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학부모 진로교육 내용체계 개발

        정진철,이현민,이영광,양인준,이승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3

        이 연구는 학부모 진로교육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부모 진로교육 관련 문헌 분석과 더불어 진로전담교사와 유관기관 업무 수행자를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진행하여 학부모 진로정보 내용 체계(안)를 구성하였으며, 총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학부모 진로정보 내용 체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진로교육 영역은 자녀 특성 정보, 직업 정보, 교육 정보, 학부모 진로 지도 정보 등 총 4개로 구분된다. 둘째, 학부모 진로교육 항목은 자녀발달 및 진로발달 특성, 자녀 진로 및 직업역량, 직업 정보는 미래사회 및 직업세계 변화, 산업·직업 및 자격, 교육정보는 교육활동 및 학습방법, 교육기관 및 취업지원 기관, 교육 법·제도 및 계획·사업, 학부모 진로지도 정보는 부모 진로지도 태도, 부모 진로지도 기술 등 총 9개로 세분화된다. 셋째, 개별 항목은 총 19개의 내용과 41개의 세부 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도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진로교육 내용체계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학부모 진로교육을 통한 인식 및 활용이 자녀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셋째, 학부모 진로교육 제공 시, 지식 제공보다 지식을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학부모 역할 증가와 민주적 교육발전의 길 그리고 학부모 학문전략 - 교육시민에 대한 지원 전략 -

        이종각(Lee, Jong-Ga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고는 학부모의 교육시민적 역할 강화를 위한 전략을 논의한다. 이 논의는 후기관료주의시대에 학부모역할 증가가 시대적 흐름일 뿐만 아니라 향후 민주적 교육발전의 길로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교육의 상대적 낙후성 문제로 학부모의 불신과 불만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학부모는 비난 받고, 소외되는 ‘존재감 없음’의 상태에 처해 있다. 존재감 없음의 상태는 학부모를 피동적으로 ‘말해지는 존재’로 남겨지게 만들고, 나아가 학부모가 주체적 역할을 정상적으로 할 수가 없게 한다. 이에 대한 심층원인을 학부모의 ‘낮은 담론적 지위’로 진단하고 그 대응 전략을 2가지로 논의한다. 리브랜딩과 학문전략이다. 먼저 인정투쟁을 위한 리브랜딩으로 ‘학부모 즉 교육시민’을 제안하고, 그 장점을 논의한다. 둘째로 학부모 학문전략은 크게 ➀ 학부모를 새롭게 질문하고 바로알기: 가치재산정, ② 리브랜딩을 통한 인정투쟁과 학부모의 존재감 확보 ③ 학부모 적대적 교육문화에 대한 분석과 저항 ④ 학부모 입장에서 교육보기와 ‘말하는 학부모’로의 전환 등 4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학부모 학문전략은 단순히 학부모 역할강화를 추구하는 것이 이상의 확장적 의미가 있다. 지속가능한 민주적 교육발전 모형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과 정부는 교원과 학부모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면서 중재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paper discusses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parents educational civic roles. This discussion is significant because the increase in the parental role in the post-bureaucratic era is not only a trend of the times, but is also connected to the path of future democratic education development.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espite the high level of distrust and dissatisfaction among parents due to the relative backwardness of education, parents are in a state of non-existence , where they are criticized and marginalized. The state of non-existence leaves parents passively spoken beings , and furthermore, the parents are unable to play an active role normally. The in-depth cause of this is diagnosed as the low discursive status of parents , and the counter strategy is discussed in two ways: 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y. First, as a rebranding for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parents, that is, educational citizens’ are proposed and the merits are discussed. Second, the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are largely ➀ Asking parents anew and getting to know them rightly: reevaluating the value of parents, ② Struggle for recognition through rebranding and securing the significance of parents ③ Analysis and resistance to the hostile culture towards parents ④ Viewing education from a parent’s point of view and the transition to a speaking parent . The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have expanded meanings beyond simply pursuing the reinforcement of parental roles. They emphasize that they are pursuing a sustainable and democratic educational development model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mediating role while maintaining neutrality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 KCI등재후보

        자녀의 학교유형별 기독학부모 교육의식 분석과 기독교교육적 제언

        함영주 ( Ham Young Ju )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학교 유형별 기독학부모의 교육의식을 분석하고 그에 근거하여 자녀교육과 관련된 기독교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부모자녀 관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자녀의 교육과 진로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 기독학부모의 교육의식을 살펴보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독학 부모의 교육의식 중, 특별히 자녀의 학교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녀를 기독교대안학교, 기독교사립학교, 국공립학교에 보낸 학부모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대안학교를 선택한 학부모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기독교적 가치에 근거한 교육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에 있어서 기독교대안학교를 선택한 학부모가 기독교사립학교 및 국공립학교를 선택한 학부모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부모가 느끼는 자녀학교에서의 신앙교육만족도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학부모 교육을 위한 신앙교육생태체계가 부모의 신앙성숙도와 자녀신앙교육의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섯 가지 기독교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의 입시위주 교육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선택에 있어서 학부모의 성경적 가치관이 중요하므로 학부모 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셋째, 학부모 신앙교육의 플렛폼으로서의 교회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다음세대 자녀의 성경적 가치관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교회의 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다섯째, 기독교학교들은 성경적 가치관 교육을 더욱 철저히 시켜서 학부모와 학생들의 신앙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sciousness of Christian parents according to their child’s school types and to make a Christian educational suggest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arents' role in th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educational consciousness of Christian parent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e educational consciousness of the Christian parents influences their school choice for their chil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242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Christian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and public school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choosing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was due to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values. Second, parents who selecte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parents' school satisfaction than parents who selected Christian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public school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aith education affects the school satisfaction. Fourth, the ecological system of faith education for parents' education affected the faith maturity of parents and the awareness of children's faith 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made five Christian educational suggestions.

      • KCI등재

        부모발달단계에 따른 기독학부모교육과정 연구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raditionally,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a Christian teacher teaches for Christian students. However, since an important main agent of Christian education is parents according to the biblical approach, curricula for Christian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through which Christian parents can nurture their children on the basis of Christian viewpoints should be central in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in this country where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emphasized, a curriculum is necessary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specifically, rather than for Christian parents in genera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that helps Christian parents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practice their own role as Christian parent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the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depen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parent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age and stages of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arents proposed by Galinsky,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parents’ relationship structures, including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eir own self, their spouse, and their children, with education/study, with schools, teachers, and other parents, and with God's Kingdom. 전통적으로 기독교교육에서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내용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주체가 부모이고, 부모가 자녀를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잘 양육할 수 있도록 부모를 세우는 부모교육과정은 기독교교육과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욱이 자녀의 학업이 중요시되는 이 사회 속에서는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건강하게 감당하도록 돕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그들을 기독교학부모의 정체성을 지니고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세우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은 어떤 연령대의 자녀를 둔 부모인가에 따라 그 내용과 성격이 다를 수밖에 없다. 자녀의 발달에 따라 부모도 발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하는 자녀들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부모발달단계에 맞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이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갈린스키의 부모발달단계에 근거한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을 제시하되, 기독학부모의 관계구조, 즉, 하나님, 자신, 자녀, 교육(학업), 가족(배우자), 학교(교사), 다른 학부모, 하나님 나라와의 관계에 비추어 교육내용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왜 학부모는 교육주체로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나?: 학부모의 지위와 역할의 재검토

        김장중 한국학부모학회 2017 학부모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inhibit the exercise of parental education subjectivity and why parents have difficulties in fulfill their educational rol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educational system and its actual situation were analysed and philosoph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were reviewed.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arents themselves,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s, but the root cause is the monopoly, centralized and closed operation of the education of the N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 of the school in the educational structure center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school principal and the teacher's leadership. The N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operate the education openly and respect independent decision-making of the school commun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tatus, role, rights and duties of parents. The school principals should encourage spontaneous and active engagement of parents, and actively support parental organizations. The teachers should foste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by respecting parents and creating a relaxed atmosphere.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tus as an educational subject and to fulfill its role, parents also should increase self-awareness and exercise their subjectivity. They should change their roles from the assistants of school to the learning subjects and from the educational demanders to the guardians of education. Parents should be the subject of educational reform that drives change and innovation. 이 연구는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발휘 저해 요인과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도와 실태 분석, 철학적 사유와 사회․문화적 진단을 하였다. 학부모 자체의 한계나 역사와 문화적 전통에도 일부 문제가 있지만, 근본 원인은 국가와 교육청이 교육을 독점하여 중앙집권적이고 폐쇄적으로 운영하는데 있다. 입시위주교육 구조에서 학교가 갖는 한계 및 학교장과 교사의 마인드와 리더십의 문제도 확인되었다. 국가와 교육청은 개방적으로 교육을 운영하고, 학교공동체에 주체적 결정권을 위임해야 한다. 나아가 입법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학부모의 지위와 역할, 권리와 의무, 활동 영역을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학교장은 학부모의 자발성과 능동성을 촉진하고 학부모조직 육성을 적극 지원하며, 교사는 학부모를 존중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소통과 협력 관계를 보다 긴밀하게 유지해야 할 것이다. 학부모가 교육주체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원활하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기의식이 높아지고 주체성을 제대로 발휘해야 한다. 교육의 조력자에서 학습하는 부모로, 교육수요자를 넘어 ‘교육수호자’로, 변화와 혁신을 추동하는 교육 개혁의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와 부담감의 관계: 사교육 투자의 매개효과

        임성택,어성민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substantial factors of parents’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entrustment motivation, and competitive motivation)to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for their children, and parents’ psychological burden(PPB), and their’ investment of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for their children(PIPEC).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parents who had a child/children enrolled in the middle school(N=744).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showed that intrinsic, extrinsic and competitive motivation fact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arents’ investment of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for their children. However, entrustment motivation factor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IPEC. Extrinsic and competitive motivation fact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arents’ psychological burden. In contrast, intrinsic motiva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f parents’ psychological burden. Entrustment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PB. Only extrinsic motivation has an indirect effect in parents’ psychological burden with PIPEC as a mediato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education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who might be concerned with Korean parents. 본 연구는 학부모의 사교육 부담감에 대한 사교육 동기의 설명효과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의 네 요인을 외생변인으로, 학부모의 사교육 투자를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학부모의 사교육 부담감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자녀를 사교육에 참여시켜 본 경험이 있는 강원지역 중학생의 학부모 744명이었다. 자료는 Lisrel 8.30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 중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경쟁적 동기는 학부모의 사교육 투자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위탁 동기는 의의 있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학부모의 사교육 투자는 그들의 사교육 부담감과 의의 있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 중 외재적 동기, 경쟁적 동기는 학부모의 사교육 부담감에 직접적인 정적 관련성을 보인 반면, 내재적 동기는 직접적인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위탁 동기는 사교육 부담감에 대해 의의 있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부모의 사교육 투자는 학부모의 외재적 동기와 사교육 부담감의 관계만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효과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가 학부모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연구자와 교육정책결정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한선관,김수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관한 내용이다. 일반 학부모 273명과 SW관련 행사에 참여한 74명의 학부모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학부모가 인식하는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 모두 SW교육 정책과 초등 SW교과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특히, SW관련 행사에 참여한 학부모들이 참여 경험이 없는 학부모보다 SW교육에 대해 더욱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참여 경험이 없는 학부모들도 SW관련 행사가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의 인식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전략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SW교육을 초등정규교과에 포함시키기 위해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관련 행사를 다양하게 실시하고 대국민 홍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ents’ perceptions of policy and needs of the elementary SW education. We surveyed in targeting 273 parents who did not participate living in big and small cities and 74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olicy and the need of the SW education of the groups. Analysis showed that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s were considered to be positive about education than parents who non-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s. They who 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s also recognized that the SW education needs for the child’ s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lude the SW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education, we have to conduct a variety of SW-related events aimed at parents. And we could see the effort required for the promotion of the general public people.

      • KCI등재

        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전세경,어성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al experience and needs in parenting programs conducted at the elementary school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arenting education related to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798 parents from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at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were recruited by employing the systematic clustering sampling technique, and answered the self-reported-survey instrument. Only a half of parents had participated at the parenting education of their children's elementary schools. The topics in the education programs they experienced were limited and not customized, and instructed through the traditional lecture at the most of the time, expressing the dissatisfaction on their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The parents expressed various needs in parenting education both related to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 general, in terms of contents and administr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ighlighted that parental desires to be an able parent was high but they depended on the non professional informational resources such as friends or internet. Also, parental needs in the contents were integrated into the two major spheres, 'healthy life habits' and 'good personality and abilities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s.' The parents valued both grand topics and also,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such as mother was working outside at home and/or occupational demand, the levels of needs expression varied. To fill in the gaps of parental needs and current practices in parenting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authors of this study suggested to sensitize in the various parental needs, to aware the parenting education as the fundamental needs among the parents, and to provide customized at the various parental needs and high quality contents through the parenting academy by organizing community networks. 본 연구는 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자료 수집을 위한 탐색적 성격의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확률표집에 의거 798명의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참가자들이 경험한 학부모교육의 실태와 교육적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학교에서의 부모교육에 참가한 경험은 절반 이하였으며, 이들이 경험한 교육주제도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관계, 성폭력 예방교육 등 실천적 기술과 밀접한 주제들도 강의 위주의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대부분 또래학부모와 친구 혹은 인터넷 등의 비전문적이고도 부정확한 정보원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들은 건강한 가정생활관련 부모교육이나 일반적인 부모교육에 대해 모두 강한 필요성과 요구를 갖고 있었다. 한편, 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 주제로서 어떠한 내용을 원하는가에 대해 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건강한 생활습관’ 그리고 ‘품성과 대인관계’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학부모들은 이 두 가지 영역에 대한 높은 요구를 피력하였고, 특히 이들의 요구수준은 학부모의 직업 그리고 근무상황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길이, 운영시간에 대한 요구도 학부모의 상황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고, 강의 위주의 교육 보다는 실제 생활에 실천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을 원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가정생활교육관련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첫째, 학부모들의 다양한 요구에 민감할 것, 둘째, 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은 우리사회의 보편적 서비스가 되어야 함, 셋째, 학부모의 상황과 요구에 민감한 맞춤형 교육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용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부모의 교육주체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기획

        김기수 한국학부모학회 2017 학부모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parents education program to make subjective parents in school education. Firstly, I clarified the meaning of ‘parents are subjects of education’, and suggested the reason why parents are subjects of education. Secondly, I examined strategies and methods to make subjective parents, and I suggested parents education program as s strategy to make subjective parents. Thirdly, I examined existing parents education programs, analyzed problems have been inherent in the programs. The limits of existing programs are that they regarded parents as the objective of education, not the subjective of it. Fourthly, I suggested a design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to make parents the subjective and active person on school education. The design includes the program manager, purpose of the program, readiness and plan of the program, and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ect. 이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틀을 기획하는 것이다. 먼저 학부모가 교육의 주체라는 말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 학부모가 교육의 주체인 이유를 밝혔다. 이어서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우기 위한 전략과 방법들을 검토하고, 그 전략의 하나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들을 검토하면서, 그 프로그램에 내재된 문제를 분석하였다. 그것들은 대개 학부모를 교육의 대상으로 보고 있고, 교육의 주체로 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가 교육의 주체로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주체, 목적, 준비와 계획, 운영과 평가 등에 관한 아이디어를 담아서, 학부모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틀을 시론적으로 구상하였다.

      • KCI등재

        건강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정인경(Jung, In-kyung),전세경(Jeon, Se-ky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학교 학부모교육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건강가정생활과 관련된 주제의 학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해봄으로써 효과적인 학부모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초,중,고등학교의 학부 모교육 담당교사이며 대전광역시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총 292개 학교에 공문과 함께 이메일로 설문 지를 전달하여 회수된 132부 중 총 12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주로 학교 자체적으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고등학교에서는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주제 선정에는 학교운영자와의 협의 또는 학부모 요구도 결과를 반영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부모교육 운영에서 학부모의 관심 저조와 홍보의 어려움을 애로사항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사대상 교사들은 참여한 학부모들의 교육 만족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학부모교육으로서 자녀들을 위한 건강가정 생활 주제의 교육적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교육내용은 자녀교육에 대한 바른 가치관 함양, 자녀와의 의사소통방법, 자녀가 타인에 대한 배려심으로 갈등과 화를 잘 다스리도록 교육하는 방법 등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자녀의 가정생활역량 중 신체관 리기술이나 시간활용기술, 합리적 소비기술 등의 자원환경 관리교육이었다. 향후 건강가정생활 주제 학부모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특강 보다는 토론이나 실천적 실습을 통한 교육이 요구되며, 학부모와 학부모교육 운영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의견과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며,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도 다양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icient program and guideline of parenting education related to family lif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operating status of school based parenting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129 teachers from 29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t Deajeon metropolitan were participated with help of office of education. Most of schools conducted self-operating program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frequently was held. The topic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ere determined by needs of parents and opinion of principal. Many teachers often have difficulties for activating parent concern and public relations, but they thought that parents were satisfied with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he teachers perceived that parenting education related healthy family life is very necessary and helpful to strengthen family life empowerment. Also educational needs in the contents such as ‘educational view of child’ and ‘good personality and abilities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s’ were high whereas ‘management skills for time, consumption, and environment’ were low. They also requested for more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esired that the education should comprise how will be helpful in a real lif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mmunity and school should reflected the fundamental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provide th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parenting education related healthy family life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