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 제2조 제1호 자.목의 보호대상인 상품형태의 의미와 범위

        安元模 홍익대학교 2007 홍익법학 Vol.8 No.2

        2004. 1. 20.자로 개정된 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 제2조 제1호 자.목에서는 타인의 상품형태를 보호하는 새로운 조문을 신설하였다. 이는 타인의 상품형태를 모방하는 행위가 급중하여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기존의 법제도만으로는 타인의 상품형태를 온전히 보호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입법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위 조항은 미등록상품 형태에 대하여도 이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입법적 필요성에 의하여 신설된 것이기는 하지만, 창작적 성과물을 보호한다고 하는 지적재산권법 체계와는 다른 독특한 특이성을 갖는 것이다. 한편으로 위 조항에서는 동종의 상품이 통상적으로 갖는 형태를 보호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일정한 보호가치가 있는 상품형태에 대하여만 이를 보호의 대상으로 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조항의 보호대상이 되는 상품형태의 의미와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본 조항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과 한계가 분명하여진다. 본 조항의 보호대상이 되는 상품형태는 디자인보호법에서 요구하는 창작비용이성의 정도에 이르지 아니한 것이라도, 기존의 상품에서 혼히 볼 수 없었던 경쟁상의 특이성 있는 상품형태 또는 시장가치 있는 상품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나아가 당해 상품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불가결한 상품형태가 아닐 것을 요건으로 한다고 해석해야 한다.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기존의 지적재산권법 체계와 다른 본 조항의 입법취지를 충분히 반영한 해석이 되고,종래 논의되어 온 기능성이론과도 조화를 이루는 해석방식이 될 것이다. There are various laws to be applied in protection the shapes of goods. However, those laws have limits on the protection of the shape of goods, because most of the existing ones were not made to protect the shape itself of goods. To resolve this,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as amended on January 20th, 2004 to classify the act of copying from other goods as unfair competition act and prohibit such activities. This amendment of the Act opened the door to more direct protection of the shape of goods. The system, however, has raised more problems compared with the existing industrial property right protection system. This paper examines a variety of arguments and problem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ly added article.

      • KCI등재

        현대건축의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박상준 ( Sang Ju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건축의 전반적인 형태변화는 디지털패러다임의 영향으로 위계적 형태의 질서를 거부하고, 유기적이며 자유로운 형태를 지향하는 비정형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디자인도구역시 시대와 형태의 유형변화에 따라 발전하고 있으며, 건축을 포함한 형태이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함께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형형태의 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비정형형태의 유형분류와 디지털디자인도구 활용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의 비정형형태와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와의 상호관계까지만 설정하였으며, 실제 형태구축의 적용에 관련한 연구는 후속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비정형 관련 연구는 대다수 Parametric, NURBS, 외피구성에 따른 비정형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형태생성을 위한 디자인도구 활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비정형형태와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정형형태를 Extrude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와 여러 유형으로 분석하여 라이브러리화 하였으며, 비정형형태유형은 2,3장에서,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관계는 3장에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비정형형태의 유형분류를 바탕으로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와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디자인도구의 명령어를 2D, 3D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이러한 상호관계 설정을 바탕으로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 규칙의 조합을 통한 현대건축의 다양한 비정형형태 생성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eneral conformational changes of architecture refuse the order of hierarchical form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paradigm, and develop atypical form aiming at organic and free form.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a study on use of digital design Commands and type classification of various atypical forms through an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types of atypical form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In addition, the range of this study sets up the interaction between atypical form of architecture and command language of digital design Commands, and the study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actual form-build will be consistently researched through follow-up studie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l forms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this researcher analyzes informal forms in various types including Extrude and put it in a library. In chapters 2 and 3 are described informal forms, and in chapter 3 is classified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l forms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To establish their relations with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formal forms, this study divides design tool commands into 2D and into 3D, defines them, and establishes their correlations. As the result, this study tries to combine the rules of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variety of informal form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KCI등재

        형태음운론적 교체와 형태음운부

        김경아 형태론 1999 형태론 Vol.1 No.2

        한 언어에서 어떤 음운의 연쇄에 자의적으로 의미단위인 형태소를 대응시킴으로써 형태음운의 자격을 얻게 되고, 형태음운의 연쇄인 기저형(형태음운표시)들의 내부나 혹은 경계에서 형태음운의 교체가 일어나게 되면 이는 형태음운론적 교체가 되는 것이다. 즉 우리는 형태음운론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보아 형태소 내부에서 보이는 교체, 보충법적 교체, 자동적인 교체는 물론 발화 차원의 교체까지를 아우르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우리는 형태음운부라는 독자적인 문법 부문의 설정이 필요함을 이야기하게 되는데, 단 이 문법 부문은 고유의 자질이 없는 의사부문(擬似 部門, Quasi-Module)으로서 형태부와 음운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되고 제한된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韓國) 한문(漢文)문법(文法)의 형태론(形態論) 교육론(敎育論) 연구(硏究)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3 No.-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형태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 형태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형태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형태론 교육의 목표, 형태론 교육의 내용(품사론, 어휘 분류와 방법), 형태론 교육론의 교수법,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형태론 교육의 목표1.1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구조에 대하여 안다. 1.3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관계를 안다. 1.4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안다. 1.5 단어의 분류와 그 방법을 안다. 1.6 허사의 기능을 안다. 2. 형태론 교육의 내용2.1 품사론2.1.1 `品詞`는 단어(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다. 단어는 보편적으로 문법적 특성에 따라 가름한다. 문법적 특성은 형태(form), 의미(meaning), 기능(function)에 따른 특성이며, 이 기준에 따라 구분한 單語(語彙)群을 `품사`라 하고, 이러한 `품사에 대한 연구`를 `品詞論`이라 한다. 2.1.2 한국 학교문법에서는 품사를, 10품사로 구분하고 있다. 10품사는 實詞와 虛詞로 구분한다. `實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名詞, 代名詞, 數詞, 動詞, 形容詞, 副詞 등이 있고, `虛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介詞(前置詞), 連詞(接續詞), 語助詞, 感歎詞 등이 있다. 2.2 單語(語彙) 分類와 그 方法2.2.1 漢字語의 性格:현재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개념은 단어, 낱말, 語詞, 한자어 등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으로 統稱되고 있다. 한자어의 성격은 한문 체계로 보면, 한자어는 漢字, 漢字語, 漢字成語로 이루어진 `漢字 語彙`의 한 갈래로써, 한문의 單語, 句, 文章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게 되는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문 체계 속에서 볼 때, 한자는 한자어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한자는 그 자체로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지만, 한자어는 단어, 어휘이면서 문장의 통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문 체계에서 한자어는 2~3음절의 어휘만을 일컫는 것이 타당성이 있다 할 수 있다. 2.2.2 漢字語 語彙의 分類:近代以前은 `漢文文語`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중심으로 하고, 근대이후는 `신생 한자어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2.2.3 單語의 形成 方法에 따른 分類:單語는 일반적으로 單純語와 複合語로 나뉜다. 단순어는 다시 單音節單純語와 多音節單純語로 구분하고, 복합어는 다시 合成語와 派生語로 구분한다. 合成語는 다시 類似語와 相對語, 統辭的 構造語로 나누고, 派生語는 `基語+接辭`의 구조로 된 것과 `接辭+基語`로 된 것으로 나뉜다. 2.3 形態論 敎育論 敎授法2.3.1 語彙에 관한 敎授法에 대한 硏究는 單語의 짜임의 경우, `造語分析法`등의 교수 수업 방법이, 단어의 갈래 및 어휘(성어)의 경우는 `言語活用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2.3.2 語彙의 字義와 語義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수법으로는, `字義 분석을 통한 지도방안`과 `語義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2.3.3 多音節 語彙의 敎授·學習法으로는, `故事成語`의 경우, 기존의 `토의학습법, 역할놀이 학습법`등이 있다. 이외에, 壓縮性을 띤 다음절 어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학습법`, 隱語的 성격을 띤 어휘는 `어휘를 變容 활용하여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법`, 형용적인 성격을 띤 다음절 어휘는 `擬聲語와 擬態語의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법`이 효과적이다. 2.4 形態論 敎育論 評價法 硏究漢文(文言文)에 대한 형태론 교육론 평가는 형태론의 교수-학습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한문과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는 궁극적으로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형태소들의 문법적 기능과 의미기능, 결합의 원리들을, 실제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합력 등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형태론 교육론 평가법은 현행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漢文科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어휘 영역의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2.4.1 中學校 漢文 語彙領域의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중학교 한문교과의 `어휘`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그리고 단위 성취수준에 대한 記述은 교육과정 어휘영역에 대한 각각의 내용요소에 대하여 성취기준을 상세하게 마련하였으며,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다시 `상, 중, 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어휘영역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기술할 경우, 성취수준(상, 중, 하)간에 질적인 차이를 구분할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 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 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 수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에 차이를 두어 구별하였다.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morpholog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morpholog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morphological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educating morphology. The objects of educating morphology1.1 Know the concept and type of morpheme. 1.2 Know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morpheme. 1.3 Know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morpheme. 1.4 Know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a part of speech. 1.5 Know the classification of words. 1.6 Know the function of an expletiv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morphology2.1 Theory of a part of speech2.1.1 `A part of speech` is the group of wor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s and meanings. Generally, words are classified by grammatical features. Grammatical features includes forms, meanings and functions. A group of words that are sorted by these features is called `A part of speech`, and the research about these groups of words is called `Theory of a part of speech`. 2.1.2 Words are grouped in ten parts in Korean school. Ten parts of speech are sorted to a substantive and an expletive. A substantive contains a noun, a pronoun, a numeral, a verb, an adjective and an adverb. An expletive includes a preposition, a conjunction, a particle and an exclamation. 2.2 Classification of words2.2.1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words` :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consists of `characters`, `words`, and `idioms` in the respect of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words` are one part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and make grammatical structure that contains the functions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re clearly different from `Classical Chinese words`.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cannot make grammatical structures, but `Classical Chinese words` make syntax structure of sentences. It is proper to say that `Classical Chinese words` are di- or trisyllabic words 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2.2.2 Classification of `Classical Chinese words` :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Written language` before modern ages, and `newly made words` after modern ages. 2.2.3 Classification of words by formation methods : In general, words are sorted to `Simplex` and `Compound`. `Simplex` consists of monosyllabic simplex and multisyllabic simplex. `Compound` consists of compound, which is classified to an analogous term, a relative term and structural term, and derivative, which is classified to `root+affix` structure and `affix+root` structure. 3. Instructing method of morphology3.1 When educating the organization of words, `Coined-word-segmentalization method` is effective, and when educating the sort of words, `Language-application method`, `Search-out method`, and `Comparative-learning method` are effective. 3.2 `Instruc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meanings of characters` and `Instruc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meanings of words` are helpful to educating characters of Classical Chinese and words of Classical Chinese, respectively. 3.3 When educating multisyllabic vocabulary, `discussion, play-a-role method`, `comprehending-through-tales method`,`comprehending-transformative-use-of-vocabulary method`,`comprehending-characteristics-of-onomatopoeic-and-mimesis method` are effective to teaching idioms, compressive words, argot, and adjective words, respectively.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morphologyEvaluation of instructing morphology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rphology`Instructing morphology about Classical Chinese can be evaluated by following questions. "Can learners find, by on their own, grammatical functions, meanings and combination principles of morphemes through real materials?" And we can evaluate learners abilities of observation, judgement, analysis and synthesis in that process. In Korea,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are developed, which are based on current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middle?high school. So we studied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morphology by these criteria.

      • KCI등재

        형태재인 관점에서의 아이콘의 특징적 분류 연구

        김성훈(Sung Hun Kim),권동은(Dong Eun K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오늘날 디지털 멀티미디어(Digital Multimedia) 환경에서 아이콘(Icon)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한 사용자 간 커뮤니티를 원활하게 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시각 언어이다. 아이콘은 문자를 대신하여 아이콘을 통해 전달하려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지각하고 인지하는 과정의 효율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시지각 인지 과정의 핵심인 형태를 인지하는 과정, 즉 형태재인의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형태재인을 연구함으로써 형태를 인식하는 인간의 가장 기초가 되는 형태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아이콘을 디자인하는데 있어 이러한 형태재인의 특성을 접목한다면, 아이콘 본연의 기능인 정보전달의 기능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시대에 따른 아이콘의 개념 및 역할의 변화, 이에 따라 정보교류의 매체체로서 아이콘이 가지는 형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형태의 구성요소와 형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과정인 형태재인의 3가지 이론을 고찰, 둘 사이의 상관관계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을 정보전달을 위한 아이콘의 기능적 특성에 접목하여 아이콘 형태를 재인하는데 있어 각각의 기초구성단위인 형태구성요소 추출하여 단순화와 맥락화를 통한 메타포 형성이라는 공통분모를 추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현재 아이콘의 사용이 가장 활발한 디지털미디어 콘텐츠의 필수 기능 아이콘을 형태와 맥락에 따른 아이콘을 분류,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위 유발을 위해 현상이나 행위의 직접적인 형태 표현이 적합한 정보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정보 메타포 형성에 적합한 정보에 적합한 아이콘 형태를 제안하여 아이콘의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형태재인 관점에서의 접근 및 분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In today`s environment of digital multimedia, the icon is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visual language which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the user interface using graphics. The icon is a code whose most important feature is to effectively convey the intended meaning through icon in substitution for letters. If, by studying pattern recognition, pattern components which are the most basic element in human awareness of a pattern are identified and such characteristic of pattern recognition is applied in designing the icon, the result may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terms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icon`s primary objective. In this study, a common denomiator which is the formation of a metaphor by way of simplification and contextualization through extracting each basic element unit or pattern components in terms of recognizing the icon pattern was derived by considering the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on process through a pattern recognition study and applying such characteristics to the functional feature of an icon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purpose. In addition,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icons in terms of patterns and contexts based on the findings, a new direction for visual expressions for effici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offered by suggesting appropriate icon patterns for information which is suitable for directly expressing phenomena or actions to trigger user`s actions and creating abstract and ideal information metaphors.

      • KCI등재

        한국어 형태론의 문제점과 그 대안

        최명옥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이 논문은 구조주의 형태론Structural Morphology과 생성형태론Generative Morphology 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형태론의 문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한국어 형태론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어 형태론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파생어’나 ‘합성어’ 등을 포함한 모든 단어는 역사적인 산물이므로 모두 어휘부에 등재되어 있다고 해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형태론은 공시형태론Synchronic Morphology과 통시형태론Diachronic Morphology(또는 역사형태론Historical Morphology)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 공시형태론에서는 ‘활용conjugation’과 ‘곡용declension’에 관여하는 언어요소들linguistic elements이, 통시형태론에서는 단어를 구성하는 언어요소들이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단어는 모두 공시형태소synchronic morpheme에 속하며 단어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통시형태소diachronic morpheme에 속한다. 그리고 형태소는 그것의 이형태allomorph를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단일형unique form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roblems with Korean morphology, which is based on structural morphology and generative morphology, and to show my opinions as a suitable alternative. The point I want to make is that every words including 'derivative' and ‘compound’ words are to be registered in lexicon, because words are historical products. Therefore, I propose to devide Korean morphology into two branches; Synchronic Morphology and Diachronic Morphology (or Historical Morphology). In synchronic morphology, the object of study should be the linguistic elements participated in conjugation and declension, and in diachronic morphology, it should be the linguistic elements forming words. All words belong to synchronic morpheme and all word formative elements belong to diachronic morpheme. In addition, a morpheme must be represented as a unique form from which derived its allomorphs reasonably.

      • KCI등재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이경찬 ( Kyung Chan Lee ),강인애 ( In Ae K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로부터 성장한 지방 소도읍의 하나인 고산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개념과 연계하여 도시의 형성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구조와 도시평면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보고 시기별 형태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의 도시형태 분석을 위하여 콘젠과 카니지아가 설정한 도시형태 분석개념을 토대로 형태구조, 도시평면, 경로체계, 개발규정선, 전이지대, 중심지구, 평면단위, 형태시기, 브레이크 포인트, 자투리필지, 유휴지, 사유화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고산현시대에 골격이 형성된 고산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는 도시형태 형성-구시가(kernel)의 형태구조 해체 재편-중심지구(epidome district)의 형성 발달-확장형 충진-중심지구 확장 재편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고산의 형태구조와 도시평면의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기 단계 고산의 형태적 변화과정에는 간선경로로서 구시가(kernel)을 관통하며 개설된 신작로(고산로)와 이를 연결하는 계획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작로 개설을 계기로 T(十)자형 골격도로체계를 바탕으로 구시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던 관아시설구역의 평면단위가 소블록 단위의 개방형 평면단위로 전이되었다. 이와 더불어 신작로와 시장 경계도로를 따라 상가가 들어서면서 선형의 평면단위를 지니는 노선상가와 시장이 어우러진 근대적 중심지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own plan of Gosan-up(高山), which was provincial administrative focus town in Josun dynasty, basing on morphological viewpoint. Morphological concepts, such as morphological frame, urban plan, kernel, colonization, route system, fixation line, fringe belt, plan unit & plan division, morphological period derived from the study of Conzen, M.R.G. and Caniggia, G. epidome district, break point, broken plot, urban fallow, privatization are adopted for the interpretation of urban form. 5) Morphological period of Gosan can be divided in four ; formation of kernel & morphological structure, disintegration & redevelopment of the kernel, augmentative development of the kernel & formation of modern epidome district, outwards expanding of urbanized area, transition & reorganization of epidome district. Especially public leading projects such as construction of new regional connection road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myeon(township) office, agricultural cooperatives federation office, market, are main factors of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ownplan. In the early stag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construction of the new matrix route(Gosan-ro) through the kernel and followed planned routes gave way to disintegrating traditional areal plan unit and forming small block plan units in administrative facilities area. And linear plan units with commercial buildings were formed along the new matrix route and planned route adjacent to periodical market. In the latter stage, with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ies, private sectors` large circulation institution and terminal outside the kernel with planned routes formed areal block based plan units with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And part of the spatial area with the linear plan unit were turned into urban fallow. With the transformation of town plan, new roads outside the kernel have substituted for traditional fixation line of waterway with road and topographical feature. Fringe belts were made successively along the new road and around the major intersections outside of existing urbanized area. Land use in fringe belts, constituting of outer locational tendency early on formation, was gradually replaced with commercial & business buildings.

      • KCI등재

        한국어의 형태와 형태소

        김양진 ( Kim Ryang-jin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형태 목록과 형태소 목록을 만들어낼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의 형태소 목록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의 가능한 형태 목록을 만들고 그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형태 구조 조건을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형태 구조가 확인되고 그 가운데 ‘형태소’의 자격을 갖출 수 있는 ‘형태’의 목록이 제한되어야 ‘형태’와 ‘형태소’의 상관 관계를 본격적으로 논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먼저 형태와 형태소가 일치하지 않으며 일치할 필요가 없음을 한국어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형태와 형태소의 불일치에는 화합형태의 문제나 보충법 형태소, 영형태, 공형태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나 언어의 공시태 안에 다양한 이질적 방언 그룹의 언어와 어휘 형태들이 포함되면서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방언간 통합의 문제나 문자의 한계에 따른 표기법의 부족이 불완전한 표기, 이른바 불규칙 현상을 만들어내는 문자론적 이형태 발생의 문제에 따른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형태와 형태소의 불일치들이 걷어지고 난 뒤에야 한국어의 실제적 형태 목록이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how to create morph and morpheme lists from the Korean words. In order to set up a list of Korean Morphem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list of Korean morphs according to the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ondition. It is checked this way because the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onfirms and restricts the list of ‘morph forms’ that can qualify as ‘morphem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 and ‘morpheme’ can be fully addressed.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 the Korean examples of morph and morphemes but they do not match and there is no need for that. These discrepancies of morph and morpheme include various problems such as harmony morph type, supplemental morpheme, null morph and empty morph. In addition, the language and vocabulary forms of various heterogeneous dialect groups are included in the dialect of language, and the incomplete notation, that is, the irregularity due to the lack of character in restriction of the writing, but also by the problem of the creation of the literal stereotype. Once the discrepancies of morph and morpheme in various aspects are removed, you can put together a more thorough and confirmed Korean list.

      • KCI등재

        모바일 로봇을 위한 다단계 형태 공간 생성 방법에 대한 성능 검증

        박정수(Jung-Soo Park),소병철(Byung-Chul So),정진우(Jin-Woo Ju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1 No.1

        모바일 로봇의 경로 계획을 위해 형태 공간(Configuration space)과 형태 장애물(Configuration obstacle)이라는 개념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 개념은 이동로봇을 공간 상에서 하나의 점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주변 장애물을 확장시킨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장애물과의 충돌로부터 자유로운(Collision free) 이동 경로를 쉽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 공간 및 형태 장애물을 쉽게 생성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 중 하나는 이동 로봇의 형태를 원형으로 근사화하는 것이다. 이는 그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이동 로봇의 구체적인 형태 및 이동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형태 공간을 생성하는 방법보다 형태장애물 생성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이동 로봇을 원형으로 근사화하여 형태 장애물을 생성할 경우 비교적 가까이에 있는 실제 장애물들이 하나의 형태 장애물로 병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형태 공간내에서 이동 경로를 생성할 경우 최적의 이동 경로를 찾는다는 보장을 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형태 공간 내에서 최적에 가까운 이동 경로를 효율적으로 찾도록 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보다 정확한 형태 공간을 생성하면서도 전체 생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다단계 형태 공간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로봇을 원형으로 근사화시킨 뒤 시작 지점과 목표 지점을 잇는 이상적인 경로를 생성하고 이 경로 상에 존재하는 형태 장애물이 로봇의 원형근사화로 인해 주변의 다른 형태 장애물과 병합되었다면 해당 형태 장애물에 대해서만 보다 정확한 형태 장애물을 재 생성한다는 방법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확한 형태 공간 생성 방법과 새롭게 제안한 다단계 근사화 형태 공간 생성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다양한 이동 로봇의 형태와 회전 각도에 대해 형태 공간을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생성 시간을 비교ㆍ분석해 보았다. Configuration space(C-space) including configuration obstacle(C-obstac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mobile robot path planning. Using C-space and C-obstacles, the robot with different shapes and moving mechanisms can be considered as a point in the C-space. And, as a result, the collision-free path for the robot can be easily achieved. To make C-space including C-obstacle, many researchers used circular approximation method for the efficient caluculation time. This method can help us to save our time by approximating the shape of a robot as the minimum sized circle which can cover all the area of robot. But, by using the circle larger than the robot, more space are considered as the part of robot and, as a result, some obstacles which are very near each other may be considered as a combined one obstacle. To solve this problem, multi-level configuration space is proposed by this paper. This multi-level method also use the circular approximation method as the initial step. But, after finding the initial path, it will check how many obstacles are combined. And then, for each combined obstacle, more accurate C-space generation will be continued. To check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time for c-space gen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well-known accurate C-space generation method using various types of robot shape.

      • KCI등재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형태 발상은 시각예술의 표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단계이다. 1980년대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생태학적·친환경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에 바탕을 디자인 영역의 형태 발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바탕으로 보편적인 형태발상의 근원으로써 자연 형태의 표현 특성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자연의 형태와 형태 발상,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기적 형태의 표현 특성 및 현대 디자인의 활용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자연의 형태 발상에 관한 체계적 연구의 시대적 필요성과 사회현상, 자연의 형태 발상의 유형을 분류한다. 또한 자연의 형태에 관한 연구는 건축·제품·시각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형태 발상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한후 디자인 영역에서 유기적 형태의 다양한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 및 활용 가능성에서는 자연의 형태와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 유기적 형태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생체모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자연은 ‘디자인에 있어 절대로 유행에 뒤쳐지지 않을 단 하나의 원천’이라는 빅터 파파넥의 언급과 같이 자연은 예술의 형태 발상에 가장 근원적인 대상으로 인간의 미적 표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핀스트왈트가 Form Follows Nature에서 언급한 ‘형태는 자연을 따른다, 문화에 따라 형태를 배출한다’와 같이 자연의 현상과 구조에서 발견한 원리를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자연의 형태나 기능을 모방하여 적용하는 ‘생체모방’을 활용한 자연과학과 디자인 등의 학제 간 연구가 활발하고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형태는 자연을 따른다’는 말처럼 생체모방에 바탕을 둔 자연의 형태발상은 현대 디자인의 영역에서 발상의 기본 구조, 조형의 구성 원리, 보편적 아름다움의 기준으로서 디지털 시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자연의 형태에서 발견하는 비례·색채조화·구조·재질 등은 시대와 문화권·개인의 취향·과거와 현재를 뛰어넘는 ‘보편적’ 조형의 원리이자 보편적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1세기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가상현실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면서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디자인 연구는 학제간 융합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 기계공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The idea conception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phase for the expression of visual art. Since the 1980, the ecological factors were generally highlighted,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nature in the form of the design are, research on the idea going on actively. This study proposes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r natural form and potentiality of active usage as a source of morphogenetic based on standard study for modern design, activating to natural organic form & analysis of subject to stud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follow. The range of the study of natural forms and shape, modern design, utilizing organic forms of nature on the systematic study of the historical necessity and a social phenomenon, the idea of natural form are being compos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nature form study, products & visual design is centered. Ideas on nature in the form of detailed systematic study of the historical necessity and a social phenomenon, the natural form of thinking is classified, but also in the form of research on natural building product and visual design, mainly in the region of the subject study form generation and analyzing a variety of organic forms in the design area, then take advantage of modern possibilities are presented. The Nature ``do not fall behind the trend as a single source design``, Victor Papanek mentioned, it is most fundamental ideas in visual arts for human aesthetic expression. We need to apply positively the design principles that are found in the structure and behavior of nature, as Rudolf Finsterwalder mentioned ``form follows nature, culture cradles form`` from his book Form Follows Nature. And also, we expect, there is a ne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be actively proceed: mimic the natural form or function of ``biomimicry`` in natural science and design. The idea conception of natural form, as a phrase ‘form follows nature, based on biomimetic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n design as an idea of the basic structure, the principles of plastic elements, the universal standards of beauty. The proportion, color, harmony, structure, materials found in the natural form which go beyond the era and culture, personal taste of the past and present as an universal principles of formative arts and universal beauty. The shape of the modern architecture of the natural product and visual design area in the form of ideas, while the most basic role in the 21st century, the town council of the new technology is anticipa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