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신장의 현황과 과제

        윤초희(Yoon Cho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질 제고에 대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영재교사, 특히 언어영역 영재교사의 전문성 개념을 탐색하고,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도적 노력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국내와 미국을 중심으로 고찰하며, 향후 언어영재 교사의 전문성 개발 과제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내현황을 살펴보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언어영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도적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며,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일부 언어영재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교육과정도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개념에 비추어 볼 때 협소하다고 할 수 있고, 일부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국어과 심화 연수 프로그램은 언어영재의 특성을 반영하기보다는 국어과 내용 심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외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언어, 수학, 과학, 예술 등 전 영역이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신장의 과제로서,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 및 재편성, 국가, 지역교육청, 영재교육기관간의 연계체제 확립, 그리고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eacher expertise in gifted education, especially in the area of language art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actices in Korea and the US, and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findings from the investigation through internet indicate that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of the gifted in language arts in Korea were very limited in degree and scope. Only one district officially provid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language arts gifted teachers, but its curriculum scope and content were highly restricted conside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gifted teacher expertise in language arts. Also, enrichment programs for language arts teachers currently implemented in several districts including Seoul mainly focused on content enrichment rather than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finding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ree major universities which provid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gifted teachers in the US demonstrate that those programs were organized with a variety of subject areas such as language arts, math, science and/or performing arts integrated within an united curriculum system. A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llowing guidelines were suggested: the exte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ent teacher development program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network of national gifted research institutes,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inally constant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building of learning communities and interaction among the participants.

      • KCI등재

        학습에 대한 ‘상황’ 관점 고찰

        윤초희(Cho-Hee Y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이 연구는 그동안 지배적인 관점이었던 계산주의 인지모형의 대안으로 나타난 학습에 대한 상황관점을 고찰하고, 관련된 쟁점들을 논의하며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향후 학습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황 관점의 네 가지 유형(활동이론, 상황인지 이론, 분산인지 이론, 체화인지 이론)을 비교분석하고, 유사점 및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상황 관점에서는 모든 인지활동이 특정한 상황과 맥락 속에 착근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인지체계와 지식은 행위자, 타자, 인공물간에 분산되어 나타난다는 점을 강조한다. 네 가지 하위 이론들은 ‘마음이 개인 내부에 존재한다’는 전통적 인지주의자들의 전제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관심의 초점, 분석단위, 인공물의 지위, 개인의 주체성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는 조금씩 입장을 달리 하고 있다. 상황 관점의 이론적 쟁점으로 지식/기술의 전이 문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관계 문제, 분석단위의 문제가 논의되었고, 향후 학습연구를 위한 과제로 마음, 학습 및 전이개념의 확장, 활동체계에 따른 분석단위의 유연한 선택,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의 사용, 의식적인 행위자로서의 개인 탐구의 필요성 등이 제언되었다. The study reviews the situative perspective on learning, which has arisen as an alternative to the mainstream computational model of cognition; it discusses theoretical issues and explores th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on learning. For these purposes, four theories (activity theory, situated cognition, distributed cognition, and embodied cognition) which are based on the situative perspective were compared,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the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were analyzed. In the situative perspective, it is assumed that all cognitive activities are embedded in a specific context or situation. It is also emphasized that cognitive systems and knowledge are distributed across agencies, other people, and artifacts. The four approaches share a common ground that the mind does not inhere within the individual, but they differ in the focus of interest, units of analysis they focus on, and the views of the status of artifacts and human agency. The article discusses, as theoretical issues, the problem of transfer, the rel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and the use of units of analysis.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concerning the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mind, and transfer, the flexible use of different units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types of activity systems, use of various data collection techniques, and the need to consider the individual as a tool-mediated, purposeful agent even within the situative perspective.

      • KCI등재

        학습자의 학습개념, 학습접근과 학업성취의 관계: 학교급 간 비교

        윤초희(Yoon Cho Hee),최옥주(Choi Oug 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학생들이 경험적으로 구성한 학습개념과 학습에 접근하는 방식이 학교급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개념과 학습접근이 학업성취를 예측해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의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과 서울에 있는 1개 대학의 교직수업을 듣는 대학생 등 총 236명이 편의표집되었다. 학습개념과 학습접근에서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 고등학생은 학습을 ‘정보의 습득’으로 보는 경향이 대학생보다 높은 반면, 대학생들은 ‘관점의 변화’, ‘개인의 성장’, ‘의무’, ‘시공간을 초월하는 과정’으로 학습을 개념화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상관분석 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모두 의미 이해, 개인의 성장, 시공간 초월 등의 질적인 학습개념을 가진 학습자와 심층적인 학습접근을 사용하는 학습자의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국어와 영어교과목에서는 성취에 대한 학습개념의 예측력이 유의하지 않았지만 수학교과에서는 질적인 학습개념이 수학성취를 예측하였고, 심층 접근은 국어와 수학교과목에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교직과목의 경우, 의미 이해와 의무로서의 학습개념만이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급(고등학교 대 대학교), 교과의 특성(순수 대 응용), 평가 지향(기억 파지 대 이해ㆍ탐구)과 관련하여 논의되었고, 이들 변인을 체계적으로 변이시켜 독립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추후연구에의 시사점이 제언되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wofold: 1)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their conceptions of learning and approaches to learning, and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nceptions of learning, approaches to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se two groups. A total of 236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the Kyung-Ki province and on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t-test analysis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scored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on the conception of learning as acquisition of information while colleg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onceptions of learning as change of perspectives, personal change, duty, and processes not bound by time and space. For both groups, qualitative conceptions of learning were correlated with a deep learning approach, and qualitative conceptions of learning and a deep learning approach we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dditionally,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in the high school context, qualitative conceptions of learning predicted only math achievement while a deep learning approach predicted language arts and math achievement. In the college context, conceptions of learning as understanding and duty predicted course achievement while a deep learning approach did not predict course achievement.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areas, and the purpose of evalu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창의적 역량의 예측요인으로서 학습개념과 학습접근 분석

        윤초희(Yoon, Ch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이 연구는 학습현상에 대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주관적 의미인 ‘학습개념’과 학습에 접근하는 방식(의도와 전략을 포괄하는)이 학습의 결과인 학업성취와 창의적 역량을 예측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5년 6월 서울과 경기지역의 대학생 20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학습개념 중 재생산적 학습개념은 표층적 학습접근과, 재구성적 학습개념은 심층적 학습접근과 관련이 있었으며, 맥락에 따라 다양한 접근을 전략적으로 선취하여 사용하는 전략적 학습접근자의 경우 재생산적 학습개념과 재구성적 학습개념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개념은 학업성취와는 유의한 관련이 없으며, 창의적 역량의 하위변인과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학습접근의 경우, 심층적 접근과 전략적 접근은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창의적 역량과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성과 학년을 통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와 창의적 역량에 대한 학습개념과 학습접근의 상대적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표층접근은 학업성취를 부적으로 예측하고, 전략적 접근은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역량의 경우, 심층적 접근은 창의적 역량의 하위 요인 중 특히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습개념의 다양화에 따른 학습결과 지표의 확대와, 재구성적 학습 개념 및 심층적 학습접근의 사용을 도모하는 교수활동, 학습과제, 평가방식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되었다. Based on Biggs and Moore s (1993) 3P model which proposes the interaction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learning (presage, process, and product) that form an integrated syste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ions of learning and approaches to learn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ceptions of and approaches to learning on college course achievement and creative competencies. A total of 203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a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while students with reproductive conceptions of learning tend to use a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students with reconstructive conceptions of learning tend to use a deep approach to learning. Students using a strategic approach to studying tend to have both of reproductive and reconstructive conceptions of learning. Conceptions of learning were not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eative competencies. As with approaches to learning, deep approaches and strategic approaches were correlated with creative competencies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fter controling for sex and grade levels, surface approaches negatively predicted college course achievement while strategic approaches were a positive predictor. As with creative competencies, deep approaches positively predicted creative competenci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 for extending the indices for learning outcomes as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nception of learning and for providing instructional activities, learning tasks, and types of evaluation which can promote the use of the reconstructive conception of learning and deep approaches to study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은유(metaphor)”를 통해 본 대학생의 글쓰기신념

        윤초희(Cho Hee Y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강화되고 있는 학생들의 글쓰기(역량)에 대한 인식은 문식성(literacy)의 개념 변화와도 관련이 깊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변화가 갖는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대학 글쓰기교육은 여전히 전통적인 인지주의 모형에 입각한 기술 중심의 처방식 교수나 결과 중심의 교수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글쓰기수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글쓰기 장면에 가져오는 쓰기신념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신념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쓰기신념을 우선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특별히 글쓰기 경험과 훈련이 부족한 공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생성한 은유를 통해, 이들이 글쓰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개념화하는지를 탐색하였으며 이러한 이해가 글쓰기수업 이후에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의 한 종합사립대학교의 ``공자학문 및 발표`` 수업을 수강하는 166명의 공과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작문수업 이전에 166개의 은유와 169개의 해석이 생성되었으며 학생들이 제시한 해석에 따라 12개의 개념은유가 도출되었다. 수업 이전에 학생들의 글쓰기신념은 인지와 정서 사회적인 측면을 모두 아우르는 다양성을 보여준 반면, 빈도분석 결과는 특정 은유(거울, 두려움, 도관 등)의 지배적인 사용을 보여주었다. 또한 수업 이전에는 글쓰기에 대한 표층적, 재생산적, 상태 지향적 접근이 지배적으로 나타난 반면, 수업 이후에는 심층적, 생성적, 과정 지향적 접근으로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수업 이전의 부정적인 정서는 수업 이후에 감소하였으며, 신념의 하위차원들의 상대적 빈도가 균등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글쓰기신념과 관련된 이론적 모형 개발과 신념변화를 위한 실천전략의 모색에 대한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The enhanced awareness of writing competence and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college education is related to change views on literacy and communication. Although the conversion of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e transac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sender and receiver ha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writing instructions are still organized based on the traditional cognitive model. Since student conceptions of writing are likely to influence their writing strategies and attitudes, and these in turn affect writing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tudents` pre-existing concept of writing brought to the writing context.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explored student conceptions of writing through metaphors analysis. The context of the study was a writing class provided as a required course for engineering students at a positiv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One hundred sixty six engineer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total of 166 metaphors and 169 interpretations of those metaphors were generated. The subjective meanings of writing were examined by categorizing metaphors around recurring themes, and two broad dimensions of writing beliefs were identified: a surface, generative, state-oriented approach and a deep, reproductive, process-oriented approach. While the study shows diversity in student views on writing, the result of a frequency analysis indicates the dominant use of specific metaphors by students (e.g. mirror, apprehension, conduit). Also, the numbers of metaphors showing negative emotion and surface approaches decreased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sub-dimensions of writing beliefs were evenly distributed after the clas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model of writing belief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modifying them we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적 인지, 성격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창의적 정체감의 매개역할

        윤초희(Cho-Hee Yoon),유영희(Young-Hee Yoo)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창의적 인지, 성격, 신념, 행동 간의 관계구조가 창의성의 다양한 행동영역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지를 보는 것이고, 둘째, 창의적 잠재력이 창의적 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창의적 정체감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첫 번째 문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쟁점과 관련이 있고, 두 번째 문제는 잠재력을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데 있어서의 신념의 역할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과 충청지역의 대학생 20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창의적 인지, 성격, 신념, 행동 변인으로 각각 아이디어 생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미 정서 개방성과 사고개방성), 창의적 정체감, 학문과 예술영역에서의 창의적 행동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먼저 학문영역에서 사고에 대한 개방성은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미 정서에 대한 개방성과 아이디어 생성은 창의적 정체감을 매개하여 창의적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 정서에 대한 개방성은 학문창의성에 부적인 영향도 미쳤다. 예술영역의 경우, 미 정서 개방성과 아이디어 생성능력은 창의적 정체감을 매개하여 창의적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정체감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예술영역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창의성을 인식론적 행위(학문활동)보다는 표현/제작 행위(예술활동)와 동일시하는 일반인들의 암묵적 태도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창의적인 사람’으로서의 자기 인식은 (발견 중심의) 학문보다는 (표현/제작 중심의) 예술활동에서의 창의성을 더욱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창의성의 영역에 따라 변인들의 직 간접효과가 달리 나타난이유에 대한 해석이 제시되었고, 특히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상위의 특질(trait) 수준이아닌, 하위 측면(facet) 수준에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이 강조되었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wo-fold: 1)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deation, openness to experience, creative identity, and creative behavior based on the componential or confluence model of creativity and to see whether this relationship would differ as to the domains of creativity, and 2)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identity in the relation of creative potential and creative behavior. A total of 205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boo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ith latent variables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 the scholarly domain, ‘openness to ideas’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nd that ‘openness to aesthetics/feeling’ and ‘ideation’ has an indirect effect on creativity, mediated by creative identity. Besides, ‘openness to aesthetics/feeling’ has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As to the artistic domain, ‘openness to aesthetics/feeling’ and ‘ideation’ has an indirect effect on creativity, mediated by creative identity.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identity was larger in the artistic domain than in the scholarly domain. This may reflect the lay person's tendency to identify creativity with expression/production work (in art) rather than epistemological work (in scholarship). Self-image as a ‘creative person’ seems to lead to more creativity in artistic activities than in discovery-based scholarly activities.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ial effects of openness to experience and ideation on domain creativities were discussed, and the need to analyze ‘openness to experience’ on the facet level, not trait level, was emphasized.

      • KCI등재

        비고츠키 고등정신기능 발달의 단계와 법칙에 관한 고찰 및 교육적 함의

        윤초희(Yoon Cho 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4

        이 연구는 비고츠키의 문화역사적 이론에서 제시하는 고등정신기능 발달의 ‘단계’와 ‘법칙’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그동안 국내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온 비고츠키의 발달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러한 개념이 교육실천을 위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주류심리학은 독립적인 심리기능을 개인의 현재 발달수준에서 측정하여 다른 독립적인 심리기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관심을 갖는 반면, 심리기능의 발생기원과 상호기능체계의 변화과정에 대한 탐구는 비고츠키 심리학연구의 핵심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이 진행되어온 과거의 경로와 현재의 발달수준뿐만 아니라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가능한 잠재적 발달노선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이 비고츠키가 이야기하는 근접발달영역(ZPD)이다. 이 연구는 먼저 비고츠키의 발달개념, 즉 심리기능의 자연적 단계에서 문화적 단계로, 사회적 단계에서 개인적 단계로, 그리고 자발적 단계에서 의식적 자각 단계로의 전환과 이러한 발달을 지배하는 네 가지 발달법칙(매개, 사회발생, 내면화, 지성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그동안 교육 현장에의 적용과정에서 확대 해석되어 온 ZPD 개념을 재고찰하고, 역동적 심리기능 구조의 ‘발현적’ 속성을 강조하는 ZPD의 본래적 의미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고츠키의 발달법칙에 기초하여, 정신의 도구인 ‘단어의미’를 통해 새로운 개념과 아이디어 생성을 도모하는 개념학습, 기호활동의 개별화 및 차이 생성으로 특성화되는 개성화교육, 그리고 자율적인 인간의 형성을 도모하는 지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notions of the stage and law of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functioning as suggested by Vygotsky s cultural-historical theory,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ose concepts. While today s mainstream psychology is interested in measuring independent psychological traits at the individual s current level of development and finding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psychological traits, the genesis and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interfunctional psychological systems are the central theme of Vygotsky s psychological stud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otential developmental paths which are assumed to exist for the future as well as the actual developmental trajectory. This is calle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This study, within the Vygotskian theoretical framework, examined the developmental transition from natural to cultural, from social to individual, and from spontaneous to voluntary forms of behavior, and discussed four developmental laws governing those transitional processes-mediation, sociogenesis, ingrowth, and intellectualization. This study also reexamined the concept of the ZPD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attempted to restore its original meaning, focusing on the ‘emerging’ structure of dynamic mental functions. Finally, it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ncept learning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transformation, and generation of ideas, education for personalization characterized as differentiation of sign-mediated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intellectualization which aims at promoting intellectual autonomy.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윤초희(Cho Hee Y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1

        이 연구는 교사 실천지식의 일환으로서 학습자의 인식론적 발달에 대한 이해가 왜 중요한지를 논 의하고 인식론적 신념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학습자의 신념을 분류하고 탐구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과학철학사에 나타난 인식론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둘째, 개인의 인식론적 신념의 본질(ontology)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이 주목하는 쟁점들을 세 가지 패러다임적 접근에 기초하여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학습과정과 교육실천에서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후속적으로 도모되어야 할 교육적 처방에 대 해 제언하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식론적 신념의 본질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쟁점은 크게 차원성(dimensionality), 영역성(domain-specificity), 그리고 맥락성(contexuality)의 문제로 수렴된다. 이 들 세 가지 쟁점에 대해 발달론자와 체제론자, 그리고 맥락주의자들은 각기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를테면, 발달론자들은 하나의 통합된 구조로서 인식론적 신념의 단계적이고 일방향적인 변화과 정을 기술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 체제론자들은 신념의 하위요소를 상정하여 이들 요소를 측정하고 비교하는 데 관심이 있다. 맥락주의적 접근에서는 특정 맥락에서 변화하는 개인 및 상황적 요소 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신념에 주목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상이한 관심 과 이론적 접근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교육적 처방이 예시되었고, 학생들이 자신의 신념에 대해 성찰 하고 이러한 신념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이해하며 다양한 관점들 간의 대화와 균형을 모색하는 ``인식론자``로 성장하는 것을 돕는 교육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students` epistemological development as part o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explores the meaning of epistemological beliefs in the educational context. To this end, it first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pistemology in philosophy of science as the theoretical basis on which to classify different personal epistemology. Second,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personal epistemology, it discusses conceptual and theoretical issues raised by previous research, along with the direc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Finally, it explores the meaning of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educational practice. The issues raised in relation to personal epistemology are converged to dimensionality, domain-specificity, and contextuality. Developmental, cognitive, and contextualist models take different theoretical stances to these issues, and these theoretical stances require different educational practices. While developmentalists are interested in describing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epistemological thinking, the cognitive approach focuses on identifying features or dimensions which constitute epistemological beliefs. For the contextualist approach, belief emerges in the dynamic process in which continually changing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 reciproc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article illustrates differ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s to each theoretical stance,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activities where students are assisted in growing into an epistemologist who can reflect on their own beliefs, understand how these beliefs change, and pursue dialogues and balance across different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 KCI등재

        교육심리 연구방법으로서의 디자인기반 연구

        윤초희(Yoon Hee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4

        이 연구는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본질에 보다 부합하는 방법론으로서 디자인기반 연구(design-based research)를 소개하고, 관련된 인식론적ㆍ이론적 쟁점을 제기하며, 향후 디자인기반 연구가 갖는 전망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디자인기반 연구는 1990년대 초 미국의 교실기반 중재연구자들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2000년대 학습과학(the learning sciences) 연구자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프래그머티즘 전통에 뿌리를 두는 디자인기반 연구는 실제 교실에서의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된 교수적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동시에 교육실천 속에서 작동하는 학습이론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현장 지향적 연구방법론이다. 디자인기반 연구는 실제 교육맥락에서의 연구수행, 교수적 중재의 설계 및 효과성 검증, 맥락 구속적이고 영역 특수적인 학습 개념의 강조, 이론의 생성과 개선, 반복적인 연구수행과 참여자들 간의 협력, 복수의 종속변수 사용과 연구과정의 발현적 속성 등을 특성으로 갖는다. 디자인기반 연구는 발달심리학, 구성주의적 접근, 인지과학, 문화역사적 이론의 영향을 받았고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지만, 다양한 인식론적ㆍ이론적 쟁점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쟁점으로는 법칙정립적 접근 대 개성적 접근간의 갈등, 지식의 타당성 문제, 교수혁신의 지속가능성 및 확산성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쟁점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학습” 개념의 확대 혹은 재개념화의 필요성, 교실 단위의 미시적 변화뿐만 아니라 학교 기반의 광범위한 혁신 도모의 필요성, 연구의 장기적이고 순환적인 속성으로 인한 다양한 연구주체들 간의 협력적 관계 수립 및 협업의 필요성, 그리고 디자인기반 연구가 수행되는 교과영역의 확대 필요성이 향후 과제로 제시되었다.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esign-based research (DBR) has been widely employ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studying learning in the complex and dynamic classroom environment. This article introduced design-based research as an emerging method which is more compatible with the disciplinary nature of educational psychology, raised the related epistemological and theoretical issues, and discussed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DBR. DBR was first introduced by classroom-based intervention researchers who studied learning in the process of complex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have been elaborated by the learning sciences researchers. The goal of DBR, grounded in the epistemological tradition of pragmatism, is to test instructional interventions designed to facilitate learning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to generate and improve theories of learning which work in practice. DBR has the following essential features: research is conducted in the real educational setting; it purports to design and test innovations; learning as context-dependent and domain-specific is emphasized; domain specific theories are generated by systematically studying the nature of learning and the context which supports it; iterative procedures and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are necessary; multiple dependent variables are used and a vast amount of data are collected. Despite the practical value of DBR, several theoretical issues can be raised, among which is the conflict between nomothetic versus idiographic approaches, along with the issues of the validity of knowledge and the sustainability and scalability of innovations. As methodological challenges, this paper argued for the need to re-conceptualize learning in the classroom, to promote innovations at macro- as well as micro-levels, to establish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ractitioner, and to extend DBR to subject areas other than science and m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