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

        이경열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행복이란 ‘즐거움과 의미의 포괄적인 경험’이라 정의하고, 행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유전적 설정값 50%, 환경 10%, 의도적 활동 40%이므로 모든 행복은 의도적 활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고 보았다. 행복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련 측면과 사회적 관계 측면으로 분류했으며, 자기관련 측면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 측면은 대인관계와 관련성을 연결했다. 이에 연구 1에서는 행복의 구성요인에 기초하여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내용을 탐색하고 구체화한 후, 프로그램을 예비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한 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행복,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대학생 25명을 대상으로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행복지수 하위영역 중 개인적특성과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대인관계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행복은 연습이 필요하므로 앞으로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happy is defined as experience of joy and meaning. We explo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s accoding to the factors of happy.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is preliminary research. We implemented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 to the student groups how it impacted on their happ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 shows improve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 low rank province of happy index and self-efficacy. Thus it implicates that we developed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s which is wanted by the people. We would like to develop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 of the long term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광수 ( Kwang Soo Kim ),고영미 ( Yeong Mi K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우울에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 중 1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반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성 인원은 각각 29명이었다. 실험집단에 일주일에 두 번, 회기 당 4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행복 증진 상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 집단 간 행복감 검사와 우울 검사의 사전,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집단의 각 회기별 소감문, 연구자의 관찰기록, 프로그램 평가설문, 아동의 행복 일기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행복 증진 상담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행복감 전체와 그 하위변인 중 친구관계를 제외한 자기존중감과 낙관주의, 가정환경(가정의 분위기 및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행복 증진 상담교육프로그램은 우울 전체의 감소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지만, 하위변인 중 부정적 자기상/비효율성의 감소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기별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기록,프로그램 평가 설문 자료 분석, 아동들이 작성한 행복 일기 등을 통해 지지되고 보충, 심화되었다. 본 연구는 긍정 심리학에서 제시되는 행복감 구성 요인을 토대로 구성된 학급 단위 상담교육프로그램 실시가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과 더불어 우울 감소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appiness enhancement counseling program based positive psychology on children``s happiness and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classes from 4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One class(29 students) was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29 students) was placed in a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is based on a pre-test and a post-test between the both groups. With the test data, the students feedbacks were collected to identify the subjects`` responds to the program.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happiness enhancement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happiness and its some sub-factors(self-esteem, optimism, family environment).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happiness enhancement counseling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depression and its some sub-factors(problems of personal relations, negative mood/physical symptom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negative self-conception/inefficiency.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and intensified by qualitative data based on comment papers, questionnaire and happiness diar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happiness enhancement counseling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an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인선,남효순,이유미 인지발달중재학회 2017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appiness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needs of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3-step procedure was developed. In Step 1,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appiness program, and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he need for a happiness program targeting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In addition, this study supplemented the form and substance of the program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various experts. In step 2, this study composed a draft proposal of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program by setting up objectives of the program, contents of education, method of teaching, and specific criteria for assessment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established in the step 1. In step 3,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research based on the draft proposal and composed the final plan for the program after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happiness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developed an effective program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is being emphasized. However, a practically applicable happiness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mains insufficient, which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is study can suggest a program that can be used fo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r reeducation for in-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유아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 단계 개발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 단계로, 행복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후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서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방향을 수립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수립된 기본 방향을 기초로 프로그램의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구체적인 준거를 설정하여 유아교사 행복증진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유아교사 행복증진프로그램 시안을 토대로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 개발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유아교사의 행복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부족한 현 시점에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유아교사의 행복증진교육 관련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서그림책을 활용한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이 공감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

        이미나,김선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행복감은 우리의 삶에서 충분한 기쁨을 느끼는 흐뭇함이며, 욕구가 만족되어 부족함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정된 심리적인 상태이다. 본 프로그램은 2016년 11월 10일부터 2016년 12월 9일까지 진행하였으며, G시 S구에 위치한 거주환경이 비슷한 어린이집 5세반 유아 40명이다. 연구도구는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ryant(1982)가 제작한 도구를 참고하여 김향미(2010)가 사용한 것과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Mayer와 Salovey(1998)의 정서지능 모형에 기초하여 이병래(1997)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즐거움, 긍정적 사고, 사랑, 자기존중, 감사, 대인관계, 자신감, 칭찬, 타인존중, 성취에 대한 내용이다.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하위요소로는 의사소통, 배려, 협력, 봉사, 나눔, 존중 그리고 긍정적 사고, 행복,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증진이 있다. 즉, 정서그림책을 활용한 행복감 증진활동을 통해 유아는 대부분의 활동에 몰입하고, 만족하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자신과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면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rogram of happiness using picture books. Happiness is a feeling of joy in our lives, and it is a stable psychological condition that does not feel insufficient or insecure because the desire is satisfied. The program lasted from November 10, 2016 to December 9, 2016.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is 40 children in the 5th-year-old age group who lives S province in G city. The research tool refers to the tools produced by Bryant(1982) to measure empathy ability.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used one by Kim, Hyang Mi(2010) and developed by Lee Byung Rae(1997) based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of Mayer and Salovey(1998). The content of happiness promotion program contents are about pleasure, positive thinking, love, self-esteem, apprec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idence, praise, respect for others, accomplishment. The sub-elements of the program for promoting happiness include communication, care, cooperation, service, sharing, respect, and positive thinking, happines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other words, through the happiness enhancement activities using the emotional picture book, the infant will be able to grow in most activities, satisfy, challenge new things, and recognize the existence of oneself and others.

      • KCI등재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혜숙(Haesook Kim),김은숙(Eunsook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본 연구는 은퇴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하여 건강 문제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안녕을 포괄할 수 있는 다차원적 노인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의 2개 복지관에 등록되어 있는 은퇴 노인들로서 실험군 29명,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행복증진 프로그램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자기수용,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숙달, 인생의 목표, 개인적 성장의 6가지 차원이 포함된 통합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였고, 인문학, 영상학, 간호학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매 회기마다 강의, 실습, 자가 활동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주 1회, 120분씩 15주 동안 총 15회 제공하였고, 프로그램 제공 전과 후에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Fisher’s 정확검정, 이표본 t-검정, ANCOVA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후 실험군의 행복감(F=5.55, p=.021), 자기효능감(F=16.09, p<.001), 삶의 질(F=13.03, p<.001)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어 노인행복증진 프로그램은 나이 들어감에 대한 행복감, 자기효능감, 주관적 삶의 질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은퇴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하여 다양한 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multidimensional program on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o promote happy and successful aging of retired seniors. A total of 66 retired seniors who were registered at two welfare centers in the city C at the time of the study were recruited. These 66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29) and control (37) groups. Thi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 comprehensive model that integrates six components for successful aging: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life goal setting, and personal growth. The program was mainly composed of lectures, practices and self-activities, which were organized by experts in humanities, imaging and nursing. This 120-minute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15 week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 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using the SAS 9.12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s happiness (F=5.55, p=.021), self-efficacy (F=16.09, p<.001) and quality of life (F=13.03, p<.001) when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 KCI등재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Jong Un Kim),김유경(Yoo Ky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S 시설거주 양육미혼모 10명을 실험집단에 배치하였고, 프로 그램에 참여하고자 신청한 대기자집단 양육미혼모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집단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 구는 회복탄력성, 특성불안,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기 위해 SPSS Ver. 21.0을 사용하여 비모수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특성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on resilience, trait anxiety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For achieving the purpos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resilience of single mothers? Second,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trait anxiety of single mothers? Third,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The research targeted 20 single mothers. Half of them is living in the S residential care center which is located in Nam-gu, Busan. The others are awaiter. Regarding to research object, the study objected total 20 single mothers by dividing them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nection with measurement tools, the study used resilience test, trait anxiety test and self-efficacy test.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done by using SPSS Ver. 21.0 to calcula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 o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effects on decreasing the trait anxiety for single mothers. Secon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gives positive influence on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A discussion and a conclusion are included, as ar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문가람(Moon Ga Ram),하요상(Ha Yo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이 연구는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S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의 학생 2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의 학생 2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COVID-19로 비롯된 등교 인원 제한으로 실험집단은 둘째 주를 제외한 3주 동안 주 5회, 매 회기 당 40분 씩 총 10회기의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종속표본 t검증, ANCOVA로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전, 사후 검사지 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소감문과 관찰기록, 프로그램 평가 설문을 활용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됐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성장지향적 예방모델로서 학업 스트레스 감소와 더불어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the impact of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on the reduction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es, 23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22 students who were expected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due to their similar educational experience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s. Due to the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school caused by COVID19,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10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s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excluding one week, 40 minutes per session, and no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 post-examination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ponse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ness test paper was interpreted with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ANCOVA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3.0. The major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academic stress of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happiness promo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hanges in control groups. Second, A chang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the happiness promotion progra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hange i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마음챙김 인지치료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부양부담감,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효과

        정성훈(Jung, Sunghun),박은아(Park, Euna),김동현(Kim, Donghyu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마음챙김 인지치료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부양부담감과 우울 및 행복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노인 가족수발자 16명으로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각 8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매회기 120분, 총 10회기 마음챙김 인지치료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판 우울척도,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용 부양부담감 척도, 옥스퍼드 행복질문지를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여 양적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양육부담감과 우울 점수는 낮아졌으며 행복점수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burden experienced by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who are raising families, and the effects of a happiness promotion program grounded in mindfulness-based cognition therapy (MBCT) on wellbeing and happiness. Participants were 16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living in Busan, each of whom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BCT-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2 hours, twice weekly. Program effectiveness was examined with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scale, a measure of the burden of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and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t pre, post, and one month follow-up. The findings confirmed program effectiveness, indicating that the happiness promotion program resulted in lower child care burden and depression scores, and higher happiness scor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김미진 ( Mi Jin Kim ),황해익 ( Hae Ik Hw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유아교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추후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사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 2시간씩 13회기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차원적행복척도, 긍정심리치료척도, 영유아교사의 행복측정척도였다. 연구 결과, 모든 종속측정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사후검사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4주 후인 추후검사까지 지속되었다. 이를 통해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교사들의 행복 증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그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Kim Mi-jin(2015)’s Character Strengths- 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articip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amine its effect and ultimately to give some suggestions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20 teacher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for 13 weeks, once a week and two hour at a time,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is program at all. The scales for this study were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and Happiness Measure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ependent measures for the post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se differences between groups lasted to the retention test which was conducted 4 weeks later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It confirms that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the program remained steadily effective even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 KCI등재

        청소년 럭비 선수의 행복 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인경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럭비 선수의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관련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자문, 연구대상자 면담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B고등학교 청소년 럭비 선수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120분씩 10회기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본 연구에서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행복도 검사지, 스포츠 행복 척도,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척도를 활용하였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청소년 럭비 선수의 행복도, 행복비율, 긍정적 강화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happiness enhancement was developed by previous studies, expert discussion and participants interview.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youth Rugby players and 120 minutes, 10 counseling programs were provided to their. To measure overall happiness, sports happiness perception, Rosenberg self esteem, perceived stress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happiness enhanc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happiness, ration of happiness(%), positive reinforcement and self esteem of youth Rugby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