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박선화,상경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특징과 학교급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들이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점차 부정적으로 변하며, 수학에 대한 태도를 구성하는 세 가지 하위 요인인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 흥미, 자신감 중 가치인식 수준은 높지만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에 대한 태도는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인들이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생 수준 변인들 중에서는 아버지의 학력, 성별, 수학성취도, 사교육을 받는 정도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수준 변인들이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가 평가 활동을 강화할수록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학부모의 학교 운영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known that Korean students performs very well in mathematics but show poo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However, attitude itself is an important goal of education and it also promotes students lear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and urgent for us to find a way to improve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In this article, we tri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identify student and school level factors affecting it. For this purpose, we analyse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 in 2007 when NAEA was conducted especially focused on mathematic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attitude toward mathematics got lower as students advanced to higher grades. And among 3 sub-domains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were lower than perception of value of mathematics. Secondly,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as mainly affected by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chievement,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father's education level. And while school factors contributed relatively little to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on value of school educ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tudents' attitude in high schools and emphasis on assessmen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tudents'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기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CAB 경제적 태도 분석

        박영석,신혜원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 an enterprise. We measur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questionnaire, which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open description and the scale dis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the enterprise was positive but the affective attitude was negative.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that responded to students' attitudes to enterprise. It was ‘making money’, ‘corruption’ and ‘contributing to economic development’ that the frequency is high as a description of the cognitive attitude. It was ‘scary’, ‘unbelievable’ and ‘bad’ that the frequency is high as a description of the affective attitude. Also, it was ‘I purchased and used the products of the enterprise’, ‘I visited the enterprise’, and ‘I got services at the service center’ that the most frequent description in the behavioral attitudes. This study represents tha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was not negative in general, but that there is a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negative attitude formation factors because it still shows us both attitudes as positive and negativ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method including the open-ended questionnaire abundantly provided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 regard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learning methods of the attitude study that is relatively weak. 본 연구는 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태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태도에 대해 개방형 서술과 척도 표시를 함께 할 수 있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정의적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대한 태도를 응답하는 서술에서는 긍정적 서술과 부정적 서술이 함께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기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돈 버는 곳이다’, ‘부정부패, 비리가 심하다’,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등이었다. 기업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무섭다’, ‘믿을 수 없다’, ‘나쁘다’ 등이었다. 기업에 대한 행동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기업의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해 봤다’, ‘기업에 견학 가 보았다’, ‘서비스센터에 가서 서비스를 받았다’ 등이었다. 이 연구는 우선, 고등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지 않았으나,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가 함께 나타난 경우가 많아서 부정적 태도 형성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태도 측정 방법으로서 개방적 기술을 포함한 방식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와 관련한 응답자의 구체적인 태도 근거를 풍부하게 제공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태도' -'태도'가 국어교육내용으로서 중요성을 띠는 관점 확충하기-

        박인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0 No.-

        The content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as revised in 2009is set into three areas of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The attitud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as 1) attitude education separated from knowledge and functions 2) attitude education fused with knowledge and functions 3) attitude education in meta-cognitive dimension on knowledge and func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primarily teach attitudes toward the Korean language phenomenon and try to cultivate attitudes to learn Korean language phenomenon based on this. And the education to raise the awareness about Korean language should be eventually done. The attitude could be the inner mechanism to lead the learning direction of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The attitude factors always intervene and act in the aspects of cognitive development, definition development and sociality development when we recognize and learn a language. Especially, the attitude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se the language recognition is combined with some consciousness-raising proce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develop the contents of the attitude education to the more in-depth level by confusion with neighboring disciplines. For example, it can explain the various phenomena that “defense mechanism” of motivational psychology is shown in the linguistic aspects. And it also can create a program which “language development” and “positive attitude” are highly connected in. It is difficult to get help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we try to understand “attitude” by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too much. “Theoretical orient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olars have is a kind of “attitude”, which is “attitude to pursue the worth of value.” This attitude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cholars. 2009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 교육의 내용 영역을 지식, 기능, 태도의 세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국어교육에서 태도 교육은 1) 지식 ․ 기능과 분리되는태도교육 2) 지식 ․ 기능에 융합되는 태도교육 3) 지식 ․ 기능에 대한 메타인지 차원의 태도교육 등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는 일차적으로 국어현상에 대한 태도를 가지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현상을 학습하려는 태도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궁극에는 국어에 대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태도는 국어 지식이나 국어 기능을배우는 방향을 이끌어가는 내적 기제가 되기도 한다. 언어를 인식하고 습득할 때 인지 발달의 측면, 정의 발달의 측면, 사회성 발달의 측면에 태도 요인은 늘 개입하고작용한다. 특히 언어 인식이 어떤 의식화 과정과 결부될 때 태도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국어과 교육은 인접 학문들과 융합하여 태도 교육의 내용을 더 심도 있게 개발할수 있다. 예컨대 동기 심리학의 ‘방어기제’가 언어적 양태로 발화되는 다양한 현상을설명할 수 있다. 또 ‘언어발달’과 ‘긍정의 태도’가 상관성 높게 연결되는 프로그램을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태도’를 지나치게 발달 심리학의 내용으로만 이해하려 하면,국어교육학의 발전에 도움을 얻기 어렵다. 국어교육학자들이 지니는 ‘이론적 지향’은 ‘태도’의 일종이다. 이는 ‘가치의 가치를추구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지금의 국어교육학자들에게 특히 필요하다.

      • KCI등재

        운동선수들의 경력태도가 경력관리행동 및 경력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 Tae Hee Kim ),이형국 ( Hyung Kook Lee ),장경로 ( Kyung Ro Chang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6

        스포츠분야에서 운동선수들이 직면하는 경력경로 상의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음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적 접근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의 경력 관리는 은퇴 전후를 기점으로 단기적인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생애과정적 개념에서 경력개념을 정의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의 무경계경력태도와 프로틴경력태도가 경력관리행동으로 경력계획과 경력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경력관리행동은 경력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시·도 실업팀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자료 중 204명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무경계경력태도는 경력계획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학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틴경력태도는 경력계획과 경력학습 모두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계획과 경력학습은 경력적응력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무경계경력태도와 프로틴경력태도가 경력적응력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에 있어서는 프로틴경력태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종합적으로 운동선수들의 경력관리 및 경력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프로틴경력태도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력관련 변수들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변수들로 단순화하였으므로 이후 연구로의 확대로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경력관련 변수들 설정하고 분석하여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 The problem of career paths that athletes are facing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However, lack of research has covered about the issue. Athletes need career management programs during and after the sporting care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career attitud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s of athletes in recent changes of career paradigm.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thletes``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nd protean career attitude influence on career planning and career learning as career management behaviors. In addition, we examined how athletes`` career management behaviors influence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Total 204 amateur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had positive impacts on career planning, but the impact on career learning was no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rotean career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career planning and career learning, and both career planning and career learn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nd protean career attitude showe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but the protean career attitude had more effect tha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athletes`` career man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can be more effective by developing protean career attitude.

      • KCI등재

        개별 논문 : 읽기 교육에서 태도의 문제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성영 ( Seong Young Lee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읽기 태도의 개념, 측정, 교육이라고 하는 세 가지 문제를 검토해 봄으로써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읽기 태도는 ‘읽는 자세’, ‘읽는 태도’, ‘읽기에 대한 태도’의 세 가지 양상으로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읽기에 대한 태도는 읽기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주로 작용하는 반면 읽는 태도는 읽기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주로 작용한다. 읽기 태도의 측정에서는 ‘읽기에 대한 태도’뿐 아니라 ‘읽는 태도’ 역시 중요한 평가 대상을 삼아야 한다. ‘읽기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때에는 태도 대상의 다양한 층위와 구인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읽는 태도’는 읽는 행위나 방법을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읽기 포트폴리오들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읽기 태도를 측정하는 만큼, 측정이 아니라 평가나 총평의 관점에 서야 한다.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대상의 층위를 추상에서 구체로 낮추어야 한다. 그리고 읽기 태도는 인지적 이해와 읽기 경험이라고 하는 두 가지 통로를 통해 형성되므로, 이를 잘 활용하여야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이 어떤 독자인지, 읽기가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사람들이 어떤 기대를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가급적 책을 많이 읽게 하되 그 경험이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만족감을 주는 것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tecting the probability of teaching reading attitude by scrutinizing the concept, test and teaching of reading attitude. There are three types of reading attitude : reading pose, attitude to read, attitude toward reading. Attitude toward reading determines to read or not, but attitude to read determines how to read. We have to test not only attitude toward reading but also attitude to read. When we test attitude toward reading, we have to consider the layers and constructs of reading attitude. We can test attitude to read through observing reading activities or methods, so we can use reading portfolios in order to identify attitude to read. And we have to accept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or assessment instead of measur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eaching reading attitude, we have to move our concern from general level to concrete level in determining the contents of teaching. We can use two path into the good reading attitude : one is cognitive understanding, the other is reading experience. We have to help a student to understand what a good reader is he, what a good property has reading and what expectation have people about his reading, and we have to help students to read many books and to obtain the satisfaction with affect and ideas from text.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과 태도변화 연구결과에 대한 의문 -스테레오타입에서 오는 편견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나 ( Mi Na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1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태도변화를 양적으로 접근한 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이 의도한 태도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의문을 갖고 출발하였다. 태도변화가 일어나기 어렵다는 인지심리분야에서의 입장과 상반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분야가 서로 상치되는 결론을 내린 이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사회과 태도영역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스테레오타입에 기반한 편견`을 예로 하여, 태도의 변화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인지심리분야에서는 인간의 인지구조와 사회적 맥락을 들어, 스테레오타입이나 편견이 변화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연구에서 태도변화가설이 채택되는 사례가 많은 까닭을 태도에 대한 개념적 차원과 이를 재려는 조사도구에서 찾았다. 사회과에서는 태도변화조사를 위해 외현적 태도를 측정하고 있다. 변화하기 어려운 내재적 태도영역은 조사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결국 사회과에서는 자동적 태도는 다루지 않고 있다. 사회과의 태도개념은 `통제적 태도`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사회과에서의 태도변화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생각해 보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hypotheses about attitude change tend to be accepted in the research area of social studies. These findings are inconsistent to theories of attitude change in the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psychologists argue that attitude change is not easy because of human cognitive structure and social context which reinforces the existing attitude. This study thinks main reason why attitude change is easy in the researches of social studies is the measurements. The social studies researchers tend to use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attitude change. These are for measuring not implicit but explicit attitudes. Explicit test measures only what people verbally state. It cannot measure what people willingly hide nor what people have beyond their conscious level. This study argues many students tend to answer w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social studies teaches in the explicit tests. This is because students begin to learn what is socially desirable through the program. Therefo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show desirable attitude change tend to be overrepresented. Besides, explicate attitude is not automatic but controlled attitude. This study discusses what these mean in the research of social studies.

      • KCI등재후보

        부모의 읽기 태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학생의 읽기 태도와의 상관성 연구

        김대희,엄해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ist the improvement of family literacy environment for betterment of students' reading attitude through figuring out how to b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reading attitude. Reading attitud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at makes students long-life readers through the active literacy. The variables which has an effect on reading attitude are various. Among the variables family literacy environments are magnified as a noticeable factor. This study survey interrelationship between some constructs; those are parents' reading attitude, students' viewpoint about their parents' reading attitude, students' reading attitude, and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e result of survey that students' reading attitude is very similar to their parents' reading attitude is come out. In other words, when the students think that their parents like reading, the students like reading and when the students think that their parents don't like reading, so don't the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due to focusing on students' self-consciousness for their own reading attitude.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읽기 태도가 학생의 읽기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학생들의 읽기 태도 신장을 위한 가족 문식성 환경 개선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읽기 태도는 평생 독자로 나아가기 위해 능동적인 독서를 만든다는 데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정에서의 문식 환경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의 읽기 태도는 '읽기에 대해 좋고 싫음을 무의식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읽기 활동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라고 보고 자녀인 학생이 부모의 읽기 태도에 대한 인식과 학생의 읽기 태도가 어떠한 상관성을 지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부모의 읽기 태도와 같은 성향의 읽기 태도를 보였다. 즉, 부모가 책 읽기를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자녀도 책 읽기를 좋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모가 책 읽기를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자녀도 책 읽기를 싫어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모의 읽기 태도와 자녀의 읽기 태도가 서로 다른 경우는 자녀의 책 읽는 이유와 관련지어 분석해 보았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책읽기가 재미있어서' 책을 읽는다고 답하였지만, 책 읽기를 싫어하는 학생들은 '다른 할 일이 없어서', '부모나 교사가 읽으라고 해서'로 답했다. 이 중에서도 부모님이 책 읽기를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할 일이 없어서'라고 답하여 평소 부모의 모습에 영향을 받아 특별히 할 일이 없는 여가 시간, 휴식 시간에 책을 읽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부모님이 책읽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부모님이 본인은 책을 읽지 않으면서 자신에게는 책을 읽으라고 하신다고 생각하여 더 거부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읽기 태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학생 스스로가 영향을 받고 관심을 가지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의 관계: 애착 매개 효과 중심으로

        정윤주 ( Joung Yoon Ju ),조혜민 ( Jo Hye Mi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사회적 문제행동이 늘어나고 있는 오늘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조절하며 대응하는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현장과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며, 대안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애착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 관계에서 애착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 중 애정적, 자율적 양육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거부적 양육 태도는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분석결과에서 애정적, 자율적 양육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거부적 양육 태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분석결과에서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은 높게 나타났고, 소외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 관계의 애착 매개 효과 검증결과 애착의 간접효과 유의성은 (p<.01수준에서)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완전매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부모-자녀 간 안정 애착을 형성하게 하며, 이러한 애착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이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입증하였으며 발달 시기에 맞게 발달을 이루어야 하는 영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영아기 최초에 형성되어야 할 애착과 다음 단계에서 순차 적으로 이루어야 할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유아의 환경 외적 변인 중 가장 영향력이 많은 어머니의 양육 태도 간 상관관계에서 애착 매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goal is to develop effective and alterna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self-control, adjusting and responding to situations, and verifying the intermediate effect of attachment.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i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on attach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attachment on self-control in infants?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2 mothers of daycare centers in Suwon and Yongin, and the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determine the direct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and the intermediate effect of attach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shows that the loving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of the mothe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parenting attitude, and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s a negative impact. Second, the analysis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attachment showed that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on, and rejectionary parenting attitudes have a negative (-) influence on attachment.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attachment on self-control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nd confidence, the higher the infant's self-control, and the higher the alienation, the lower the infant's self-control. Fourth, verification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attachment mediating effect of the infant's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shows that the indirect effect significance of attachment is significant (at the p<.01 level). As shown in the above studi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lead to stable attachmen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ch serve as a medium for infants' self-control. This demonstrates that attachment is a major variable affecting the infant's self-regul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self-regulation and infant's most influential maternal attitude in the next stage.

      • KCI등재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수정,이기성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며, 이들 영향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21 자료의 중학교 1학년 2,23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그릿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완전매개효과,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부분매개효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n career adaptabilit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se influenc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2,235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21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act of parenting attitude on career adaptability,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significant as positive (+),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was negative (-). Second, in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gri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significant as positive (+),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was negative (-). Third, grit was positively (+) significant to career adaptabilit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wi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ith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rough this,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 KCI등재

        자의식과 태도중요성이 암묵적 태도와 명시적 태도 간의 일관성에 미치는 영향

        양윤,오자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1 No.2

        본 연구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암묵적-명시적 태도일관성이 자의식과 태도중요성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암묵적-명시적 태도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자의식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태도중요성의 고/저 수준에 따라 암묵적-명시적 태도일관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묵적-명시적 태도일관성은 태도가 개인에게 있어서 중요할 때 높았다. 또한 암묵적 태도와 명시적 태도 각각의 척도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분석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두 태도척도를 분리 투입하였을 때에는 암묵적, 명시적 태도 모두 유의하게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예측하였지만, 동시에 투입되었을 때에는 명시적 태도만이 구매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inconsistency between Korean consumer's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products.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consumer domain have identified the moderators of the consistency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In this article self-consciousness and attitude importance were used as moderators. This study showed expected differences in implicit attitudes between users of two coffee brands, also revealing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AT-measured implicit attitudes and explicit attitudes. And as predicted, increased attitude importance resulted in stronger IAT-explicit attitude correlations. But self-consciousness have no moderating effect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