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주거만족도와 지속적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김재성,김원필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1

        본 연구는 친환경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현재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 내에 갖추어진 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분류를 통하여 이러한 공동주택 친환경 요소가 거주자의 주거 만족도와 지속적 거주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 진관동, 성북구 길음동, 성동구 하왕십리동 뉴타운 지역의 공동주택 단지 거주자 465명으로 설문조사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공동주택 요소인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자원과 환경부하, 실내환경, 생태환경은 모두 주거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공동주택 요소인 토지이용 및 교통, 생태환경, 실내환경이 지속적 거주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공동주택의 주거만족도는 지속적 거주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 공동주택 요소인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자원과 환경부하, 생태환경, 실내환경과 지속적 거주의사의 관계에서 주거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친환경 공동주택은 아파트 거주의도를 결정짓는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개발의 실현과 자원절약적이고 자연친화적인 공동주택 개발을 유도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within their current apartment house residences for the residents of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on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andwillingness to continue residing in these residences. For this study, 465 residents of the new town areas in Jingwan-dong (Eunpyeong-gu,)Gileum-dong (Seongbuk-gu,) and the Hawangshipri-dong (Seongdong-gu), all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s, which were,respectively, land use, transportation, energy resources, environmental burden, indoor environment, and ecological environment, were all foundto be with a positive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ly, the factor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s, which were,respectively, land use, transportation,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door environ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residence. Thirdly,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illingnessto continue reside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s, which were, respectively, landuse, transportation, energy resources, environmental burden, ecological environment, indoor environment, and the willingness to continueresidence,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r all of them. Therefore, since being an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 can be a decisive factor for the willingness to continue residence in an apartment house, the studyindicates that efforts must be made to realize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apartment houses while encouraging such adevelopment to be resource-efficient and nature-friendl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 KCI등재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친환경 공동주택의 영향인자분석 연구

        류수훈,김영훈,이강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5

        This study analyzed public awareness survey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process, this study proposes a plan of environmentally-friendly plan of the apartment which conforms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nine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land use, transportation, energy, Environment Pollution, Materials & Resources, etc. and 58 detailed factors to be used as indicator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Using the developed indicators, this study developed survey and analysis tools such as questionnaires and analysis methodologies. And, we conducted consciousness survey, importance and preference analysis of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for apartment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the public’s difference of consciousness, preference, and classification factors wer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rvey respondents showed highly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preferred high rise and low density, flat type apartment shape. Conside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gh income group showed high awareness of eco-friendly apartment, and residents in Seoul prefer tower type. Female group, 50 years old and over, and residents of large apartment complexes were more likely to live in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The indicators that affec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houses are in the order of 'water resources', 'environmental pollution', 'maintenance', 'ecology environment', 'materials and resources', 'energy', 'transportation’

      • KCI등재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G-SEED) 공동주택의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 가이와 파머의 지속가능한 건축 원리에 근거하여 -

        정은희 ( Jung Eun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 인증제도인 G-SEED의 계획 요소들이 다양한 친환경적 가치를 평가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가이와 파머의 지속가능한 건축의 6가지 원리를 근거로 국내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의 인증결과를 분석하여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공동주택의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G-SEED 인증평가 항목과 가이와 파머의 지속가능한 6가지 건축 원리인 생태기술성(Eco-technic), 생태중심성(Eco-centric), 생태심미성(Eco-aesthetic), 생태문화성(Eco-cultural), 생태건강성(Eco-medical), 생태사회성(Eco-social)과의 관계성을 규명한 후 인증평가 항목의 배점을 6가지 건축 원리로 환산하여 분석의 틀로 설정하였고, G-SEED 최우수등급와 우수등급을 획득한 22개 공동주택의 인증결과를 가이와 파머의 지속가능한 건축 원리로 재분류하여 항목별 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가지 원리 중 생태기술성은 65%, 생태건강성은 59%, 생태중심성은 57%, 생태문화성은 56%, 생태사회성은 52%, 생태심미성은 43%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55%로 나타났고, 특히 생태심미성과 생태사회성은 평균 이하의 척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G-SEED와 가이와 파머의 건축 원리의 상관관계 규명에서 나타났듯이 G-SEED의 인증항목 중 생태심미성과 생태사회성을 측정하는 항목과 배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음에도 불구하고 사례의 평가 결과에서도 두 가지 원리가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가이와 파머의 지속가능한 건축 원리에 근거해보면 G-SEED의 기본적인 설계에서도 생태심미성과 생태사회성의 가치가 낮게 적용되어있고, 인증에 응하는 건축물의 설계에 있어서도 에너지 기술적 관점이나 인간 생활의 쾌적성과 건강성 등 만이 친환경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현재 국내 친환경인증 공동주택 건축이 다양한 가치의 지속가능성을 제시한 초기 친환경건축의 근본적인 개념보다는 다소 벗어난 편향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국내 인증제도의 개선과 건축에서 있어서 지속가능한 가치를 균형적으로 실현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resssess the eco-friendly sustainability of domestic eco-friendly building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domestic-certified apartments based on the six principle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by Guy and Farmer to verity that the planning factors of G-SEED, a domestic eco-friendly architecture certification system, are evaluating a varie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alue. order to verify that the planning elements of G-SEED, a domestic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re evaluating various eco-friendly values, this study aims to re-evaluate the eco-friendly sustainability of domestic eco-friendly building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certification of apartments certified in domestic based on the six principle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by Guy and Farmer. The G-SEED certification assessment items for multi-family housing for researc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technic, Eco-centric, Eco-aesthetic, Eco-cultural, Eco-medical, Eco-social, which are the six sustainable architectural principles of Guy and Farmer. According to the analysis, among the six principles, the value was 55%, followed by 65% for Eco-technic, 59% for Eco-medical, 57% for Eco-centric, 56% for Eco-cultural, 52% for Eco-social, and 43% for Eco-aesthetic, and the average value was 55%. in particular the Eco-aesthetic and Eco-social were below average. Although G-SEED's certification items are relatively small in proportion to those measuring Eco-aesthetic and Eco-social, as shown in the G-SEED's correlation between G-SEED and Guy and Farmer's architectural principles, the two princip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ssessment results, and based on the sustainable architectural principles of Guy and Farmer, the basic design of G-SEED had low Eco-aesthetic and Eco-social value. This result can be said to be a biased result rather than the fundamental concept of early eco-friendly architectur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eco-friendly apartments in Korea currently presents the sustainability of various valu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balanced realization of sustainable value in architecture.

      • KCI등재

        POE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 인공환경 녹화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보람,안동만,Kim, Bo-Ram,Ahn, Tong-Mah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연구로서, 2007년 6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친환경건축물 본인증을 획득한 서울 경기지역 공동주택 8곳을 선정하여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기법 적용여부(이하, 인공환경 녹화)" 평가항목의 거주후 평가(POE)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인공환경 녹화 부문 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재인증 규정 및 사후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장관찰조사와 관리자 면담 및 거주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도출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 단지에 도입된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 계획요소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인공환경 녹화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옹벽대체녹화가 담장녹화, 옥상녹화, 벽면녹화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평가항목별 만족도는 질적 수준, 설계목적 부합 여부, 식생 관리상태, 식생 생육상태가 평균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인공환경 녹화 만족도는 질적 수준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나머지 요인들도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 인증 제도는 유지관리 평가기준이 미비하여 관리상태가 소홀하고, 이는 전체적인 인공환경 녹화 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인증심사와 별도로 운영되는 사후관리 제도의 도입이 요구되며, 인증 취소나 벌점부과와 같은 적극적인 관리 규제 확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ustainability on housing complexes. This study sampled eight housing projects in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which were completed in June 2007 and June 2008. Then, are retention and maintenance on "constructed greens for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green structures substitutes retaining walls", "green roofs", and "green walls." Study methods are field investigations of the sampled sites, and Post Occupancy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1) "constructed greens" are not well retained in more sites and and this implies the GBCS(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does not meet its objectives well, 2) User showed lower user satisfaction to "constructed greens". User satisfaction concerning "green structures substitute retaining wall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on the other constructed green type. Satisfaction Assessment Criteria lower 1han average were "level of quality", "meet the design objectives", "vegetation management status", "vegetation maintenance". 3) User satisfaction was strongly correlated on the level of quality factor of "constructed green". In addition, tue other factors a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s. The present GBCS has inadequate assessment standards for maintenance, which lead to lower the entire satisfaction. Therefore, periodic re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for the managing personals, and incentives for good maintenance or disincentive for poor maintenance of the "constructed gree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GBCS.

      • KCI등재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과 주거만족도 및 거주의도 -서울시 뉴타운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손영채,이명훈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residential intention focusing on Newtown prototype district in Seoul. And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uld increas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sidence intention of the residents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positively influenced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the higher the residential inten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residents'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intention. In addition, the pla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considering the inside of the house, the complex, the neighborhood factors and the community will help to activate the real estate market through the inflow of new customers as well as existing customers. 본 연구는 서울시 뉴타운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만족도가 거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친환경 공동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와 거주의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은 주거만족도의 긍정적 영향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주거만족도가 높을수록 거주의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은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와 거주의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고려한 환경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주택 내부와 단지, 근린 요소 및 커뮤니티를 고려한 친환경 공동주택의 계획은 기존 고객은 물론 신규 고객의 유입을 통한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계획의 친환경적 평가에 관한 연구

        마현 ( Xuan Ma ),어성신 ( Sungsin Eo ),김지현 ( Jihyeon Kim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은 다양한 커뮤니티가 일어나고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공간으로 거주자의 건강과 쾌적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적 요소가 적용된 실외 놀이 공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지면서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환경을 배려하는 친환경 실외 놀이 공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지 내 실외 놀이 공간의 질 향상과 개선을 위해 실외 놀이 공간에 나타난 친환경적 계획요소를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의 친환경적 계획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위치한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7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한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친환경에 관한 선행연구 및 친환경 인증 제도를 바탕으로 추출된 친환경 요소를 통해 실외 놀이 공간의 친환경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조사대상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놀이 공간의 친환경적 요소를 평가하였으며 친환경적 요소를 토지이용 및 교통, 생태환경, 에너지 및 환경부하 감소 부문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사례에서 기존 자연지형을 활용한 놀이 공간의 조성이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 공간으로 접근하기 위한 자전거도로와 보행자 전용도로의 사용에 있어서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녹화기법 적용의 경우 측면녹화나 입면녹화의 형태로 조성되어 있는 반면에 녹지축 형성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자원 절약을 위한 우수부하 감소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지만 우수활용에 여부에 대한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에너지 이용 및 쓰레기 처리공간에 대해서도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놀이 공간 계획시 놀이 공간의 보행자 전용도로와 자전거도로를 분리시켜 아동들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기존의 자연형 녹지를 활용한 녹지축 조성과 더불어 다양한 생태조경을 통해 자연 친환적인 놀이 공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우수활용 시스템을 통한 수자원 절약과 에너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자원절약 방안을 도입하고, 주변의 경치와 어우러지는 태양광 조명시설과 청결성 유지를 위한 분리수거형 쓰레기 처리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향후 이를 근거로 하여 친환경적 실외 놀이 공간의 디자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utdoor play spaces are often the most frequently used public spaces in apartment housing, and places where various communities are formed and residents` health and comfort can be improved. This interest in outdoor play spaces, combined with growing emphasis o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energy conservation, has expand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outdoor play spaces that are in harmony with and protective of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relevant to outdoor play spa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play spac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vide baseline data related to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measures for future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Method) This study targeted seven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located in Seou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through on-site survey.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preceding environment-friendly research and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system, and, based on the elements, a checklist was made for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of outdoor play spaces. Then, on-site surveys were performed at the seven target spaces using the checklist. (Results) This study, which evaluated seven play spaces and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energy, and environmental load, found that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ing houses appeared to have inadequately considered the environment in their planning stages. First, although plans for play spaces utilizing the existing natural terrain were established in most cases, some had problems in the use of bike lanes and exclusive pedestrian roads near and directed toward the play space. Second, with respect to the artificial greening technique, side greening and facade greening were well applied, but the axis of the green belt was insufficiently considered. Third, although the systems for both rainwater load reduction for water resource conservation and trash and garbage disposal turned out to be relatively favorable, there was no plan for the use of rainwater, and the energy use and garbage disposal space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Conclusions) When play spaces are planned, a primary goal should be to promote children`s safety. This includes creating separate bike lanes and pedestrian roads towards play space. It also requires more attention paid to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in the play space, including creating the green axis using the existing green belt as well as various types of ecology. Sustainability must also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Plans for outdoor play spaces should include water and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rainwater use systems, water resource conservation systems, energy systems, and solar-powered lighting and recycling-type garbage disposals in harmony with adjacent landscapes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pecific measures to utilize the study results as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environment-friendly outdoor play spaces.

      • KCI등재

        친환경 건축물 인증 단지의 외부공간 조성현황 연구

        성순택(Seong, Soon-Taek),유시은(Yu, Si-Eun),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친환경 주거공간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외부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친환경 인증을 받은 20개의 단지의 조성현황을 살펴보고, 인증 항목 간 불균형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분야별 또는 항목별 최저점수제도가 없음으로써 특정분야(토지이용 50%, 생태분야 45%)에서 아무라 낮은 점수를 받아도, 다른 분야(교통분야 80%)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평균 65%를 넘으면 인증해주는 현재의 점수제도는 친환경의 본래 의미를 저해할 수 있다. 둘째, 교통분야에서 현재는 어느 단지나 조성하고 있는 시설을 채점 항목에 삽입함으로써 질적인 평가가 아니 양적인 평가를 통해서 점수를 주고 있는 방법은 적절하지 못하다. 셋째, 친환경 인증임에도 생태 환경분야에 최저점 제도가 없어 생태환경 분야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도 다른 점수화 합쳐서 65%가 넘으면 친환경 인증을 해주는 현재의 제도에는 친환경 인증의 의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평가부문들에 대한 총점으로만 친환경 등급을 관리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야별 미흡한 점들의 개선과 함께 분야별로 일정 수준이상의 평가를 받도록 하는 평가방법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ality of outdoor space in the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Apartment Housings’ (20 case studies) and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grading system. The findings include; first, as there was no minimum standard rule, the housings with less ecological outdoor environment could be certificated as the Green Apartment Housing. The rating factors were land use, ecology and transportation. The study sites earned low marks (about 50 %) in the land use field and ecological field (about 45 %). But they had good mark by almost 80 % in the transportation branch. They got above average 65 % and finally could be certificated as the Green Apartment Housing. Second, in the transportation field, rating checklists included a few naturally installed facilities, which could make certification easy. Thus, the rating method should shift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Third, especially in the ecology field, as there are no minimum standard rules, apartment housing with lowest score in the ecology field could get certified as the Green Apartment Hous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valuation system of current rating method needs to be improved.

      • KCI등재

        친환경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윤재석 ( Yun Jae Seok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8 감정평가학논집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가치형성요인을 친환경요인을 포함한 경우의 공동주택의 가치형성요인의 중요도를 AHP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공동주택요인은 외부요인, 건물요인, 개별요인 순으로 중요도가 결정되었으며, 친환경요인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외부요인, 건물요인, 개별요인, 친환경요인 순으로 중요도가 결정되었다. 중분류에서는 외부요인 내에서는 가로의 폭, 구조 등의 상태, 도심과의 거리 및 교통시설과의 상태 순이고 친환경요인은 별도의 요인으로 결정된다. 건물요인 내에서는 시공의 상태, 통로 구조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요인은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요인은 층별 효용, 위치별 효용, 향별 효용 순이었고, 친환경요인은 영향이 아주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applying the appraisal system and the importance of price forming factors, including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analyzed in a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The factors for apartment complex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external factors, building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including additional eco - friendly factors would vary. The analysi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the existing apartment building factors was determined by external factors, building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The division analyzes that within the external factors, conditions such as width of street, structure, etc., conditions with city street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the conditions and ecolog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are environmental factors, are not significant. Within the building factors,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and the corridor structure were shown in order,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to have little impact.

      • KCI등재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실태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

        배시화(Bae Si-Hwa),송옥희(Song Ok-Hee)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effect of KGBCC to architectural circumstance of the apartment house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the marks of assesment of 300 apartment housing project KGBCC certified from 2006 to 2009 are analyzed for the response levels of an annual, a regional and a criterion. To suggest the effect of KGBCC to the architectural circumstance, the response level is compared to the satisfaction level and preference level picked out from the pre-studies. The results suggested are expected to use in the improvement of KGBCC and to design and construct sustainable apartment ho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