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지갈등 상황에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나타내는 증발과 응축에 관한 인식

        여상인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ategorize the con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na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concepts of evaluation and condensation, which occur in our daily lives. The study further attempts to determine the difficulties that they may have in understanding these concepts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their understanding of phenomena related these concepts. To this purpose, an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78 students of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42 elementary teacher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evaluation and condens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imilar. Most of them did not hold the concept of saturated vapor and ha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conversation at equilibrium and below boiling point. And they revealed various private perceptions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in cognitive conflict situation. The findings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references for elementary teacher preparation and reeducation. 본 연구는 인지 갈등을 많이 유발하는 증발과 응축 현상에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가 나타내는 증발과 응축의 개념을 조사하고, 이들 개념의 이해 수준을 평가할 목적으로 78명의 교육대학교 학생과 42명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증발과 응축에 대한 개념의 이해 수준은 비슷하였으나, 공기 중의 수증기의 포화 상태와 포화 수증기량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끓는점과 끓는점 아래에서의 수증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갈등을 유발하는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개인적인 다양한 대안 개념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교육적 시사점은 교사 양성과 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 유용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과학 영재를 위한 캠프 운영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준거

        여상인,노석구,강호감,이희순,홍석인,송상헌,정동권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본 연구는 영재 프로그램과 그 운영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판단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 준거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과학캠프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유익성, 영재캠프 운영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캠프에 참가한 학생과 그 학부모에게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영재 캠프에 참가한 학생은 직접 참여할 수 있으면서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활동에 흥미를 느꼈고, 놀이 요소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많이 선호하였다. 학생들이 모르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 지식이나 원리를 배웠다고 인식하는 경우, 유익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였다. 과학 영재 캠프의 운영에 있어서 많은 학생이 방학 중에 1주일 정도의 기간으로 합숙하는 프로그램 운영 방식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캠프 활동 프로그램과 운영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criteria and basic data to evaluat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program for gifted children in science. To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interest and usefulness for camp activities was administered to the gifted children registered to science camp. By analyzing their responses, we could conclude that the gifted children thought the activities, which stimulating their curiosity 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o be interesting to them. They preferred the activities like a play or a game and considered that a useful activities should have something worth-learning. They and their parents preferred to stay in a camp for a week. Based on this research,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about academic camp program for gifted children in science.

      • KCI등재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여상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역할에 대한 은유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167명의 예비 초등교사에게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은유해 보도록 하는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가 지닌 교수유형 빈도를 분석한 결과 교사 중심의 교수유형의 비율(66.5%)이 학생 중심의 교수유형의 비율(33.5%)보다 높았다. 둘째, 교수유형별 은유에서 드러난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이라는 교수신념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 중심의 교수유형인 전문가, 권위자, 역할 모델 유형에서 초등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과학지식에 대해 잘 이해하고, 학습자에게 정확한 과학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수업 기술에 대한 전문성이 있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 그리고 교사는 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수업 준비를 완벽하게 해야 하며,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을 보였다. 그리고 학생 중심의 교수유형인 촉진자와 위임자 유형에서는 학생들이 탐구활동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기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과 교사는 최소한의 조력자 역할만 하고 학생 스스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을 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유형별 초등 예비교사의 내적 신념을 고려하여 초등 예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생 중심 교수유형 신념을 강화하거나 예비교사의 개별적 교수유형에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지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화학Ⅰ’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위계 관계의 적절성 분석

        여상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6 현장과학교육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화학Ⅰ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에 제시된 내용 진술의 개념 위계 관계의 적절성과 교육과정 내용이 화학Ⅰ 교과서에 어떻게 진술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9 개정 화학Ⅰ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 그리고 4종의 화학Ⅰ 교과서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소 분석과 몰’, ‘원자의 구성 입자 및 원소의 기원’, ‘전자 배치, 유효 핵전하’, ‘화학 결합의 종류와 그 물질의 성질’, ‘산화∙환원 반응에서의 전지 이동과 산화수’라는 내용 요소에서 개념 위계 관계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하기 않은 개념이 다수 도입되어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해설의 내용이 지나치게 구체적인 경우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과정 내용이 경직되게 표현되어 있었고, 교과서 집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한 내용 선정, 교사의 교수 순서, 논리성 등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hierarchical relations of the concepts proposed in ‘chemistryⅠ’ curriculum and its commentary, and contents described in ‘chemistryⅠ’ textbooks. The analysed materials in this study were 2009 revised-‘chemistryⅠ’ curriculum, its commentary, and four ‘chemistryⅠ’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combustion analysis and mole’, ‘particle structure of the atom’ and ‘origin of element’, ‘electron configuration, effective nuclear charge’, ‘chemical bonding and property of substance’, and ‘electron transfer and oxidation number’ were not appropriate in conceptual hierarchy. Second, a lot of concepts not considered of the level of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introduced in curriculum and textbooks. Third, descriptions of curriculum commentary were very specific detail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ing the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the sequence of teaching, and logicality of concepts was necessary in new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학력과 인지적 언어 능력 및 그 상관

        여상인,김희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bility in science and cognitive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gender, and their correlation. To this study, above two tests were conducted to 600 elementary students, and 496 students of them were analyzed. The test of academic ability in science was classified for lower students (1~3 grades) and upper students (4~6 grades), which consisted of scientific knowledge, process skill, and inquiry context. The reliability (Cronbach α) of each test showed 0.7581 in lower students and 0.7831 in upper students. Also the reliability of cognitive language ability test was 0.778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bility in science according to gender except 3rd grad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gender. Third, in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bility in science and cognitive language ability, it showed low coefficient in lower students and high coefficient in upper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료해석 능력 비교 분석

        여상인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7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구온난화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식과 자료해석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과학영재 32명과 일반학생 45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매연, 이산화탄소, 배기가스 등을 지구온난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은 서로 다른 비과학적 개념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빙하, 해수면 상승을 공통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전문적인 과학 개념을 더 가지고 있었다. 셋째, 자료해석 능력에서는 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료를 세밀하게 관찰하여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 비교

        여상인,백은주 국제과학영재학회 2007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science and general students. To this study,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designed by Moon(1999) wasconducted to 111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418 students of genera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average in the sectionII (emotionalfacilitation of thinking) and in the sectionIII (understanding and analyzing emotion), while general studentsshowed the highest average in the sectionI (empathy). This presented that the gifted students were inthe higher level of meta-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regarding the gender of the gifted, there was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But the gifted boys seemed to be higherlevel than general boy studen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emotional intelligence of female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영재의 성격특성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여상인,김영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의 성격특성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초등학교 과학영재 17명을 대상으로 성격특성검사와 협동학습 태도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중에 교사에 의한 관찰, 동료에 의한 상호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 성격특성에서 대부분의 초등과학영재는 정서적 안정성, 지적 성취성, 유순성, 외향성, 성실성에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영재 학생들은 협동학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고, 협동학습에서 구성원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하였다. 특히, 원격교육과 주말교육의 협동학습에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는 과학영재는 세부적인 성격특성에서 탐구성, 성취성, 순응성에서는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공격성, 불안수준, 자기주장, 자제력에서는 점수가 낮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 적용된 웹에서의 상호작용이 첨가된 협동학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study, a personality test, class observation, and peer evaluation were administered to 17 gifted students attending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a university. As for the result, most of the gifted in science showed high levels of extroversion, sincerity, emotional stability, intellectual accomplishment, and agreeableness in the ma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lso, they positively interacted with their peers during the cooperative learning. Especially, the gifted students with more active interaction in the distance and weekend education showed stro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xploration, accomplishment, adaptation, while they showed weak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ggressiveness, anxiety, self-assertive, self-control. It suggested the advantages to be acquired from cooperative learning added web-based distance education, as the alternative teaching method, to overcome the limits in the matter of time and space that existed in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