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효의식의 매개효과-

        박균달 ( Park Gyun-dal ),곽종형 ( Kwak Jong-hy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2 사회복지경영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효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일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 효의식,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으며, 매개변인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사회적 관계, 학습태도, 생활태도, 운동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사회적 관계, 학습태도, 생활태도, 운동능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이 높아질수록 효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는 것이 검증되었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사회적 관계, 학습태도, 생활태도, 운동능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효의식이 높았다. 셋째, 효의식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효의식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아졌다. 넷째,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개인적 특성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효의식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효의식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효의식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plan to increase school life satisfaction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hyo thoughts in the process in which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thoughts of hyo,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verified. All hypotheses set in this study were adopted, and the mediating variables were verifi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social relations, learning attitude, life attitude, and motor skills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rectly affect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leve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relationship, learning attitude, life attitude, motor ability) of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influence on the thoughts of hyo. The higher the leve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relationship, learning attitude, life attitude, motor ability) of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hyo thought.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hyo thought, the higher the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hyo though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ourth, it was verified that the idea of hyo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although hyo thoughts affect school life satisfaction, hyo thoughts also affect schoo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교 폭력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석,김재운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은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학교폭력태도는 낮고, 학교생활만족도는 뚜렷하게 높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정도(시간·빈도·기간)에 따른 학교폭력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교외대회 학교대표 경험이 있는 집단이 비경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학교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주관적 운동능력이 좋을수록 학교폭력태도 점수는 낮고, 학교생활만족도는 뚜렷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학교폭력태도를 낮추고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on their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irst, the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had effects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s. That is, about 1.5 times more boys than girls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s. Second,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 displayed lower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clearly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epending on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hours, frequency, and duration). Fourth, the group that had experience of joining in an outsid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as representatives of their school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group that did no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as the subjects displayed better subjective exercise ability, they showed lower scores in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clearly higher scores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 KCI등재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김두환(Kim Doo-Hwan),김지혜(Kim Ji-hye)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4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의 학교에 대한 사회 심리적 적응의 정도를 나타내며, 교육적ㆍ규범적 적응과 더불어 학생의 발달 및 학교생활의 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다시 말해 학교는 지식을 전달하고 인적자본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곳일 뿐만 아니라 학창시절과 그 이후의 삶에 기초가 되는 사회적 관계들이 형성되는 장이라는 점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은 학생의 학업능력 및 행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내용에 따라 학교에 대한 소속감 및 정서적 안정감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학교생활의 만족수준을 높이는데 결정적 기여를 할 것이라 본다. 이러한 가정 위에서 학생들이 가정 및 학교를 중심으로 부모ㆍ친구ㆍ교사와 맺는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추가 표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 2007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등학교 유형의 계층적 분화가 결과하고 있는 학교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기본적 차이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고려한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나 친구관계 변수들과 달리 교사와의 관계 변수는 다른 통제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반고와 비교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했던 특목고의 통계적 유의성을 사라지게 했다. 더구나 특목고의 일반고 대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여는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달려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일반고에 비해 전문계고는 본 연구가 고려하는 사회적 관계 변수와 모든 통제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한 후에도 학교생활만족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생활만족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달리 학생을 둘러싼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들, 즉 부모ㆍ친구ㆍ교사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많은 사회학적 연구들이 검증해온 이들 사회적 관계의 영향이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있다. Research has shown that students satisfied with school life ten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 delinquent behaviors or disciplinary problems. When we consider school as a sphere for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skills and forming social relations which would influence students during their whole lifetime as well as school lif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relations surrounding students in home or school, which shap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e hypothesized that students could be more content with their school life when they have better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o control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 differentiated by horizontal stratifi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we analyzed 2007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on high school seniors from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SPHS), General High Schools (GH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VHS). The findings indicate that better social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re contributing to increas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hen we take into account student-teacher relations only, the advantage of SPHS which shapes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has been disappeared. Interestingly, such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than GHS is depending on student-teacher relations. However, even after we take into account other control variables as well as students’ social relations, VHS lower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The implication of our findings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different types of schools from the soci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고교생의 진로발달,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구조적 관계

        조명희,이혜연,이현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al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identify the impact of the longitudinal change such as career development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achievement.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685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first grade in 2008 for three years, which is part of the Youth Panel(YP2007)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three year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2)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career develop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chievement, but only the initial valu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hievement; 3) career development had a direct impact on the achievement as well as an indirect impact through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impact of career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 longitudinal approach.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적인 구조관계를 규명하고, 진로발달이라는 종단적 변화가 학습자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학년의 변화에 따른 진로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의 변화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YP2007)데이터 중 2008년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685명의 데이터를 3년간 추적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진로발달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별잠재성장모형과 이러한 변화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3년 동안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발달 초기치와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교생활만족도는 초기치만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진로발달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만족도를 통해 간접접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만족도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잘 이루어진 진로발달은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생활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고, 학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생활만족도와 동적학교생활화 반응특성의 관련성 연구 - 일반초등학교와 분교를 중심으로 -

        최외선,김유경,김미향,정수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1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and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SD according to a general elementary school, its branch school and background variations such as sex distinction, school grades, school type. The study subject is 238 school children in 3th․4th․5th․6th grade, who attend in 1 elementary school, and 6 branch schools in Jeju city. For them, the questionnaire method is carried out. Among the whole questionnaires returned by the children, except of 7 questionnaires which are not filled in fully, 231 questionnaires are analyzed. The research work is carried out from April 23, 2009 to May 22, 2009. One researcher who is in Ph.D. course of Department of Art Therapy carries out questionnaire method on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and KSD test. The data materials are analyzed by SPSS(ver 14.0 for Windows). And by the program t-test and ANOVA are carried out, and Scheffé test is carried out as a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degree perceived by school childre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and branch school is more than the average level. Secondly, 'School·Class surroundings', 'Study activity', 'School·Class ev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of girl stud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boy students. Thirdly, in case of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SD, boy students have more aggression, interest on sexual matters, school problems than girl students. And Support/Acceptance of gir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Fourthly, the higher school·class surrounding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are, the lower the interest on sexual matters is. This study gives a suggestion that KSD is a device to diagnose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본 연구는 일반교와 분교, 배경변인(성별, 학년, 학교형태)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와 동적학교생활화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도내 일반초등학교 1개교와 분교 6개교에 재학 중인 3ㆍ4ㆍ5ㆍ6학년 아동 238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이들 자료 중 기재가 미비한 7부를 제외한 231부만을 분석하였다. 검사 날짜는 2009년 4월 23일부터 5월 22일까지이며, 미술치료학과 박사수료생 1인이 학교생활만족도 설문조사와 동적학교생활화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을 사용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와 분교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생활만족도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학급환경’, ‘학습활동’, ‘학교·학급행사’,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동적학교생활화 반응특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공격성, 성적인 관심, 학교문제가 더 많고, 지지/수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학교․학급환경,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적인 관심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적학교생활화가 학교생활만족도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학교폭력 및 사이버불링 피해 간의 구조적 관계

        김은주,정명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violence damage on the cyberbullying damage to high school studen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data in‘Investigation on hunan status of children and youth in 2013’was used which was selected from data of NTPI cross-sectional survey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for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bjects that made sincere replies to the major variables, and 3,38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bjects.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 by AMOS 18.0 program.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life satisfaction has direct effect on the school violence damages. Second, school violence damages have direct effect on the cyberbullying damage. Third, school life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school violence damages have indirect effect on cyberbullying damag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a hub body of seamless support of families and communities with the various efforts of the school to solv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nd cyberbullying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를 매개로 학교생활만족도가 사이버불링 피해에 미치는 직, 간접효과를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효과적인 학교생활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의 피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2013년 한국청소년인권실태조사’ 의 통계자료 중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모형에서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학교폭력 피해 각각의 변수들이 사이버불링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제 자료와 적합한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교폭력 피해가 고등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에 미치는 효과 중 학교폭력 피해의 직접적인 영향이 학교생활만족도의 직접적인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폭력 피해를 매개로 사이버불링 피해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생활만족도 증진과 학교폭력 예방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학교생활에 대한 불만족이 사이버불링 피해를 직접적으로 야기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학교생활에 대한 불만족은 학교폭력 피해를 야기시키고, 학교폭력 피해는 제도권 밖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사이버상 폭력의 하나인 사이버불링 피해를 야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고 학교폭력 및 사이버불링 피해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의 다각적인 노력과 함께 원활한 지역사회의 지원을 위한 허브기관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대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신체대화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Joo-Hyun Lee),최지영(Ji-Young Choi)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신체격 자아개념과 신체대화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분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넘, 신체대화,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넘과 신체대화는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신체적 자아개넘과 신체대화의 효과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대전의 4년제 대학 학부생 267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아개념, 신체대화,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신체적 자아개념과 신체대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아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대화와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아개념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신체대화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자아개념은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요인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대화는 정서적적응, 신체적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신체적 자아개념과 신체대화의 전반적 효과는 남학생이 더 컸으나, 하위요인별로는 남녀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이 긍정적일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신체대화를 많이 할수록 학교생활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신체에 대한 긍정적 대화를 촉진시키는 교육환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to analyze in which degrees the university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and fat-talk really affect upon school life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67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ree four-year universities in Daejeon Cit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ly, in the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 and fat-talk upon school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lf-concept had a positive effect upon school life satisfaction but the fat-talk has a negative effect upon it, and the physical self-concept had positive effect upon all sub-factors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but the fat-talk had negative effect upon the emotional adaptation, the physical adaptation, and the affection to the university. Secondly, in the overall effects of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the fat-talk up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male students had greater effect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however in sub-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s and the females. This research suggest that when a university student has a higher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he or she has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if he or she was used to do more frequently the fat-talk, that is a negative conversation concerning physical body, he or she had lower school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positively change the physical self-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create the environment that promotes positive conversation rather than negative conversations about physical body.

      • KCI등재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유미현,조성신,여상인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with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conducted to 76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125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t the general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little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 than the general students' (p<.05). The score of gifted clas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 score of gifted clas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ifted education institute students' (p<.05). Third,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 of gifted students in a gifted cla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 general class (p<.05). Forth, regarding the gifted students'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Regarding the grades of the gifted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th and 6th grader (p>.0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 영재학급 영재학생, 영재교육원 영재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영재학생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느끼는 학교생활만족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영재학생 76명, 초등 일반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급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재교육원 영재학생, 일반학급 학생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이 다른 영재학생의 소속 영재교육기관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학급의 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영재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생활만족도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영재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는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 KCI등재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장애인스포츠 프로그램 참여가 일탈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심태영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프로그램 참여가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일탈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A 시의 B 중학교에 재학 중이며, 학교부적응 학생으로 선별되어 상담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Wee센터에 의뢰된 남녀 중학생들이다. 집단 구성은 장애인스포츠의 참여집단 12명과 집단상담의 비교집단 11명으로 총 23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장애인스포츠 프로그램은 패럴림픽의 5개 종목으로 구성하였으며, 10주 동안 매주 3회,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 평균비교를 위해 측정된 사전 값을 공변인 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장애인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후 일탈 행동 하위요인 중 비사회적 행동과 일탈행동 총점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만족도 하위 요인 중 교우관계와 학교생활, 그리고 학교생활만족도 총점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지원 서비스의 방안으로 장애인스포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sports programs for the disabled on their deviant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tudents attending B Middle School in A city and selection was made of male and female school maladjusted students commissioned to the Wee Center for counseling and support. A total of 2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12 students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sports for the disabled and 11 students in the group counseling comparative group. The sports program for the disabled consisted of five Paralympic sport events, which were conducted for sixty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ten weeks.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5.0 has been used data processing and covariance analyses with the advance values of measurements as covariates to compare the averag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school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ports program for the disabled, of the subfactors of deviant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otal scores of nonsocial behaviors and deviant behaviors and of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total scores of peer relationships, school lif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such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iant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ese results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sports for the disabled as a method of providing support services to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KCI등재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룡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용인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남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거한 설 문지 중 응답치나 응답이 이상치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37부를 제외한 총 313부의 자료를 본 조사의 데이터 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 Ver.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 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고등학생의 학 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만족도는 관계가 있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학교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학교생활적응에서 교사적응, 교우적응과 학교생활만족도 의 교우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school sports clubs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middle and high school boys in Yongin, Gyeonggi - do.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31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data of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 WIN Program Ver.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First,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re related. Second,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ffects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the participation of school sports club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adaptation, schoo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