competen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design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and also for various systems such as the teachers evaluation system, the research sabbatical system and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reby making contributions to the reinforcement of teachers` key competencies.

      •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신념, 학생이해역량,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 및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

        하문선(Moon-sun Ha)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beliefs,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ies, teaching competencies, teacher developmental levels, and future teacher job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on model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ing beliefs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Also, it was found that teach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development level,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uture teacher job competenc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liefs and future teaching competenc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was found.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y and future teacher job competency,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plan to improve future job competency by structur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신념, 학생이해역량,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 및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첫째, 교직신념은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이해역량도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역량은 교사발달수준에, 교사발달수준은 미래교사직무역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직신념과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에서 수업역량과 교사발달수준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생이해역량과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에서 수업역량과 교사발달수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개인내적 특성과 관련 역량 간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미래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and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compet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45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191 from middle schools, and 227 from high schools to evaluat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of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lanning assessments and developing tools”, “assessment adminstration”, “feedback”, “ethics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ment,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eachers’ sub-competencies of student assessment as 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chool levels, gender, years of teaching, whether or not to take a subject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raining/workshops participated i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linear mode have shown that school level, gender, years of teaching, some training/workshop related to students assessment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aking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t the university and training/workshops for student assessment did not affect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None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of the teacher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ake such courses. The comparison of the teachers’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training/workshops has indicated that taking the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subject competency partly affected the teachers’ sub-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while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aking the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ency, we need to understand the teacher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by school levels that teachers attend. Also the standards of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for school levels. Since the student assessment courses at the university offer the basic skill and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s for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reconstruct to enhanc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and detailed training/workshops focused on sub competencies rather than overall competencies for student 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고, 역량을 증진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54명, 중학교, 191명, 고등학교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인 “평가계획 및 도구 개발” 역량, “평가시행” 역량, “결과환류” 역량, “윤리성 및 법적 절차 준수” 역량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학생평가 하위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 교육 관련 연수/워크숍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인 중에서는 교사의 소속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일부 연수/워크숍 유형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와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을 참여 여부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평가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의 역량이 수강하지 않은 교사의 역량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여한 연수/워크숍에 따른 교사의 역량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과역량에 연수/워크숍 참여가 일부 학생평가 하위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평가 연수/워크숍 참여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증진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교급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학교급에 적합한 학생평가 역량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대학의 학생평가 관련 수업은 교직경력이 없는 예비교사에게 학생평가 역량의 기초가 될 수 있어서 양질의 학생평가 과목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평가 역량을 총합적으로 증진시키는 것보다, 하위 역량에 중점을 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연수/워크숍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역량의 매개효과와 직급간 다집단 분석

        안도희,김누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환경이 교사역량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교사역량의 매개효과 그리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직급(부장교사, 평교 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서울․인천․경기에 소재한 초 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직무환경과 교사역량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교사역량은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집단 분석 결과, 직급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급에 관계없이 교사 역량은 직무환경이 긍정적일수록 향상되며, 이는 곧 교사효능감 향상 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직무환경 또한 직급에 관계없이 교사 효능감 증 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장교사와 평교사 모두에게 있어 직무환경이 이들의 교사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뒷받침 되어야하며, 교사의 역량 증진을 위해 서는 직무환경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work environment, teacher competency on teacher efficacy, and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on job position(i.e., head teacher and teacher)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37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Measures of the teacher competency, teacher 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dministered. Teacher competency mediated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teacher efficacy. As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job position. Positive work environment increases teacher competency as well as teacher efficacy. Moreover, work environment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eacher efficacy without differences in job position. To teachers of both position, work environment help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Therefore, to improve teachers' efficacy, teacher competency must be required and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y, work environment need to be improved.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멘토링을 위한 핵심역량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정민수(Jung, Min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실행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활동하는 멘토교사들의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멘티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협력적 멘토링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동학년 중심의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멘토교사로 활동하는 전문가 집단을 인터뷰하고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핵심역량에 대한 기초조사를 하였으며, 다시 전문가 집단에 대한 델파이조사와 핵심역량 선정과정을 거쳐 멘토교사들이 갖춰야 할 20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최종 핵심역량 전문가(12명) 선정회의를 거쳐 단기간 교육만으로는 강화가 어려운 핵심역량과 기존 교육 프로그램에 이미 반영되어 중복되는 핵심역량을 제외하여 최종 18개의 멘토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체계적인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멘토교사가 갖춰야할 핵심역량을 교수설계역량, 수업촉진역량, 성찰지원역량의 3가지 역량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핵심역량을 각 역량군별로 개인 및 상황의 하위역량(3개)과 지식 및 기술의 하위역량(3개)으로 재정리하고, 이를 모듈화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각 모듈을 역량진단(Diagnosis), 협력학습(Learning), 역량개발(Development), 응용실천(Practice)의 4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적용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활동하는 멘토교사들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는데 실질적인 개선책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i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mentor teachers work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o suggest ways to design and operate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mentee teachers. To this end, we analyzed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collaborative mentoring and formed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centered on the same grade fo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also interviewed a group of experts acting as mentor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conducted basic research on core competencies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Through the Delphi survey of the expert group and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20 core competencies that mentor teachers should possess were drawn. Next, through the selection meeting of the final core competency experts (12 people), the final 18 mentor teachers core competencies were selected by excluding core competencies that were difficult to reinforce with short-term training alone and those that were already reflected in existing training programs and overlapped. In addition, in order to construct a systematic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e core competencies that a mentor should posse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petency groups: teaching design competency, teaching facilitation competency, and reflection support competency. The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were then readjusted into sub-competencies of individuals and situations and sub-competencies of knowledge and skills for each competency group, and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by modularizing them. Lastly,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each module was composed of four stages: competency diagnosis, collaborative learning, competenc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actice. The application of this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improvemen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mentor teachers work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practic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 KCI등재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 연구

        전은경,오인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급별로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현직 전문상담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이 중 209명의 응답을 토대로 역량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은 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과 중등 공통적으로 교육에 대한 요구가 최우선순위로 높게 나타난 역량은 ‘학생 이해’와‘전문성 향상’ 역량이었다. ‘전문가적 태도’는 초등에서는 최우선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고 중등에서는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담이론 및 기법’은 학교급에 상관없이 초등과 중등 모두 차순위요구 역량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부모 및 교사 자문’, ‘지역사회 자원 활용’, ‘의사소통과 협력’은 초등에서만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중등의 경우 ‘역할 조화’와 ‘학교 조직 적응’이 차순위 요구역량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수퍼비전이나 지역별 사례연구회를 지원하는 등 전문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편 및 역량 계발 연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 연구

        한민아,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코칭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교사 스스로자신이 갖춘 교사역량의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예비요인 및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교육․코칭을 전공한 전문가 10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코치자격증을 가진 초등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2회 실시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33문항의 2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초등교사 245명의 예비설문 과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칭마인드셋 역량, 자기이해 역량, 관계형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성장촉진 역량의 5가지 구성요인과 42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초등교사 530명의 본조사 설문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 코칭역량 42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이 결여되는 문항 8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최종 34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최종 문항은 코칭마인드셋 역량 6문항, 자기이해 역량 7문항, 관계형성 역량 5문항, 의사소통 역량 7문항, 성장촉진 역량 9문항으로 총 5가지 역량과 34개 문항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empirical tools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coaching programs and coaching-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extract preliminary factors and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expert interview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2 questions were selected. Afterwards, a survey of 5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and finally, 5 competencies including 6 coaching mindset competencies, 7 self-understanding competencies, 5 relationships-building competencies, 7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9 questions for growth promotion and 34 questions were determined. The coefficient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mpetencies and question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ble.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