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격분할 제시가 라인업의 고가격 제품 선택에 미치는 효과

        김재휘,김성은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가격과 품질이 차별화된 세 개의 대안이 존재하는 라인업에서 가격제시방식에 따른 소비자의 선택 의사결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실험 1은 가장 높은 가격의 대안을 분할가격으로 제시할 때 제품 선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가격 대안의 가격을 중간 대안의 가격과 추가 가격으로 분할하여 제시한 경우, 통합가격으로 제시한 것보다 중간 대안의 선택이 더 낮았고 고가격 대안의 선택은 더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매개분석을 통해 가격의 분할제시가 추가된 속성으로 얻게 될 품질을 더 고려하게 함으로써 품질에 유리한 고가격대안을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중간 대안 또한 분할가격으로 제시하여 추가된 속성이 없는저가격 대안을 제외하고 두 대안을 모두 분할가격으로 제시했을 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추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격제시방식에 따른 선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간 대안과 고가격 대안의 가격을모두 분할하여 제시한 경우, 통합가격으로 제시한 것보다 중간 대안의 선택이 더 낮고 고가격 대안의 선택은 더 높은 일관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나 실험 1과 같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통합가격을 제시할 때는 중간에 위치하는 대안의 선택이 높게 나타나는 타협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가격제시방식에 따라 분할가격으로 제시하면 맥락효과로 나타났던 중간 대안의 선택이 낮아지고 고가격 대안의 선택을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라인업의 형태로 제품을 출시하는 기업에게 가격분할의 제시로 최고가격 대안의 선택을 높일 수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가상실재적 서사공간의 기획과 메타제시

        장일구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2

        서사는 시간의 전개에 따라 이루어진 사건을 재구성하여 제시하는 데서 빚어진다. 사건 시간과 서술 시간의 불일치(anachronies)에서 비롯된 회상과 예시라는 변별적 서사 양상을 ‘제시(lepsis)’의 두 국면에 대응시켜 사후제시(analepsis)와 사전제시(prolepsis)를 상정한 주네트의 견해는 탁견이다. 사건의 시간을 거슬러 재구하여 제시하는 사후제시가 사건의 국면을 이미 일어난 사실로 전제하고서 서술하는 데 비해, 전개될 사건을 미리 예시(豫示)하여 이야기의 전개를 가늠하는 단서로서 미리 제시하는 사전제시는 사건의 허구적 국면을 서술하는 데 유효하다. 그런데 사건의 전개에 직접 관여되지 않은 서술이 개입하는 양상의 경우, 기정사실로 전제된 이야기를 기술하는 데 소용되는 것도 아니며 가상의 이야기를 기술하는 수를 적용하는 것도 아닌 제시 방식이 새로운 술어에 대응된다. 사건 전개에 관여되지 않으면서도 이야기의 층에 관여되어 서사를 이어가게 하는 서사 제시의 국면을 논급하는 데 쓰일 ‘메타제시(metalepsis)’는 사실과 허구를 동시에 매개하거나 사실이나 허구 어느 쪽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서술의 양태에 대응된다. 이는 가상이나 실재 어느 편으로 환원될 수 없는, 현실 세계와 허구 세계의 임계에 기획되는 가상실재적 서사공간의 의미망을 해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적 술어이다. 본고는 메타제시와 가상실재적 서사공간의 기획의 역학에 대한 이론적 단서를 시론하는 것으로, 이승우의 소설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을 해석한 결과를 통해 이론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논의의 구체적 방향을 예시한다.

      • KCI등재

        자극제시 방법이 노인의 담화이해에 미치는 영향

        송제호(JeHo Song),최현주(Hyunjoo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노인의 담화이해 능력은 자극제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화이해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담화 자극제시 방법의 효과가 사실적 정보나 추론과 같은 질문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반 노인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화 과제는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답하는 회상과제를 사용하였으며, 1회 제시, 반복 제시, 그림 병행의 자극제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문유형은 사실적 정보이해, 텍스트 연결추론 및 빠진 정보추론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담화의 반복 제시, 그림 병행 방법 모두 1회 제시에 비해 담화이해 점수가 높았으며, 반복 제시, 그림 병행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실적 정보이해의 경우 반복에서의 수행이 가장 높은 반면, 텍스트 연결추론의 경우 그림 병행의 수행이 가장 높았다. 셋째, 빠진 정보추론의 경우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화이해 능력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표면적인 정보이해 향상을 위해서는 담화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텍스트 사이의 연결 및 통합을 위한 논리적 추론의 향상을 위해서는 시각적인 자료를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Although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the elderly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stimulus presentation, relevant research into this topic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according to the discours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s of the discours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question type; for example literal information or inference. Methods: Forty-eight healthy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a recall task was used to listen to the story and answer the questions. As methods of presenting discourse stimulus, telling a story once, telling it twice, and presenting it with a picture were used. The question types consisted of the literal information (LI), text-connecting inference (TC) and gap-filling inference (GF) types. Results: First, the discourse comprehension scores were higher in telling a story twice and presenting it with a picture than in telling a story once. Second, performance of LI was the highest in telling a story twice, while performance of TC was the highest in presenting story with a picture. Third, in the case of GF, the difference in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resent the discourse repeatedly to improve the superficial comprehension of discourse for the healthy elderly, and visual stimulus to improve logical reasoning for conne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exts.

      • KCI등재

        미국 행정법상 이유제시의 문제와 그 정도 - 행정절차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김성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4

        Unde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PA), an administrative action can be invalidated as arbitrary and capricious if the agency fails to sufficiently explain the reasons for its choices. This principle applies to agency adjudication as well as to agency rulemaking. The reasoned-explanation requirement is part of a much larger struggle to devise a successful theory of judicial review of administrative action. This problem is as old as administrative law itself, and no enduring theory has yet emerged. In fact, the courts have not developed a consistent approach to controlling agency discretion, and lacking an intelligible theoretical framework, the Supreme Court has oscillated between activism and restraint in reviewing agency decisions. As conceptions of the constitutional place of agencies change, so do doctrines of judicial review of administrative action. In theory, judges are supposed to supervise the regularity of agency decisions without imposing on an agency the reviewing court’s perception of which value choices are legitimate and which are not. But exercising such discipline can be difficult in practice. When regulations are concerned, remand usually delays, rather than prevents, the action the agency wants to take. One study found that agencies successfully implemented their policies in approximately 80% of the instances in which courts have originally remanded rules as arbitrary and capricious, and that the average delay between remand and recovery was about two years. The extent to which remand can and sh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tax regulations has not been tested in the courts and is in dispute among commentators. courts have developed a number of limitations on the required extent of explanation. Unsurprisingly, courts differ as to how they draw the contours of these limitations. The following are among the principal limitations. First, courts will uphold a decision of less than ideal clarity if the agency’s path may reasonably be discerned. Accordingly, despite Chenery I, courts may accept post hoc explanations that merely illuminate reasons obscured but implicit in the administrative record. Similarly, explanation is unnecessary when the reason for the agency’s action is obvious. It is, after all, a hoary maxim that the law does not command performance of meaningless acts. 미국 행정법상 충분한 이유제시의 필요성(the reasoned-explanation requirement) 은 행정기관의 일정한 행정조치에 대한 사법심사가능성을 모색하고 행정기관에 대한 사법통제의 한 방안으로써 다루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수준으로 행정처분에 대한 이유제시문제가 행정법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Shapiro교수와 Levy교수는 충분한 이유제시의 필요성문제는 미국 행정법역사그 자체일 만큼 오래된 문제라고 한다. 미국 행정법학에서 행정기관의 행위에 대한사법심사여부가 중요한 쟁점이 되며, 또한 사법심사가능성이 행정기관의 판단에 있어서 충분한 이유제시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행정기관의 일정한 조치에 대해서 충분한 이유제시의 필요성이 있다고 하지만 그 기준과 정도에 대한 일관된 원리나원칙이 아직까지 미국 행정법학과 판례에 의해서 발전되지는 않았다. 미국에서 이유제시의 하자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행정의 기준설정(rulemaking)이 경우 80%의경우 종국적으로 당초 행정기관이 의도한 행정조치를 발하였다고 하면, 충분한 이유제시의 필요성에 대한 회의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미국식 법학에서는 결론에대한 이유를 제시하는 실무관행은 미국 법률문화의 핵심을 이룬다고 평가한다. 미국식 행정법학은 절차를 통해서 행정기관을 통제하려는 법문화를 가지고 있다. 행정기관이 행정작용을 함에 있어서 충분한 이유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여러 가지근거와 요구의 정당성근거가 제시되고 있는데 미국 행정법학에서는 이유제시의 필요성은 크게 보면 자의성・변덕성 즉 행정청의 재량남용통제의 한 부분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유제시의 필요성과 정당성의 근거는 크게 보면 ①헌법적 요청 ②정책형성절차적 요청 ③결론의 질적 수준에 대한 요청 등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있다. 충분한 이유제시가 필요한 근거와 정당성에 대한 3가지 분류는 행정입법과행정재결에 동일한 수준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행정작용의 종류에 따라 이유제시의 필요성과 정당성의 근거가 조금 변화할 수 있다. 미국 행정법학에서 행정작용에 충분한 이유제시가 필요한 것은 법문화적・총론적으로 동의되고 있지만 그 구체적 수준과 정도는 개별사건에서 결정되고 이유제시의 정당성의 근거로 제시되는 3가지 주요 분야는 상호작용하면서 이유제시원칙을 발전시키고 있다.

      • KCI등재

        순간제시 얼굴의 왜곡 현상에 대한제시 시간, 제시 개수, 얼굴 구성요소와 윤곽의 영향

        엄지,정우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1

        The Flashed Face Distortion Effect (FFDE) refers to the face images look grotesque and distorted when they are presented quickly and continuously in the periphery of visual field (Tangen, Murphy, & Thompson, 2011). While Tangen et al. (2011) suggested that the relative encoding of facial components is responsible for the FFDE, this was not empirically tested. To test this, we conducted three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evoking FFDE. In Experiment 1,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sentation duration, presentation number, and total time on the FFDE. In Experiment 2,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and repeated presentation on FFDE. In Experiment 3,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ange of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 the change of the shape of internal features, and whether the external features on FFDE are the same or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presentation duration and number were affected by the total time.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and repeated presentation did not affect the illusion, However, we found the illusion was stronger in the condition that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was smaller than the condition that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was lager when the external feature was sa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FDE is connected with crowding effect rather than relative encoding among faces. 순간제시 얼굴의 왜곡 현상(Flashed Face Distortion Effect; FFD 현상)이란 연속해서 얼굴 자극들이 주변시에 순간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그 얼굴의 특징들이 심하게 부각되어 보이거나 심지어 괴물처럼 보이는 착시이다. FFD 현상은 발견된 이래로 많은 관심을 받아왔으나 이 착시에서 얼굴이 지각되는 일반적인 양상이나 이 착시의 발생 원인을 실험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FFD 현상이 나타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과 발생 기제를 살펴보기 위해 세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얼굴 자극의 제시 개수와 제시 시간 그리고 총 제시시간이 FFD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반복 제시와 얼굴들의 구성요소 간 간격의 차이가 FFD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3에서는 얼굴 구성요소의 위치 변화, 세부특징 모양 변화, 그리고 윤곽의 동일 여부에 따른 착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FFD 현상에 대한 제시 개수와 제시 시간의 영향은 자극의 총 제시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반면 구성요소 간 간격과 반복 제시는 착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의 외부 윤곽이 동일하다면 구성요소들의 간격이 좁을 때가 구성요소들의 간격이 넓을 때보다 착시가 더 강하게 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FFD 현상의 발생 기제가 밀집 효과(crowding effect)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대학생과 낮은 대학생의 특성비교

        이동귀,서해나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89명의 대학생 중 선별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완벽하게 자신을 제시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며, 완벽하게 제시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면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해 개념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각 7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한 후 핵심문장을 추출,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 상황에서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하고 외양관리에 신경을 쓰며, 타인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중시하였다. 이에 반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낮은 집단은 자신을 타인에게 완벽하게 제시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실수를 해도 이를 수용하고 자신의 내적인 성장에 더 의미를 부여하였다. 완벽하게 제시하지 못했을 때의 대처측면에 대한 개념도 분석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집단은 실수에 대해 오래 생각하고 과도하게 지각하며, 사소한 일도 실수라고 지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낮은 집단은 실수를 수용하고 앞으로 더 나아지려는 의지를 공고히 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대학생들이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을 완벽하게 제시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며, 좌절되었을 때의 대처방식을 알아봄으로써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세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underwent with 89 college students utiliz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explore their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al endeavors as well as their coping strategies when such endeavors are discouraged. A total of 7 high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tudents (high PSP) and 7 low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tudents (low PSP) drawn from the 89 students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 were interviewed. Consequently, key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the researcher and were sorted and rated by students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 map of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PSP tried not to make mistakes in public, to manage their appearances, and to concern about getting along well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low PSP reported having no need to look perfect to others, and they focused more on internal growth while incorporating mistakes as a device for further development. Regarding coping strategies wh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al endeavors are discouraged, high PSP tends to ruminate over a mistake and its consequences. This group of people also seem to take little things as mistakes. However, low PSP accepted their mistakes, and encouraged themselves toward better performances in the fu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 broader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 who suffer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iculties due to their ineffectiv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al endeavors and coping strategies.

      • KCI등재

        사용량 제시 방식과 행동 통제감 수준이 종량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김재휘,김은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8 No.1

        This study was aimed at verifying the pay-per-use choice difference following the usage suggestion manner and the control level in the service purchase situation. Consumers are unwilling to choose the pay-per-use that can be more lucrative while preferring the flat-rate in the purchase situation. Since the service has the difference in the payment time and use time, consumers infer the future usage and choose a rate system to obtain the maximum profit compared to the payment on the basis of it. At this time, consumers who purchase the service for the first time, could not choice the tariff because it is hard to infer the amount of consumption. Therefore, marketers need to suggest the pay-per-use more attractively to induce the consumers' purchase who buy the service for the first time. Particularly the service applies to the inter-temporal choice that the purchase and use are not done at the same time, and it is difficult to know the value of alternatives due to the intangibility so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usage. Therefore, consumers predict the future usag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lternative suggested in the purchase context. At this time, it was anticipated that the anchoring effect by the provided number information would influence the pay-per-use choice rate with the usage prediction. The perception on how well to control the usage simultaneously was involved in the adjustment after anchoring and the purchase itself so the researcher attempted to verify the pay-per-use selection rate difference by the usage suggestion manner and the control level. In the study 1, it was confirmed that the pay-per-use selection rate changed when the countable level changed according to how to suggest the usage. The pay-per-use selection rate was high because the usage was anchored to the smaller number when suggesting by single unit rather than suggesting by multiple unit. In the study 2, the category was fixed as one and the monitoring level was adjus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usage suggesting manner and the monitoring level difference on the pay-per-use selection. When the monitoring level was high, one perceived the control level highly and when the monitoring level was low, the sense of control was perceived lowly. The result that analyzed the pay-per-use selection difference following this was the same as the study 1. Also, the purchase intention on the pay-per-use was measured in the study 2. 본 연구는 서비스 구매 상황에서 사용량 제시 방식과 통제감 수준에 따른 종량제 선택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소비자들은 구매 상황에서 정액제를 선호하는 현상을 보이면서, 보다 이득이 될 수 있는 종량제의 선택을 꺼린다. 서비스는 지불 시점과 사용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는 미래의 사용량을 추론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불 대비 최대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요금제를 선택한다. 이때, 서비스를 처음 구매하는 소비자는 소비량을 추론하는 것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마케터의 입장에서 종량제를 더욱 매력적으로 제시하여 서비스를 처음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공되는 숫자 정보에 의한 앵커링 효과가 사용량 예측과 더불어 종량제 선택률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하였다. 동시에 사용량을 얼마나 잘 통제할 수 있는가에 관한 지각은 앵커링 이후의 조정 과정과 구매 자체에 관여하기 때문에 사용량 제시 방식과 통제감에 의한 종량제 선택률 차이가 존재할 것임을 예상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사용량 제시 방식에 따라 계산 용이성이 달라졌을 때 종량제 선택률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사용량을 Multiple unit으로 제시할 때보다 Single unit으로 제시할 때, 더 작은 수에 앵커링 되어 종량제 선택률이 높았고, Multiple unit으로 제시될 때는 계산 용이성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통제감을 높게 지각하여 자신의 행동을 더 잘 통제할 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에 종량제 선택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2에서는 사용량 제시 방식과 모니터링 수준 차이가 종량제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니터링 수준이 높을 때는 통제감을 높게 지각하고, 모니터링 수준이 낮을 때는 통제감을 낮게 지각하였으며, 이에 따른 종량제 선택 차이를 분석한 결과가 연구 1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량제에 대한 구매의도에 있어서 사용량 제시 방식과 모니터링 수준의 상호작용이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용량 제시 방식에 의한 앵커링 효과와 계산 용이성, 모니터링에 의한 통제감 수준이 종량제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적합한 제시 방식과 통제감을 조절하여 종량제 선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비대면수업에서 학습자료제시유형(파워포인트,텍스트,영상)에 따른 해결능력연구 발달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이연경,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3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1

        본 연구는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 된 SNS활용법 수업에서 학습제시유형(파워포인 트,텍스트,영상)에따른 해결능력을 알아보고, 이후 비대면n수업에서의 효과적인 학습제시유형을 제시하 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발달장애성인으로 생활연령 18-25세 이며, 언어연령은6-8세,9-11세,12세이상 그룹 각각 12명씩 총 36명이다. 올바른 SNS활용법이 포함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학습자료제시유형에 따른 해결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학습제시유형에 따른 차이를 두었을 때 영상이 피피티와 텍스트보다 해결능력이 낮게 나왔다. 또한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언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해결능력의 정반응률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발달장애 성인의 학습자료제시유형에따른 해결능력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비대면 수업이 활성화 될 때, 느린 학습자 및 발달장애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자료제시유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Accessibility Through Control and Display : Literature Review on Tactile Display

        Kim, Ji-Hyun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2

        서론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촉각적 제시장치와 그 발달과정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촉각적 제시장치의 사용과 연구에 있어서 유니버셜 디자인 모델의 적용을 고찰하고 제안하였다. 본론 :촉각적 제시장치는 사람들이 보다 접근성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것들은 시각적, 청각적,또는 다른 감각이 손상되었을 때 정보를 나타내 줄 수 있는 변형된 방법을 제공 한다. 촉각적 제시장치는 크게 촉각-기반의 형태와 전력-기반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촉각-기반의 제시장치 는 피부에 가해지는 진동 감각에 의해 자극되는 것이고 전력-기반의 형태는 자극제로서 전기적 전류를 사용하 는 것이다. 촉각적 제시장치의 복잡성은 의도된 사용에 따라 달라지는데, 현재 단일요소적, 1차원적, 2차원적, 그 리고 3차원적 장비들이 사용 가능하다. 촉각적 제시장치들은 그 크기와 필요한 전력이 다양해서 별개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촉감을 이용한 접근성을 제공해 준다. 그것들은 초반에는 시각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했으나, 최근에는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촉각적 제시장치의 첫 출현 이후 그 기술은 접근 성과 상품성 측면에서 점점 진화되어 왔고 그래서 사람들은 더 멋있고 기능적이고 저가의 제품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촉각적 제시 및 제어장치의 사용은 지남, 조종, 그리고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접근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그 혜택은 아직 특정한 장애를 지닌 사람들에게 제한되어 있다. 결론 :촉각적 제시장치의 잠재적 혜택을 모든 사람에게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그것이 특정 질병을 보상하기 위 해서뿐만 아니라 일상의 평범한 삶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기 위함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 서, 다양한 인간 요소들을 연구하여 촉각적 제시장치의 발전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향후 촉각적 제시 장치의 발전에 있어서 특정한 적용을 위한 필요들뿐만 아니라 유니버셜 디자인까지 고려되어야 할 것이 제안된 다. Introduction : This article studied tactile displays reflecting its various types and its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discussed about and suggested incorpor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model into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research of the tactile display. Body : Tactile displays have been used as one of the ways to make people’s life more accessible. They offer an alternative channel through which to present information when visual-, auditory-, or other sensation is impaired. Tactile displays could be mainly categorized into touch-based type and power-based type. The touch-based displays are stimulated by vibration sense and the power-based types use electrical current as a stimulus. Complexity of a tactile display depends on the intended usage. Four levels of complexity, including single-element, one-dimensional,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are currently available. Since tactile displays are varying in their size and power requirements, they offer a discrete, affordable means of providing accessibility via touch sense. The initial introduction of the tactile display contributed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blindness,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computer graphical user interfaces, mobility in controlled environments, and learning ability of visual concepts. Recent uses of tactile substitute are expanded. Conclusion : To make the potential benefits of tactile display maximize for all, it is desirable that it should be enlarged not only to compensate the specific disease but also to make an ordinary life more convenient, with respecting individualized requirements. In this manner,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various human factors to ensure the advance of tactile display. It is also suggested that further work is required on the development of tactile display design with respect to not only the requirements of specific application but also universal design.

      • KCI등재

        미래 혜택발생의 시점제시가 금융상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기경(Park, Kikyo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대표적인 두 가지 금융상품(high profit/high-risk fund product vs. low-risk insurance product)을 토대로, 미래 혜택 제시시점과 상품 특성이 소비자의 투자의도(가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게다가 이들 관계에서 금융상품 특성과 소비자의 조절초점 간 적합성을 함께 고찰함으로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을 제시하였다. 두 가지 실험을 통해 발견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간제시 조건에 비하여 시점제시 조건에서 해당상품의 투자의도(가입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기간제시 조건에 비하여 시점제시 조건에서 편드상품에 대한 투자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상초점 소비자들은 기간제시 조건에 비하여 시점제시 조건에서 보험상품에 대한 가입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간제시 조건보다 시점제시 조건에서 미래 금융상품의 혜택을 상상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펀드상품의 경우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기간제시 조건에 비하여 시점제시 조건에서 상상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보험상품의 경우 향상초점 소비자들은 기간제시 조건에 비하여 시점제시 조건에서 상상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금융상품의 혜택에 대한 예측상상이 잘 이루어지는 조건을 탐구함으로써 마케팅에서 이루어진 금융상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뿐만 아니라 상상정도 및 심적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 아울러 금융상품 판매전략을 시행할 때 유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future benefit-offering times and product features on consumers" investment intention(intent to buy) based on two types of financial products(high profit/high-risk fund product vs. low-risk insurance product).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tested that regulatory fit plays an essential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duct features, benefit-offering times and invest intention(intent to buy). According to two experiment results, the participants exhibited higher positive intent to buy financial products in the condition of offering a date compared to offering duration. Furthermore, prevention-focused consumers exhibited higher positive investment intention to funds in the condition of offering a date compared to offering duration, whereas promotion-focused consumers exhibited higher positive intent to buy insurance products in the condition of offering a date compared to offering duration. Also,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positive future-benefit imagery in the condition of offering a date, compared to offering duration. And, prevention-focused consumers showed higher positive future-benefit imagery in the condition of offering a date compared to offering duration in the case of fund products, whereas promotion-focused consumers showed higher positive future-benefit imagery in the condition of offering date compared to offering duration in the case of insurance products. Findings from two experiments expand previous findings about imagery, mental simulation, and regulatory focus and suggest diverse tactics to financial corporations in the area of marketing and new insights regarding imagery releva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