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연구
임지원(Im Ji-Won),이상근(Lee Sang-Gu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5
본 논문은 세계산업연관표의 전후방연쇄효과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1차 산업의 산업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본 논문은 1차 산업 분야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의 산업연쇄효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isher(1939)와 Clark(1957)의 1차 산업 분류에 따라 1차 산업을 농림축산업, 임업, 수산업, 광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일본 3국간 산업연관모형을 만든 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농림축산업, 광업은 한국, 중국, 일본 각 국가별로 전·후방 연쇄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임업과 수산업의 경우 한국, 중국, 일본의 전·후방 연쇄효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차 산업의 산업의존도 변화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산업의 전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를 IO 분석을 통해 각 국가별로 비교함으로서 향후 1차 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primary industri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14, by exami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s. Although research on the industrial effect of primary industries has been conducted actively, this study is contributive since it compares the differences in industrial linkage effect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Fisher(1939)’s and Clark(1957)’s classifications of primary industries, this study classified agriculture, forestry, fishing, and mining industries as primary industries. The analysis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use the World Input-Output Tables to create the industry linkage model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n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agriculture industry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re partially different. By comparing the changes in industrial dependencies of primary industrie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primary industries.
김종기(Jongki Kim),강다연(Dayeon Ka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1
정보통신산업은 성장성이 높은 산업으로 세계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경제전반에 지대한 파급효과와 경제구조 고도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를 구현하는 기반산업으로서 전 세계에 걸쳐 기술개발을 통한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한 산업이 정보통신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술혁신이 매우 급속하여 다른 산업에 대한 기술적 파급 효과가 크고 기술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고도의 기술 집약적 산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정보통신산업체의 효율성을 DEA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정보통신업체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비효율적인 기업을 위한 각 기업이 개선시켜야하는 투사값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효율성을 위한 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총 29개 정보통신업들의 CCR-I, BCC-I 효율성과 규모수익성(RTS)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정보통신업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CCR-I효율성이 1인 업체는 7개 기업, BCC-I효율성이 1인 업체는 12개 기업으로 분석되었다. 규모수익성은 IRS가 8개의 기업, DRS가 10개 기업, CRS가 11개 기업으로 분석되었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which has been growing rapidly, is now leading the global economic growth, contributing a ripple effect on general business and economic structure. It is said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enables swift economic growth taking a role as a basic industry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Especially, rapid technical innovation promotes mutual growth of other related industries and it is technology-intens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using DEA method, and finally suggests numerical value for inefficient organizations to improve their efficiency. CCR-I, Bee-I efficiency and RTS(Returns to scale) of 29 companies engag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was evaluated. With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model companies for benchmark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To summarize, 7 companies were selected with CCR-I efficiency rate 1, and 12 companies with Bee-I efficiency rate 1. RTS was finalized with 8 IRS companies, 10 DRS companies, and 11 CRS companies.
조재형(Jae Hyung Cho),강무홍(Moo Hong Ka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2
주택유형 중 아파트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자산가치 중 하나로 아파트가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검색이 활발한 상황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부동산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높지 않고, 부동산 검색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파트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세부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기존의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세부적 요인을 검색조건으로 통합 고려할 수 있는 지식정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가격, 면적 뿐 아니라 학군과 주거의 편리성, 주택관리의 용이성을 함께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파트를 검색결과로 도출해 주도록 설계하였다. 검색조건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공인중개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AHP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지식정보시스템은 매수인의 입장에서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람이 사용하는 부동산 검색조건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시맨틱 웹 검색기반의 정보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아파트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아파트 정보에 대한 다양한 용어를 표준화하였다. 부동산 지식 정보시스템의 전체 아키텍처를 설계한 뒤, 실제 아파트 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질의를 하였으며, 검색결과를 다요소 의사결정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요소 의사결정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매수인의 선호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검색 후 엔트로피(Entropy)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만족하는 아파트 후보지를 검색결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매수인의 아파트에 대한 가치만족도는 높이면서 탐색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partment" share of the housing has steadily increased and property assets have been valued in importance as the one of asset valu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internet is particularly active in the real estate market. However, user satisfaction on real estate information system is not very high,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real estate retrieval to increasing efficiency until now. This study presents a new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to consider region-related factor and individual-related factor in the real estate market. In addition it enables a real estate knowledge system to search various preferential requirements for buyers such as school district, living convenience, easy maintenance as well as price. We made a survey of the search condition preference of experts on 30 real estate agents and then analyzed the result using AHP methodology.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to build apartment ontology using semantic web technologies to standardize various terminologies of apartment information and to show how it can be used to help buyers find apartments of the interest. After designing architecture of a real estate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this system is applied to the Busan real estate market to estimate the solutions of retrieval through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MAD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endowed the buyer and expert"s selected factors with weights in the system.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is new system is to raise not only the value satisfaction of user, but also make it possible to effectively search and analyze the real estate through entropy analysis of MADM. This new system is to raise not only the value satisfaction of buyer"s real estate, but also make it possible to effectively search and analyze the related real estate, consequently saving the searching cost of the buyers.
부동산정보 사이트의 서비스품질, 신뢰,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의 영향관계
임채관(Chae-Kwan L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부동산정보 사이트의 서비스품질, 사이트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동산정보 사이트 이용경험이 있는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동산정보 사이트 이용자가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이 이용자의 신뢰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뢰는 이용자의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동산정보 사이트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인터넷 부동산정보 사이트의 서비스품질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높은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of internet real estate information web-sites,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survey method was applied using a sample of 293 real estate information web-site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rvice quality of real estate web-si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trust of web-sites have influenc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Finally,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estate information web-sit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전동진(Dong-Jin Jeon),정진홍(Jin-Hong Je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6
이 논문은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하여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위협을 사전에 예방 및 점검을 수행하는 개인정보영향평가를 C쇼핑몰의 분석 사례를 통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C쇼핑몰의 개인정보 영향평가 분석을 수행한 결과 평가영역별로는 대상기관관리체계는 29.2, 대상시스템의 보호수준은 68.8, 개인정보처리단계의 결과는 25.5이고 신기술은 60.0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수준이 가장 낮은 항목은 대상기관의 개인정보파일관리 16.7, 개인정보생명주기관리 항목의 저장 및 보유단계 12.5, 이용 및 제공 단계 11.5, 파기 단계 16.7로 나타났다. 위험도 분석결과 고위험도 항목은 개인정보생명주기 영역의 저장 및 보유단계 항목이 13.3, 파기단계 항목이 13.0으로 높은 수치가 나왔다. 종합적으로 보면 고위험도이면서 저보호수준인 항목은 저장 및 보유단계와 파기단계로 파악이 되었다. This paper reviews Privacy Impact Assessments in order to perform preventing and diagnosis against potential threats focused on the C-Shopping mall case. The quality of protection in C-shopping mall shows that the corporations itself is 29.2, the system is 68.8, the life cycle of the privacy is 25.5 and CCTV is 60.0. The lowest levels are the corporation"s management 16.7, the life-cycle"s saving and keeping 12.5, usage and offer 11.5 and destruction 16.7 among the life cycle of the privacy. The result of risk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st levels are saving and keeping 13.3 and destruction 13.0. From the result, dangerous duplications are saving and keeping and destructions.
정부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중소기업 정보화 플랫폼 정책 연구
한현수(Hyun-Soo Han),양희동(Hee-Dong Yang),김기호(Kiho K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이 플랫폼기반의 클라우드 방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정부의 지원 기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비전 수립과 목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효과적 실행 관리체계에 대한 정책적 필요사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과 기존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방식에 대한 한계점을 분석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신기술동향을 바탕으로 정부가 중소기업의 정보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 가에 대한 미션과 범위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비전을 도출하였으며 목표 시스템 아키텍처를 소상공인기업과 소기업 등 클라우드 서비스 무상 지원 영역 등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기존의 기업중심 정보전략 연구를 정보화지원전략으로 확장하였다는 데 있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중기청에서 추진 중인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에 기본적 가이드라인으로, 그리고 정부의 다른 정보화지원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necessary government policies for the SME’s informatization as the computing environment evolves towards cloud computing. We started with the review of the current SME’s computing environment and limitations of current policies, and then addressed the new roles, visions, and missions of the government for the SME informatization. Based upon these arguments, we proposed the mid-term vision and designed the architecture for the cloud computing-based services for SMEs.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extend the enterprise-based informatization strategies to the context of the government policies so that the government can adopt our arguments as guidelines for the future policies.
깊이 영상으로 사용자 키 검출 및 동작감지를 사용한 캐릭터 플로팅 홀로그램
오규진(Oh KyooJin),한대현(Han DaeHyun),권순각(Kwon SoonKak) 한국산업정보학회 201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4
컴퓨터와 영상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미디어의 제공방법이 다양해지고 이에 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많은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다. 이 콘텐츠들은 카메라나 컨트롤러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과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는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광고로 사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캐릭터 플로팅 홀로그램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깊이 영상에서 사용자의 키와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캐릭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캐릭터는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마케팅, 광고 및 전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video technology, a lot of contents are being produced as digital media methods to provide are being diversified and the intrest in digital media increases. Such contents are actively researched using human motion and user’s information through camera or controller. Contents using user’s information can be exposed to various people in public places and used as an advertisement. This paper proposes the character floating hologram system that is implemented using detection of user’s height and motion. The purposed system detects user’s height and motion from depth images and creates corresponding character from the detected data. Then it is represented using a floating hologram device. This system can be used for marketing, advertising and exhibition events using user information.
영상정보와 환경정보를 이용한 실내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차경애(Kyung-Ae Cha),권차욱(Cha-Uk Kwon)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은 일정한 출입자가 상시 존재하는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의 영상정보와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통해서 해당 공간의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응용프로그램의 구현 및 실험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모니터링의 목적으로 실내 공간에 CCTV와 같은 무인장비가 구축되어져 영상정보의 자동적 획득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는 환경정보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실내상태를 인식하는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이상 동적인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경 센서 정보(온도, 습도, 조도)를 분석하여 에어콘, 전등 등을 자동으로 on/off 하도록 하는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무인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온ㆍ습도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동시에 무선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의 분석을 통해서 해당 상황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변수를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은 연구실에서 실시하였으며, 움직임이 검출되었거나 일정시간 이상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자동으로 에어컨, 전등 등을 on/off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효율적으로 무언제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system that automatically monitors the state of interior spaces like offices where lots of people are coming and going through image data and environment data, which includes temperature, humidity, and other conditions, and implement and test related application programs. In practice, there are lots of image data automatically obtained by unmanned equipments, such as certain types of CCTVs, for monitoring situation in usual interior spaces. This image data can be used as a more effective manner by establishing a system that recognizes situation in specific interior spac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environment data. For insta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unmanned on/off controls for various electronic equipments, such as air conditioners, lights, and other devices, through analyzing the data acquisited from environment sensor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as dynamic states are not maintain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For implementing these controls, this study analyzes environment data acquisited from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nd image data input from wireless cameras to recognize situation and that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control environment variables configured by users. Experiments were applied in a laboratory where unmanned controls were effectively performed as automatic on/off controls for the air conditioner and lights installed in the laboratory as certain motions were detected or undetect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최용태(Yong-Tae Choi),나성웅(Sung-Woong Ra) 한국산업정보학회 201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3
나로호 발사임무에서 추적장비에서 취득된 실시간 정보는 발사통제시스템의 처리를 거쳐서 비행안전 및 비행상태 감시 관련 운용자에 공급되어진다. 또한, 처리된 발사체의 위치정보는 각 추적 장비들의 추적 실패 시 재추적 시도를 위한 추적연동정보로 공급됨과 동시에 비행안전 감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추적임무 수행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추적연동정보 처리기능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가용한 모든 발사체 위치정보를 수집, 처리후 최적 위치정보를 선정하고 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시간 지연 성분을 보상하여 각 추적시스템으로 분배한다. 추적연동정보의 처리의 정확성을 위하여 표준시각에서 추출한 25 ms 주기의 타임틱 신호를 기준으로 모든 처리 모듈의 동작이 동기화 된다. 제안한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레이더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와의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그 오차는 평균 0.01도 이하로 나타났다. In KSLV-I launch mission, real-time data from the tracking stations are acquired, processed and distributed by the Mission Control System to the user group who needed to monitor processed data for safety and flight monitoring purposes. The processed trajectory data by the mission control system is sent to each tracking system for target designation in case of tracking failure. Also, the processed data are used for decision making for flight termination when anomalies occur during flight of the launch vehicl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rocessing mechanism of slaving data which plays a key role of launch vehicle tracking mission. The best position data is selected by predefined logic and current status after every available position data are acquired and pre-processed. And, the slaving data is distributed to each tracking stations through time delay is compensated by extrapolation. For the accurate processing, operation timing of every processing modules are tiggered by time-tick signal(25ms period) which is driven from UTC(Universial Time Coordinates) time.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d slaving data to the position data which received by tracking radar. The experiments show the average difference value is below 0.01 degree.
임혜정,서창교 한국산업정보학회 202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7 No.6
최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산업혁명은 3차 산업에서 4차 산업으로 옮겨가고 있다. 기업이 미래에 생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연구 문헌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더 나은 통찰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데이터는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었으며, CiteSpace를 사용하여 총 1,631개의 문서와 72,754개의 참고 문헌을 분석하였다.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위한 사물인터넷 연구 분야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군집분석, 타임라인 분석, 연구전환점 분석을 수행하여 'Supply Chain', 'Digital Twin', 'Smart Manufacturing System' 등 12개의 하위 영역을 식별하였다. 타임라인 분석을 통해 연구가 확대되고 있는 분야와 축소되고 있는 분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결론과 함께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