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혁신성과 디자인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혁신성의 조절효과-

        김홍영 ( Kim Hongyoung ),이광배 ( Lee Kwangb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혁신이 매우 중요한 상황에서 기업이 추구하는 제품 혁신성과 디자인 혁신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와 달리 기업의 혁신성과 소비자의 구매의도 사이에서 소비자의 다차원적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혁신을 추구할 때 고려해야 할 소비자 혁신성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제품 혁신성과 디자인 혁신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제품 혁신성과 구매의도 사이에서는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디자인 혁신성과 구매의도 사이에서는 소비자의 인지적 혁신성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혁신성에 관해 개별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제품혁신성과 디자인 혁신성을 통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과 소비자의 다차원적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는 것에 있다. 아울러 디자인 혁신성과 구매의도 사이에서 소비자의 인지적 혁신성의 영향력을 제시한 것 또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duct innovativeness and design innovativeness that a company pursue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searched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multidimensional innovativeness between company’s innovativenes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sion. Through this, when companies pursue innovation, we wish to provide understanding about attributes of consumer innovativeness to consider. The main finding is that first, product innovativeness and design innovativeness has made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Second,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did not appear between product innova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but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cognivtive and social) appears between design innova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A meaning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s and verify product innovativeness and design innovativeness and to prov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that is consumer’s cognitive and social.

      • KCI등재

        브랜드의 혁신성 예열 효과가 신제품 평가 및 지각된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장정민 韓國商品學會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본 연구는 브랜드에 의한 혁신성 예열 효과가 신제품의 혁신성 지각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혁신성 정보가 바 람직하게 여겨지는 상황 하에서만 예열 효과가 발생하리라고 가정하고, 이 과정에서 브랜드에 의한 혁신성 예열 효과가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이 불 일치 수준에 따른 지각된 위험이 상이한 제품군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이러한 상호작용이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의 심리적 기제로 목표 예열이 아닌 개념 예열(e.g., 지각된 혁신성)을 제안하며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67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기반의 실험을 두 단계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예열 과제로써 참가자들을 혁신성이 높은 vs. 낮은 브랜드 중 하나에 무작위로 배 정하고 관련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신제품 평가 과제로써 앞서 본 브랜드와 무관한 신제품의 인쇄 광고를 보면서 제품에 대한 평가 및 지각된 혁신성에 대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이 때 참가자들은 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제품군을 조작한 네 조건 중 하나에 배정되었다. 실험 결과 브랜드의 혁신성 정도,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 제품군 간의 삼원 상호 작용이 신제품에 대한 혁신성 지각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 미하게 나타나 가설 1과 2가 지지되었다. 즉,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지각된 위험이 정의 관계를 갖는 제품군에서는, 중간 불일치 수준의 신제품에서 혁신성이 높은 브랜드에 노출된 경우 참가자의 신제품 평가와 혁신성 지각이 혁신성이 낮은 브랜드에 노출된 참가자보다 높았다. 반면, 신제품의 불일 치 수준과 지각된 위험이 일정한 제품군에서는, 극단적 불일치 수준의 신제품에서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ANOVA 및 Bootstrapping 분석을 통해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혁신성이 이러한 결과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가설 3 또한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가 특정 개념을 예열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의사 결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주변적 자극으로써 브랜드의 영향력을 설명하며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브랜드의 차원들을 활용하고, 다양한 제품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 하는 한편, 소비자의 직접적인 행동(e.g., 구매의도, 사용의도)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속변수를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brand priming on the new product's evaluation and its perceived innovativeness. It posits that this effect occurs only when innovativeness is regarded as desirable. Also perceived innovativeness is suggested as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the process occur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as priming task,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high or a low innovative brand condition then they responded to a survey. During the second stage, subjects watched printed ads and evaluated a new product unrelated to the initial surve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that were manipulated by product incongruity level and product category. Findings show that brand priming is mod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new product's incongruity level and product category. For the product category wit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roduct incongruity level, brand priming effect occurs only in a moderately incongruent product condition. On the other hand, for the product category with constant perceived risk regardless of its incongruity level, the priming effect occurs only in an extremely incongruent condition. We also used bootstrapping analysis to show that previous brand priming is mediated by perceived innovativeness. The current research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theory showing that brand priming can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a cognitive construct. It also offers managerial implication by explaining the effect of brand as a contextual stimulus. It would be worthwhile for future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ther dimensions of brand such as honesty or safety and to consider additional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hoice or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전문적 지식이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김영균,Kim, Young-Kyu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7

        소비자 혁신성은 소비자의 혁신적 행동을 유발하는 성향으로서 기업입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신제품 수용과 관련된 혁신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제품에 대한 전문지식이 소비자의 실제화된 혁신성 중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 및 전문적 지식이 수용혁신성과 정보탐색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내재적 혁신성은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혁신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탐색 혁신성은 수용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여도는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혁신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품관련 전문성은 정보탐색 혁신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용혁신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umer innovativeness is a force that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of consumer and it is crucial for companies to understand the innovativeness in association with the new innovative product adop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herent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consumers's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model has been set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1) consumer innovativeness would not influence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2) vicarious innovativeness had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3) product involvement had a affect on both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4) product expertise had a affect on vicarious innovativeness and yet had no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 KCI등재

        국내 공공디자인의 혁신성 평가 기준 연구

        신재령,최민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은 사회구성원 모두의 행복하고 더 나은 삶의 질 실현을 위해 지속 가능한 공공서비스와 공공공간을 제공한다.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해 추진되는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는 최근 달라진 현대인들의 삶의 방식만큼이나 복잡하고 다양해진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차원적인 접근법을 요구받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실행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때 혁신성을 인정받는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에서 가시화된 혁신성은 사회변화를 촉진하는 씨앗으로 영향력을 가진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혁신성에 대한 개념설정의 부재와 우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혁신성 평가에 대한 세부 심사기준이 모호함에 문제를 제기하며, 공공디자인의 혁신성 평가 기준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먼저, 혁신의 개념과 도시 차원의 혁신적 디자인을 고찰한다.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의 이해를 통해 국내 공공디자인 진흥정책을 파악하고 공공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혁신성의 특성을 도출하여 공공디자인의 혁신성 평가 기준(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수상작 7점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하고 항목별 척도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한 후 최종적으로 공공디자인의 혁신성 평가 기준을 제안한다. (결과) 분석의 결과 7점의 사례는 하위 특성들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긴 했으나 제시된 세 기준항목 모두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아 본 연구가 제시한 공공디자인의 혁신성 평가 기준(안)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주체적 혁신성 하위 특성 중 다양성 항목에서 사례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개방성이 그다음으로 낮았다. 이는 공공디자인이 최근의 시대변화에 대응하여 좀 더 많은 참여의 기회를 열고 분야와 세대와 문화를 초월한 포용적 입장에서 사회변혁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리하면, 첫 번째 기준은 열린 기회 제공 및 공동의 참여를 통한 ‘주체적 혁신성’으로 개방화 및 다양성을 특성으로 한다. 두 번째 기준은 참여자 간 협력 및 아이디어 전개 방식 구축을 통한 ‘과정적 혁신성’으로 체계화 및 조절력을 특성으로 한다. 세 번째 기준은 실현된 결과물과 공감 확산을 통한 ‘결과적 혁신성’으로 실체성 및 파급력을 특성으로 한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프로젝트가 사회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씨앗의 역할을 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혁신성 평가의 세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해 사회가 요구하는 혁신성의 측면에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의 수행자에게 지향점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시장지향성과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대용,박권홍 한국상업교육학회 2010 상업교육연구 Vol.24 No.2

        오늘날 기업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지식창출을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조직의 학습문화 형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최근 조직론연구에서 학습 문화로써 학습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의 인과관계, 시장지향성이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서로들 상이한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학습지향성이 시장지향성,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학습지향성 및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에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는 기계 및 조립금속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했으며 분석기법은 신뢰성 및 타당석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은 시장지향성과 혁신성의 선행변수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장지향성은 혁신성의 선행변수이고 학습지향성과 혁신성 관계를 매개함으로써 부분매개 효과를 가졌다. 셋째, 학습지향성,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관계에 혁신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은 혁신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장지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혁신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중소기업의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필요한 최고경영자의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 그리고 혁신성이라는 기업가적 리더십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For the enterprise in today's knowledge society, forming a learn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 to achieve quality improvement of human resource was raised as a big task above all to create knowledge for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Reflecting this trend, the recent study reports that learning orientation as a learn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ult of research, however, suggests the different figures about whether it is influenced b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for finding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innovativeness, corporate performance against top management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which brought forth meaningful results as follow; First, learning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as the proactive variables of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Second, market orientation, as a proactive variable of innovativeness, appeare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y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Accordingly, learning orientat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innovativeness, and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innovativeness through market orient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novativeness was found to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representing that learning orientation played a proactive role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that was argued in the related proactive studies, and also reached a significant result even in an causal relationship on innovativeness of market orientation.

      • KCI등재

        인터넷 미디어 활동에 따른 소비자 혁신성 유형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성에 대한 고(High)집단과 저(Low)집단 간의 비교 분석

        이지훈(Ji-Hun Lee),강준모(Jun-Mo Kang),이정숙(Jeong-Suk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성의 크기와 소비자 혁신성(기능적 혁신성, 쾌락적 혁신성, 사회적 혁신성, 인지적 혁신성)과의 관계성을 제시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신제품 확산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혁신성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민감 집단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면 바로 구매한다는 것이다. 둘째, 쾌락적 혁신성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민감 집단은 신기한 제품, 제품에 대한 설레임과 흥분을 주는 제품, 예전에 알지 못했던 새로운 즐거움과 재미를 주는 제품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셋째, 사회적 혁신성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른 사람들이 경험해본 적이 없는 제품을 먼저 사용하는 자존감, 누구라도 부러워하는 호기심을 가질 만한 제품을 먼저 구매 혹은 사용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혁신성은 집단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민감 집단은 신제품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기능, 디자인, 혁신성 등을 충족할 경우 구입을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magnitude of privacy infringement concerns and their relationship to consumer innovation (functional innovation, hedonistic innovation, social innovation, cognitive innovation),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pread of new produc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 innovation has shown t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groups. Analysts say that sensitive groups are buying products that can simplify their work immediately after release despite concerns over privacy violations. Second, hedonistic innovation has shown t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nsitive groups prefer novel products, products that give excitement and excitement about products, and products that give new enjoyment and fun that they have never known before. Third, social innovation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se analyses show that the self-esteem of using products that others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nd the curiosity that anyone envies, are purchased or used first. Finally, cognitive innovation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groups. These analyses show that new products are purchased when they meet the functions, design, and innovation that consumers want.

      • KCI등재

        소비자 혁신 성향이 친환경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감의 역할

        이희정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3

        최근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환경 오염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제품의 확산과 수용의 중요성이 어느때보다 공감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친환경 제품의 수용이 적극적 행동으로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소비자의 혁신성과 사회적 연결감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친환경 제품 자체를 기존의 제품과는 다른 혁신적 소비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 혁신성향이 주변 사람들과의 연결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면 친환경 제품의 확산에 더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혁신성을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연결감이 친환경 제품 수용에 매개효과를 가짐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명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연령과 소득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은 친환경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연결성 역시 친환경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쾌락적 혁신성은 사회적 연결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사회적 혁신성은 사회적 연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결성의 매개효과는 쾌락적 혁신성과 친환경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소비자 혁신성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친환경 제품의 시장 수용에 대해 살펴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을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더불어, 친환경 제품의 보다 적극적인 수용에 사회적 연결성이라는 측면이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을 탐색하고 확인하였으며, 쾌락적 혁신성이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연결감이 역할을 하는 것이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보다 적극적 시장 확산을 도모하는 실무자들에게 몇 가지 전략적 통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spreading and accepting eco-friendly products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reduce the rat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gaining more sympathy than ever. However, despite this change in perception, it still seems that more time is needed before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ppears as an active ac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sumers' innovation and social connection can affect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By dividing consumer innovativeness into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ich innovativeness propensity affects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in this process, this study tried to prove that social connected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To this end, 200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their ages and incomes were evenly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Social connectedness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lso, as expected from the hypothesis, hedonic innovativenes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bu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donic innovativeness and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market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s a single concept of consumer inno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vided consumer innovativeness into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to examine the effect on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In addition, it was explored and confirmed that the aspect of social connectedness can have meaning in more activ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it is thought that the role of social connectedness in the process of hedonic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is meaningful in terms of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strategic insights to practitioners seeking more active market expansion of eco-friendly products.

      • KCI등재

        혁신성 소구방법을 활용한 광고캠페인의 수용자 경험 사례 연구 - 3D프린팅 기술을 통한 광고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정,성열홍,이길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using overseas 3D printing technology, sought to raise awareness on the need of innovative advertising communication in our advanced society and suggest the integrative direction in the fields of innovative technology like 3D printing and advertising marketing. Overseas global enterprise brands accommodate innovative technology and conduct advertising campaigns in linkage with the field of advertising marketing in an attempt to implement a new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While, our country has very rare relevant research and almost no examples of actual advertising campaign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 defined th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with five factors of ‘assertiveness’, ‘sensibility’, ‘sharing with others’, and ‘trialability’, ‘observability’ of Rogers(2003). And it drew ‘usability’, ‘accessibility’, ‘complexity’, ‘creativity’ as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and using analysis model design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innovation theory of Rogers, analyzed overseas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compared with normal appealing methods,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llowing the consumers to have freshness, delight and fun in the environment equipped with experience value of assertiveness, emotional value and relationship building and trialability through advertising campaign might work as a factor to satisfy the advanced consumers. It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the higher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in general. This was because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might usually allow the users to experience in overall production process of innovative technology. And the study believes should process of communication be built allowing overall experience of users by means of fiv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and four factors of user experience, communication with users could be improved through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intangible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such as the attribute of innovativeness as seen by the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nd is expected to raise awareness on the need of innovative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is exploratory study, which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in advertising campaigns and user experience as a basic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provide leads in establishing new advertising strateg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고도화된 사회에서 혁 신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향후 3D프린팅과 같은 혁신기술과 광고마케팅 분야의 통섭적 사고에 대 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글로벌 기업 브랜드는 혁신기술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광고마케팅 분야와 결부 시켜 광고캠페인을 진행하며 소비자와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연구가 이루 어지거나 실질적으로 광고캠페인이 진행된 사례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혁신성 의 속성을 ‘자기표현(assertiveness)’, ‘감성(sensibility)’, ‘타인과의 공유(sharing with others)’와 로저스(Rogers,2003)의 ‘시 용가능성(trialability)’, ‘가시성(observability)’의 5가지로 정의하고, 수용자 경험 속성으로 ‘이용성(usability)’, ‘접근성 (accessibility)’, ‘복합성(complexity)’, ‘창조성(creativity)’을 도출하여 선행연구 및 로저스의 혁신성 이론을 토대로 설계한 분석모델을 통하여 해외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소구방법보다는 광고캠페 인을 통한 자기표현의 경험 가치와 정서적 가치, 관계 형성과 시용가능성이 갖춰진 환경에서 새로움과 즐거움, 재미의 소구 가 가능한 혁신성 소구방법이 진화한 소비자를 충족시킬 만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혁신성의 속성이 높을 때 전반 적으로 사용자 경험 속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은 대체적으로 혁신기술을 활용한 제작 과정 전반에 수용자의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혁신성의 다섯 가지 속성과 수용자 경험의 네 가지 요소를 포괄적으로 활용하여 수용자들의 총체적 경험이 가능한 광고캠페인 프로세스를 구축한다면 혁신성 소구방법 의 광고캠페인을 통한 수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 고캠페인 사례의 혁신성 속성 등 수용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혁신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광고캠페인의 혁신성 소구방법과 수용자 경험의 관계를 이해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가 되는 탐험적 연구로써 향후 새로운 광고 전략 수립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윤익상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By using TALIS 2018 Korea survey data (304 principals and 2,472 teachers) collected by OEC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ve school climate and teacher collaboration.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innovative school climate, it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by classifying it into school organization innovation and peer teacher innovation. Given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innovative school climate, I classified it into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ss and used them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quality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it was divided into 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eaching for the analysis.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as the main analysis techniqu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existed at the school level between the two elements of the innovative school climate, namely,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Seco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predicted the two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positively at both teacher and school level. Third,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id not directly predict the two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both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through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Fourth, both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predicted professional cooperation more strongly than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eaching statical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main results, implications fro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mens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school and teacher innovative performance and teacher collaboration. 본 연구는 학교의 혁신성과 교사의 혁신 행위로 규정되는 혁신적 학교풍토와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OECD에서 수집한 TALIS 2018 대한민국 교장(n=304)과 교사(n=5,472)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혁신적 학교풍토의 위계성을 고려하여, 이를 학교조직 혁신성과 동료교사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하였다. 또한, 교사협력의 다양한 양상을 고려하여, 전문적 협력과 수업을 위한 교환·조정으로 그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기법으로는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적 학교풍토의 두 요소 즉, 학교조직 혁신성과 동료교사 혁신성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연관관계가 학교수준에서 존재하였다. 둘째, 동료교사 혁신성은 두 유형의 교사협력을 교사수준과 학교수준에서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학교조직 혁신성은 두 유형의 교사협력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못하였으나, 동료교사 혁신성을 매개하여 두 교사협력 유형 모두에 유의한 수준의 간접효과(완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 혁신성과 동료교사 혁신성 모두 수업을 위한 교환·조정보다 전문적 협력을 더 강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논문은 이상의 결과에 대한 이론적 해석 및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