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자흐스탄 듀셈바이지역의 퇴적분기형 연-아연 광화작용에 대한 잠재력 연구

        노상건(Sang-gun No),이승한(Seung-han Lee),박기웅(Ki-woong Park),정현국(Hyeon-guk Jeong),윤지성(Ji-seong Yun),김선옥(Sun-ok Kim),박맹언(Maeng-eon Par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3

        properties, metal index, alteration index and redox-sensitivity are compared with those of SEDEX type deposit. Mineralization is developed along foliation of host rock (graphitic phyllite) and controlled by folds and faults; major ore minerals including pyrite, pyrrhotite, sphalerite, and galena are disseminated or interlayered with finegrained quartz. The margin of the mineralized zone is metamorphosed accompanying sericite and chlorite. Hydrothermal brecciation and Pb-Zn mineralization formed in quartz-calcite stockworks are confirmed at the around of Maytyubin granitoid intrusions. The mineralization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ose of occurrence, paragenesis, chemical composition and isotopic characteristics. Type 1 whose fine-grained pyrite, pyrrhotite and sphalerite are formed in parallel yet discontinuous to well-developed foliations of the host rock; its geochemistry is similar to those of the earlier stage in SEDEX-type mineralization. In case of type 2, the ore minerals of which are concentrated being parallel to a foliation by regional metamorphism, and most of them associated with quartz and muscovite (± biotite) paragenetically. Type 3 is formed in the hydrothermal breccia zone whose ore minerals are controlled by foliation and breccia and developed in quartz ± calcite veins having a form such as stratification, stockwork or veinlets. Host rocks in the mineralized zone indicate homogeneous metamorphic grade and there is no specific alteration zonation. Also, all types (type 1, type 2, and type 3) represent similar REEs pattern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se are originated from a same source. Sulphides occurred in mineralized zone indicate a limited range of sulphur isotope values (type 2, δ 34 S = -13.3 ~ -11.7‰; type 3, δ 34 S = -13.9 ~ -8.2‰), and a result of geothermometry presents different temperature ranges: type 2(251 ± 38 o C ~ 277 ± 40 o C); type 3(360 ± 2 o C to 537 ± 29 o C). It is estimat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metamorphism and Maytyubin granitoid intrus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ernary chart of thorium, scandium, and zircon for discrimination of tectonic setting and redox sensitivity using V/Mo values indicate that hydrothermal sediments put on reduction environment after precipitation, before being affected by metamorphism and intrusion activity. Geochemical data are plotted on a distal trend of SEDEX-type with discrimination plot using SEDEX index. As a result, petrological-geochemical properties demonstrate that Dyusembay Pb-Zn mineralized zone is comparable to distal-type of SEDEX deposit. 카자흐스탄 듀셈바이지역에서 변성퇴적암을 모암으로 발달한 연-아연 광화대가 확인되었다. 이 광화대에서 채취된 암추시료의 암석학적 특징, 변질지수(Alteration Index) 및 광석의 산화-환원 민감도(Redox-sensitive)를 퇴적분기형 (SEDEX-type) 광상과 대비하였다. 광화작용은 습곡과 단층에 의해 규제되며 주로 흑연질천매암의 엽리를 따라 발달 한다. 주요 광석광물은 황철석, 자류철석, 섬아연석 및 방연석이며, 세립질 석영과 함께 산점상 또는 층상으로 발달되어 있다. 광화대의 연변부는 전반적으로 견운모 및 녹니석을 수반하는 광역변성작용의 특징을 보인다. 모암을 관입한 마츄빈 화강암류 인근에서 열수작용에 의한 각력화와 망상의 석영-방해석 맥에 수반되는 연-아연 광화작용이 확인된 다. 광화작용은 광석광물의 산출형태, 공생광물, 화학조성 및 동위원소 특성에 의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광화 제1유형은 엽층리가 잘 발달된 모암 내에 미립의 황철석, 자황철석 및 섬아연석이 엽층리에 평행하게 단속적으로 배태되는 특징을 가지며, 지구화학적 분석결과 퇴적분기형 광화작용의 초기 단계 특징과 유사하다. 광화 제2유형은 광역변성작용에 의해 모암에 형성된 엽리에 평행하게 광석광물이 농집되어 나타나며, 석영 및 백운모(± 흑운모)와 공생 하는 특징을 보인다. 광화 제3유형은 열수각력대 내에 발달하며, 모암의 엽리면과 각력 사이의 열극에 규제되어 층상, 망상 및 세맥상의 형태로 발달하는 특징을 가진다. 듀셈바이 연-아연 광화대의 모암은 유사한 변성정도를 나타내고, 명확한 변질대의 분대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광화 제1유형, 제2유형 및 제3유형 모두 유사한 희토류원소 (REEs) 패턴을 나타내므로 동일한 기원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광화대에서 산출되는 황화광물은 제한된 범위의 황 동위원소 값(제2유형: δ 34 S = -13.9 ~ -8.2‰)을 가지며, 동위원소 지질온도계 적용 결과, 제2유형(T = 251 ± 38 o C)이 각각 다른 온도 범위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모암의 변성작용과 마츄빈 화강암류의 관입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Zr-Sc을 이용한 퇴적환경 분석 및 V/Mo 값을 이용한 산화-환원 민감도 검토 결과, 열수퇴적물은 침전 후 환원환경을 겪었으며 이후 변성작용과 화성암체의 관입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을 지시한다. 또한, 주성분을 이용한 SEDEX 지수를 산출하여 퇴적분기형 광상 판별도에 도시해본 결과 원지성 광화대에 대비된다. 따라서 듀셈바이 연-아연 광화대는 퇴적암을 모암으로 발달하는 층상 퇴적분기형 광상의 원지성 광화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생흔학의 중요성 및 활용

        김종관,전승수,백영숙,장은경,신선자,Kim, Jong-Kwan,Chun, Seung-Soo,Baek, Young-Sook,Chang, Eun-Kyong,Shin, Sun-Ja 한국석유지질학회 2006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12 No.1

        Ichnology is the study of traces made by various organisms, which includes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races, and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process, behavior of organism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based on traces and organism behavior. Ichnofacies, which is defined as the association of several traces related together with substrate characteristics and sedimentary processes, is closely related to depositional environment. Ichnology has been applied to sedimentology (to underst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al environment, sedimentation pattern and event bed), sequence stratigraphy (to recognize sequence boundaries and biostratigraphic discontinuities such as MFS, TSE and RSE), oil exploration (providing of many information without big cost) and palaeocology. Preliminary ichnological study on the Ganghwa intertidal flat shows that dominant ichofacies are changing with season and location, suggesting that their seasonal variation would be a good indicator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 of sedimentary processes, the small- scale change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such units. Ichnology on intertidal flat in western coast of Korea has a great potential to apply its results to petroleum geology as well as sedimentology. 생흔학이란 암석내의 생물들에 의해 만들어진 흔적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그들에 대한 설명, 분류 및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흔의 형태, 생물의 행동 및 기질의 특성을 바탕으로 정리된 생흔구조의 조합인 생흔상은 정밀한 퇴적작용과 퇴적환경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시한다. 생흔학 연구는 퇴적학, 층서학, 석유탐사, 고생물학과 고생태학 등과 같은 퇴적환경학의 전반적인 분야를 연구하는데 다양하게 활용되어져 왔다. 퇴적학 분야에서는 퇴적환경의 물리적인 특성 이해, 퇴적양상에 대한 이해 및 사건층의 인지 등에 직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 층서학에서는 순차층서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요 경계면의 인지 및 생층서학적 불연속면의 경계등을 인지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적은 양의 자료로 퇴적환경을 해석하는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석유탐사분야에서 비용을 절감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이 외에도 화석학적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퇴적환경의 고생태를 복원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강화도 조간대에서 시범적으로 적용된 생흔상 변화는 조간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계절변화가 관찰되었다. 생흔상의 조간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계절변화는 고기퇴적층에서의 계절적 특성, 정밀 퇴적환경, 보존잠재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생 연안환경에 해당되는 한반도 서해안 조간대에서의 생흔에 대한 연구결과는 퇴적학은 물론 석유지질학에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 남서해안 영광군 염산 조간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김여상,이덕성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연구 Vol.3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서해안의 영광군 염산 해안에 발달한 조간대에서의 퇴적상과 퇴적작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조간대로부터 48개의 표층퇴적물 시료가 채취되었고 퇴적구조물들이 조사되었다. 연구지역의 조간대는 조직과 퇴적구조를 기준으로 니퇴적상, 사질실트퇴적상, 모래퇴적상으로 구분된다. 니퇴적상은 고조선 부근에 분포하며, 매우 불량한 분급과 세립질의 말미부분이 매우 우세한 실트와 이토로 이루어졌다. 퇴적구조는 균질층리, 렌즈상 층리, 얇은 교호층리가 관찰되고 있으나 생물교란작용을 많이 받고 있다. 사질실트 퇴적상은 모래퇴적상과 니질퇴적상 사이의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퇴적물은 분급이 매우 불량한 사질실트로 구성되어 있고, 퇴적구조는 얇은 교호층리와 렌즈상 층리가 나타난다. 생물퇴적구조가 풍부하다. 모래퇴적상은 저조선 부근에 분포하며, 분급이 양호하고 조립질 말미부분이 우세한 세립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퇴적구조는 고연흔, 대연흔, 사층리 그리고 평형모래엽리가 있다. 염산조간대의 표층퇴적물 분포의 계절변화는 뚜렷하여 겨울에는 모래가 집적되고, 여름에는 모래퇴적물 위에 니(mud)가 두께 50㎝ 이하로 퇴적된다. 퇴적물 분포의 계절적 변화는 계쩔에 따른 바람의 강도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tertidal facies and the intertidal sedimentation in YeomsanCoast at Yeonggwang-gun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48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taken from the intertidal flat. The intertidal flat is divided into three sedimentary facies based on textures and sedimentary structures ; mud facies, sandy silt facies, and sand facies. The mud facies occurs near the high tide level and consists of very poorly sorted and strongly fine skewed silt and mud. The major sedimentary structures are homogeneous bedding, lenticular bedding, and thinly interlayered bedding, but they are poorly preserved because of strong bioturbation. The sandy silt facies is developed on broad areas between sand facies and mud facies. The sediments are very poorly sorted sandy silt. It is characterized by thinly interlayered bedding and lenticular bedding. Biogenic sedimentary structures are abundant. The sand facies occurs near the low tide level and consists of well sorted and coarse skewed fine sand. The sedimentary structures consist of small ripples and megaripples, cross-bedding, and evenly laminated sand. The seasonal change of surface sediments at Yeomsan intertidal flat is distinctive. The sand is accumulated in winter while mud is accumulated in summer. The muddy sediments overlie the sand sediment and their thickness is than about 50 cm in summer. The seasonal change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strength of wave activity.

      • KCI등재

        캐나다 앨버타주 몬트니층의 퇴적상과 퇴적환경: 가스함유 셰일층의 파쇄효율 향상을 위한 퇴적학적 특성화

        윤석훈,조영진 대한지질학회 2019 지질학회지 Vol.55 No.3

        캐나다 앨버타주에 분포하는 몬트니층은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형성된 가스함유 셰일층으로서, 이 연구에서는 셰일가스층 개발 시 파쇄특성을 결정하는 근원암저류층의 퇴적학적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하여Kakwa 시추공 코어(총연장 약 200 m)에서 퇴적상 분석을 통해 퇴적작용과 형성환경을 해석하였다. 연구지역의 몬트니층은 전 구간에 걸쳐 60% 내외의 석영과 장석을 함유하는 실트암과 실트질 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석코어의 조직과 퇴적구조에 따라 균질상(HM), 평행엽층리상(PL), 사엽층리상(XL), 희미한 엽층리상(IL), 생교란상(BT), 변형상(DF) 등 6개의 퇴적상이 구분된다. 몬트니층의 전반적인 퇴적상의 구성은 상부와하부 구간에서 대조적으로 나타나는데, 하부 몬트니층에서는 점토광물과 유기물의 함량이 상부 몬트니층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저에너지 환경을 지시하는 퇴적상이 우세하다. 반면에 상부 몬트니층의 퇴적상은 고에너지 수층운동(파도, 폭풍)에 의한 퇴적, 침식, 변형 구조, 그리고 퇴적 후의 생물교란에의한 구조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몬트니층이 형성되는 동안, 퇴적환경은 상대적 해수면의 하강으로인해 폭풍파 기저면 하부의 외해 혹은 심해에서 파도와 폭풍의 영향이 우세한 폭풍파 기저면 상부의 대륙붕 연안 환경으로 점차 변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 Montney Formation in the western Alberta, Canada, is a gas-bearing sedimentary deposit of the early Triassic in ag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sedimentological diversity of source rock reservoirs as a major controlling factor of fracturing efficiency during the shale gas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sedimentary processe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ontney Formation (MF) based on sedimentary facies analysis of rock cores (about 200 m in total length) from the Kakwa well. The main lithology of the formation includes siltstones and silty mudstones consisting dominantly of silicate minerals (quartz and felspar) averaging approximately 60% (by weight). Six sedimentary faci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centimeter-scale description of sedimentary structures and texture in borehole cores: homogeneous mudstone (HM), parallel-laminated mudstone (PL), cross-laminated mudstone (XL), indistinctly laminated mudstone (IL), bioturbated mudstone (BT) and deformed mudstone (DF). The overall occurrence of sedimentary facies shows a distinct contras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ormation. In the lower MF, contents of clay minerals and organic matters are relatively high, and sedimentary facies are suggestive of persistent hemipelagic sedimentation under the stable and low energy environments. The upper MF, on the other hand, consists of diverse sedimentary facies formed by wave- or storm-induced sedimentation, erosion and deformation as well as bioturbation in high energy environments.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MF, the depositional site has experienced an relative sea-level fall changing from offshore or deeper seafloor below the storm wave base to nearshore in a wave- and storm-dominated continental shelf.

      • KCI등재

        홀로세 충남 모산만 하구역내 간석지의 퇴적과정

        신영호 ( Young Ho Shin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조석우세하구역인 모산만 하구역의 "에너지혼합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간석지의 퇴적물 분석을 통해 하구역의 지형변화와 퇴적환경변화를 고찰하였다. 모산만 하구역의 간석지 퇴적층은 대부분 홀로세 전기와 홀로세 후기로 나누어 퇴적되어 있으며, 홀로세 중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부정합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부정합의 존재는 홀로세 중기에 있었던 해수면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의 퇴적공간은 크게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그룹을 "간헐적 조수통로퇴적구역"(A1, B1, D3), "창조류지배퇴적구역"(A3, B3, C1, C3) 그리고 "하천퇴적물유입구역"(A2, B2)으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퇴적공간이 구분되는 것은 조수통로의 측방이동 제한, 창조류의 회절 현상과 퇴적지연현상에 의한 퇴적작용, 특정 구역에서의 하방침식의 강화와 같은 프로세스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프로세스들은 연구지역과 같은 서해안의 리아형 조석우세하구역의 지형형성과정의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서해안 하구역의 지형변화에 대한 논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고, 나아가 서해안의 "육지-해양 상호작용" 모형을 만들어가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Geomorphic changes and sedimentary changes are investigated by sediment analysis from estuarine tidal flat, Mosan Bay Estuary, which is a tide-dominated and rias estuary. Sediments separatedly deposited during the early Holocene and the late Holocene. There are unconformities between the early Holocene sediment unit and the late Holocene sediment unit. Developments of these unconformities were related with fluctuated sea level change during the mid Holocene. Three deposit zones are spatially classified, which are named "intermittent tide channel deposit zone"(A1, B1, D3), "flood-dominated deposit zone"(A3, B3, C1, C3), and "fluvial sediment deposit zone"(A2, B2). This classification is explained by three main effects; laterally restricted migration of a tidal channel, diffract flood effect and settling lag effect, and fluvial induced reworking. These effects are deserved as main factors which have formed estuarine geomorphology in tide-dominated and rias estuary.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in reconstructing estuarine geomorphic and sedimentary change in west coast of Korea. Furthermore, it gives useful data for making a "land-ocean interaction" model for west coast of Korea.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에서의 황산염 환원작용과 유기물의 기원

        박명호(Myong-Ho Park),김지훈(Ji-Hoon Kim),류병재(Byong-Jae Ryu),김일수(Il-Soo Kim),이영주(Youngju Lee),장호완(Ho-Wan Cha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3

        In this study, core sediments and pore water were analysed to identify the origin of organic matter and gas in late Quaternary sediments from the northwestern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C/N and C/S ratios in the sediments show that the organic matter in the study area originated predominantly from marine algae. However, the results of Rock-Eval pyrolysis indicate that the organic matter has an origin of the land-plant (Type III), locating in the immature stage. These different results might be due to the heavy oxidizing of the organic matter during sinking down to the seafloor or after deposition in the sediments. Concentration of sulfate in the pore water decreases gradually with core depth, while concentration of CH 4 increases gradually with core depth. This indicates that sulfate reduction and methanogenesis occurred actively in the sediments. Also, it is likely that the compositions of CH 4 are characterized as a more biogenic origin, mostly caused by microbial activity, rather than a thermogenic one. 이 연구에서는 동해 울릉분지 북서부해역의 제4기 후기 퇴적물 내의 유기물과 가스의 기원을 규명하기 위해서 천부 퇴적물과 공극수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코어퇴적물을 원소 분석한 결과, C/N 및 C/S 비(wt. %)는 퇴적물 내 유기물이 주로 해양조류 기원을 가지고, 일반적인 해양 또는 정체 환경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그러나 열분석 결과는 유기물 기원이 육상식물이고, 열적 성숙단계가 미성숙단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원소분석과 열분석간의 관계는 유기물이 침강하는 동안 또는 퇴적 후 이루어진 강한 산화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물 내 공극 수와 공기층 가스의 분석을 통하여 매몰심도가 증가할수록 SO 4 농도는 감소하고, 공기층 가스의 주성분인 CH 4 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코어퇴적물에서 미생물과 관련된 황산염 환원작용이 일어났으며, 점진적으로 메탄생성단계로 전이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또한 CH 4 의 성분은 열기원보다는 생물기원임을 가리킨다.

      • 항만 인근 해안의 인공 구조물 주변 퇴적 작용 분석

        김혜진(Hye-Jin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해안지역에서의 인간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시설물과 해빈 보호를 위한 많은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었다. 인공 구조물과 더불어 준설과 매립, 항만 공사 등으로 해저 지형이 급변하면서, 인공 구조물 주변에서의 퇴적 기능의 약화는 더욱 심각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항만 주변의 인공 구조물들에 대한 퇴적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이동 벡터 모델을 이용하여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는 것이다. 포항항 주변의 해빈 유실이 심각한 지역에 대해서 인공 구조물 주변의 표층 퇴적물에 대한 입도 특성을 이용하여 퇴적물의 이동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인공 구조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퇴적물은 항만 쪽으로 북상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As there are many human activities in the coastal regions, various facilities and coastal engineering structures for protecting beach have been built. Dredging work, reclamation and harbor construction have caused the topography of sea floor to change rapidly. So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has get dull and the serious aspects sometimes turn up. Analyzing the surface sediments with transport vector model is one of the good methods to understand the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I analyzed the transport vector of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at the region where serious beach erosion happens near Pohang harbor.

      • KCI등재

        영산강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김영길,이명선,장진호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6

        By monitoring sediment grain size and level variation of tidal flat surface for 6 years (2005-2011), and also by mooring TISDOS (tidal-flat sediment dynamics observation system) on the low intertidal flat in 2008, we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idal flat in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The tidal fla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lost 82% of its area because of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and a narrow tidal flat below mean sea level now remains. Most of the tidal flat sediments are composed of silt up to 70-94%,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clay deficiency and silt dominance. Thi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astal development, which led to the destruction of high tidal flats where most mud settled, and the modification of tidal current patterns. Moreover, the estuarine tidal-flat sediments reveal seasonal variation. They are coarse with abundant silt during windy autumn to spring, fine with abundant clay during the less-windy and high-discharge summer.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the behavior of sediment particles on the low intertidal flats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is influenced by wind waves for silt and fresh water discharge and the tidal process for clay. Monitoring results of the altitude of tidal flat surface showed that the study area had eroded at an average rate of –2.6 cm/y during the period of 2005-2011, and also that an unusual deposition with a rate of 4cm/y occurred in 2010. The erosion can be explained by an increased tidal amplitude and a strengthened ebb-dominant tidal asymmetry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y dike and the Yeongam Kumho Seawall. The deposition in 2010 seems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suspended materials from dredging of the estuary. 하굿둑과 좁고 깊은 수로형 하구의 특성을 갖는 영산강 하구에서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6년 동안(2005∼2011)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조간대 바닥의 높이 변화(침·퇴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2008년 9월에는 하구 조간대에서 수리관측을 수행하였다. 전체 갯벌의 82%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94%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 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6cm/y의 침식이 이루어졌고, 2010년경에는 특이하게 연평균 4cm/yr의 퇴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하구 조간대의 침식은 하굿둑 및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 이후에 이루어진 조석의 진폭 증가와 낙조 우세 조류의 비대칭성 강화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며, 2010년의 퇴적은 하구 준설에 따른 부유물의 대량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서 남극 킹조지 섬 마리안 소만의 홀로세 빙해양 퇴적작용

        장순근,윤호일,Chang, Soon-Keun,Yoon, Ho-Il 한국지구과학회 200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1 No.3

        서남극 남쉐틀랜드 군도 킹조지 섬 마리안 소만에서 중력시추기로 얻은 길이 2.3 m의 시추퇴적물은 홀로세 동안 이 지역에서 일어났던 빙해양 퇴적작용의 특성을 보여준다. 층준 115 cm를 기준으로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뉘어진다. 하부층은 조립질 물질이 우세하며 상부는 리드마이트와 괴상(塊狀) 니질(泥質) 층이 우세하다. 상부층에서 우세한 조립물질은 보통 빙하로 운반된 물질과 이미 존재하던 빙퇴석으로 구성되는 바, 세립물질은 융빙수, 빙하,바람으로 공급된 육성기원 쇄설물이 대부분이며 생물기원물질도 상당량 혼재되었다. 세립물질 내에 포함된 조립물질은 유빙운반물질로 해석된다. 깊이 105cm의 아래부분은 질소 총량, 탄소 총량, 유기물 총량이 적은 반면 유황 총량과 탄산칼슘 총량은 많다. 유기물 총량과 질소총량 사이의 비(C/N ratio)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다. 현재의 마리안소만 동쪽 빙벽은 리드마이트와 빙퇴석의 산출시기를 고려할 때 지금부터 8,300년 전에는 1.6km 서쪽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리안소만의 퇴적물은 7,970${\pm}$70년 전 빙벽이 시추심 위치에서 후퇴하면서 세립물질과 유빙운반물질이 우세해졌다. A 2.3 m-long core obtained from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shows clues to the glaciomarine sedimentation during the Holocene. The lower part below 115cm-deep of the core is predominated by coarser material such as diamictons compared with the higher part above 105cm dominated by finer material (rhythmite and massive muds). Based on the granulometric features the coarse materials are generally supposed to be glacially-driven and basal tills, whereas the fine materials appear to originate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meltwater-supplied, glacially-supplied, wind-blown, and organic origins. However, the presence of erratic coarse particles in the finer materials suggests the ice-rafted origin of the relevant materials. The lower part below 105cm-deep of the core was characterized by lower TN, TC, and TOC contents, and by higher TS and CaCO$_3$ contents compared with its upper part. No significant changes in C/N ratio were shown throughout the core. The ice cliff along the east side of Marian Cove seemed to locate to the west by 1.6km at 8,300 years B. P. on the basis of the repetitive occurrence of rhythmite and diamicton. Since the retreat of ice cliff in 7,970${\pm}$70 years B. P. the sediments of Marian Cove were dominated by fine materials and ice-rafted materials. The abrupt increase of coarse materials in 175cm-4 deep seems to result from supply of coarse materials due to earthquake or other drastic phenomena.

      • KCI등재

        서해 곰소만 조간대 퇴적작용에서 모래톱의 역할

        이인태,전승수,Lee, In-Tae,Chun, Seung Soo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2

        곰소만 중앙부의 하부 조간대(lower tidal flat)에는 길이 1300m, 폭 400m규모의 조간대 모래톱(intertidal sand shoal)이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이 모래톱을 경계로 3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서 표층 퇴적구조, 입도 분포, 퇴적물 이동량(집적율), 그리고 천부 퇴적상을 분석하여, 각 구역의 에너지 영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역의 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구역(offshorewards zone) -세립사(평균입도 3${\varphi}$), 혀모양 연흔, 월 평균 70mm의 집적율과 미발달생물교란구조, B 구역(sand shoal) -중립사(평균입도 2.5${\varphi}$), 사구(4${\sim}$5m의 파장),월 평균 30mm의 집적율과 미발달 생물교란구조, C 구역(onshorewards zone) - 조립질 실트(평균입도 5${\varphi}$), 굴곡형 연흔, 월 평균 10mm의 집적율과 잘 발달된 생물교란구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부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톱은 외해에서부터 유입되는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곰소만 조간대에 사주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 에너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만의 안쪽 지역에 위치하는 모래들이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 sand shoal (1300 m long and 400 m wide) with an orientation of north-south is formed on the lower tidal flat of Gomso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Surface bedforms, sedimentary structures, sedimentation rat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can-corer sediments have been measured and analysed along the sand shoal proper zone B and its offshore zone A and onshore zone C during the period of 14 months. These three zones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 zone - fine sand (3${\varphi}$ mean), linguoid-type ripples, 7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no bioturbation, B zone - medium sand (2.5${\varphi}$ mean), dunes (4${\sim}$5 m in wavelength), 3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no bioturbation, and C zone - coarse silt (5${\varphi}$ mean), sinuous-type ripples, 1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well-developed bioturbation.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zone C represents a relatively low-energy regime environment whereas the zone A corresponds to a relatively high-energy environment. The zone B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a barrier to dissipate the approaching wave energy, resulting in maintaining of low-energy conditions in the inner part of Gomso-Bay intertidal flat beh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