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과제

        김세훈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사회이론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살펴보고 그 현실태와 문제들이 이러한 관점에서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쓰여졌다. 이를 위해 푸코의 관리합리성과 하버마스의 문화적 공공영역 논의를 빌려오면서, 문화예술교육이 우리사회의 관리합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며, 현실적으로 미흡하지만적어도 기획이나 구상에 있어서는 문화적 공공영역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 논문에서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이 외형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행이나 제공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관련된 것처럼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이 주목하고 있는 행위자 개인에 대한 관리기술(art of government) 미흡과 문화적 공공영역으로서의 자기인식 부족에서부터 비롯된다고 지적하였다. 사회이론적 기반에 대한 이러한 검토가 문화예술교육 전반을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차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실천적 관심에 주목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For the last 10 years, the culture & arts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tended in Korea. The issues relating to it have been generally dealt with in the artistic views. This paper tries to explore culture &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theory and to suggest its social meaning based on the 'practical interest'(praktische Interesse). For the purpose, it introduces the notions of 'governmental rationality' by Foucault and 'cultural public sphere' by Habermas. As a collective mentality, the governmental rationality focuses on individuals as an object whose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Regarding this concern, it develops various tactics, methods and techniques which aim to shape and guide their wishes, attitudes and activities. Cultural public sphere functions as a place for private individuals to transform into the public. The notions provide meaningful tools for the examination on the culture & arts education. The education represents governmental rationality in Korea society, which tries to achieve social changes by affecting individuals' thoughts, attitudes and activities. It also concerns the public who has self-control ability to contribute for the changes. From the point of view, the culture & arts education is not only artistic practice but also social practice. Therefore, many issues around the education, it argues, should be re-explored from the social-theoretical perspective and suggestions for it should be conceived relating to the governmental rationalty.

      • KCI등재

        조직문화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진성리더십의 매개효과: 여성관리자를 중심으로

        남현정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4

        This study focused on leadership roles in reducing gender inequality among workers within organizations and promoting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emal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is demonstrat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job engagement that leads to continuous labor market participation. For the analysis, a total of 975 female managers above the manager level were targeted by using the 7th data of the female manager panel survey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As a research method, SPSS 23.0 and AMOS 21.0 were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nd effect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at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female managers' job engagement, and ir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negative (-) effect on job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authentic leadership, and ir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enuine leadership. Third, authentic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engagement. Fourth, authentic leadership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integrated study that examin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in which female managers demonstrate authentic leadership and at the same tim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ir influence on job engagemen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practical basis for introducing a system for cultivating authentic leadership that can bring female managers' engagement for the job even in the ir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of Korean companies and the need for managerial education. 본 연구는 조직 내에 인력 간의 성 불평등을 낮추고 여성의 사회 참여를 촉진하는리더십 역할에 초점을 두어 조직문화 측면에서 여성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되는지를 살펴보고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를 가져오는 직무열의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조사한 여성관리자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여 과장급 이상의 여성관리자 총 9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23.0 와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와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합리적 조직문화는 여성관리자의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비합리적 조직문화는 직무열의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조직문화는 진성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비합리적 조직문화는 진성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성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성리더십은 합리적 조직문화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여성관리자가 진성리더십을 발휘하는 조직문화적 특성을 규명하는 동시에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 통합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기업이 가진 비합리적 조직문화에도 여성관리자의 직무열의를 가져올 수있는 진성리더십 함양을 위한 제도 도입과 관리자 교육이 필요하다는 실천적인 근거를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 농・식품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배성필,장석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1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effect of exist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The studies based on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and food SMEs are not enough. So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we analyz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ungnam Agriculture and Food SM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and impact relations by classify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s OCBI and OCBO. To analyze this,The statistical package SPSS Statistics 20 was used for 126 persons who were working in food and beverage industry in Chungcheongnam – do. In addit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effect on factor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CBI has a positive effect on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Second, OCBO has a positive effect on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Third, a rational culture affects both OCBI and OCBO. In conclusion, rational culture affects both OCBI and OCBO, so agri-food SMEs should develop organizational culture centered on rational culture. In addition, hierarchical cul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CBI as it is based on organizational stability and rules. In OCBO, development cult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reativity and opinions of members are respected and acted with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OCBI and OCBO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ory and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agriculture and food manufacturer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help cultivat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farmers and food manufacturers in Chungcheongnam-do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본 연구는 기존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관찰대상을 전 업종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직의 성과지표와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조직문화를 전문적으로 깊이 있게 세분화 하여 관측한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다. 그래서 조직문화를 좀 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산업별, 업종별로 세분화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며,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충청남도 지역의 농․식품 중소기업체의 조직문화를 분석하였고, 조직시민행동의 변수로는 OCBI 와 OCBO를 분류하여 조직문화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관내 농․식품 중소기업 종사자 126명을 대상으로 통계 패키지 SPSS Statistics20을 사용하여 인구 통계학적 특성, 기술통계량,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요인별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OCBI에 대한 조직문화는 합리문화와 위계문화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내부지향을 강조해야 되는 기업조직의 경우 집단문화와 개발문화보다는 합리문화와 위계문화를 지향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OCBO에 대한 조직문화는 합리문화와 개발문화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외부지향성을 강조하는 기업은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보다는 합리문화와 개발문화를 지향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합리문화는 조직의 내부지향적인 OCBI와 외부지향적인 OCBO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 조직문화 육성에 큰 의미가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 농․식품 중소기업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OCBI와 OCBO의 영향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국내의 농․식품기업체로 확대 연구를 도모 할 수 있고, 다른 산업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항운영 공기업을 대상으로

        이제윤(Lee, Je-Yun),임도빈(Im, To-Bin) 한국공기업학회 2017 공기업논총 Vol.18 No.1

        본 연구는 조직문화 유형인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조직효과성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경영성과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조직문화는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 모두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집단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위계문화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 유형 중 합리문화만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개인특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성취욕구, 통제위치, 집단주의 성향 변수 모두 집단문화-직무만족, 발전문화-직무만족, 합리문화-직무만족, 집단문화-조직몰입, 발전문화-조직몰입, 합리문화-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문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조직문화의 변화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성취욕구를 조직효과성 향상과 조화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적 통제위치를 가진 구성원들의 동기화와 구성원들의 집단주의 성향의 촉진을 통해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rst, we defin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four types;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From the empirical study, we found that all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mad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in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re identified to be influential positively. However, hierarchical culture has no meaningful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management performance, only the rational culture has been studied as a positive factor. Between the typolog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need for achievement, locus of control and collectivism acted as strong mediating affect.

      • KCI등재

        글로벌기업의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혁영,김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of global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in the relationship among facilitator, mentor, producer, and director leadership using partial mediation and completed mediation model.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Conceptual research model is designed with three constructs such as clan culture, woemn leader's characteristics, and market culture. Based on five hundred cases with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global companies, this stud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using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Results : Facilita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Men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men leader's carrier while they are not correlated with mentor leadership and women leader's position.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director leadership while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cucer leadership. Also facilitator and men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on producer and director leadership. Conclusions : By controlling for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ve improved the academic contributions as well a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study of clan culture that affect market culture in the filds of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In addition, this study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variables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were examined.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촉진자, 선도자, 생산자, 지시자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집단형 문화, 여성리더 특성, 합리형 문화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촉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여성리더의 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촉진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선도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과학기술의 문화적 함의

        임희섭(Lim Hy-Sop) 한국과학기술학회 2003 과학기술학연구 Vol.3 No.1

        과학기술과 문화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과학기술은 문화의 일부로서 이해되는가 하면, 흔히 과학기술과 문화는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주장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과학기술을 문화의 한 형태로서 검토하였다. 분명히 과학은 인식적 가치를 창조하는 가치문화의 일부이며, 기술은 비록 도구적 문화로서 파악되는 경우에도 문화체계의 일부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과학기술은 어느 정도의 ‘상대적 자율성’을 지닌 문화체계의 일부인 것이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정치체계, 경제체계, 문화체계와 과학기술체계 간의 긴장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정치와 경제체계에 의해 문화체계가 식민화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체계의 도구적 합리성의 왜곡에 의해서 야기된 기술지배의 부정적 결과들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구적 합리성이 사회적 합리성과 의사소통합리성 등에 의해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이 논문에서는 정치, 경제, 문화 및 시민사회 각각의 ‘과학문화’의 특성과 그와 같은 과학적 부분문화(scientific subcultures)들 간의 역동적인 관계와 사회과정을 통해 ‘인간화되고 민주적인 과학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part of cultural system, the relationship of science/technology with culture is often viewed as contradictory or mutually exclusive by many scholars. Therefor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present paper,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ultural form is examined. Here, science is viewed as a form of symbolic culture, while technology is regarded as a form of instrumental culture.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and/or tensions between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strumental culture) and cultural system (symbolic culture) within a society is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of this paper, 'science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a dynamic social process in which contradictory science sub-cultures of political system(state), economic system(cooperations), civil society (including academic community of scientists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and movements), and cultural system are supposed to be coordinated. In conclusion, establishment of 'humanized science culture' and 'democratic science-culture movement'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of resolving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ystem and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 the modem world.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에 관한 인식차이 연구

        김종길,Kim, Jong-G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5

        해양경찰조직을 지배하는 각종의 조직문화들은 이를 인식하는 해양경찰관이 조직구성원으로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나아가 해양경찰활동의 역할과 치안활동을 결정지을 수가 있다. 이에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전반적인 주류를 형성하는 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고,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향유하고 공감하는 조직의 하위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다. 이러한 해양경찰조직문화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가 있는바 일반적인 조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집단문화(Group Culture), 위계문화(Hierarchy Culture), 발전문화(Development Culture), 합리문화(Rational Culture)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해양경찰관들의 일반적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위계문화와 합리문화에서 20대 연령층의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급에 따라 위계문화와 발전문화, 합리문화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문화에 있어서는 경장 계급,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의 경우 경감 계급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직경로별 조직문화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집단문화에서만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특별채용으로 입직한 해양경찰공무원의 집단문화 경향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Maritime police recogniz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various acting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Also, marine policing and security activities to determine the number of build. The overall culture of maritime police who share the organization sub-culture may take place. Maritim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 variety of types of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rational cultur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Maritime police aware of the general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of the age group of 20 was the highest recognition in hierarchy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Second,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of the rank of captain was the highest recognition in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Thir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recruitment analysis show the difference in cultural groups showed, in particular, the special recruitment group of police officers, and maritime police culture can be seen tend to appear low.

      • KCI등재

        조직문화 특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지웅,강민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본 연구는 조직문화 특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 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 특성을 하위 요인으로 발전성, 안정성, 합리성으로 나누어 각각 혁신행동과의 관 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창의적 효능감이 조직문화 특성과 혁신행동 간의 매개를 하는지에 대 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구성원 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 자료 분석 을 위해서 SPSS와 PL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조직문화 특성 중 안정성만이 혁신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유의하게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문화 특성과 종업원의 혁신행동 간의 연구에서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효능감은 조직 문화 특성 (발전성, 안정성, 합리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종업원이 지각하는 조직 내부 안정성 측면의 조직문 화를 형성하는데 역점을 두고 종업원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조직성과 창출을 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은 조직 문화 특성 (발전성, 안정성, 합리성)이 종업원의 창의적 효능감을 높여 종업원의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조직 문화 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 innovation behavior of employees. This study 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to development, stability, and rationality as sub-factors, and conducted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creative efficacy mediat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data collection was targeted to 80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e company, and the SPSS and PLS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only stabi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ful results in a study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innovation behavior of employees. In addition, creative efficacy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development, stability, and rationality) on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We suggest that companies should focus on form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terms of internal stability perceived by employees, and lead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to cre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propose that companies should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ment, stability, rationality) increase the creative efficacy of the employees and lead to the innovation behavior of the employees.

      • KCI등재후보

        학교조직문화 유형과 교사의 전문적 수용권의 관계 분석

        이석열,이미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egree of teachers' professional zone of accept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s professional zone of acceptance according to the regular teachers and head of departments. The research target were 214 out of the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loyed within Seou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nd conclusions were found. Upon analyzing whether the individual backgrounds affect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s professional zone of acceptance, the head of departments have a higher perception of reformed culture and group cultures than regular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fluenced teachers' professional zone of acceptance. More specifically, national culture and reform culture have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professional zone of acceptance. 이 연구는 학교조직 문화 유형이 교사의 전문적 수용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학교조직문화 유형과 교사의 전문적 수용권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았고,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라서 학교조직문화 유형과 전문적 수용권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조직문화 유형이 교사의 전문적 수용권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시내 소재하는 초등학교 각각 12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에서 2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조직문화는 위계문화가 높았고, 교사들은 전문적인 영역에서 내용에 따라 수용 정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학교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혁신문화와 집단문화에 대해 평교사보다 부장교사들이 더 높게 인식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혁신문화와 집단문화가 교사의 전문적 수용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 KCI등재

        조직문화와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의 인과관계에 대한 다수준분석

        김주섭 ( Ju Seob Kim ),박재춘 ( Jae Choon Park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조직수준에서의 조직문화 유형이 최근에 조명되고 있는 긍정적 조직행동인 긍정심리자본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간 블랙박스(black box), 즉 매개변수로서 긍정심리자본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비영리조직인 대학의 직원을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활용하여 다수준(multi-level)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으로 조직문화 유형의 영향에 있어서는 조직문화 유형중 관계 문화와 합리문화가 개인수준의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보였다. 그러나 혁신문화는 긍정 심리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는 관계문화와 위계문화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에 대한 결과는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은 관계문화와 조직몰입간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토의 및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PsyCa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OC)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597 employees of 31 university/college in KOREA. The main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was positively significant on PsyCap, but adhocracy culture was nega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clan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C.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culture(adhocracy culture) and OC did not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PsyCap was positively related to OC. Finally, PsyCap acted a part mediator between clan culture and OC. But another culture types was no mediating effect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OC. In conclus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facilitating furth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ulture type and OC in university/college. Also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because of overcoming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using HLM. In particular, this review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 for futu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