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김재휘,김동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1

        소프트웨어교육의 도구로서 블록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피지컬 컴퓨팅은 현실세계와 컴퓨팅 환경을 연결시켜줌으로써 실생활 문제 해결이라는 목표에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특히 초등학교 단계에서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우며 알고리즘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도 회로지식 없이 쉽게 접할 수 있고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큰 부담이 가지 않는 엔트리와 센서보드를 활용한 EPL 및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2차시의 EPL 교육과정과 8차시의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EPL 교육과정을 적용한 집단과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을 추가로 적용한 집단 모두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을 추가로 적용한 집단에서 컴퓨팅 사고력 요소의 자료표현, 수행 및 검증, 일반화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 Block-bas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EPL) is commonly used due to its availability at low or no cost. It is also preferred tool of computing education due to its intuitive design, ease-of-use and it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algorithmic thinking abilities especially in elementary students. Physical computing is also necessary because it brings students closer to real-world problem solving by connecting the real world with the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due to high-cost and required knowledge in electrical engineering, many schools find the education difficult to access. The study shows significant increase i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ies in both groups treated with EPL and additional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 KCI등재

        대파 도매가격 예측모형 고도화 방안

        김재휘,김치운,노호영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ice forecasting of green onion through ARIMA, Holt-Winters, and Random forest. Afteranalyzing three forecasting models, ARIMA, consisting three year period (36months), shows the highest forecasting result. Also, ARIMAand Holt-Winters using daily data shows higher forecasting result rather than monthly data, because over-fitted from the daily data decreasethe forecasting result. On the other hand, Random forest using daily data show higher forecasting results than monthly data, meaningthat the more it learned from the data, the higher forecasting result it has. Therefore, it could be desirable to find certain variables affectingthe forecasting of machine learning, and accumulate reasonable test data. The result gives some implications that adapting the reasonablevariable to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will be able to show higher forecasting results for other agriculture product price. 본 연구에서는 대파의 가락시장 도매가격을 이용하여 기존 시계열 모형인 ARIMA 모형, 홀트-윈터스 평활법과 대표적인 기계학습 방법인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분석 기법의 가격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세 모형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장 예측력이 높게나타난 모형은 3년(36개월)을 주기로 설정한 ARIMA 모형이었다. 또한 ARIMA 모형과 홀트-윈터스 평활법은 일별 데이터보다 월별 데이터를이용한 예측 결과의 정확도가 더 높아 훈련 데이터에 대한 과적합(overfitting)이 오히려 예측력을 낮추는 현상을 보였다. 반면, 랜덤 포레스트는월별 데이터 보다 일별 데이터를 사용한 모형의 예측력이 더 높았다. 이는 학습량이 많을수록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는 기계학습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한 가격 예측에는 가격에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를 찾고, 양질의 훈련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설명변수와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다면 농축산물 가격 예측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기업공익활동에 대한 일관성 및 차별귀인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신상화,김수정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6 No.2

        본 연구는 기업 공익활동 방식과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귀인이 해당 기업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기업 공익활동 방식의 일관성 및 차별성 귀인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실제 기업에 대한 태도를 바탕으로 기업을 선정한 후 본 실험에서는 대학생 276명에게 기업에 대한 사전태도를 측정하고 4개의 기업 공익활동에 대한 가상의 스크립트를 제시한 후, 기업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이 일관적인 공익활동을 하는 것으로 귀인 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는 변하지 않았으나, 차별적인 공익활동을 하는 것으로 귀인 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익활동에 대한 일관성 귀인과 차별성 귀인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사전태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sistency and distinction attribution of corporate's cause-related behavior on attitude toward corporate. Particularly, We examined that corporate's attitude would be differ from attribution types that are considered as either consistency or distinction on corporate cause-related behavior by consumer. Also, We consider that the change of attitude toward corporate would be differently caused by favorable of unfavorable prior attitude on corporate. To test that hypothesis, an experiment conducted in a 2×2 factorial design. In experiment,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he items that measured prior attitude, and then they read the fictional scripts about corporate cause-related behavior divided by both consistency and distinctive. Finally, We measured subject's attitude toward corporate.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ing are follows. It appeared that corporate's cause-related behavior performed to be distinctively others is more favorable by subjects. In each groups, a group that has favorable prior attitude to corporate had main effects' distinctive attribution and interaction effects but, the other group(unfavorable prior attitude to corporate) appeared to only distinctive attribution effect on corporate cause-related behavior.

      • KCI등재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

        김재휘,전진안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nd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In the concrete,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aj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and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in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order to validate it,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we used vaccination behavior as the target behavior in the experiment. In result, we found that when an individual primed with the situation that many undergraduates we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he/she perceived the value of the target behavior more in loss framing than gain framing because losses loomed larger than gains. On the other hand, when an in dividual primed with the situation that a few of undergraduates we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he/she perceived the value of the target behavior more in gain framing than loss framing because an individual estimated gains more importantly than losses. And the result of behavioral intention is same as above.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현재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가’ 라는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정도’가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다수가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지, 혹은 소수가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프레이밍의 설득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간염예방접종을 하도록 설득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3(사회적 지지정도 3가지 수준)* 2(이득과 손실 프레이밍)의 요인설계를 통하여 제시하고, 각각의 효과를 검토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 다수행동 상황(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은 행동)에서는 이득보다 손실 메시지에 의한 가치지각 및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소수행동 상황(사회적 지지정도가 낮은 행동)에서는 손실보다 이득 메시지에 의한 가치지각 및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프레이밍을 통한 설득에 있어서 타인(다른 사람들)과 같은 사회적 준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공공정책이나 소비행동의 설득에서도 유용할 수 있는데, 현재 얼마나 찬성(수용)하는 사람이 많은가와 같은 여론이나 확산의 정도에 따라서 설득의 프레이밍을 달리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이중할인(Double-discount)이 품질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품질중요도와 할인정당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휘,김영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1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double-discount promotions on a consumer's perceived quality of a product. Unlike in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cused only on the positive effect of double-discounts, the current research has the purpose to study (1)the potential side effects that a double-discount might have and (2)a strategy to prevent its negative side effect. Double-discounts are perceived as unique and rare, which makes it more likely that consumers infer the reason why the promotion is being offered. Inference of discount motivation tends to make consumers perceive quality problem of the discounted product. Thus, double-discounts are likely lead to a lower perception of quality and this can relatively decrease purchase intention when quality is considered important when purchasing a product. Study 1 confirmed that perceived quality is more negative for a double-discount(vs. a single-discount) and the importance of quality moderates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quality on purchase intention of a double-discounted product. That is, purchase intention of a double-discount product is relatively reduced when the importance of quality is higher. Study 2 found that this negative effect was alleviated when a rationale cue for a double-discount, which prevents consumers to perceive a low product quality, was presented. By examining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 of double-discounts, this research help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double-discount promotions and gives practical implications to marketers. 본 연구는 두 번의 할인이 동시에 적용되는 이중할인(Double-discount) 프로모션이 소비자의 품질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하여, 이중할인 프로모션의 긍정적 효과에만 초점을 맞춘 선행연구들과 달리 이중할인이 가질 수 있는 잠재적 부작용을 밝히고 판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단일할인이 보편적인 시장에서 이중할인은 독특한 것으로 여겨져, 소비자의 할인동기추론을 쉽게 활성화하고 할인의 이유를 품질 문제로 귀인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중할인으로 인한 부정적인 품질지각은 소비자가 구매의사결정 시 품질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정도에 따라 구매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일할인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이중할인이 품질을 낮게 지각하게 만든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품질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품질중요도가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품질을 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에는 이중할인으로 인해 품질이 낮게 지각되어도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품질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에는 이중할인으로 인한 낮은 품질지각이 구매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효과는 부정적 품질지각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중할인을 정당화한다면 예방할 수 있다. 연구 2에서는 정당성 단서를 제시함으로써 할인을 정당화해줄 경우, 품질중요도와 관계없이 이중할인이 적용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할인정당화를 통해 이중할인의 판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오늘날 증가하고 있는 이중할인 프로모션의 잠재적 부작용을 밝히고 이에 대한 예방책을 제안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미래의 손실 예상에 따른 심적 계좌와 낙관 편향이 소비자의 무제한 대안 선택에 미치는 효과

        김재휘,김지은,박지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2

        This research investigates psychological mechanism of consumer’s preference for unlimited option about service which provides intangible products. Across two studies, we figure out the effect of consumer’s bias (loss possibility, optimism bias) goes after mental account and prospect about future, focus on temporal distance between purchasing and using. Study 1 is about effect of mental account and loss possibility.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loss possibility and setting of mental account affect the preference for unlimited option. Through the additional chi-square analysis, they find out ‘plural mental account’ group prefer ‘normal option’ opposite to the ‘single mental account’ group which prefer ‘unlimited option’ in the presence of loss possibility. Study 2 is about the optimism bias, another factor that can affect prospect about futu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significant effect of optimism bias on the preference of unlimited alternative. And ‘Low optimism bias’ group prefer ‘normal option’ opposite to the ‘High optimism bias’ group which prefer ‘unlimited option’ in the presence of loss possibility. The studies show that consumer can consider suitable alternative by separate their mental accounts or lower the optimism bias about controllability. This reveals the consumer’s psychological mechanism appear on the service product and suggests consumer centered implication that can make consumer consider appropriate o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품군에서 소비자의 무제한 대안 선호의 심적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구매(선택)시점과 서비스 사용시점의 시간적 간격에 초점을 두고, 구매시점에서 활성화되는 심적 계좌(연구 1)와 미래예측편향(연구 2)이 무제한 대안 선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심적 계좌(단일 심적계정 vs. 복수 심적계정)와 손실 가능성(유 vs. 무)이 무제한 대안의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손실 가능성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심적 계좌가 무제한 대안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복수의 심적계정’이 활성화된 집단에 비해 ‘단일한 심적계정’이 활성화된 집단의 ‘무제한 대안’ 선택비율이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손실가능성이 함께 제시된 조건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미래의 서비스 사용을 예상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낙관편향(저 vs. 고)과 손실 가능성(유 vs. 무)이 무제한 대안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낙관편향이 무제한 대안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손실 가능성이 제시 되었을 때 ‘낙관편향이 낮은 집단’은 ‘일반 대안’의 선택 비율이 높았으나 ‘낙관편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무제한 대안’의 선택비율이 더욱 높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서비스 제품군과 같이 구매 시기와 서비스 사용 시기가 분리되어 있는 시점-간 선택 상황에서, 구매 시기의 준거와 미래를 예상함에 따라 나타나는 소비자의 편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심적 계좌를 복수로 세분화시키거나 자신의 이용량 혹은 통제능력에 대한 낙관적인 편향을 억제시킬 수 있다면, 소비자들의 무조건적인 무제한 대안 선호를 약화시킬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휘,설하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1

        People who pursue long-term goal experience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how to control oneself in the state of depletion. When someone experiences ego depletion, self-control becomes difficult. However, standards-setting and self-monitoring can help self-control even after the ego-depletion, by allowing us to use self- regulatory resources efficiently. Especially, mental accounting can make standards and accordingly monitors oneself, so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in an ego-depletion state. There are two levels of mental accounting; specific and general. We assume that in a state of no ego-depletion, specific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while in an ego-depletion state general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That is beca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riggers less anticipated self-control perception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which does not lead to too much pressure on self-control when the self-regulatory resources are already impaired(an ego-depletion stat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as 2(ego depletion existence / or not) x 2 (mental accounting: general / specific) and measured self-control intention of each group. We verified our hypothe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ose who experience ego depletion and need self-controlling it is more effective to 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상황에서도 꾸준히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기조절자원이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기 통제를 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기준과 자기 감시가 자기 조절 자원의 소진 이후에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자원 소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기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자기 감시를 하도록 하는 심적 계정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적 계정은 계정을 엄격하고 세분화하여 나눈 ‘구체적 심적 계정’과 계정을 유연하고 모호하게 설정한 ‘포괄적 심적 계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때,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이 효과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이 ‘구체적 심적 계정’에 비해 이후 자기 통제를 더 해야 한다는 예측된 자기 통제 지각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이후에는 포괄적 심적계정이 자기 통제에 더 긍정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자원소진 여부(유/무) x 심적계정 수준(포괄적/구체적)의 연구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각 처치 이후 자기통제 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보다 없을 경우 자기통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을,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을 활용하는 것이 자기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심적 계정이 포함하는 기준과 자기 감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